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3개 권역 21개 대학을 중심으로

        김정숙,백민정,이재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거점국립대학과 수도권 대학, 대전권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과 현황을살펴보고, 어떠한 특징 및 경향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남대학교와의 비교 검토를 위해 거점국립대학(9개), 수도권 대학(7개), 대전권 대학(5개) 등21개 대학을 선정해 각 대학별 권장도서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대학의 권장도서와 관련된 특징을 요약하면 세 권역 모두 인문학 분야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사회과학, 기술과학 분야이고, 자연과학 관련 도서는 전혀 없었다. 자연과학 관련 도서가 분류되지 못한 이유는 대학들의 권장도서 선정에서 인문학 또는 사회과학 도서를 주로 선정하는 이유도 있지만 최근 융복합 관련 도서들이점증하는 추세 속에서 자연과학 도서들이 기술과학으로 분류 집계되는 이유도 있다고 판단된다. 권장도서 목록의 분석 결과 1) 권장도서 선정에 있어서 유럽 북미 중심적이라는 점, 2) 선정 도서에 있어서 소설 장르를 중심으로 한 문학 작품의 비중이 많은 반면, 과학분야 서적이 크게 부족하다는 점, 3) 대학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고전’의 정의에대한 합의가 부족하다는 점, 4) 각 대학에서 추천도서나 교양도서라고 명명되는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들이 학생들의 독서에 대해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가 잘 보이지 않는점 등의 문제점을 보였다. 따라서 대학들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도서들의 선정과 마찬가지로 이공계열(기술과학, 자연과학 등) 권장도서를 분류할 때 명확한 기준과 트렌드를 반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권장도서의 유효성 비교 연구

        조정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2

        이 연구는 권장도서의 학교 간 중복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권장도서가 실제 대출로 이어지는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러한 분석 자료는 권장도서가 활용되고 있는 근거를 기반으로 권장도서가 갖는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18개 초등학교의 권장도서 목록과 그중 13개 초등학교의 대출데이터를 수집하여 학교별 비교 분석을 통해 기초 통계자료를 도출해냈다. 분석 결과 권장도서 목록의 학교별 유사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권장도서는 전체 대출량에 영향을 주었다. 학년별 대출 빈도의 차이를 보였고 모든 학교에서 저학년의 대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권장도서 활용 정도의 기초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In this study, overlapping recommended books in different schools were positively analyzed and the extent to which the recommended books leading to actual loan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recommended books by analyzing the data and extracting the proofs. For the method of research, eighteen elementary schools’ recommended book lists and thirteen elementary schools’ loan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y schools, by grades in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recommended books similarity was low and recommended books affected the total volume of lend books. Loan frequency by grades showed the difference and in every school, lower grades had high loan frequ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applying recommended books in school libraries.

      • KCI등재

        권장도서의 선정 현황에 관한 연구

        김시내(Si Nae Kim),현은자(Eun Ja Hyu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행해지는 권장도서의 선정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출처가 명확하며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권장도서를 발표하는 16개 기관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권장도서 목록의 발표, 보급, 구성, 내용, 선정의 항목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권장도서의 선정과정은 각 기관의 성격에 따라 특징을 보이고 있었으며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 권장도서 선정의 문제점을 찾아 체계적인 권장도서 목록의 필요성을 알리며 바람직한 권장도서 목록의 제작 방향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election status of recommended book listings in mainly South Korea. Their sub-categorized questions as following 1) how is the lists production status. 2) Second, how are the lists circulated and for whom? 3) how are the lists organized? 4)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lists? 5) how are the lists selected?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hich were 15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which published or announced recommended book listing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ifferent categories for specific purpose. The results for this study are listed as following. First, recommended book lists were found to be released from a various fields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schools, publishers, government, bookstores, book rental company,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press. The lists have started to be released since 1968. Specifically,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for the recommended book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ir production as well. The release period of the recommended book lists were varied, however; once a year was the majority case, making 56.25%. Second, the recommended book lists for young children are small portion relatively comparing to the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istribution media of the recommended book lists were varied including physical paper production and internet web sites. Periodic booklet-wise independent volumes were most frequently used. Amount of circulation production volumes were ranged from 1,000 to 60,000. <Hanuri Reading Campaign Center> and <Children`s Book Study Organization> were the top two lists release institutions in terms of the volume quantity. Third, the recommended book lists were found to be organized mainly according to age and literary genre and field, however; details of the organizations were rad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Fourth, most of the book lists have contained titles, authors and publishers of the books in common. But book reviews, book selection policies and name of selectors were a few of those items not indicated consistently throughout the listings. Even for the book lists having book reviews, most of them were consisted of only two to four sentences of story summaries and even less or none brief comments on critics or analytical reviews. Lastly, the book list selections were found to be critically more focused on the newly released books. The quantities of selected book items were varied from four to 400 items of books a year. Selectors of the book lists were mainly by a single professional or expert in different area from external of the institution instead of the organized selection committees from internal. In the most cases, specific book selection policies did not even seem to exist, and tended to be vague and not clear. Methods for the book list selection were tending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selectors.

      • 어린이 권장도서의 머리말 내용 분석

        이희영 한국독서교육학연구회 2008 독서교육연구 Vol.- No.2

        본 연구는 ‘2007 어린이 권장도서 목록’에 수록된 초등학교 1~6학년 대상 권장도서의 머리말 실태를 파악하고, 머리말의 유형을 분석하여 머리말 읽기가 읽기 전 활동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 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사)어린이도서연구회가 발행한 ‘2007 어린이 권장도서 목록’에서 초등학교 1~6학년 대상 권장도서 총 548권 중 미확인 도서 11권을 제외한 537권이었다. 연구 과제를 검 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도서의 머리말 유무 실태를 분야별, 국가별, 학년별, 텍스트 유형별로 분석한 후, 머리말이 있는 도서를 대상으로 머리말 내용에 따라 동기유발, 배경지식, 읽기전략, 저자개인사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머리말은 연구 대상 전체 도서 총 537권 중 35.6%에 해당하는 191권에서 읽기 전 활동의 읽기 자료로서 확인되었고, 머리말 내용은 동기유발(88%), 배경지식(72.8%), 읽기전략 (33.5%), 저자개인사(23%)유형 순으로, 읽기 전 활동의 목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읽기 전 활 동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 KCI등재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한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독서 동기 유형에 끼친 영향 분석

        소병문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tudent’s reading motivation by laying out self-selected reading program and running it at school libraries. The self-selected reading program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ensures the autonomy of book selection. The self-selected reading program in this study provided a number of scope and recommended book lists in order to ensure the autonomy of book selection and developed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After finishing this program, the author measured 6 domains of reading motivation with participated students who completed this course.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autonomous motive domains excessively surpassed heteronomous motive domains. Such autonomy of book selection, one of the key features from self-selected reading programs, is expected to help making the best use of school library collections by recommended book lists and stimulating stable and sustainable reading habits driven by self-motivation.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통하여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한 후, 학생들의 독서 동기 유형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도서 선정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 다수 영역, 다수 도서의 권장도서목록으로 제공하였고, 읽기와 쓰기를 통합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이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의 독서 동기를 측정한 결과 자율 동기 영역이 타율 동기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해 도서 선정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자율동기에 따른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독서문화현상과 문화권력

        이미은(Mieun Lee),김겸섭(Kyoumsup K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1

        이 글은 우리나라 독서문화 현상에 나타난 문화권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독서캠페인과 권장도서목록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독서대중화운동 과정에서 독서인이 책읽기의 주체가 아니라 어떻게 수용적 객체가 되는가에 대한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우선 독서라는 개념의 문화적 가치 속에는 이미 ‘학식이 풍부한 지식인’이라는 의미가 들어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 근대사회부터 현재까지의 독서문화에서도 독서인을 취향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짓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독서문화가 하나의 거대한 장이 되어 취향을 조장하며 독서-이데올로기에 빠지게 하는 패러다임을 갖고 있음을 제시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독서캠페인과 권장도서목록에 나타난 독서-이데올로기 기제를 순차적으로 분석했다. 우리나라 독서캠페인의 추이와 종류를 기술하면서, 독서인의 의식에 내재화 되는 취향이 있음을 확인했고, 이 취향은 부르디외가 말한 아비투스처럼 독서인에게 의식의 습관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권장도서목록의 경우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권장도서목록의 선정은 독서인의 독서기회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독서인이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부르디외가 말한 오인이 일어나 사회질서가 유지되고 재생산된다고 볼 수 있었다. 독서문화를 주도하는 독서인이 수동적 객체가 아니라 온전한 주체자가 되기를 기대하면서 개인의 문제 너머에 있는 사회구조적 문제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power in the phenomenon of reading culture in Korea.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reading campaigns and the recommended book list.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to popularize reading, it also focuses on the issue of how the reader becomes a receptive object rather than the subject of reading. First, the cultural value of the concept of reading was confirmed to already contain the meaning of ‘a knowledgeable intellectual’. In the reading culture from the modern society to the present in Korea, readers were examined to be classifi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ir tastes. In other words, the reading culture was indicated as becoming a huge arena to have a paradigm of encouraging tastes and indulging in reading ideology. Based on these problems, the reading-ideology mechanism indicated in the reading campaign and recommended book list was analyzed sequentially. When describing the trends and types of reading campaigns in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taste that is internalized in the consciousness of readers. This taste, like Bourdieu’s habitus, was found to exist as a habit of consciousness in the reader. In the case of the recommended book list, It was confirmed that a similar phenomenon appeared. The selection of the recommended book lis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ader’s reading opportunities, bu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it, the misunderstanding Bourdieu said occurs, thereby causing the social order to be maintained and reproduced. With the anticipation that the reader, leading the reading culture, will become a complete subject rather than a passive object, the social structural problem beyond the individual problem was examined.

      • KCI등재SCOPUS

        도서관용품 권장기준과 관리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안인자,박미영,Noh, Young-Hee,Ahn, In-Ja,Park, Mi-Yo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2 No.3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의 용품 구매 및 관리업무의 효율화, 물품관리예산의 절감, 친환경적이고 디지털 친화적인 도서관용품의 발전 도모, 도서관용품 규격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서관용품 권장기준과 관리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용품을 6개 영역 117개의 용품으로 구분하여 각 용품에 대한 권장기준과 관리지침을 개발하였으며, 각 기준과 지침을 제공할 규격표 항목을 결정하여 통일된 표를 작성하였다. 규격표 항목은 각 용품명, 용품분류코드, 나라장터 물품 분류번호, 각 용품에 관한 '정의', '사용범위 및 용도', '용품규격', '종류와 치수', '구조', '비치장소', '관리요령', '비고'의 총 11개 항목이다. 본 연구가 도서관관련 법령, 도서관기준, 도서관편람에 반영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도서관용품 표준화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tries to develop standards of library goods and managerial guidance. It is developed to make buying and managing library goods efficient in promoting environmental and digital-friendly library, and to set a standard guidance of library goods. The research divides 117 library goods into 6 categories, and develops a table of recommended standard and managerial guidance of library goods. The table has 11 indicators of information, which includes the name of each library goods, classification code, identification number of 'Narajangteo', definitions of the goods, purpose and usage, type and size, structure, place to install, goods management, and note. The research hopes to be reflected in library related laws, standards, and manuals, and finally to standardize library goods in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권장도서 목록에 대한 교사 인식과 선정 실태 연구: 초등학생을 위한 권장도서 목록을 중심으로

        이현진 ( Hyun Jin Lee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5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eachers`` perceptions and realities on recommended book lists for elementary students to find meaningful suggestion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importance, shortcomings and necessity of that lists. For these purposes, 101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urvey data is collected. And recommended book lists of 3 institutions and 28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he suggestions of analyzing the lists and data are as follows. First, books selection committee should be made for making lists and readers`` feedback should be reflected. Second, they should be categorized into several area or genre and include various kind of books evenly. Third, the lists are classified by grades group or readers are guided to read above or below lists for seeking appropriate books. Fourth, the lists have to contain new books at a certain ratio. Fifth, they are suggested to attach the reason why they choose the books on lists for providing standard of readers`` selecting books.

      • KCI등재
      • KCI등재

        (사)어린이도서연구회와 한국 아동문학

        오세란(Oh Sera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7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0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Adoyeon) o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this paper. This paper distinguis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1980’s and the 1990’s and after. It also looked into the history of literary events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 “the list of recommended books.” Adoyeon was founded in the 1980s by introducing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at included ethnic and popular perspectives in the dictatorship regime. And Adoyeon criticized the children’s masses and introduced good books. Since the 1990’s and afer, when children’s book publishing has become active, Adoyeon have expanded our organization by selecting good works. In the 1980s and 1990s, the activities and the achievements and issues of children’s literature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outcomes were settled in the monopoly movement in the circulation environment focused on the whole collection. A specific example is the movement to inform Korean creative monoppoly fairy tale in the 1980’s and the recommendation of book publications in the 1990’s. Secondly, it was a curriculum for the nation and the people ‘s view, which is our creative fairy tale, and played a great role in shaping the genealogy of realistic fairy tales. The third was to take down low-quality books in the same way as ‘recommendation’ and ‘list’, leading to good book distribution. The fourth was using the newsletter, which we took charge of children ‘s book reviews and book reviews. And since the 2000’s and after, they have developed civic movements such as book reading and library activities. However, although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as turned into a genealogy and it was shown through the “recommended book list” at a glance, it could not respond sensitively to the social demands to view the works with various changes in the times. This is a negative side. Due to the clarity of realistic assimilation, there is a limit to read the work with uniformity. Specifically, it is left to the researchers to read the works of realist genealogists more deeply and abundantly. Finally, this paper has limitations on only the part related to Korean children ‘s literature in the various activities of Adoyeon. Adoyeon: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