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김영한,정균민,이지영,류애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1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eacher effectiveness on the adaptability of special class teacher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se subjects are 315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through questionnair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upport, the impact of the effectiveness of special class teacher teachers on the adaptive resilience of teaching is analyzed. The questionnaire included 25 teacher effectiveness, 37 teaching adaptation flexibility and 24 social suppo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ectiveness, teaching adaptability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additio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step selection method, and a Durbin-Watson value indicating the influence between the measurement errors of the dependent variables was obtained to examine the multi-collinearity between the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of the gradual mediating effect. To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 sobel test was perform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the ability of teachers to adapt, and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class teachers. Secondly, the teacher effectivenes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s a direct impact on the adaptability of teaching. Third, the teacher effectivenes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s a direct impact on the support of private tutoring. Fourth,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class teachers directly affects the adaptability of teaching. Fifth, when teacher effectiveness and social support are affected more than the influence of special class teacher effectiveness on teaching flexibility, the adaptive flexibility of teaching adaptation increases. 본 연구는 315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이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적응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서로 정적인 관계가 있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같이 높아진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직적응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이 같이 높아진다. 이는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인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교직적응탄력성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교직적응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정책 지지와 교장 지지는 교직적응탄력성에 영향을 준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보다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동시에 영향을 줄 때 종속변인인 교직적응탄력성을 증가시킨다. 즉,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진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적응탄력성의 조절효과

        김영한,김재현,박지연,정한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그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응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성별, 교직경력, 학력, 담당학급이었다. 총 315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적용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전문성 인식 척도와 조직몰입 척도, 교직적응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전문성 인식을 독립변인으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인으로, 교직적응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그들의 조직몰입 및 교직적응탄력성도 높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조직몰입 및 교직적응탄력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은 특수학급 교사가 그들이 속한 학교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즉, 학교 내 어려운 상황에도 정신적 혼란이나 복잡함, 상황에 따른 부적응을 초래하지 않고 이전의 상황으로 잘 복귀하는 교사는 그들이 속한 학교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다. 넷째,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을 높이는데 조절효과를 가진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그들이 가지는 전문성 인식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여 조직몰입을 더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켜 그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교직적응탄력성을 발휘하여 난관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얻고 궁극적인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한 ( Kim Young-han ),김다래 ( Kim Da-rae ),류애주 ( Ryu Ae-j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247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교직적응탄력성이 그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조직몰입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높을수록 그들의 조직몰입 및 사회적 지지도 높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조직몰입 및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교직적응탄력성이 높은 특수학급 교사가 그들이 속한 학교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즉, 교내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높은 사회적 지지를 받는 특수학급 교사는 그들이 속한 학교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교직적응탄력성이 조직몰입을 높이는 데 조절효과를 가진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그들이 느끼는 교직 적응탄력성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여 조직몰입을 더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class teacher` teaching adaptative 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adaptative 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s of special class teachers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Secondly, the teaching adaptative resilie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social support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 it i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s has a regulating effect on the teaching adaptative resilienc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및 교직적응탄력성간의 구조적 관계

        추헌택,류숙열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관련 변인들 간의 이론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동기유형에 따른 관련 변인의 심리적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 158명의 자료를 통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이론적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을 적용하여 상황적 동기유형에 대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교직적응탄력성 변인들 간에는 정적 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상황적 동기의 한 유형인 자율동기는 기본심리욕구 및 교직적응탄력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인반면, 타율동기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선행연구들로부터 설정된 상황적 동기의 부분매개모형은 경험적 자료들로부터 양호한 적합도 수준을 보여 이론적 모형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자율동기와 타율동기의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 모두 기본심리욕구와 교직적응탄력성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로부터 특수교사가 어떠한 동기유형을 지니는가에 따라 교직적응탄력성에 대한 상반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특수교사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 때 자율동기가 높아지고 타율동기가 낮아지는 결과로부터 자율동기 형성을 위한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에 대한 학교차원의 전략적 접근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theoretical mod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ituational motivation(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daptive resilience. For this purpose, we hypothesized a partial mediation model predicting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ve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effect o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via situational motivation(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Method: 158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and bootstrapping to test moderating effect significance. Results: First, two components of situational motivation,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were correlat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utonomous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needs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hereas controlled motiv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factors. Second, both types of situational motivation type were partially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ive resilience.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fit by empirical data.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 teachers’ situational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ive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autonomous motivation and to reduce controlled motivation in school context.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직헌신도를 매개변인으로

        김영한 ( Kim Young Han ),서영 ( Seo 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360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그들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교직헌신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직헌신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사효능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헌신도는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학생헌신과 수업헌신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교직헌신도는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직헌신도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ay on mediating effect of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on relationship between their teaching adaptive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Data was collected from Seoul, Busan, Daegu, Daejeon, Ulsan, Kyungbuk, Kyungnam Province of special class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 total of 360 special clas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s follow: First, The study said the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had influence on their commitment. Especially self-efficacy, psychological factors had powerful effect on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Secondly,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had influence on their teacherefficacy. Particularly self-efficacy, psychological factors had powerful effect on their teacher efficacy. Third,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had influence on their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of sub-factors; commitment to students, commitment to classroom activities had powerful effect on their teacher efficacy. Thirdly,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had complete med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 KCI등재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교직적응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영한,박정민,김재현,이진옥,신예이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mediat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their the motives of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role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of special class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 total of 134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s follow: First, the study sai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he motives of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had influence on their resilience. Especially teacher aptitude and social respect factors had powerful effect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Secondl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he motives of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had influence on their role performance. Particularly teacher aptitude and social respect factors had powerful effect on it. Thirdl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resilience had influence on their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resilience of sub-factors; self-efficacy, social relationship,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policy support had powerful effect on their role performance. Las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resilience had complete med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he motives of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role performance. 본 연구는 134명의 특수학교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그들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교직적응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는 교직적응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존경과 교직적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는 그들의 역할수행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 역시 사회적 존경과 교직적성 요인이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적응탄력성은 역할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계, 환경 및 생활만족, 정책적지지 등의 하위요인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직선택동기와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역할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 - 다층모형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영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by multiple modeling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ed survey was conducted on 170 homeroom teachers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of 23 special schools. Se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 HLM 7.01 for window for multi-modeling analysis of 2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ults: First,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 level and also school level. Second, the school level variables, such as the grade, principals'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irdly, the teacher level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and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principals' leadership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enviornm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commitment. Conclusion: We discusse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bout the teacher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of homeroom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multiple and physic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의 관계를 다층모형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3개 특수학교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을 담임 및 부담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 및 HLM 7.01을 자료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 변인과 교사수준 변인 모두에 의해 차이가 난다. 둘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학교수준의 변인 중 학교급과 교장 지도성에서 차이가 난다. 셋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사수준의 변인 중 교수효능감과 교직헌신에서 차이가 난다. 넷째,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장 지도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학습환경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분야에서 중복·지체장애학생 담임교사의 교사수준 및 학생수준 변인과 교직적응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교육적인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직무환경 인식이 교직헌신 및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한,권수정,김다래,이진옥,최현석,하은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직무환경 인식을 분석하고 교직헌신 및 교직적응탄력성에 대한 다각적 검토를 통해 그들이 직무환경 인식과 교직헌신 및 교직적응탄력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직무환경 인식이 교직헌신과 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지체부자유학교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설문법을 적용하여 하였는데,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직무환경 인식 설문지와 교직헌신 척도와 교직적응탄력성 척도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가지고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먼저, 지체부자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직무환경 인식은 대체적으로 인식의 정도가 낮았지만 교직헌신 및 교직적응탄력성은 높았다. 둘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직무환경 인식이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그들의 직무환경의 인식은 학생헌신과 수업헌신, 직무헌신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직무환경 인식은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그들의 직무환경의 인식은 교직적응탄력성의 모든 하위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소진 및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영한 ( Kim Young Han ),서영 ( Seo Young ),강소영 ( Kang So Young ),구현진 ( Koo Hyun Jin ),권수정 ( Kwon Soo J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소진, 교직적응탄력성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구조적인 관계에 대하여 파악함으로써 특수학급 교사를 지원하는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부산, 대구, 울산, 광주, 경북, 경남, 제주 등의 특수학급 교사 248명을 대상으로 관련된 조사지를 배부한 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20.0, AMOS 20.0 등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는 그들의 소진과는 부적 상관이, 교직적응탄력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각 하위 영역간의 상관관계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교사의 임파워먼트, 소진, 교직적응탄력성 사이의 구조적 관계 분석 중 연구 모형의 확인적요인에서 변인 경로별로 그 유의성이 있었으며 연구모형의 검증에서 잠재변인별 구조적 관계가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인과효과의 분석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소진 및 교직적응탄력성에서 임파워먼트가 소진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에서 교직적응탄력성에 주는 직접적인 효과보다 간접적인 효과에서 유의하며 소진이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인과 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plans of supporting teachers at special school by figuring ou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ir empowerment, burn-out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248 teachers at special school in Seoul, Busan, Daegu, Ulsan, Kwangju, Kyungbuk, Kyungnam, Jeju.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s and their answers were collected bac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for WIN, AMOS 20.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made as follows. First, empowerment of those teachers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burn-ou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burn-out of those teachers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Second, there was a relation among those teachers`` empowerment, burn-out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also a correlation among subordinate categories. During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ose teachers`` empowerment, burn-out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ere was significance in each variable path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is research model. So there was a structural relationship for each potential variable in the verification of this research model. Furthermore, in the analysis of causal effects, those teachers`` empowerment had a large effect on burn-out, while such empowerment shows significance in its indirect effect o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rather than its direct effect. It was also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burn-out o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as significant.

      • KCI등재

        특수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특성 및 교직적응탄력성과의 관계 분석

        김영한 ( Kim Young-han ),박지연 ( Park Ji-yeon ),정한아 ( Jung Han-ah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인에 특성을 조사하고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성별, 교육경력, 학력, 학교급별 및 학교종별이었다. 362명의 특수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적용하였으며 조사도구로는 생활지도 효능감 척도와 교직적응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Schffe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은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높았으며 고경력의 교사가 저경력의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등학교 교사가 유·초등학교 교사보다 높앗다. 둘째, 특수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은 그들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직적응탄력성 전체 및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심리적 요인, 사회적 관계, 환경 및 생활 만족, 정책적 지지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므로 특수교사가 생활지도와 관련된 수행능력에 대한 신념 및 책임감 등을 가진다면 효율적인 학생지도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질 것이고 교직적응탄력성도 높아질 것이다. 이렇게 향상된 생활지도 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은 생활지도뿐 아니라 학생지도의 전반적인 질을 결정할 것이므로 학교의 관리자들은 특수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높여 줄 수 있는 정의적 측면의 지원책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uidance efficacy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e their background variables were gender, educational career, level of education, school level and school type.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36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this subjects, and the guidance efficacy scale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scale were used as survey tools.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t-test, one-way ANOVA and sch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guidance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higher in male teachers than in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high educational career were higher than teachers with low educational career,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higher tha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he guidance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was significant in all and sub-factors of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self-efficacy,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relations,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policy support. was influencing. Therefore, i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belief and responsibility for performance related to guidance efficacy, their confidence in effective student guidance will increase and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o teaching profession will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