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을 위한 조직동적역량과 이론적 배경에 관한 연구

        권영철(Kwon, Yung-Chul)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본고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 및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동적역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해관계자들의 기업에 대한 요구와 기대는 다양하며, 서로 상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주주, 임직원 등 내부 이해관계자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가치 창출 성과에 더 관심을 두는 반면, 정부, 지역사회, 시민단체 등의 외부 이해관계자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에 더 관심을 갖는다. 이는 경중은 다르지만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의 경제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 창출 모두에 관심을 기울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은 모든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만족시켜 지속가능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유 가치창출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유가치창출 개념은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마태복음 19:19)는 성경 말씀에 부합된다. 모든 이해관계자는 성경적 관점에서 이웃에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이웃, 즉 모든 이해관계자를 사랑하는 마음 없이는 장기적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속경영관점에서 기업은 경제적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역량 구축이 관건인데, 본고에서는 이를 동적역량 관점에 적용시켜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공유가치창출을 조직 내 루틴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세 차원의 하위 동적역량이 요구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과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역량 구축에 대한 일련의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organizational dynamic capabilities of CSV.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are shown to b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Generally, the stakeholders, such as investors and executives,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creating economic value whereas the stakeholders, such as government, local society and NGO,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creating social value. This implies that stakeholders overall are concerned with not only economic value but also social value. Therefore, assuming any companies can not survive without corresponding to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CSV becomes an very important task for companies in view of stakeholders management and longterm survival. In this paper, dynamic capabilities are also analyzed to explain organizational routine of creating shared value. More specifically, three subcomponents of dynamic capabilities are analyzed for the consideration of CSV, namely environment sensing capability, innovation capability and resource renewing capability. Th result of this paper provides a meaningful implication to Korean firms in the matter of CSV.

      • KCI등재

        국가관할권이원 해양유전자원의 이익공유 형태에 대한 한국이해관계자의 입장 검토 : UN BBNJ 협상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길원(Lee, Kil Won),김진영(Kim, Jin Young),모영동(Moh, Youngdaw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3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 총회는 국가관할권이원 해양생물다양성(biodiversity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BBNJ)의 보존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련하여 UN해양법협약에 따라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문서(이하 ‘BBNJ 법률문서’)를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BBNJ 협상의 주요 의제 중 하나는 해양유전자원의 거버넌스이다.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슈에 해당한다. 앞으로의 문안 작성을 위한 정부간 회의(Intergovernmental Conference)에서 해당 이슈에 대한 당사국간 의견 수렴여부가 새로운 문서의 성안여부를 확정 지을 결정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BBNJ 법률문서는 국가들뿐만 아니라 국내 이해관계자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국 정부들은 이들의 입장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BBNJ 협상에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본 협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한국 정부는 최근 자신의 입장을 표명한 문안 제안서(textual proposals)를 제출한 바 있으나, 국내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해당 제안서에 충분히 반영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관할권이원 해양유전자원 의제 중 이익공유 형태에 관한 한국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검토하고, 관련 논의에 대한 향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을 활용한 세 차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금전적 이익’의 공유에 대한 국내이해관계자들의 입장이 불명확하다는 점에서 한국 정부가 ‘비금전적 이익’에 대한 자발적 공유를 규정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국내이해관계자들이 ‘금전적 이익’에 대한 공유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인간의 노력이나 창작활동에 따라 발생한 ‘금전적 이익’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태도는 정부의 입장과 일치하는 것이기도 하다.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decided to develop an international legally binding instrument (ILBI)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regarding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marine biological diversity of areas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BBNJ). Among the various issues discussed, an important part of the negotiations in the BBNJ negotiations concerns the governance of marine genetic resources, including the question of benefit-sharing. As this is one of the issues over whic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in the sharpest conflict, reaching a consensus over this issue will act as a major determinant of the successful drafting of the new international instrument. As the ILBI will affect domestic stakeholders in each state, state governments have no choice but to engage in the BBNJ negotiations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ositions of all domestic stakeholders. The Korean government has submitted textual proposals, which address the position of itself, for consideration at the last session of the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but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e opinions of domestic stakeholders are fully reflected in the proposa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opinions of Korean domestic stakeholders, particularly, on the modality of benefit-sharing of marine genetic resources and intend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elevant discussion. Three rounds of a questionnaire survey are conducted by using the Delphi technique to effectively assess the opinions of domestic stakehold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as the position of the domestic stakeholders on the sharing of non-monetary benefits is unclear, the Korean government seems to maintain its position that non-monetary benefits could be shared but only on a ‘voluntary’ basis. In terms of the sharing of monetary benefits, on the other hand, domestic stakeholders opinions converged successfully, as it was found that they do not prefer the sharing of such benefits as a system of monetary obligations may discourage states from developing marine genetic resources and, thus, hinder scientific research. This is apparently in line with the view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중소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관계학습이 중소 제조업체의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한근,황윤용,강성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1

        최근 COVID-19로 인한 소비 트랜드의 급속한 변동은 신제품 개발을 위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이해를 중소 제조업체들에게 요구한다. 하지만 중소 제조업체들은 이러한 시장정보를 이해하고 감지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 이에 중소 제조업체들은 유통업체들과 관계특유기억을 통해 시장정보를 습득할 경로를 개척하고는 한다. 본 연구는 중소 제조업체들이 유통업체들 통해 시장지식을 획득하고 공유하고 이해함으로써 신제품 성과에 이르는 과정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장지식의 획득과 공유, 이해를 위한 과정으로 관계특유기억의 역할을 확인하고 이의 선행요인으로 정보공유와 공동이해를 결과요인으로 신제품 창의성과 신제품 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통업체의 중소 제조업체 담당자들을 19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제기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실증분석을 통해, 정보공유와 공동이해가 관계특유기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관계특유기억은 신제품의 참신적 창의성과 유용적 창의성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제품의 유용적 창의성은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참신적 창의성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 제조업체가 유통업체와 관계특유자산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시장성과(신제품 성과)를 향상시키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인 시사점들을 살펴보았다. Recently, rapid changes in market trends due to COVID-19 require a fast and accurate understanding of new product development from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er. However, they are shor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sensing market information. Accordingly,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are pioneering a path to acquire market information through relationship-specific memories with retailer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a relationship-specific memory provides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form of new product creativity, which influences the new product performance. In order to test hypotheses, responses from 193 manager of department store were achieved, and proposed model was estima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empirical study was showed that information sharing and joint sensing directly influences relationship-specific memories, en route to new product creativity(both novelty and meaningfulnes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We end the study with a identifying a number of potentially implications for academics and practitioners and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해공유 노사관계의 의미와 실천방안

        이영면(Young-Myon Lee) 한국경영학회 2018 Korea Business Review Vol.22 No.4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의 변화는 더욱 빨라지고 더욱 광범위해지고 있다. 따라서 그 동안 안정적인 기업환경을 전제로 한 기업경영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은 대응방식이다. 새롭게 변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변해야 할 여러 가지중에서 노사관계를 중심으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지만 반드시 노조가 결성된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무노조 기업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7년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친노동 및 친노동조합 성향의 공약을 실제 정책에 적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16.4%와 10.9%에 달하는 최저임금 인상이 결정되었다.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제로라는 공약도 실천하기 위해 800여개가 넘는 공공기관의 다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좀 더 거시적으로는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이라는 정책을 위해 일자리 위원회를 만들어 좋은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고 있지만 1년여가 지난 시점에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속도조절을 인정하였고, 공공부문의 정규직 전환도 순탄하지만은 않은 길을 가고 있다. 충분한 임금과 고용안정은 근로자로서는 당연한 요구이며 권리이기도 하다. 하지만 90% 이상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는 민간 기업이 경영환경과 무관하게, 근로자 측이 원하는 고임금과 고용안정을 무조건 확보할 수는 없다. 시장경제에서 민간 기업은 시장상황이 어렵다면, 인건비와 고용안정성도 흔들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과거처럼 시장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이라면 노동조합은 좀 더 근로자중심의 요구를 강조하겠지만, 기업의 미래가 불안한데 계속 요구만은 할 수 없다. 지난 수년간 우리는 조선업종의 불황으로 수만 명이 일자리를 잃는 것을 보아 왔으며, 인터넷 시대를 맞아서 은행과 증권회사의 수많은 지점들이 문을 닫고, 그 결과 수천 명의 은행원들과 증권업 종사자들이 일자리를 잃는 것을 보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상황을 공유하는, 즉 경기불황과 호황을 공유하는, 이해공유 노사관계가 필요하게 되었다. 어려울 때는 노사가 서로 힘을 합쳐야 하고, 호황의 시기에도 노사가 공동으로 미래에 대비하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기업의 미래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사공동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을 시작으로 노사가 당사자주의 원칙에 따라 주도적으로 일터혁신을 추진해 나가며, 임금체계를 비롯한 인사제도도 개선해 나가고, 고령화시대를 맞아 교육훈련을 강화하는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해공유 노사관계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business environment changes rapidly and considerably. So the business strategy that was used under stable environment is not appropriate anymore. Business strategy should be updated and innovated. This paper aims to develop strategies on industrial relations for improving firm competitiveness. But the strategies may be applicable regardless of union presence at workplace. The Moon, Jae-In government that started in 2017 tries to realize the pledges of president candidate. For example, the minimum wage in 2018 increased 16.4% to realize the pledge of 10,000 won in 2020 and ‘Job Creation Commission’ was organized as his first order as the President. Decent wage with good benefits and high job security is worker’s right as reasonable request. However, that demand can’t be guaranteed if the company is not under stable business condition. In these days, workers can not ask as they did in the past when the business environment was stable and secure. In the past several years, thousands of workers in shipbuilding industry left the companies involuntarily due to the business downturns. In banking and security industries, internet use and automation made so many workers left workplaces with ‘money for honorary retirement.’ So, from now, interest-sharing industrial relations is required. Management and workers must share both business downturns and business upturns. Especially during the business unturn, management and workers and labor unions together should prepare the business downturns in the future. This paper explains the strategy for interest-sharing industrial relations. At first, management ans labor unions should establish the labor-management council with mutual trust to discuss relevant issues. The issues include workplace innova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wage determination system, and so on.

      • KCI등재

        한-아세안 습지 지식공유 플랫폼 개발 및 제언

        윤지현(Jihyun Yoon),김재근(Jae Geun Kim),강성룡(Sung-Ryong Kang)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한-아세안 습지 지식공유 플랫폼” 개발을 위해 글로벌 지식공유 플랫폼들을 분석하고,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 하였다. 글로벌 지식공유 플랫폼 분석결과 플랫폼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고 활발하게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 재정지원과 2) 지식 결과물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분석 결과 3가지 주요사업(① 한- 아세안 지역의 습지 인벤토리 비교분석, ② 습지 연구동향 지식격차 분석, ③ 습지 관련 정보공유 웹인프라 구축)이제안되었다. 문헌분석과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한-아세안 습지 지식공유 플랫폼”은 국제협약(람사르협약, 생물다양성협약)의 목표와 정합성을 갖도록 정의하였고, 생물다양성과학기구를 기반모델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플랫폼은 생물다양성과학기구와 동일하게 지식관리, 지식평가, 역량강화, 정책지원, 의사소통과 참여를 핵심목표로 선정하였다. 지식공유 플랫폼은 한-아세안 지역 내에 같은 유형의 습지생태계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과학기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global Knowledge Sharing Platforms and collected stakeholder’s suggestions to develop the Korea-ASEAN Wetland Knowledge Sharing Platform (KS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① financial support and ② knowledge outcomes are essential to maintain the KSP and conduct the platform sustainably. Stakeholder suggest three significant projects (①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ventory of wetlands in the Korea-ASEAN region, ② knowledge gap analysis in wetland research trends, and ③ establishing a web infrastructure for wetlands information sharing). The Korea-ASEAN Wetland KSP defined to be consistent with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e.g., Ramsar Conventio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goal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literature analysis and stakeholder suggestions.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PBES) selected as the fundamental model of the KSP. As with IPBES, knowledge management and assessment, capacity building, policy suppor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dopted as the platform’s core objectives. The KSP will be able to share knowledge related to the same type of wetland ecosystem within the Korea-ASEAN region and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cience-based policies.

      • 지속 가능한 공급 네트워크 관리

        김경묵(Gyeong Mook Kim)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본 연구는 공급 네트워크에서 대기업과 협력사(중소기업) 간의 ‘가치 공유(목표 공유, 성과 공유, 정보 공유) 행위’가 협력사의 ‘지속 가능 경영(사회관계 투자, 무공해 생산환경 조성, 고용건전성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공급 네트워크(동반성장 지수평가 대상 대기업) 109개(217개 협력사)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포커스 집단(focus group) 면담조사 등의 실증 조사를 한 결과, 목표 공유는 고용건전성, 사회관계 투자 등에, 성과공유는 무공해 작업 환경 조성, 사회관계 투자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기업의 가치공유 행위가 협력사의 지속 가능 경영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최고경영자의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관여, 소비자의 압력 등이 클수록 가치 공유와 지속 가능 경영 간의 관계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협력사 최고경영자의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관여와 소비자의 지속가능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activism)이 협력사의 지속가능 경영을 촉진시키는 요소라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 지속가능 경영은 기업의 혁신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 가능한 경영을 공급 네트워크와 연계시킬 뿐 아니라, 외생적인 요인과 내생적 요인의 영향을 아울러 분석하는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경영’ 관점이 하나의 이론으로서 발돋움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공유 가치 창출’ 논리를 공급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여 실증함으로써 ‘공유 가치 창출’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경영 행위가 혁신과 같은 과정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경영’에 대한 연구적 지평을 넓히는 역할을 할 것이다.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경쟁을 하고 있는 기업들(대기업, 중소기업 망라)뿐만 아니라, 대·중소기업 간의 동반성장, 지속가능한 성장 등의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관료들에게 좋은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 친구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전재원(Jeon Jae-Won)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친구사랑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에 비추어 온라인에서의 친구사랑을 윤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사랑에는 서로서로 연관되는 4개의 핵심적인 차원이 있다. 호혜적 관계, 공감, 자기이해, 삶의 공유가 그것들이다. 온라인 친구들은 매우 용이하게 사회적으로 만족스러운 호혜적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하고 있는 최고수준의 친구, 즉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를 구현하는 데는 미치지 못한다. 왜냐하면 친구의 존재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친구사랑에서 서로 주고받는 것은 지속성을 결여하는 물품뿐만 아니라 지속성을 지니는 서로에 대한 존경심과 서로를 아끼는 마음과 서로의 지식과 서로의 도덕적 품성인데, 온라인 친구들이 이런 것들을 주고받을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상대방의 습성에서 순수하게 사랑할만한 것을 서로서로 인식함으로써 결속된 두 사람만이 완전하게 공감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순수하고 강렬한 감정 없이 서로에게 단순히 선의(善意)의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는 친구사랑을 완전하게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매우 공들여서 설명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따른다면 온라인에서의 간접적인 어떠한 애도 표시도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하고 있는 공감적 소통을 대신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나중에 직접 만나서 보다 더 깊이 애도할 수도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각별히 노력하고 헌신하는 유덕한 성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그와 같이 노력하고 헌신하는 젊은이들의 수는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의미에서의 자기이해는 세계에서 내가 있어야 할 곳은 어디이며 세계 안에서 나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이며, 그러한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내가 갖고 있는 능력과 결여하고 있는 능력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자기이해를 위해서는 유덕한 친구의 도움이 필요하다. 온라인에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혼자가 아니며 세상의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희망과 두려움과 열정을 비추는 거울이라는 발견에 이른다. 이러한 종류의 자기발견이 지니는 정서적 가치와 심리적 가치가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되지만, 이러한 종류의 자기발견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고 있는 자기이해와는 매우 다른 종류의 자기발견이다. 왜냐하면 온라인에서의 미러링을 통한 자기발견이 반드시 도덕적 상호발전을 수반하는 것은 아니며, 온라인에서의 미러링을 통해서 자신과 도덕적으로 훌륭한 사람의 품성을 의미 있게 통합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삶을 공유하는 것과 삶에 대한 것을 공유하는 것을 구별한다면, 온라인에서 삶을 공유할 가능성은 비교적 적어 보인다. 왜냐하면 삶을 공유하는 것에는 삶을 충만하게 하는 활동들을 함께 수행하는 것이 함의되어 있지만, 온라인에서 삶에 관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의사소통하는 것은 삶에 대한 것을 공유하는 활동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ethically to analyze the existence of online-friends in the light of a Aristotle’s theory about friendship. According to Aristotle, there are four chief and interlinked dimensions in complete friendship : reciprocity, empathy, self-knowledge, the shared life. Online-friends have ability to facilitate reciprocal exchanges of a socially gratifying sort. But they fall short of Aristotle’s complete friends. Because there is not much prospect of online-friends’s being able to exchange moral characters. According to Aristotle, only the complete friends grieve and rejoice with his friends and this is impossible among those lacking in moral characters. Thus no mediated condolence cover for Aristotle’s empathic communication. Because these require a virtuous disposition to make the extra effort. At the present day, the young people who have a virtuous disposition have been markedly decreasing. The self-knowledge in the Aristotelian sense is a matter of understanding properly where I fit in the world, what my proper role in it is, and the capacities I have (or lack) for actively flourishing in those roles. To attain self-knowledge, we need help of virtuous friends. Many people online discover at least that they are not alone, that others in the world mirror their hopes, fears, and passions. Although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value of the self-discovery must not be underestimated, the self-discovery is very different from self-knowledge. Because the former do not necessarily entail a moral mutual improvement and it is impossible to meaningfully integrate a self and one’s moral characters through mirroring on online. The possibilities for sharing lives on online look relatively seem to be little if we grasp the distinction between sharing lives and sharing about lives. Because the former involves performing together the activities that make up a life, the latter involves communicating to one another information concerning our lives, without implying the shared life.

      • KCI등재

        글로벌 위기의 대응으로서 “공유가치성장”과 “관계국가모형”

        임채원,김병섭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2 行政論叢 Vol.50 No.3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 자본주의는 새로운 성장론을 모색하고 있다. 미시적 생산성과 경쟁력에 기초한 “공유가치성장론”은 신고전파의 단기적 이익극대화 모델을 넘어서 지속가능한 창조와 발전에 근거한 새로운 성장 모델이다. 이런 성장의 선도적 활동들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고려하는 기업들에 의해 진화되어 왔다. BoP시장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창조, 고객과 공동창조, 지속가능한 주주 가치의 창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선 공유가치 창출은 기업의 수준에서 발전되어 온 “공유가치”의 사례들이다. 공유가치 성장은 발전국가의 불균형 성장과 신자유주의의 작은 정부가 아니라 정부와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공유 가치를 창출하고 이 가치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로 합리적으로 배분되는 균형성장을 의미한다. 공유가치성장론은 “경쟁”이 아닌 “협력”이 강조되는 새로운 자본주의의 모색에서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가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공유가치를 창조하는 새로운 관계 설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새로운 자본주의의 성장으로서 공유가치성장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적인 도출에 중점을 둔 시론적 논문이다.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global capitalism has been searching for a new theory of growth. “Shared value growth,” founded in micro-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is a new model of growth that is beyond the short-term profit maximization of neoclassical economic theory as the basis of sustainable wealth creationdevelopment. The advanced activities of growth have developed by corporations considering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at the same time, includ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ealth creationin the BoP market, sustainable shareholder value creation, co-creation with clients, and shared value creation. Shared-value growth is inclusive growth for getting beyond the unbalanced growth of the developmental state and the small government of neoliberalism to create shared value divided by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made by stakeholders. This paper is a conceptual model applied as a new theory of Korean political economy

      • KCI등재

        과학의 상업화와 과학자사회 규범구조의 변화

        박희제(Bak Hee-Je)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4

        20세기 말부터 현대과학은 연구결과의 즉각적인 상용화라는 압력에 직면하고 있고 이에 따라 특히 상아탑이라는 우산 아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해오던 과학자들의 규범구조와 조직체계가 커다란 변화를 맞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생물학과 물리학 전공 교수 24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과학의 상업화 경향이 우리나라 대학의 과학자사회가 갖고 있는 규범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공유성’과 ‘이해관계의 초월’이라는 두 규범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학의 일부분야에서는 지적재산권의 추구가 논문발표 이상으로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었으며 연구주제의 선택에 있어서 실용성에 대한 강조도 널리 수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대학에서 공유성과 이해관계의 초월이라는 전통적인 과학자사회의 규범의 통제력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에서 지적재산권의 추구나 상업적 응용성의 강조와 같은 새로운 규범이 큰 저항 없이 확산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국가주의적 과학관과 정부주도의 과학의 상업화라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특징은 지적재산권의 추구나 실용성에 대한 강조를 개인의 이해관계 차원이 아니라 국가의 이해관계 차원에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규범을 정당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국가주의적 과학관과 정부주도의 과학의 상업화는 우리나라 대학연구의 공적인 성격을 강화시킴으로써 과학의 상업화와 공공부문연구의 공적인 성격 사이의 갈등을 강화하는 측면 역시 갖고 있다. It is said tha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modern science has been under the pressure to commercialize scientific outcomes as quickly as possible, which has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normative structure and institutional systems of the academic scientific community. In this context, analyzing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of 25 university faculties in physics and biology areas, 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s of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on the normative structure of the scientific community in Korea. A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communality and disinterestedness. The results show that scientists in some areas weigh intellectual property over a research paper. It is also revealed that most scientists tend to consider the utilitarian treatment of science legitimate when they look for research topics.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new norms such as the pursui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emphasis on the applications of science have became widely spread in Korean universities where the conventional norms of the scientific community such as communality and disinterestedness were not deeply rooted ye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science such as the nationalist view of science and the state-guided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have helped legitimatize the new norms by presenting them in terms of national interests rather than in terms of personal interests. At the same time, however, because they tend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of academic science in Korea, the nationalist view of science and the state-guided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may foster the conflict between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and the publicness of academic science.

      • KCI등재후보

        SNS 특성이 공공기관 이미지와 정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영환,강민정 한국비즈니스학회 2022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7 No.1

        SNS has the characteristic of helping users freely exchange opinions with each other and form active mutual relationships, which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policy messages of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institutions and promote them positively,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efficient strategies using SNS are needed. This study sought to find ways to improve the public institution's image and increase policy participation by finding efficient SNS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and suggesting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image of public institutions is positively influenced by information, reliability and ease of understanding that are characteristic 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t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information and reliability. In additio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 mediate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 SNS (playability, ease of understanding and sharing) and public institution image and policy participation. Meanshile, the policy involv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ing and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 최근 공공기관에서 SNS를 통한 스마트사회를 지향하면서 시민과의 원활한 소통수단, 행정서비스의 전달과 정책홍보, 재난관리 대응 등 다양한 목적으로 SNS를 도입하고 있다. 페이스북, 블로그와 트위터 등을 포함한 다양한 SNS를 개설하고 정책홍보와 정책 의견수렴을 수행하거나 민원응대를 하는 등 홍보 및 소통채널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홍보시 SNS특성이 조직-공중 관계성을 매개하고, 공공기관 이미지와 정책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점을 확인하여 공공기관 홍보를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SNS 특성 요인인 정보성, 신뢰성, 이해용이성은 공공기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SNS 특성 요인인 상호작용성, 유희성, 공유성은 공공기관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NS 특성 요인 중 정보성과 신뢰성은 공공기관의 정책 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SNS 특성요인 중 이해용이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공유성은 공공기관의 정책 참여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SNS 특성 중 이해용이성, 유희성, 공유성은 조직-공중관계성을 매개로 공공기관 이미지 및 정책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조직-공중관계성은 공공기관의 효율적인 SNS 홍보 전략에서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관여도는 공유성이 조직-공중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