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노인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 연구

        김기욱,김지화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정도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구강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발전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D광역시 소재 노인요양시설(10개소)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63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를 SPSS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요양보호사들의 구강보건지식은 총점 26점 만점에 20.09점(77.2%)로, 가장 높은 지식은 ‘올바른 칫솔질 방법’ 93.0%, 가장 낮은 지식은 ‘구강보조용품사용 지식’ 58.1%로 조사되었다.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는 사람이 구강보건교육 요구도가 높았으며 (P<0.001), 구강보건교육경험횟수가 많은 사람이 구강보건지식(P<0.001), 요구도(P<0.01), 인지도(P<0.05)가 높아 유의하였다. 요양보호사들의 구강보건인식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구강보건지식점수(P<0.01), 구강보건교육 요구도(P<0.01)가 높을수록 구강보건인식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요양병원 장기입원환자의 구강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지속적, 실질적인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의 담당자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필요 할 것으로 전문 인력의 배치를 위한 국가의 제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 workers on oral health knowledge at the geriatric care facilities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oral health service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o 163 care workers working at the geriatric care facilities (10) in D Metropolitan City from May 1~31, 2015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a result,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care workers was 20.09 points out of total 26 points (77.2%). The highest knowledge was ‘proper toothbrushing method’ with 93.0% and the lowest one was ‘knowledge on the use of oral supplementary goods’ with 58.1%. Those with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had higher demand on oral health education (P<0.001), and those with higher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P<0.001), demand (P<0.01) and awareness (P<0.05). As for factors influencing care workers' oral health awareness, if they had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points (P<0.01), oral health education demand (P<0.01), they had higher oral health awareness level.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provide efficient, sustainable and practical oral health education of care workers considering or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at the care hospital. And, the role of dental hygienist as the person in charge of oral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assign professional personnel.

      • KCI등재

        일부지역 보건 및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의 융합적 관계

        윤성욱,장선주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1

        본 연구는 보건계열 198명과 비보건계열 203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는 학년에서 3,4학년, 학과는 보건계열, 치과정기검진과 치과교육경험은 받은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의 경로는 친구가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지식의 ‘칫솔질 시 혀를 닦는 것이 구취예방에 효과가 있다’가 94.5%로 가장 높았다. ‘불소는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된다’에서 보건계열이 높았다. 구강보건행태의 ‘혀닦기를 한다’가 평균 4.20으로 가장 높았다. ‘자신에게 맞는 칫솔질 방법을 알고, 시행하고 있다’와 ‘치주병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스켈링을 한다’가 보건계열이 높았다. 일반적인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태의회귀분석 결과 Y(구강보건행태)=2.692+0.377(치과정기검진)+0.145(치과교육경험)+0.215(구강보건교육경로)+0.045(구강보건지식)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health-related majors 198 students and health-unrelated majors 203 students. Oral health behavi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s most highest junior and senior sophomore, health-related major, regular dental check-up, dental education experience.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bad breath brushing the tongue when brushing’ of oral health knowledge reached 94.5% most highest. The health-related is high ‘fluoride helps to prevent cavities.’ ‘Brushing tongue’ of oral health behavior is most highest average 4.20. The health-related is high ‘I know the brushing method that's right for me, and enforcement’ and ‘I am regular scaling for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To identify influence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knowledge to oral health behavior, regression analysis result Y(oral health behavior)=2.692+0.377(regular dental check-up)+0.145(rental education experience)+ 0.215(method of oral health education)+0.045(oral health knowledge) was come out.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structuring environment where information about oral health is reached out easily.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융합적 관계

        장선주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보건행태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K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22일 부터 26일 까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39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281(70.6)명, 교육 받은 경험이 없는 학생은 117(29.4)명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을 때 교육 내용 및 설명이 여러 번 어려웠다는 학생은 194(48.7)명, 간혹 어려웠다는 128(32.2)명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 점수는 절반 이상의 대학생이 낮게 나타났다.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보건지식이 높게 나타나고, 구강보건지식이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낮은 기능적 구강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구강보건지식 전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research had an investigation of relevance between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Survey of 410 students in K city college done from June 22 to 26, 2015 was analyzed, and the final analysis subject was 398 students. The result were 281(70.6) students with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117(29.4) students without experience of education, and there were 194(48.7) students who had difficulty several times with the material and explanation while attending the education, and 128(32.2) students who had difficulty a few times. Scores of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were low for more than half of the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score, the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was shown, and oral health knowledge turned out to be affecting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Therefore, an effective program for delivering oral health knowledge to improve low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must be developed.

      • KCI등재

        유아교육학과 학생의 구강보건교육과 구강보건지식이 구강보건인식에 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

        윤성욱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

        This Convergence study aimed to analyze the oral health education,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Questionnaire survey on the of five universi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314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Average score of oral health awareness was 3.62, which was high female students, 3rd grade, athlete, high case on oral health condition perception and childhoo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ral health knowledge correct answer of 15 items was average 9.63, which was higher female students, 3rd grade, nonsmokers, have received childhood oral health education, responded to the need for childhood oral health educ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Y (oral health awareness) = 2.350 + 0.242 (exercise) +0.387 (oral health education) +0.134 (childhoo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0.067 (oral health knowledge). In order to promote infants oral health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systematic programs to perform the childhood oral health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의 유아구강보건교육과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대구,경북 5개 유아교육학과 학생 314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구강보건인식 5점 척도 평균 3.62로 여학생, 3학년, 운동자, 구강건강상태인식과 유아구강보건교육경험이 높은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지식 15문항 정답률 평균 9.63으로 여학생, 3학년, 비흡연자, 유아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우, 유아구강보건교육의 필요함에 응답한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인식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Y(구강보건인식)=2.350+0.242(운동)+0.387(구강보건교육)+0.134(유아구강보건교육경험)+0.067(구강보건지식)로 분석되었다. 유아구강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유아교육학과의 구강보건인식과 구강보건지식을 높이기 위한 유아구강보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일부 해양경찰들의 구강보건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수준과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지윤정(Yun-Jeong Ji),윤현서(Hyun-Seo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특수 직업군에 속하는 해양경찰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관련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계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9월까지 해양경찰관 49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8문항, 구강보건교육 경험여부, 일반적 구강보건지식 13문항, 치주관련 지식 6문항, 치아우식병 예방관련 지식 6문항,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4문항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 중 104명(22.8%)만이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었다. 교육을 받은 경우 일반적 지식수준에서는 턱관절 관련 문항에서 지식수준이 차이를 보였고(p=0.026), 치주건강지식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예방관련지식에서는 불소에 관한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요구도에서는 구강보건 전문 인력이필요하다고 67.1%가 응답하였으며, 특히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77.9% 응답하였다(p=0.004). 선호내용으로는 올바른 잇솔질, 구강상담, 구강위생용품사용, 세치제 선택법, 영양 및 금연교육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해양경찰과 같은 특수 직업군에 대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maritime police officers, whose job belonged to the cluster of special occupation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9 maritime police office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September, 2013, its found that just 104 respondents(22.8%) had experience of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In terms of general knowledge, the respondents who received that education were different from the others who didnt in the level of knowledge on the ite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joint(p=0.026),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knowledge of periodontal health. As for prevention-related knowledge, they had a good knowledge of fluorine. Concerning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67.1 percent considered oral health professional manpower to be necessary, and 77.9 percent of the respondents who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gave this reply(p=0.004). Regarding preference for educational content, the right toothbrushing method was most preferred, followed by oral counseling,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the selection of dentifrice, and nutrition/anti-smoking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the cluster of special occupations such as maritime police is required.

      • KCI등재

        산업 간호사의 구강보건의식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실천의 관련성

        김경미,최규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ion of oral health awareness upon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oral health about occupational health nurses and then to promote oral health on workers and to provide essential materials for oral health activity on work pl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 occupational health nurses, who were working at work places belonging to Chung-Buk branch of KOSHA, from January 19 to 23, 2015.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using the SPSS 18.0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ulti-recurrence analysis, chi-square test, multiple response analysis. As a results, the importance of and necessity of oral health were indicated as low-factors of oral health awareness estimating oral health practice. Knowledge and practice of oral health were showed differently according to oral health awareness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Also, amount of oral health education was showed differently according to career of them. It was difficult to make chances about oral health education for workers frequently because of the over-work on responsible worker. It was needed knowledge of oral health on the education of oral health. 본 연구는 산업 간호사를 대상으로 산업 간호사의 구강보건의식이 구강보건지식과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과 사업장을 중심으로 한 구강보건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산업안전공단 충부지사 소속의 산업 간호사 총51명을 대상으로 2015년 1월 19일부터 1월 23일까지 직접 면접 조사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중다회귀분석, 카이스퀘어, 다중응답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산업 간호사의 구강보건의식의 하위요소 중 구강보건지식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는 구강보건의 중요성과 구강보건의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산업 간호사의 구강보건의식의 하위요소 중 구강보건실천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는 구강보건의 중요성으로 나타났고, 산업 간호사의 의식수준에 따라 구강보건지식과 실천은 차이가 있었다. 산업 간호사의 경력이 높을 수록 구강보건교육 중요성이 높다고 나타났으며, 사업장의 산업 간호사들이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담당자의 업무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는 구강보건지식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의 관련성

        장경애(Kyeung-Ae Jang),황인철(In-Chul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경험과 인지도 및 필요성에 따라 구강보건지식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경남지역에 소재한 37개 어린이집에 있는 보육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살펴보면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장소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살펴보면 보건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필요 요구별에 따른 치주질환, 불소, 자일리톨의 구강보건지식에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참석 필요성에 따른 치주질환, 자일리톨의 구강보건지식에서 교육에 참석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참석 필요성은 높은 상관관계(r=0.874)를 보였고, 치주질환 지식항목과 구강보건교육 참석도는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345).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과 인지도 및 필요성은 구강보건지식에 관련성이 있었고, 아이들의 구강 보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에게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about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ealth knowledge. Questionnaires to be self-filled up on the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were applied to 267 childcare teachers who are working in a nursery schools in Kyoungnam province.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obtained result were as follows: The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er in the case with oral health education than without it. A public health center would provide the highest oral health knowledge to nursery teachers. The educations about peridontal disease, oral health effect of fluorine and Xylitol were the most demanding among the some items. When the education topics are related with peridontal disease and Xylitol, the most respon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course. The high correlation (r=0.874) was shown in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attending the course. Also there was a low correlation (r=0.345) between the knowledge items of peridontal disease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knowledge with experience and recogniz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ppeared. Therefore systematic and regular program for the oral health education would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중학생 대상 구강보건교육 후 치면세균막 지수 변화에 대한 연구

        박혜영,윤현서,김혜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0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4 No.3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일부 중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전과 후에 다른 구강 건강 행위, 구강 건 강 지식의 차이를 파악하여 성장기 청소년의 구강 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지속해서 이루어지기 위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B시 D구에 소재하는 6개 중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중학생의 칫솔질 행동과 구강보건지식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교육활동 시간은 총 45분으로 교육 후 직접 칫솔질 교습을 진행 하였다. 칫솔질 교습전 치아 전반 착색제를 도포하여 치면 세균막 부착 정도를 확인하게 하고 칫솔질을 시행하도 록 하였다. 중학생의 학년 및 성별분포, 구강보건교육 전과 후의 칫솔질 행동 및 구강 보건 지식은 빈도분석과 백 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칫솔질 행동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전ㆍ후 치면세균막 지수 변화를 파악하고자 대응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구강보건교육 전과 후 칫솔질의 행동 변화, 구강 보건 지식 정답률, 치면세균막 지 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eline data needed to continuously administer oral health education to promote oral health in growing adolescents after oral health education in a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ir changes i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knowledge were examined. Prior to tooth brushing training, a teeth disclosing solution was applied to the dentition to visualize the level of dental plaque when tooth brushing. Students’ school year and sex distribution as well as changes i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knowledge after oral health education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and changes in the plaque index after oral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tooth brushing behavior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 The results confirmed that tooth brushing behavior, correct oral health knowledge rate, and Quigley-Hein Index were altered positively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

      • KCI등재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고효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4

        이 연구는 U 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 건행동 변화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여학생인 경우, 불소도포 참여 횟수가 3회인 경우, 이 닦는 방법을 회전법으로 하 는 경우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높았다(p<.05). 구강보건지식은 1일 칫솔질 횟수가 1회인 경우 1일 칫솔질 횟수가 2 회 이상인 경우보다 낮았고, 이 닦는 방법을 회전법으로 하는 경우 높았고, 칫솔 사용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경우 낮았다(<.05).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은 학교에서의 체계적이고 활발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ffective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opera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chang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4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In case of female students and if number of participating in the fluoride application was three times, method of brushing rolling the score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p<.05).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when a method of brushing teeth was chosen as roll technic of toothbrushing. On the contrary, it was low when usage period of tooth brush was more than 12 months (p<.05).. Accordingly, various and active efforts are needed for oral health promotion, including systematic and active oral health education and operation of prevention control program, etc. in schools.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영유아의 구강보건행동과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도 및 구강건강문해력

        유진실,김혜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0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4 No.6

        본 연구는 영·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지식 및 언어적 구강건강문해력, 자모의 구강보건행태를 파악하여 영유아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20년 5월 한달 간 경상남도 Y시에 소재한 00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어린이집 원장님 및 보육교사, 영유아의 어머니에게 연구의 취 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48개월 이하 영유아의 어머니 1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ver. 23.0 for windows, Chicago, IL. USA)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은 0.05이하에서 유의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자모의 구강보건교육경험 부족과 구강건강행동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영·유아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하여 영유아 부모를 대상 으로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하여 구강보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고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baseline data of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the oral health of infants and children, understand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verbal oral health literacy of infants an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The researcher visited 00 Daycare Center located in Y. City in Gyeongsangnam-do for one month in May 2020 and explained the intent and purpose of the study to the principal of the center, childcare teachers, and the mothers of infants and children and asked for their consent. The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 mothers of infants and children aged under 48 months as the subjects, an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ver. 23.0 for Windows, Chicago, IL. USA) statistics software, a significance test was conduc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lower than 0.05, which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mothers’ lack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oral health behavior should improve, and for the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infants and children's oral health, it is judged that the accurate knowledge should be provided for the parents of infants and children and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hrough education on specific practice methods for the promotion of their or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