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라인 강박구매행동에 대한 감정적·행동적 반응 : 구매제품만족의 조절효과

        박명호,장영혜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강박구매행동이 구매 후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을 확인하고, 강박행동으로 구매한 제품/서비스의 만족(또는 불만족)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죄책감과 후회감을 부정적 소비행동인 강박구매행동에 의한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으로 제시하였으며, 행동적 반응으로는 숨김행동, 반품의도, 계획구매의도 등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쇼핑환경(인터넷쇼핑, TV홈쇼핑, 모바일)에서 강박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리서치 전문기관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과 χ²차이 검정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강박구매행동은 소비자들의 부정적 감정반응인 죄책감과 후회감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죄책감은 후회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죄책감은 숨김행동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반품의도와 계획구매의도에는 후회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후회감은 숨김행동을 제외한 반품의도와 계획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한 제품/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은 강박구매행동과 죄책감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정적 소비에 따른 소비자행동 연구뿐만 아니라 온라인 강박구매고객들을 이해하기 위한 보다 강력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하는 것이다. 나아가 기업들이 온라인 소비자들의 강박구매행동을 저지하고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도움을 주며, 사회적으로는 부정적 소비행동을 줄이는 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 강박구매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

        장영혜(Jang, Young-Hye),박명호(Park, Myung-Ho)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buyers’ affective responses (guilt and regret) and behavioral responses (intention of purchase hiding, intention of returning item, and intention of planned buying) to their compulsive buying. We also tested the difference of such relationship between two groups, i.e., satisfied group and dissatisfied group in their purchasing products. Data were collected by the online research institution(ez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onsumers who had experienced compulsive buying at the online shopping store sites (Internet shopping mall, TV home shopping or mobile shopping stores) for last three months. A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Test results revealed that compulsive buy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pulsive buyers’ feelings, i.e., guilt and regret. Compulsive buyers’ feeling of guil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feeling of regret. Also, their feeling of guilt had a direct effect both on intention of purchase hiding and on future intention of planned buying. But the feeling of guilt had an indirect effect on intention of returning item. On the other hand, their feeling of regret had a direct effect only on intention of returning item. Finally, the effect of compulsive buying on compulsive buyer’s behavioral response was found to differ to their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duct purchased. This study ha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understand the compulsive buying behavior of online shoppers. Also,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meaningful guidelines to remedy consumers' compulsive buying behavior or to promote healthy consumption behavior of online shoppers.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부정적 소비행동인 강박구매행동이 구매 후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강박행동으로 구매한 제품/서비스의 만족도에 따른 이들 반응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강박구매행동에 따르는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으로 죄책감과 후회감을 제시하였으며, 행동적 반응으로는 숨김의도, 반품의도, 계획구매의도 등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쇼핑환경(인터넷쇼핑, TV홈쇼핑, 모바일)에서 강박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리서치 전문기관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과 대응별 모수비교를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강박구매행동은 소비자들의 죄책감과 후회감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죄책감은 후회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간의 관계를 보면, 죄책감은 숨김의도와 계획구매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반품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이 후회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후회감은 단지 반품의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박구매행동에 따르는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간의 관계는 구매한 제품에 대한 구매후 만족정도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 강박구매고객들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온라인 소비자들의 강박구매행동을 경감시키거나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는 부정적 소비행동을 줄이고 건전한 소비행동으로 유도하기 위한 사회적 차원에서의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마케팅자극요인이 플로우 및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의 조절효과

        장영혜,박명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논집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마케팅자극요인(제품독특성, 쇼핑편의성, 가격관련 판촉활동, 커뮤니케이션 자극)이 플로우와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강박구매성향에 따라 비교하는 것이다. 강박구매행동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대체로 강박구매자의 개인적 특성에 집중하였으며, 마케팅자극요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더구나 비강박구매자들의 강박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집단의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변수들의 상대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자료는 온라인 쇼핑환경(인터넷쇼핑, TV홈쇼핑, 모바일)에서 강박구매의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리서치기관에 의뢰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구조분석에 의한 대응별 모수비교를 통해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이 낮은 집단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자극요인만이, 높은 집단에서는 가격관련 판촉활동만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두 집단 모두에서 가격관련 판촉활동을 제외한 모든 온라인마케팅자극요인이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이 낮은 집단에서는 플로우가 온라인강박구매행동을 유도하는 요인이 되지만, 온라인강박구매성향이 높은 집단에서는 플로우를 거치지 않고 가격관련 판촉활동이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요약컨대, 온라인마케팅자극요인이 온라인강박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간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강박구매행동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며, 온라인 환경에서 합리적인 구매행동을 위한 기업의 마케팅활동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환경에서의 부정적인 소비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on-line marketing stimuli (uniqueness of product, convenience of shopping, promotion-related pricing and communication stimulus) on the flow and the on-line compulsive buying behavior by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The data were collected by an internet research agency, based on the target customers who had experiences of compulsive buying i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internet shopping, TV home shopping and mobile shopping, et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a group with high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had been directly influenced by promotion-related pricing only, while a group with low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had been influenced by communication stimulus only. Meanwhile, regarding the effect of marketing stimuli on the flow, both groups had been influenced by all factors except for promotion-related pricing. It means that the flow could be an inducing factor of on-line compulsive buying behavior of a group with low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But a group with higher on-line compulsive buying tendency was directly influenced by promotion-related pricing without mediating the flow. Such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further studies in finding the causes of on-line compulsive buying behavior. And the study could be used for development of on-line business company’s marketing strategy to direct healthy purchasing of buyers in online environments. Also, the study woul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duce negative buying behavior of on-line consumers on-line shopping environment.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주얼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소라(Kim, So Ra),김귀옥(Kim, Gwi Ok),배채수(Bae, Chai Soo) 한국공공정책학회 2020 공공정책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주얼리 구매에 적용시켜 주얼리 구매 소비자들은 어떠한 의사결정과정을 통해서 구매하는지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여 파악함으로써 주얼리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생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산업이 확대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해 주얼리 소비자들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감, 사전지식 그리고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4개의 독립변수가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파악하고자 계획행동이론을 확장 및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명확한 내용타당성을 확보하고자 경기도 권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주얼리 소비자 180명을 조사 대상으로 169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해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IBM SPSS Statistics 24를 사용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규범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지식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는 사전지식, 주관적 규범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해보면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은 구매의도에 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태도요인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주얼리 구매의도에 관한 영향 관계는 구매의도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의지가 중요하다는 결과이다. 둘째, 주관적 규범이 주얼리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 관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거인인 가족, 친구, 회사 동료 등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여 구매하는 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주얼리 구매의도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행동 통제감이 본인의 구매의지와 경제력만으로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주얼리 구매자들의 인식전환을 위해 목표이익을 낮추거나 인지도를 높이며 자연스럽게 접하게 한다면 긍정적인 인식전환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사전지식이라는 변수를 추가하여 주얼리 구매 시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접근한다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점진적인 확대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주얼리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설명하는 주요지표로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주얼리 시장의 성장에 비하여 구매의도와 행동을 예측한 연구가 저조하기에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며, 다양한 확장요인을 추가하여 연구할 노력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supporting data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empirically identifying what kind of decision-making processes jewelry consumers went through by applying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jewelry purchas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prior knowledge, and purchase intention by reflecting that the jewelry industry had been expanding. This study analyzed by expanding and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four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jewelry consumers. This study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180 subjects who were 20 years or older to secure content validity for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selected 169 copies as valid samples and used these copies for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and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hypothesis ab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Third,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prior knowledge affecte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Attitud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prior knowledge and subjective norm in the order of magnitud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artially. First, the attitude factor of the expandabl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ffecte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ttitude and will of an individual’s purchase intention were important in the influence relation about jewelry purchase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and many people intended to purchase goods by paying attention to family members, friends, coworkers, and acquaintances. Thir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which indicated that it was too much to say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rec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solely using willingness and economic power. It is believed that lowering the target profit or making purchasers access to it naturally with raising awareness would contribute to changing their perception positively. Fourth, if purchaser are accessed with receiving accurate and detailed information while purchasing jewelry by addind a new variable prior knowledge a gradual may be considered by giving a positiv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uld be a key index explain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jewelry consumers. Si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predicting purchase intention and behavior compared to the growth of the jewelry market, more studies are needed. It is also needed to add and study more diverse expansion facto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태원,정지윤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95명, 경상남도 양산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하여 남, 녀 각 250명을 설문조사하여 초등학생들의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의복구매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백분율을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 영향 요인이 의복구매행동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으로 <상품의 유명성>, <대중매체>, <친구>, <부모님>, <개성>, <학교 교육>의 6개 요인이 분석되었다. <상품의 유명성>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가정의 경제수준, 용돈의 사용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 시 중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중매체>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 용돈기입장의 사용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구매자와 의복 구매 방법, 의복 구매 시 중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친구>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님>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가정의 경제수준이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복 구매 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개성> 요인은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어머니 학력과 관련이 있었고, 의복구매행동에서 의복 구매자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 교육> 요인은 일반적 특성, 의복구매행동 모두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의복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그 중에서도 대중매체 요인의 경우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서 가장 많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학생들의 의복구매에 대중매체가 미치는 영향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한 의복구매행동을 위해 학생들에게 대중매체에서 받는 영향을 줄이고 현행 교육과정의 의생활 단원에는 의복구매행동이 학습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올바르게 의복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문항의 한계 때문일 수도 있으나 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의생활과 관련된 내용의 한계와 교사들의 관심의 부재로 인한 문제가 더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의생활단원에 합리적이고 올바른 의복구매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수업내용이 추가되어야할 것으로 보아지며,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의복교육을 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providing data about education of clothing habi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t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that six-graders purchase clothes and purchasing condi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a total of 500 students including 95 sixth-graders residing in Busan and 405 sixth-graders residing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statistical program, SPSSWIN 12.0.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purchasing the clothes, the percentage of frequency was calculated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the behavior was also researched. Factors that affect behavior purchasing clothes analysis showed a total of six factors. The <trademark’s fame>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family economic level and how to spend the allowanc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t helped purchasing clothe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mass media>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gender, the family economic level, the use of the account book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lothes buyer, how to purchase clothes, significant helped purchasing clothe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friends>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gender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parents>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family economic level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personality> factors, it was correlated with the gender, the academic ability for mother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lothes buyers i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The <school> factors, it wasn't seen correlate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s could be seen in more than clothing,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ing behavior varies. Among them, the mass media,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behavior the clothes had shown the many correlations. Through buying clothes for students, the affect of the mass media could be seen significant. There was a need to tell you to purchase the apparel desirably that the <mass media> factor had to be reduced. School education needed to show how to purchase the clothes correctly. 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pparel shopping behavior has not shown the correlation because it may be due to the limitations of questions being addressed in schools, but the limitations about the clothes information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he lack interests by teacher are more suspect. Therefore the training associated with clothing needs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have the correct idea related with clothes.

      • KCI등재

        패션명품브랜드 구매빈도에 따른 위험지각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

        정재훈,김일,황선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패션명품브랜드의 새로운 소비주체로 떠오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매빈도에 따른 위험지각과 구매행동을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먼저, 구매빈도별 위험지각에서는 심리적 위험지각에 대해서는 구매빈도 높은 집단, 구매빈도 낮은 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에서 낮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경제적 위험지각에 대해서는 구매한적 없는 집단, 구매빈도 낮은 집단 순으로 각각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구매빈도별 구매행동에 대한 결과에서는 과시적 구매행동, 실용적 구매행동, 구매만족도 모두에서 구매빈도 높은 집단, 구매빈도 낮은 집단, 구매한 적 없는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과시적 구매행동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구매만족도를 가장 높게 평가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매빈도별 위험지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구매한적 없는 집단과 구매빈도 낮은 집단 모두에서 심리적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과시적 구매행동과 실용적 구매행동, 구매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지각이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패션명품브랜드 구매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urchase frequency of fashion luxury brands to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among those in their 20s who have been emerging as a new major consumer group of the brand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llege students across the nation,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As for risk perception by purchase frequency, the high-frequency group perceived the most psychological risk, followed by the low-frequency one. They put a low value on psychological risk overall. Economic risk was most perceived in the group with no purchase experience, followed by the low-frequency group. As to purchase behavior by purchase frequency, the most conspicuous purchase behavior, the most practical purchase behavior and the most purchase satisfaction were all found in the high-frequency group, followed by the low-frequency group and the group with no purchase experience. They placed a relatively lower value on conspicuous purchase behavior and set the highest value on purchase satisfaction. Finally, how risk perception by purchase frequency affected purchase behavior was analyzed, and more psychological risk perception led to more conspicuous purchase behavior, more practical purchase behavior and more purchase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no purchase experience and the low- frequency group. Concerning the impact of risk perception on purchase satisfaction, more risk perception was followed by more purchase satisfaction with fashion luxury brands.

      • KCI등재

        소비자 구매행동은 혈액형과 연관이 있는가?

        석관호 ( Kwan Ho Suk ),구지은 ( Ji Eun Koo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소비자의 혈액형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거나 제품을 추천하는 혈액형 마케팅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는 이와 같은 혈액형 마케팅이 과학적인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소비자 구매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소비행동 특성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변수가 혈액형과 관련이 있는 지를 연구 하고자 한다. 소비자 행동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 구매결정은 총 5개의 단계로 구성되는데, 욕구의 인지. 정보탐색, 대안의 평 가, 구매, 구매 후 행동으로 이루어진다. 소비자 개인의 특성변수는 (1) 소비자 구매결정 각 단계와 관련성이 있는 지, (2) 혈액형에 대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를 기준으로 선택되었다. 그 결과 욕구 인지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need for uniqueness), 정보 탐색 단계에서는 인지 욕구(need for cognition), 대안 평가 단계에서 는 위험추구(risk taking) 성향, 구매 단계에서는 충동구매(impulse purchase) 성향, 구매 후 행동 단계에서는 불평행동(complaining behavior)이 개인 특성변수로 선정되었다. 사전조사에서는 혈액형별 성격과 혈액형별 소비행동의 특징에 대한 지식, 그에 대한 믿음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액형과 성격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알고 있으며,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실제로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형과 소비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이나 믿음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27%의 응답자가 혈액형과 소비행동 특성간의 관련성에 대해 보통이상으로 인지하고, 37%의 응답자가 혈액형과 소비행동 특성의 관련성에 대해 보통 이상의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조사에서는 또한 독특성 욕 구, 인지욕구, 위험추구 성향, 충동구매 성향, 불평행동과 같은 소비행동이 어떤 혈액형에서 가장 많이 나타날 지에 대한 믿음(lay belief)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각각의 혈액형이 특정 소비행동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 을 강하게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AB형은 독특성 욕구가, A형은 인지욕구가, B형의 경우 위험 추구 성향, 충동구매 성향, 불평행동이 두드러질 것이라 믿고 있었다. 첫 번째 실증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앞서 선정한 개인의 다섯 가지 소비행동 특성변수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혈액형은 소비행동 특성변수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개의 소비자 개인 특성변수 모두 혈액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혈액형과 소비행동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볼 수 있다. 두 번째 실증 연구에서는 독특성 욕구, 인지 욕구, 위험 추구 성향, 충동구매 성향을 자기 보고(self-report)가 아닌 다양한 선택 상황에서의 소비자 의사결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연구와 마찬가지로 혈액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혈액형과 소비행동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Market segmentation and product differentiation based on consumers` blood type is frequently practiced in Korea. For example, a fusion bar recommends different side dish menus to consumers with different blood type.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the blood type marketing is grounded by scientific evidence showing consumers behavior is related to blood type. This research examines associations between blood type and five dimensions of consumer behavior characeristics that are related to consumer buying decision process. Research on consumer behavior has suggested that consumer decision making consists of five sequential decision stages: Need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 evaluation of alternatives, purchase, and postpurchase behavior. We selected five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each stage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are supposedly related to lay belief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blood type. Specifically, we selected need for uniqueness (need recognition), need for cognition (information search), risk taking (evaluation of alternatives), impulse buying (purchase), and complaining behavior (postpurchase behavior) that represent the buying decision process.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the five consumer behavior measures are related to blood type. A pretest explored university stduent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consumer behavior. Respondents were well aware of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ach blood type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personality and blood type are related. Beliefs and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consumer behavior were weaker compared with tho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personality. We also measured lay beliefs about which blood type consumer is most likely to be related to need for uniqueness, need for cognition, risk taking, impulse buying, and complaining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have strong lay belief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type and specific consumer behaviors. Respondents believed that need for uniqueness is most strongly related to blood type AB and be weakly related to blood type A or O. Need for cognition is strongly related to blood type A, but weakly related to other types. Consumers with blood type B are believed to be most likely to seek risk, buy with impulse, and complain after experiencing dissatisfaction. In s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ople have stereotypes of blood type with respect to certain dimensions of consumer behavior. Study 1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ondents` blood types and the five dimensions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respondents self reported their consumer behavior traits such as need for uniqueness, need for cognition, risk taking, impulse buying, and complaining behavior. We also manipulated the order in which ABO blood type is measured. In the ABO first condition, blood type was measured before measuring the five consumer behavior traits. In the ABO last condition, blood type was measured after the five consumer behavior measures. It was expected that, as gender stereotypes, measuring blood types first should activate blood type stereotypes, resulting in greater differences across blood types. The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blood type is not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For all the five consumer behavior measure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consumers with different blood types. In addition, activation of blood type stereotype did not change the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 and individual difference characericists of consumption behavior. One shortcoming of Study 1 is that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self-reports, which may not reflect actual consumer decisions. Therefore, we conducted Study 2 Study 2 further examined whether blood type is related to various consumer decisions that are related to need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 evaluation of alternatives, and purchase. Specifically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blood type and purchase of unique options (i.e., need for uniqueness), decision making time (i.e., need for cognition), choice of risky option (i.e., risk taking), and impulse buying intention (impulse buying). Specifically we tested whether respondents` blood types were reslated to various consumer decision makings such as the extent to choose unique versus ordinary choice options, the amount of time taken to search for product information before making choice decisions, the likelihood of choosing risky over safe options, and their willingness to buy without planning in a given purchase sit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lood typ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se consumer decision makings In sum,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demonstrate that consumers` blood types are not strongly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contrary to some beliefs that blood types are related to certain types of consumer behavior. However, future research using different methods (e.g., analyzing shopping data of different blood types) should present more compelling evidence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type and consumer behavior. Another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s to test the influence of blood type marketing on consumer perception, attitude, and purchase behavior.

      • KCI등재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 분석

        한상린,문지효,송학준 韓國商品學會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저가 와인을 대상으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속변수인 구매횟수(지난 6개월간 와인 구매 횟수, 지난 1년간 와인 구매 횟수)의 자료특성에 따라 적절한 모형으로 절단된 포아송(TPOIS)모형과 절단된 음이항(TNB)모형을 설정하고, 구매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모형 추정결과, 총 4개 모형 간 추정된 계수값은 아주 큰 차이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종속변수를 '지난 6개월간 와인 구매횟수'로 선정한 TPOIS모형, TNB모형의 설명변수가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론적으로 더 타당한 모형인 TNB모형을 중심으로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 중에서는 결혼여부, 직업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는데 미혼일수록, 직업이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중저가 와인 구매횟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심리적 특성으로는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감이 중저가 와인 구매 횟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관련 특성인 사전지식, 그리고 즐거움 동기가 중저가 와인 구매횟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경영관리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토의하였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이 연구결과는 와인 소비자의 의사결정, 구매행동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이해를 도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설명변수, 연구모델을 더욱 확장했다는 것에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중저가 와인만을 대상으로 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에는 더욱 다양한 가격대의 와인과 다양한 종류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와인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헌점: 이 연구는 중저가 와인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만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모델로 구매횟수(6개월, 1년)에 따른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특히 다양한 가격대의 와인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중저가 와인 구매행동만을 분석하여 와인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urchasing behavior of wine consumers using the count data model.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the Truncated Poisson(TPOIS) Model and Truncated Negative Binomial(TNB) Model were us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zero-truncated count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ine purchasing behavior, the construc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were also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odel. Furthermore, the time periods of the dependent variable(frequency of purchasing wine) were specified with two categories(past 6 months and one year) because previous studies using the count data model only measured the dependent variable in a single period. Results/fin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NB Model having the dependent variable with 'the frequency of purchasing wine in the past six months' was preferred over other model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single, profession,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of pleasur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wine.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flect the increased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 behavior for wine in Korea. This study may be one of the forerunner studies that describe the decision-making of consumer behavior for wine by applying the count data model. Future work/research: Comparing each segment with different wine consumers by various market characteristics is likely to strengthen the current model(TPOIS & TNB). Originality/value: This research framework of the TPOIS & TNB models provides practical insights into the wine industry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academics.

      • KCI등재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이 미용가치추구와 화장품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미애,박채린,한채정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트랜드에 민감하고 취업 등 외모에 관심이 어느 때보다 많은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여대생들의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이 미용가치추구와 화장품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미용산업 중 여대생들의 소비시장을 파악 하고 미용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모두 3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자기 평가방식을 사용하였고, 5점 리커트척도와 선다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이 미용가치추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네일행동, 메이크업행동, 다이어트행동, 성형행동, 쇼핑행동은 p<0.01 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구매행동에 따른 미용가치추구의 차이에 대한 결과, 화장 품구매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 관심도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의 차이에 대한 결과, 화장품구매횟수, 화장품구입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beauty lifestyle behaviors o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identify consumption marke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beauty industry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beauty industr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in 328 students.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swered by the respondents themselves. The survey items were rat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multiple choice question type was used.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SPSS Statistics ver. 22.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beauty lifestyle behaviors o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were found to be impacted on the sub-variables of beauty lifestyle behaviors including manicure, make-up, diet, body-shaping, and shopping behaviors (p<0.01). Second, the results of a difference i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by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purchase frequency of cosmetic products for buying cosmetic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the results of a difference in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by beauty lifestyle behavior, reasons for the purchase frequency of cosmetic products, cost of purchasing cosme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프랜차이즈이미지가 기업평판과 소비자구매행동 미치는 영향

        박정열(Park Chung-Yeol)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1

        최근 기업의 점포 확산의 일환으로 편의점, 베이커리, 커피, 일반식당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프랜차이즈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SNS로 소비자의 구매행동도 변화하여 이것이 기업에 대한 이미지, 기업평판 등에 관여를 함으로써, 소비자 구매행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를 대상으로 조직문화 이미지, 대표자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기업평판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프랜차이즈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7년 12월 1일부터 25일까지 소비자구매행동을 묻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설문은 최종 250부가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성별은 남자 76.4%, 연령은 20대 50.8%, 직업은 서비스업 71.2%, 지역은 서울 46.8%, 월 외식비는 10만 원 이하 48.6%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프랜차이즈 이미지와 기업평판을 물은 후 소비자 구매행동을 분석하였다. 첫째, 프랜차이즈 이미지 중 조직문화, 지각된 품질은 프랜차이즈의 기업평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표자이미지는 기업평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프랜차이즈 이미지의 조직문화, 지각된 품질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표자이미지는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프랜차이즈 이미지에 의한 기업평판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프랜차이즈 이미지는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서 기업평판의 매개 효과는 조직문화와 소비자 구매 행동 간에 완전 매개 효과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표자이미지와 소비자 구매행동 간에 부분 매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지각된 품질과 소비자 구매행동 간에 부분 매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요약하면, 프랜차이즈 이미지의 조직문화와 대표자의 이미지는 기업평판과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으며, 기업평판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프랜차이즈 기업의 이미지와 기업평판은 서로 영향을 주고 매개작용을 하므로 기업평판에 대한 관리가 중요시 된다고 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franchises have increas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nvenience stores, bakeries, coffee shops, and general restaurants as part of the proliferation of businesses.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and computers,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has also changed with SNS, which has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by engaging in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image, representative image, and perceived quality on corporate reputation and consumer purchase behavior in franchise. To do this, a survey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5, 2017 on the franchise consumers. The survey was used for the final 250 empirical analyzes. The subjects survey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76.4% males, 50.8% of whom were in their 20’s, 71.2% are in services occupations, 46.8% are in monthly occupation in Seoul, and 48.6% spending less than 100,000 won on food expenses. After listening to franchise images and corporate reputation for these franchise buyer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as analyz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perceived quality in the franchise image influence the reputation of the franchise enterprise.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representative image does not affect the reputation of the company. Second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quality of the franchise image has been found to affect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representative image does not affect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hird, the reputation of companies by franchise images has been found to affect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The image of the agent affects the image of the agent and the purchase decision of the consumer. The image of the franchise, the imag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image of the company mean that the equality of the enterprise and the purchase behavior of the consumer affect the purchase behavior of the company. Moreover, The equal image management of companies is important for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the equality of the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