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적 정서성향과 조직시민행동 :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효과와 집단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문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조직구성원이 상사나 동료를 위해 자발적으로 도움을 베푸는 행동(OCBI)은 조직의 성공과 경쟁력 향상에 도 움이 되지만, 기업의 현실에서 OCBI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OCBI의 선행요인으로 긍정적 정서가 최근 많 이 연구되고 있으나, 긍정적 정서-OCBI 관계의 기저에 있는 매개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OCBI의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집단 정체감의 매개역할에 주목한다. 또한,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과 상호작용하여 OCBI의 활성화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다. 66개 작업집단에 속한 293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거쳐 OCBI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만 유의하며,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을 대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높여주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여 OCBI를 높이지만, 긍정적 집 단분위기 인식이 높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수행하는 역할이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역할과 중복되어 대체된다는 연구 시사점을 제공한다. Drawing upon research in affect and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examines when and how an individual’s trait positive affect (TPA)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son’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ed toward individuals (OCBI).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tested by using the data of 293 employees nested in 66 work group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PA on OCBI mediated by group identification (GI) is significantly positive only when perceived group positive affect (PGPA) is low, highlighting the substituting role of PGP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PA and GI. The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at the low level of PGPA suggest that TPA functions as significant, affective resources for enhancing GI and consequently increasing OCBI of the focal member when PGPA is low. By contrast, TPA’s role in enhancing GI becomes redundant when PGPA is high. The current analysis reveals potential complementary functions of TPA and PGPA in explaining subsequent identity cognition and individual behavior.

      • KCI등재

        다세대 주택에 대한 부정적 긍정적 인식

        박성용(Park Seong Yong),김형근(Kim Hyoung Geun)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2

        다세대 주택은 시민들의 거주 형태로서 아파트와 함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가격이 저렴한 다세대 주택이 가지고 있는 요인들에 기인할 수도 있지만 소비자들의 인식, 경험의 차이에 의해 야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부정적 선입견 또는 경험을 가진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측면을 강하게 평가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약하게 평가할 가능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세대 주택의 인식적인 측면의 제고는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부정적 인식을 가진 소비자와 긍정적 인식을 가진 소비자를 구분하고, 왜 소비자들이 부정적 ,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가를 고려하고, 부정적 인식을 가진 소비자들이 다세대 주택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측면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더 낮게 평가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한다. “다세대주택에 대한 거주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이 거주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에 비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와 “다세대 주택에 대한 거주 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이 거주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에 비해 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해 본다. 응답자들을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이 왜 그런 인식을 보유하는 가를 살펴보고, 다세대 주택이 가지고 있는 장점에 대한 집단 비교를 실시하였다. 다세대 주택 장점에 대한 집단 비교는 사용 경험이 없었던 소비자들이 사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보여준다. 긍정적 인식 집단과 부정적 인식집단은 현재 어디에 거주 하는 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파트 거주자와 다세대 주택거주자들로 구분한 이후에 이들이 가지고 있는 다세대 주택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시도하였다. Multi-families home or Multi-plex homes comprise major portion of cities area along with apartment. In spite of these roles, public has very negative perceptions on mut-families home by focusing on the alternative, apartment. It is interesting to see why this phenomenon occurs and persis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positive aspects of themas well as negative aspects. In particular, the reasons for this under-estimation could be frommany different sources. We use brand preference differences and user experiences as theoretical constructs behind this phenomenon. If we consider user and non-user classification, there could b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ies onmany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That is the reason that it is quite necessary to distinguish user and non-user.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might have higher or better images than non-users. Furthermore, non-users might have lower or worse images and evaluate lower for the advantages of multi-families home and disadvantages of apartment. Using the word-cloud analysis show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ulti-families home. Images could be shown using the frequencies of words that describe the objects. This reverse halo effect explain the perception problems ofmulti-families home. Empirical investigation proves this phenomenon.

      • KCI등재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과 긍정적 호혜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경민 리더십학회 2018 리더십연구 Vol.9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e hypothesized that an individual’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is positively related to his(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is relationship is also mediated b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ing moderated by individuals’ positive reciprocity propensity. These hypotheses have been tested by the survey result from 411 domestic employees based on the integrated statistical model of moderated mediation by Muller, Judd, and Yzerbyt(2005).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s an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lationship was also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inally, the mediation process was moderated by an individual’s tendency of positive reciprocity. As an employee has a stronger tendency of positive reciprocity, the effect sizes of mediating processes were getting large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could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ey also point out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se perceptual processes, newly suggesting the significant effect of positive reciprocity. Key word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 reciprocity 본 논문은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영향력과 그 과정에 연계된 변수들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과정적인 관련성을 보일 것이라 예측하였다. 이와 함께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지원인식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인 영향력 또한 미칠 것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매개과정이 개인의 성격적 특성인 긍정적 호혜성의 정도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조절된 매개효과’모형을 가설로 수립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종사자 4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Muller, Judd, & Yzerbyt(2005)의 통합분석모형에 기초하여 조절변수에 따른 매개경로의 단계별변화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사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정적인 관계에서조직지원인식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매개과정은 개인의 긍정적 호혜성 정도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개인의 긍정적 호혜성이 강할수록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지원인식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모두가 보다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사와의 관계가 조직과의 관계에 대한해석을 통해 결과적으로 종업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지과정에 있어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유의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키워드: 상사지원인식, 조직시민행동, 조직지원인식, 긍정적 호혜성

      • KCI등재

        브랜드 경험에 따른 긍정적 감정이 자아인식의 향상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류주연(Ryoo Juyoun),김정구(Kim Chung Koo)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소비자는 구체적인 제품이나 서비스의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를 통하여 정서적으로나 인지적, 또는 행동적인 방법 등으로 브랜드를 경험하고 있으며, 바람 직하고 매력적인 브랜드를 경험하는 것으로도 개인의 장점을 개발하고 만족스러운 삶의 기본이 되는 긍정적 감정 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경험하면 브랜드가 갖는 매력적이고 강력한 브랜드개성을 마치 소비자 자신의 개성인 것처럼 인식하게 되어 좀 더 향상된 자아로 인식하게 되는 브랜드 효과와, 이러한 브랜드 경험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국내 실정에서 실제의 브랜드를 가지고 실증해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최신식이고, 유행에 민감하며, 현대적인’ 개성을 갖는 갤럭시S 스마트폰 브랜드를 선정하였으며 브랜드 경험 이후 세 가지 브랜드개성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타나났다. Brakus 외 (2009)의 연구를 근간으로 12개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브랜드 경험에는 감각적, 감정적, 경험적, 그리고 인지적 경험의 4가지 차원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브랜드 경험과 긍정적 감정, 자아인식과 브랜드 애호도의 네가지 연구 개념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경험은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 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바람직한 브랜드개성을 갖는 브랜드를 경험한 이후 브랜드에 대한 만족과 애착, 관계 등과 같은 브랜드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소비자 차원에서는 긍정적 감정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실증한 것이다. 둘째, 브랜드 경험으로 인한 긍정적 감정은 자아인식의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생각과 행동의 폭을 넓히고 관계를 지속하게 함으로써 삶의 만족과 행복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애호도와 자아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한국적 실정에서도 유효함을 확인하였고 넷째, 브랜드를 경험하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이 향상되고 자아인식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긍정적 감정과 자아인식의 향상이 브랜드 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계는 밝히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학문적, 실무적 공헌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onsumers experience brands directly or indirectly both by purchasing or consuming brands`` offerings and communicating brand related aspects in the sensory, emotional, perceptual, or actual way. This research replicates the brand effect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and examines how consumers` positive emotion can be formed and increased through brand experiences using a real Korean brand. Positive emotions broaden consumers`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thought-actions and provide variety experiences which can be the fundamentals of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by brand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in the Korean market situation. In the pretest, 53 respondents selected five personality traits that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Samsung Galaxy S. Three traits out of 42 personality scales were most frequently selected; up-to-date(53%), contemporary(45%), and trendy(45%). Also these three traits revealed a high degree of interests in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mselves: up-to-date(m=.68), contemporary(.74), and trendy(.68). Based on this data, Galaxy S was used in the main survey where 450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he business undergraduate classes and MBA classes. Excluding foreign students` data and inappropriate data, 321 sample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people perceive themselves to be more up-to-date, more contemporary, and trendier after experiencing Galaxy S through manipulation information. The result confirms that brand experience helps self perception enhancing, especially to people who like certain brand personalities and have interest in increasing the personalities. Second, consumers` positive emotion was increased after they experience the brand, thus a brand can provide positive outcomes both corporations and consumers. The notion that positive emotion produces novel thoughts,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suggests that brand experience has an important aspect regarding consumers` psychological strengths. Third,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can affect self perception enhancing. Experiencing brand through sense, feel, behavior, and cognitive way increases consumers` self perception like consuming real products or services. Forth, brand experience affect brand loyalty and self perception positively. Finally, the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and self perception do not affect brand loyalt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procedure and the suggestions on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절차적정당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정서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및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선임,장선구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outcome variable and the mechanism of that causal relationship. Specifically, we focused on how the level of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effect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positive emo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CB. Furthermor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would be the role of moderation that could enhance the effect strength between justice and OCB, positive emotion and OCB.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OS in indirect effect of positive emotion. We surveyed 300 employees and analyzed. Results shows that level of perceived procedural justice effect to OCB and positive emotion mediated procedural justice and OCB, significantly. POS moderated the relationship of procedural justice and OCB as well as positive emotion and OCB. Finally, this study examined mediated moderation role of POS in the indirect effect. Based on this results, we provided a few theoretical,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사회적 교환관계적인 측면을 벗어나 정서적인 측면으로 설명하는 연구들은 많지 않고, 소수의 연구들이 일관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절차적정당성이 조직시민행동이라는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과관계를 검증했다. 또한 긍정적 정서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및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중점적으로 살펴본 변수들의 관계는 첫째, 절차적정당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긍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둘째, 절차적정당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그리고 긍정적 정서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직지원인식의 상호작용효과. 셋째, 조직지원인식이 긍정적 정서의 간접효과를 조절하는 매개된 조절효과였다. 국내 일반 사무직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첫째, 절차적정당성 인식 수준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적 정서는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했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절차적정당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긍정적 정서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했다. 마지막으로 매개된 조절효과의 검증결과, 조직지원인식은 절차적정당성, 긍정적 정서,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 및 실무적 적용점을 논의하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 KCI등재

        골프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긍정·부정적 인식에 관한 주요사건기록 분석

        곽은창,주병하 한국골프학회 2013 골프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골프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긍정․부정적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골프에 대한 학습 경험이 있는 M고등학교 230명과 골프에 관한 학습 경험이 없는 J고등학교 258명 총 488명 중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35명을 제외한 353명이 참가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서 주요사건기록법이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한 관찰자간 신뢰도는 .86%이상 이었다. 연구결과는 골프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 ‘심리적 만족감’, ‘흥미유발’, ‘건강증진’, ‘고품격 스포츠’순으로 인식했으며, 부정적 인식으로는 ‘사치성 스포츠’, ‘운동수행의 어려움’, ‘환경파괴’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골프에 관한 사전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골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았지만 건강증진에는 크게 도움이 안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골프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사치성 스포츠와 환경파괴’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골프 관련 단체가 학교현장에 대한 더 많은 긍정적 지원과 골프가 대중스포츠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f adolescents on golf. Three hundred fifty three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Cluster sampling technique was utilized to select target students in two different high schools. Two hundred thirty students of M school were golf experienced students and 258 students of J school were non-experienced students.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data. Reliability for data analysis was set at .86%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perspectives were reported the following order: psychological satisfaction, fun, health promotion, high quality sport, and no fun. In negative perspective, luxurious sport, environmental disruption, difficult sport, no fun were the ordered by the number of answers. Experienced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non experienced students but did not give much credit on golf for health promotion. Non experienced students thought golf has too much luxurious image and cause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lled for more positive support and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by golf association.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결혼 인식의 세대 차이

        진미정,기쁘다,성미애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marriage perceptions according to gender and generation, and whether they are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mily value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family related values, and 1,319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STATA 17.0, descriptive analyses, correlational analyses, group comparison analyses,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er generations perceived family diversity more positively for both men and women. For women, younger generations showed higher levels of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positive family perceptions. Second, younger generations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positive marriage perceptions,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perceiving marriage positively existed in generation M and Z. Third, for men and women, the babyboomer (BB) generation perceived marriage the most positively in model 1, but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disappeared after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mily value related variables were put in model 2 and 3. For men, higher levels of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positive family perceptions and lower levels of family diversity influenced their positive marriage perception. For women, lower levels of family diversity and higher levels of positive family perceptions influenced their positive marriage perception. Also, married individuals perceived marriage more positively regardless of gender or generations.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making family policies regarding marriage and low birthrate.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결혼 인식의 세대 차이를, 세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가족가치관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 남녀 1,319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베이비붐(BB)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로 구분하여 기술통계, 집단 간 비교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녀 모두 최근 세대로 올수록 비혼 수용 정도가 높아졌으며, 여성의경우 최근 세대로 올수록 근대적 성역할태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세대로 올수록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낮아졌다. 그리고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성별 차이는 M세대와 Z세대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남성의 경우에는 BB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이러한 세대 차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가치관 변인을 투입할 때는 사라졌다. 대신, 근대적 성역할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비혼 수용성이 낮을수록, 가족을 지지원으로 인식할수록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여성의 경우도 BB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등 세대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가치관변인을 투입할 때는 이러한 세대 차이가 사라졌다. 대신 비혼 수용성이 낮을수록, 가족을 지지원으로 인식할수록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식이 높았다. 그리고 기혼자는 성별이나 세대와 상관없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과출산이 연결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반영한 저출산 대책을 마련할 때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개발: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구체적 기준

        박승희,양여경,이현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6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해 요구되는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향상을 위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quality indicators)를 개발하는 것이다.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법제화된 것에 비해 질 높은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실행 실태조사, 정기적 점검 및 효과 평가에 대한 엄격한 연구는 미미한 경향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 관련 문헌연구와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 문항은 연구자들의 선행문헌 분석 및 예비문항 작성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가 4가지 하위영역의 25개 지표로 최종 개발되었다. 둘째, 최종 25개 질적 지표의 내용타당도 값(CVR 값)이 모두 0.73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렴도는 0.00-0.50, 합의도는 0.77-1.00으로 전문가들 사이의 25개 질적 지표 내용에 대한 높은 타당도와 합의도가 도출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연구에 기초해 최초로 개발된 25개 질적 지표로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현재와 미래의 질 높은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개발, 선택 및 실시를 위해 최소한의 질적 기준과 지침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전문가 패널로부터 최소한의 합의점을 처음으로 이끌어낸 의의가 있다. 이에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4가지 하위영역: ‘교육목표 및 기대효과’, ‘장애에 대한 관점’,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의 25개 질적 지표에 기반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최선의 실제(best practices)를 향한 프로그램 질 제고를 촉구할 것이 기대되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성과로 기대하는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란 과연 ‘무엇인지’ 구체적 기준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

        문화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Perceived on Emotional SupportHwajin Mo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between adults’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305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participated. Data was collected for a month in March 2022. Based on this data,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confirmed, and the each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ere verified. As a result, both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as relatively greater than mindfulness when they were put together. So, it can be important to promote one’s emotional clarity and objective understanding, positive awareness of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for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re positively. Key Word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al Clarity, Mindfulness, Perceived Emotional Support, Mediating Effect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문 화 진* 요약: 이 연구는 성인의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의 사이에서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남녀 305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한 달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이 둘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개별 매개효과 및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그 결과,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는 모두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적 대인관계 사이를 부분 매개했고, 두 변인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투입했을 때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자신의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객관적 이해, 중요 타인으로부터의 지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한 선행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핵심어: 긍정적 대인관계, 정서 인식 명확성, 마음챙김, 지각된 정서적 지지,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강의전담교원(Lecturer, Sookmyung Women’s Univ., Email: mhj961210@gmail.com)

      • KCI등재

        중학교 일반학생들이 바라본 학생선수에 대한 인식 탐색

        주병하(Byung Ha Joo),곽은창(Eun Chang Kwak),배재현(Jae Hyun B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선수를 바라보는 일반학생들의 긍정·부정적 인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소재하며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는 8개 중학교의 일반학생 871명 중 설문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25명을 제외한 846명이 최종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주요사건기록법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절차는 연구자가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담당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전달하고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였다. 설문지 회수 후 연구대상자의 답변을 작성된 그대로 컴퓨터에 입력하였다. 전사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고 각 내용을 명사 및 명사구로 함축하는 작업을 하였다. 함축하는 작업 중간에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이 작용하지 않도록 자료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전문가 집단 회의를 통해89.1%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자료분석은 원자료에서 주제별로 범주화한 영역을 하위범주로 분류하고, 하위범주의 주제들은 유사한 의미에 따라 주제별 범주화를 통해 중위범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중위범주들 역시 같은 절차에 따라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이를 각 영역의 하위범주, 중위범주 별로 빈도와 퍼센트를 계산하였고, 상위범주의 빈도와 퍼센트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일반학생들의 41.63%가 학생선수의‘개인의 외적부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일반학생의 43.59%는 학생선수가 학업을 소홀히 하는 모습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선수를 보는 일반학생의 인식을 분석한결과를 토대로 학생선수들은 일반학생의 인식 개선을 위해서 긍정적 인식을 최대화하고 부정적 인식을 최소화하도록 행동하며 일반학생들과의 대인관계 개선에 노력해야 하겠다. 결론적으로 학생선수에 대한 긍정적인식을 찾기 위한 마법과 같은 해결책을 찾기 보다는 작은 것에서부터 학생선수의 행동을 개선시키는 것이일반학생의 인식 개선에 가장 빠른 길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f non-athlet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 athletes. Total 846 non-athlet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s were utilized f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Researcher visited 8 middle schools which wer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Reliability for the data analysis was established at .89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pproximately 41% of non-athletes perceived about the external nature of the student athletes positively. 17% of non-athletes showed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student athletes. From the positive perspectives, a positive personality and attitude, an excellent physical and athletic capability of the athletes, and an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the non-athletes as positive aspects of the student athletes were non-athletes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bout 43% of students perceived negatively on student athletes` attitudes and neglect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s while 21% of students considered negatively on the manner of the student athletes. From the negative perspectives, an uninterested attitude in their classes, taking a nap in a class, a conflict with non-athletes, and impolite manners were the student athletes` unimpressed behaviors in the middle school classe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oper improvement of student athletes` attitudes and various issues related with non-athletes were discussed in the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