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아공 ‘진실과 화해 위원회(TRC)’를 통해 본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

        윤형철 ( Yoon Hyung Chul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헌정사상 초유의 국정농단사태를 경험하면서 어느 때보다 정의를 갈망하는 한국사회에 한국교회는 어떤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의 목적은 남아공의 기적을 이룬 ‘진실과 화해 위원회’(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의 전략과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와 사회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의 포석을 모색하는 것이다.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차별과 억압의 시대를 종식하고 국가 일치와 화해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다. 과거사의 진실을 밝히고 화해의 공동체를 수립하기 위해 TRC가 선택한 방식은 ‘회복적 정의’, ‘우분투(Ubuntu)의 화해’, 그리고 ‘공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국가적 기억으로의 통합’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각각 기독교적 가치와 비전을 반영하고 있다. 첫째, TRC는 ‘응보적 정의’ 대신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통해 희생자와 가해자와 공동체가 다 같이 참여하여 책임과 치유와 관계회복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는 사회적 약자들과 고통 받고 억압받는 자들을 돌아보시고 해방하시고 위로하시며, 죄인을 용서하시고 의롭다 하시고 거룩하게 만드시는 하나님의 ‘공감적 정의’(compassionate justice)와 상응한다. 둘째, TRC의 화해 개념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의 정체성과 존엄성이 공동체적 관계와 상호성 속에서 형성된다는 아프리카의 형제애와 인간성 개념인 ‘우분투’(Ubuntu)에 기반을 둔다. 아프리카의 토착사상인 우분투는 깨어진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서 성경적인 ‘샬롬’과 닮았지만, 샬롬은 이 세상의 화해와 번영의 가능성이 오직 세계 너머에서 오는 초월성으로 통해서만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더 분명하게 반영한다. 또한 샬롬의 비전은 인간 삶의 모든 관계들이 완전하고 조화롭고 정의로운 질서 속에서 기쁨을 누리는 참여와 교제의 풍요와 번영의 종결을 제시해준다. 셋째,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야기를 공적으로 나눔으로써 그 기억을 국가적 기억(national memory)에 통합시키려 하였다. 이는 과거의 아픈 역사를 용서하되 미래를 위해서 잊지 않기 위함이다.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삶의 중심에도 하나님의 구속이야기에 대한 기억과 기념과 고백과 송축이 자리 잡고 있다. ‘기억하기’는 그리스도인들이 예수의 이야기와 하나님의 구원역사에 자신들의 이야기를 통합시키는 방식이다. 더 나아가 그리스도인들은 최종적으로 기억의 구속이 일어날 종말을 믿고 고대한다. TRC의 프로세스의 세 가지 핵심개념에 상응하는 사상들은 우리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에 긴요한 영감과 통찰을 제공해준다. What kind of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vision can be presented to the Korean society that is more desperate for justice than ever before by experiencing former president Park and her friend Choi’s manipulation of government affairs, which is unprecedented in constitutional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and activities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South Africa,’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miracle of South Africa, and by so doing to find a basis for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and society. The TRC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nd the period of apartheid discrimination and repression and to promote national unity and reconciliation. The TRC’s approach to clarifying the truth of past history and establishing a community of reconciliation can be summarized as ‘restorative justice’, ‘Ubuntu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into national memory through public storytelling’, Each of which, I believe, reflects Christian values and visions. First, the TRC tried to make victim, perpetrator, and community participate in achieving responsibility, healing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by employing not the concept of ‘retributive justice’ but ‘restorative justice’. It corresponds to the ‘compassionate justice’ of God, who did not only look after the weak, the suffering and oppressed, but also free, comfort, forgive, justify, and sanctify sinners. Second, the TRC concept of reconciliation is based on the African concept of brotherhood and humanity, ‘Ubuntu’, which claims that the identity and dignity of any person or group can be formed only within a communal relationship and reciprocity. An indigenous idea of Ubuntu bears a close parallel to a biblical ‘Shalom’ in the way it views a broken world. But Shalom shows the Christian worldview clearly by declaring that any reconciliation and prosperity in this world is possible only through transcendence beyond this world. The vision of Shalom also would envision the abundant and prosperous eschatos of participation and fellowship, in which all the relationships of human life will be enjoying joy in perfect, harmonious and just order. Third, by publicly sharing the story of both the victims and the perpetrators of the apartheid, the TRC attempted to integrate their memories into the national memory. This is to forgive the sad history of the past but not forget it for the future.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community is the memory, commemoration, confession, and praise of God’s story of redemption. ‘Remembering’ is a way for Christians to integrate their stories into Jesus’ story and God’s redemptive history. Furthermore, Christians look forward to the redemption of memory in the final stage. These Christian ideas, which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TRC process, would provide critical inspiration and insight into a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 KCI등재

        평화가 삶이 되는 ‘회복적 통일교육’ 교과목 개발: 비폭력대화와 북한 영화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안지영 북한연구학회 2021 北韓硏究學會報 Vol.25 No.2

        This study is about ‘restorative unification education’ designed as a result of practic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subjects at universities. Here, restorative education for unification means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storative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restorative justic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means that members of society feel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fully recover from the damage of division through voluntary and daily practice. And in the process, it is a process of restoring justice for all by peacefully resto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ties. Therefore, the goal of restorative unification education is to nurture citizens with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capabilities to restor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effects of divisi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theory and mediator education model based on Nonviolent Communication(NVC) were reconstructed. First, it forms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a culture in which all members communicate sympathetically using principles and elements of NVC in a safe and equal circle structure works. Second, since exchanges have been cut off, we us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films and images to critically understand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but also engage in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empathize with residents’ consciousness and daily life. As learners experienced healing and recovery through empathic communication, their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At the same time, I became aware of my responsibilities as a member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egan to ponder on daily practice for mutual prosperity and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art education for unification from the practice of peace that restores one’s inner self and daily life.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평화·통일교육 교과목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결과 고안된 ‘회복적 통일교육’의 원리와 운영 사례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회복적 통일교육은 회복적 정의 시각에 입각한 평화·통일교육을 의미한다. 회복적 정의 관점에서 볼 때 한반도 평화는 그 구성원들이 스스로 책임의식을 느끼며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실천을 통해 분단 피해로부터 온전히 회복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개인 간 관계 및 남북 공동체를 평화롭게 회복함으로써 모두의 정의를 회복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회복적 통일교육은 분단의 폐해로부터 한반도 평화를 회복할 소통/갈등조정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다. 이를 위해 비폭력대화의 이론 및 중재교육 모델을 재구성한 두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성원 모두가 안전하고 평등한 서클 구조에서 비폭력대화 원리와 요소를 활용해 공감적으로 소통하는 문화가 작동하는 배움공동체를 형성한다. 각자의 주관적 시선과 경험을 존중하면서 불편함과 갈등을 드러내길 환영하고 회복하는 평화 습관을 길러간다. 둘째, 남북 간 교류가 단절된 상황인만큼 북한 영화 및 영상이 가진 특징을 활용하여 사회구조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도 주민 의식과 일상을 공감하는 체험활동을 한다. 학습자들은 공감적 소통을 통해 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면서 자존감과 공동체의식이 높아졌다. 동시에 한반도 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자각하면서 남북의 상생과 평화를 위한 일상에서의 실천을 고민하게 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자기 내면과 일상을 회복하는 평화의 실천으로부터 통일교육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담자의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정의 옹호역량의 관계에서 공감적 이해의 매개효과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김보라,유성경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다문화사회연구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tarian personalities of Korean therapists and their competence in social justice advocacy, with the objective of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17 therapists holding at least a second-degree certificate and affiliated with either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or the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This survey included measures for authoritarian personality,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empathic understand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fter excluding outliers, data from 216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apist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more authoritarian demonstrated lower competence in social justice advocacy. Additionally, empathic understanding was identified as a mediator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Moreover, therapists with high or average level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d diminishe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when they exhibited more authoritarian characteristics. The article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the study's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