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림’에 나타난 공포의 양가성 연구 : 호랑이, 도깨비, 여우를 중심으로

        오정미(Oh, Jeong-Mi)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1

        ‘공포’는 그동안 구비문학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영역의 하나이다. 공포의 근저에는 역사적 · 문화적 · 사회적 요인이 내재하여 해당 문화를 이해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인간이 공포의 대상에 투사하고 있는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호랑이, 여우, 도깨비는 유구하게 전승되어온 공포의 캐릭터이다. 세 유형의 비교연구는 ‘홀림’이라는 기능을 새롭게 조명하는 동시에 ‘공포’라는 장르에 도전하는 새로운 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홀림’이라는 유형군의 탐색은 세부적으로는 유형들의 주제적 의미를 심화하고 넓게는 ‘공포’, ‘공포와 유혹’, ‘공포와 양가성’ 등의 파생되는 연관 주제들을 통해 공포의 영역을 확대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홀림군’은 공포라는 상위 주제 아래에 ‘결핍’, ‘변신’, ‘홀림’, ‘죽음’이라는 동일한 기능을 공유하며, 이야기상에서 대체 가능한 상호 보완적 관계를 이룬다. 이 연구에서는 홀리는 괴물과 희생자인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공포의 자질을 확인하고자 했다. 홀림군과 주체들은 ‘결핍’을 통해 소통하고 있으며, 의미를 형성한다. 세 유형군은 타자화된 우리의 모습을 투영한다. 즉, 타자화된 우리의 가장 친숙한 존재이다. 홀림군은 인간을 위협하는 ‘친숙함’과 ‘낯섦’이라는 두 가지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경계에서 태어났으며 경계에 선 존재이다. ‘변신’이라는 기능 자체는 존재의 불완전성을 내포한다. 이 고정되지 않는 존재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해 우리는 기묘하고도 낯선 감각을 갖는다. 이것이 바로 홀림의 공포이다. 그들은 주체를 위협하려 다가오는 가장 친근한 존재이다. 그래서 그들이 증여하는 환상은 비극적이며 공포스럽다. ‘Fear’ is one of the areas that has not been discussed intensively in the oral literature. At the root of fear,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can be inherent and indicators of cultural understanding. In that sense, we need to see what the essence of humans projecting at the object of fear. Tiger, fox, and Dokkaebi are characters of horror that have been handed down forever. Also, the three types of comparative research can newly illuminate the function of ‘bewitchment’ and at the same time a new attempt to challenge the genre of fear. The research for the ‘bewitchment’ type specifically deepens the thematic meaning of the type and broadly enlarge derived related themes such as ‘fear’, ‘fear and temptation,’ and ‘fear and Ambival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is to expand the area of ​​fear. Bewitchment types share the same functions of ‘Lack’, ‘transformation’, ‘bewitchment’, and “death” under the subject of fear, and It form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at can be replaced in the story. In this study, we sought to confirm the qualities of fea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educing monsters and the victims. The bewitchment group and the subject communicate through ‘lack’ and form meaning. The three types project our appearance as ‘others’. In other words, it is our most familiar being who has become another person. The bewitchment type has two aspects: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that threaten humans. They are born on the boundary and stand on the boundary. The function of ‘transformation’ itself contains imperfections of existence. Due to the uncertainty of this unfixed existence, we have a strange but Unfamiliarity feeling. This is a fear of being attracted.They try to threaten the subject and are the closest to them in the future. So the illusions they give are tragedy and fear.

      • KCI등재

        사회학적 공포담론의 형성,거시적 전환, 그리고 과제 : 지그문트 바우만과 니클라스 루만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종길(Kim, Jong-Kil) 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학 Vol.22 No.2

        전통적으로 공포라는 논제는 사회학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다. 사회학 본유의 연구대상인 사회적 행위는 목적 합리성과 경험적 관찰을 전제로 하는데 공포는 의도적으로 관여하기 힘든 인간의 심리 내면 과정으로 치부되어 오랫동안 사회학자들의 주요 연구 어젠더로 수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예기치 못한 대형 사고가 빈발하고 전 지구적 재난과 재앙이 가시화되면서 위험의 범역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그 인과관계도 복잡해지고 있다. 더불어, 대중의 불안과 공포가 커졌으며 관련 학계의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공포는 현대사회와 현대인의 성격을 규명하는 사회학의 숨겨진 코드 중 하나였다. 일찍이 에밀 뒤르케임은 아노미 상황과 공포 간 연관성에 주목했고, 막스 베버는 공포를 프로테스탄트윤리의 정당화를 위한 주요 요소로 간주했으며, 노버트 엘리아스는 문명화 과정에서 외적 강제 메커니즘의 내화를 위한 핵심 매개체로 공포를 특정했다. 한편, 사회학계에서 공포 담론을 본격적으로 펼쳤던 이는 지그문트 바우만과 니클라스 루만이었다. 이들은 상이한 이론구성 전략과 현실 진단 및 미래 전망을 통해 사회학계 공포 논의의 심화를 위한 변곡점을 제공했다. 탈근대적 문제의식으로 무장한 바우만이 근대의 진전에 따른 공포감정의 질적 변환과 외화 및 사사화 과정을 탐구한 실천적 학자였다면 체계이론가 루만은 위험사회학의 견지에서 공포의 사회적 구성과 작용 및 공포 커뮤니케이션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천착했다. 일부 선구적 학자들이 이론과 담론 수준에서 이끌어오던 사회학계의 공포연구는 근자에 감정사회학과 위험사회학이 사회학의 분과영역으로 자리를 잡는 것과 맞물려 새로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대개는 경제위기, 환경문제, 흉악범죄, 전염병과 같은 발화성 높은 사회 이슈들을 대상으로 파편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뿐 공포연구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심화시키거나 경험적 연구성과의 체계화 및 유기적 축적 단계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고 있다. 오늘날 공포는 우리의 의식과 삶을 지배하는 ‘사회적 실체’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 그런 만큼 사회학연구도 이에 부응함으로써 자신의 학문적 존재 이유를 증명해야 한다. 특히 공포의 사회적 확산 기제를 밝히는 실증적 연구와 함께 감정사회학과 위험사회학의 문제의식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이른바 공포사회학의 정립이 그 무엇보다도 요청된다. Traditionally, fear has not been a major concern in sociology. This is because in ‘social behavior’, the unique research subject of sociology, purposive rationality and empirical observation are presupposed, while fear has long been deemed to be a psychological process that can not be intentionally involved and has not converged as a major research agenda by sociologists. In recent years, however, as unexpected large-scale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and global disasters have become more visible, the range of risks is expanding as well as the causal relationships becoming more complicated. As a result, public anxiety and fear are increasing, and the interest of the academic community is also getting high. This study outlines the process of shaping and developing the discourse of fear in sociology and considers the main perspectives and issu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fear has been one of the hidden codes of sociology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people. In the past, Emile Durkheim noted the link between the Anomie situation and the fear factor, Max Weber saw fear as a key factor in rationalizing Protestant ethics, and Norbert Elias stressed that fear served as a medium for the internalization of external coercive mechanisms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Meanwhile, Zygmunt Bauman and Niklas Luhmann, who were the leaders of sociological discourse of fear,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deepening sociological fear research through different theoretical composition strategies, reality diagnosis, and future prospects. Armed with a post-modern question, Bauman was a practical scholar who worked on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and internalization process of fear emotion according to modern progress, while system theorist Luhmann deeply grasped the social formation and function of fear in addition to the working mechanisms of fear communi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risk sociology. The sociological discussion of fear, which was held at the theoretical and discourse level, are centered around Bauman and Luhmann, has recently been revitalized as emotional sociology and risk sociology have become subdivisions of sociology.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hort-term or one-time studies by some scholars, the sociological study of fear has not advanced to a stage where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ed and systemized or where fear research is taken up from a mid- to long-term point of view.

      • KCI등재

        미디어공론장의 감성적 전환과 공포커뮤니케이션

        김종길(Kim, Jongk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3

        공포가 시대적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집단공포, 공포분위기, 공포문화, 공포사회와 같은 말들이 최근 들어 부쩍 더 인구에 회자되고 있으며 공포담론에 대한 학계의 관심 또한 뜨겁다. 일반적으로 공포는 개인의 체험, 다른 사람과의 직접 접촉 활동, 미디어에 의한 간접 경험 등의 요인에 의해 유발된다. 그중에서도 특히 현대사회에서 대중 공포의 조장과확산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은 지대하다. 이처럼 미디어가 공포 분위기의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근대 이후 미디어에 부여되었던 민주적공론장의 역할에 적지 않은 의문이 제기되며, 더불어, 미디어와 공포 확산의 연관성에 눈을 돌리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공포 형성및 확대 재생산 기제를 미디어공론장의 구조변동이라는 맥락 속에서 고찰한다. 먼저, 미디어와 공포의 관계에 대한 주요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다. 둘째, 상업화와 정보화의 심화에 따른 미디어공론장의 ‘감성적 전환’ 과 그 귀결로서의 공포커뮤니케이션 확산을 조명한다. 여기서는 특히 공포커뮤니케이션 확산 배경을 산업화와 상업화에 따른 공론장의 균열에서 찾았던 하버마스의 공론장이론과 공포감정의 사회적 전환 및 작동메커니즘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분석했던 루만의 체계이론이 각별한 주목 대상이다. 셋째, 현대사회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공포에 대한 커뮤니케이션’과 ‘공포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분화 및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미디어의 감성화 및 ‘인포테인먼트화’와 함께 지금까지 뉴스보도에서 자제되던 의제 단순화, 말초적감각의 자극, ‘이미지화’, ‘스펙터클화’, ‘연성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새로운 영상세대의 등장으로 시각적 정보와 볼거리 위주의 뉴스에 대한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끔찍한 사건과 사고들에 대한 보도가 더해지면서 현대인은 그 어떤 시대의 사람들보다도 더 공포커뮤니케이션의 포로가 되고 있다. 인터넷 언론매체와 소셜미디어는 이 같은 공포커뮤니케이션의 확대 재생산에 촉매 역할을 한다. 특히 한국사회에서는 미디어가 탈(脫)정치적인 사건과 사고 또는 재난을 이념적 대결 프레임으로 몰아가거나 정치 쟁점화함으로써 공포커뮤니케이션을 한층 더 부추기는 경향이 있다. Fear is emerging as a topic of the times. Recently, words such as collective fear, fear culture, fear society, and fear communication have been circulating in society. At the same time, academia’s interest in this is also increasing. In general, fear is caused by factors such as personal experience, direct contact with others, or indirect contact through media. In particular, the media impact on the promotion and spread of public fear is enormous. As media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pread of fear atmosphere, many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media’s role as a democratic public sphere since modern times. In addition, more and more people are turn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media and fear spread.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magnification mechanisms of fear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change in the media public sphere. Of particular note is the media’s ‘affective turn’ and the proliferation of fear communications as a result. Along with the emotionalization and ‘infotainment’ of the media, tabooed agenda simplification in the news, the stimulation of peripheral sensation to attract attention, ‘imageization’, ‘spectacularization’, and ‘softening’ are intensifying. On the other hand, with the advent of a new generation that values images, the demand for visualized information and news focused on visuals also increases rapidly. With frequent reports of horrible incidents that are happening and exploding day long, we become prisoners of fear communication more than people of any age. Internet and social media are the key to this magnification of fear communication.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fear communication tends to be further encouraged by the media’s frequent drive of non-political incidents and disasters into ideological confrontation frames or political issues.

      • KCI등재

        공포 정서가 의인화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포의 근원을 중심으로

        이신형 한국마케팅학회 2022 마케팅연구 Vol.37 No.3

        When people feel afraid, they activate coping behaviors to protect themselves and experience an intense desire for consumption in the process of regulating negative emotions. Therefore, aiming to explore specific consumption contexts that can alleviate fear and restore emotional stability,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anthropomorphic marketing that attributes human-like characteristics to products and brands in the fearful situations. In Study 1, we fi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fear (fear of crime vs. neutral) and anthropomorphism (anthropomorphic vs. non-anthropomorphic)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Consumers primed with fear of crime show a more favorable attitude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toward non-anthropomorphic (vs. anthropomorphic) brands. Based on this result, we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criminal fear context, the prevalent method for fear manipulation in previous studies, could attenuate the effect of anthropomorphic marketing and further suggest a new perspective that categorizes the source of fear based on its relevance to humans. In Study 2, we examin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urce of fear (fear of disaster vs. fear of crime) and anthropomorphism (anthropomorphic vs. non-anthropomorphic)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rough emotional stability and brand attitude in serial. Consumers primed with fear of disaster (vs. fear of crime) show a lower level of restoration of emotional stability when faced with non-anthropomorphic (vs. anthropomorphic) brand advertisements. This result confirms that brand anthropomorphism strategies are effective only in disaster-based fear contexts. This research is the first attempt to categorize fear based on its source and proves that preference or avoidance of anthropomorphic brands is affected by underlying sources of fear. These findings expand the academic horizons of related fields and provide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s.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대처 행동(coping behavior)을 활성화하며 부정적 정서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강렬한 소비 욕구를 경험하곤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두려움을 완화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회복시켜줄 수 있는 구체적인 소비 맥락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제품 및 브랜드에 인간적 특성을 부여하는 의인화 마케팅이 공포 상황에서 어떠한 전략적 의미를 지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은 공포 정서(범죄 공포 vs. 중립)와 브랜드 의인화(의인화 vs. 비의인화)의 상호작용이 브랜드 태도 및 제품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구체적으로 범죄에 대한 공포가 환기된 소비자는 비의인화(vs. 의인화) 브랜드 광고에 대해 더 우호적인 태도와 높은 구매 의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의 주된 공포 조작 방식인 범죄 공포 맥락이 의인화 마케팅의 효과를 반감시킬 가능성을 제기하고, 인간과의 관련성 여부를 기준으로 공포의 근원을 범주화하는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구 2는 공포의 근원(재난 공포 vs. 범죄 공포)과 브랜드 의인화(의인화 vs. 비의인화)의 상호작용이 브랜드를 통한 정서적 안정감 회복과 브랜드 태도를 거쳐, 궁극적으로 제품 구매 의도로 이어지는 연쇄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난(vs. 범죄)에 대한 공포가 환기된 소비자는 비의인화(vs. 의인화) 브랜드 광고를 마주했을 때 정서적 안정감 회복 수준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며,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의인화 전략이 재난 공포 조건에서만 효과를 거둔다는 사실을 확증한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공포 정서를 공포의 근원에 따라 범주화한 최초의 연구로, 공포를 유발하는 원인이 무엇인가에 따라 의인화 브랜드에 대한 선호 또는 회피 반응이 양립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관 분야의 학술적 지평을 넓히고 다양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동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 차이 분석

        동하오 ( Dong Hao ),김종무 ( Kim Jong 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본 연구는 동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양인 144명과 서양인 139명, 총 2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동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공포 요소는 '귀신의 직접적인 등장이 무섭다', '분장이 무섭다'와 같은 시각적 공포 요소였으며, '소재가 무섭다'와 '배경음악이 무섭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포 인식을 보였다. 둘째, 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공포 요소는 '소재가 무섭다', '비명 소리가 무섭다'였으며, '귀신의 직접적인 등장'과 같은 시각적 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포 인식을 보였다. 셋째, 동양과 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명, 특수효과, 분장, 직접적인 귀신 등장, 실제 일어날 수 있는 사건들은 동양 공포영화에서, 소재, 스토리, 배경음악, 비명소리는 서양 공포영화에서 공포감이 더 높게 인식되었다. 이는 동양 공포영화가 시각적 공포요소에, 서양 공포영화가 청각적 공포요소에 더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 차이를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공포영화 제작에 있어 동서양인 수용자의 공포 요소 인식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fear elements perceived by viewers in Eastern and Western horror films. For this purpose, data from 144 Eastern and 139 Western individuals, totaling 283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in Eastern horror films, the fear elements most highly perceived by viewers were visual fears, such as 'the direct appearance of ghosts is scary' and 'makeup is scary', while 'the subject matter is scary' and 'background music is scary' showed relatively lower fear perception. Secondly, in Western horror films, the fear elements most highly perceived by viewers were 'the subject matter is scary' and 'the sound of screaming is scary', whereas visual elements like 'the direct appearance of ghosts' were perceived as less scary. Thirdly,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fear elements perceived in Eastern and Western horror films indicated that lighting, special effects, makeup, direct ghost appearances, and events that could actually happen were perceived as more frightening in Eastern horror films, while the subject matter, story, background music, and sounds of screaming were perceived as more frightening in Western horror films. This suggests that Eastern horror films rely more on visual fear elements, while Western horror films depend more on auditory fear ele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fear elements perceived by viewers in Eastern and Western horror films, and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fear elements among Eastern and Western viewers in future horror film production.

      • KCI등재후보

        공포는 법률의 효력발생요건 인가?

        차진아(Jina Cha) 한국법학원 2007 저스티스 Vol.- No.99

        평석 대상인 헌법재판소 결정에 있어서 주요한 쟁점 중의 하나는 국방경비법이 미군정기 법령의 제정절차에 따라 적법하게 공포되어 유효하게 성립된 법률인가의 문제였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도 국방경비법이 미군정법령의 일반적인 공포방식인 관보게재에 의해 공포된 적이 없음을 확인하고 있으며, 동법이 (관보 게재가 아닌) 다른 방법에 의해 공포되었음을 입증해 줄 수 있는 자료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는 국방경비법의 공포 여부가 명확하지 않으나, 동법이 미군정 당시의 법규에 따라 관보게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공포된 것으로 추정되고, 동법이 국민들과 법제정당국 및 법집행당국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규범력을 갖춘 법률로 승인되었다는 등의 이유로 동법의 유효성을 인정하는 결정을 내렸다. 헌법재판소가 국방경비법이 공포되었다는 사실의 입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공포를 “추정”하고 그 유효한 성립을 인정한 것은 50여년의 시간적 간격에 따른 자료의 멸실ㆍ미발굴 등의 문제, 당시부터 지속된 국가기관들의 관행에 대한 존중, 오래 전에 이미 완료된 형사재판과 보안관찰처분의 효력을 뒤집는 데 따르는 부담 등, 주로 법적 안정성에 대한 고려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거의 문제는 접어두고라도 유사한 문제가 오늘날 제기될 경우, 헌법재판소 결정과 같은 결론에 이르러야 하는지에 대하여는 심각한 의문이 존재한다. 헌법재판소 결정의 문제는 무엇보다도 헌법재판소가 국방경비법의 공포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의 문제를 잘못 이해한 데에 있다고 생각된다. 법률의 합헌성 추정은 국방경비법이 미군정 당시 법령의 일반적인 공포방식인 군정청관보에 게재된 바 없음이 청구인들에 의해 확인됨으로써 깨뜨려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가가 국방경비법이 관보 게재 이외의 방식으로 공포되었음을 적극적으로 입증했어야 하는 것이지, 역으로 청구인들이 국방경비법이 관보 게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도 공포된 바 없음을 반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국방경비법이 관보 게재 이외의 방법으로 공포되었을 것이라는 추정만으로 동법률의 유효한 성립을 인정한 헌법재판소 결정은 정당성을 갖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다른 한편으로 헌법재판소는 국방경비법 제32조 및 제33조와 같은 내용의 규정이 국방경비법의 전신인 1946.6.15.의 조선경비법의 규정에도 존재했을 것이라는 추정과 국방경비법이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수 십 년 동안 국회와 법원 등 국가기관들에 의해 사실상 유효한 것으로 취급되어 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국방경비법의 유효한 성립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판시내용은 무엇보다도 관습형법의 인정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헌법재판소의 이러한 입장에 따른다면, 과연 헌법재판소는 공포를 법률의 효력발생요건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 KCI등재

        공포영화를 보는 즐거움과 괴로움에 대한 수용자 반응의 차이 연구 : 관람자의 현실 공포 경험 및 관람 환경(장소/매체/동행)의 영향을 중심으로

        풍원 ( Yuan Feng ),나은경 ( Na Eunky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우리가 공포영화와 같이 부정적인 정서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관람할 때 발생하는 즐거움의 근원에 대해 탐구하고자 했다. 공포영화를 시청하며 공포를 경험하고 무서움을 느끼는 것은 수용자 입장에서 과연 즐거움인가, 아니면 괴로움인가? 이렇듯 공포영화에 대한 관람자의 반응은 일견 상충하는 복합 정서를 모두 내포하고 있는 점에 착안해, 공포영화를 보는 긍정적인 즐거움과 부정적인 괴로움이라는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의 근원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우선, 공포영화의 무서움은 관람자의 즐거움과 괴로움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현실에서의 공포 경험 여부나 공포영화 많이 본 관람 이력과 같은 관람자의 현실 경험은 공포영화를 보고 얻는 괴로움은 줄이면서 오히려 즐거움을 높여주는 방향의 영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용자의 성별과 나이, 그리고 공포영화를 보는 물리적인 환경(동반 관람, 관람 장소, 관람 매체)이 공포영화에서 얻는 즐거움과 괴로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공포영화에 대한 관람자의 즐거움과 괴로움이라는 상반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밝힌 데 의의가 있다. Given that the hedonistic assumption (i.e., people’s willingness to pursue pleasure and avoid pain) is predominent in entertainment media content studies, this study explored when and how horror movie viewers’ mixed feeling responses (enjoyment and distress) are differently experienced. In order to study whether horror film viewers’ fear of scared content is positive or negative experiences, i.e., the paradox of pleasurable fear, we conducted structured survey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horror content viewers’ fear is positively associated both enjoyment and distress of horror films simultaneously. Viewing environments such as accompanied viewing, place (home/theatre), medium (public/private screen) had also made significantly different impacts on viewers’ emotional response toward horror content. Importan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in horror content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Balance-of-Fear Theory and Korea-Japan-U.S. Relations, 1945-1953

        Tae-Ryong Yoon(윤태룡)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3 국제관계연구 Vol.18 No.2

        본 논문은 공포균형이론(balance-of-fear theory)으로 풀기 어려운 냉전 초기한 · 미 · 일 3각관계의 동학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맹국 간의 방기/연루공포와 관련한 스나이더(Glenn Snyder)의 “동맹안보딜레마” 개념은 일정부분 유용하기는 하나, 국가 간 동맹/연합관계를 설명하는 데 부족한 점이 있다. 본 논문은 2개의 추가적 공포 즉, (1)적대국 간의 억지실패공포와 (2)동맹국간의 독립상실 공포개념을 사용하여 스나이더의 이론을 보완하고자 한다. 동맹(alliance) 혹은 연합(alignment) 대상국에 대한 각 국가의 지원동기는 그들 간의 방기공포 혹은 그 동맹대상국의 (적국에 대한) 억지실패 공포에 기인한다. 반면에, 동맹대상국에 대한 지원철회동기는 그들 간의 연루공포 혹은 그들 간의 독립성상실 공포에 기인한다. 예를 들면, 냉전기간 동안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관심(우려)은 주로 미국의 적국에 대한 억지실패 공포에 있었다. 즉, 미국은 자국이 한국(남한) 혹은 일본에 의해 방기될 가능성에 대한 공포보다는 한반도의 공산화 가능성과 일본의 핀란드화 가능성을 우려했다. 한편, 한국과 일본의 미국에 대한 관심(우려) 특히 한국의 우려는 더욱더 주로 미국에 대한 방기공포에 기인했다. 일본은 한국에 대해서는 북한과 관련한 억지실패공포, 그리고 미국에 대해서는 방기공포라는 두 가지 공포의 균형을 이루는 게임을 해왔다. 반면, 한국은 미국에 대해서는 방기공포, 그리고 일본에 대해서는 독립성상실공포라는 두 가지 공포의 균형을 이루는 게임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들 4가지 공포(즉, 방기공포, 연루공포, 독립성상실 공포, 억지실패공포)와 관련한 공포균형의 기제(mechanism of balance of fears)가 냉전 초기 한 · 미 · 일 3각관계의 동학을 상당히 사리에 맞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일반적으로 국제정치에서 다른 국가관계를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with balance-of-fear theory, explains the puzzling triangular dynamics of Korea-Japan-U.S. relations in the early Cold War period. Glenn Snyder’s concept of “alliance security dilemma” associated with abandonment/entrapment fears among allies, though useful, is not enough for explaining alliance/alignment politics among states. This article additionally employs two more fears: fear of deterrence failure between enemies and fear of losing autonomy between allies. Each state’s main incentive for supporting (or increasing commitment to) the alignment partner(s) can be abandonment fear (or fear of deterrence failure) while each state’s main incentive for defecting from (or decreasing commitment to) the alignment partner(s) can be entrapment fear (or fear of losing autonomy). For instance,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e U.S. concern for Korea and Japan is mainly due to the former’s fear of deterrence failure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st conque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inlandization of Japan ? rather than the former’s fear of being abandoned by South Korea or Japan. Meanwhile, South Korea and Japan’s concern for the United States is largely due to their abandonment fears regarding the United States. Japan played a game of balancing between fear of deterrence failure regarding South Korea and abandonment fear regarding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played a game of balancing between abandonment fear regarding the United States and fear of losing autonomy regarding Japan. The mechanism of balance of fears of four kinds reasonably explains triangular dynamics in the early Cold War period and, arguably, has potential to be utilized for analyzing other states’ relations in general.

      • KCI등재

        가상현실 공포게임의 배경 이미지 디자인을 위한 공포 요소의 체계화

        왕건,김지홍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3

        This thesis makes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fear elements appearing in the background of Virtual Reality horror games. Thus, this thesis provided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fear elements appearing in the background of virtual reality horror games. Cognitive Psychology, Darwin's Theory of Environmental Evolution, Emotional Psychology's Fear Emotion Theory and Game Design, etc were applied in this research of the fear elements that emerged in the context of VR horror games. However, this study only used the VR background graphic image as the research object, and studies the fear elements in the VR horror game's background. Thus, the spatial environment in the Virtual Reality horror games is distinguished by the Situational element and the Condition element. The case study selected three VR horror games, according to the analysis, fear elements in the background of VR horror games were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fear elements appeared in the VR horror games, situational elements were divided into positions, directions, and opening and closing elements; conditional elements were divided into lighting,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elements. Through the systematic research of fear elements in VR horror gam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provided for the design of Virtual Reality horror games. 가상현실 환경의 공포 게임은 플레이어가 현실 세계와 격리되는 방식을 통해 직접적으로 게임에 참여한다. 특히 공포 게임의 배경 속에서 나타나는 위험 상황은 플레이어의 공포를 자극하여 현실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공포까지 직접적으로 느끼도록 한다. VR 공포게임의 체계적인 요소에 관한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포 게임의 배경에 나타나는 공포 요소를 추출하고 분석 체계를 제안한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포 게임의 배경에 나타나는 공포 요소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는 인지심리학과 다윈의 환경 진화 이론, 정서심리학의 공포 정서 이론, 게임 디자인을 파악하였다. 본고는 가상현실 배경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공포 요소를 연구하였다. 그러므로 공간 환경에 대해 상황 요소와 상태 요소를 구분하였다. 사례 분석은 네 가지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포 게임을 선정하여 배경의 공포 요소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가상현실 환경의 공포 게임에 나타나는 배경의 공포 요소는 상황 요소는 위치, 방향, 개폐 요소로 구분하였고, 상태 요소는 빛, 온도, 습도, 공기 요소를 구분하고 체계화하였다. 이를 통해 공포의 요소를 구체화하고 체계화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게임 디자인을 위해 이론적 자료로 제공하고 하였다.

      • 공포 게임 장르에서의 선입견 차이에 관한 연구

        이현정(Hyun-Jung Lee),김효남(Hyo-Nam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는 공포 게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다. 시각적으로 유저들의 눈을 감기느냐 아니면 심리적으로 유저들의 마음을 두렵게 사로잡느냐 하는 것으로 나뉘어 공포 게임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렇게 크게 두 가지로 나뉘고 있지만 이 두 가지를 또 나누어 시각적인 공포로는 점프 스케어, 즉 갑툭튀방식의 플레이가 더 공포를 느끼는지 아니면 게임에 크리처가 나온다면 그 크리처의 모습만으로 공포감을 느끼는지, 심리적인 공포로는 크리처가 없는 심리 공포 게임이 무서운지 아니면 크리처가 있는 심리 공포 게임이 무서운지로 더 자세히 나누어 흔하디흔한 공포 게임들의 선입견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저들이 공포 게임을 접할 때 시각적으로 더 공포감이 느껴지는지 아니면 심리적으로 더 공포감이 느껴지는지에 대한 선입견 차이를 통계를 통해 설명하고 해당 공포심으로 공포 게임들의 공포 방향성을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