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질석굴과 골굴석굴의 비교사적 연구

        심주완 ( Shim Joo-wa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최근 골굴 석굴은 세계적인 석굴과 비교하는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그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앞의 연구가 인도와 중국의 석굴을 비교하였다면, 이 글은 인도 석굴과 중국 석굴의 가교 역할을 했던 실크로드의 서역 석굴과 골굴 석굴을 비교하는 연구로 서역 석굴 중에 첫머리를 장식하는 키질 석굴과 골굴 석굴을 비교하는 연구 논문이다. 키질 석굴은 제38굴과 제47굴을, 골굴 석굴은 예배굴과 마애불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전개하였다. 골굴 석굴은 세계 석굴 사원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석굴 사원이라는 점이다. 석굴암 석굴이 창조적인 석굴이라면 골굴 석굴은 정통 석굴 사원을 계승하는 석굴이다. 골굴 석굴의 복원은 우리나라 석굴 사원의 가치와 의미가 재조명되는 계기가 될 것을 보인다. 키질 석굴은 서역남로 호탄과 함께 서역의 최대 오아시스 도시인 쿠차에 자리하고 있으며, 3세기경 불교가 번성했던 쿠차국 시대에 개착되었다. 이 글은 키질 석굴의 위치적 특성, 열강의 약탈, 석굴의 분포, 석굴의 구조, 석굴 형식의 변천, 석굴의 의의 등을 고찰하였다. 키질 석굴의 대표적인 구조인 중심주굴 형식은 구조적 안전성의 문제로 창안된 석굴 형식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키질 석굴을 대표하는 석굴을 현장 조사하여 제38굴과 제47굴의 구조와 공간 구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름모형 문양의 벽화는 기존의 수미산을 상징한다는 해석 이외에 우주목의 잎인 보리수잎 혹은 연꽃잎으로 해석하였다. 키질 석굴의 정벽은 인도 초기 스투파의 상징 체계를 창조적으로 구현하여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해결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골굴 석굴의 예배굴, 마애불과 키질 석굴의 제38굴과 제47굴을 비교하여 골굴 석굴과 키질 석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자연조건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한계에서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지만, 예배굴과 대상굴이라 형식에서는 서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Recently, the Korean Golgul Cave-temple has attracted attention as research comparing it with the world-class Cave-temple has begun in earnest. If the previous work compared the Cave-temple in India and China, this article compares the Cave-temple on the Silk Road and the Golgul Cave-temple, which served as a link between the Indian Cave-temple and the Chinese Cave-temple. The first of the Silk Road Cave-temples to emerge is the Kizil Cave-temple. This article compares the Kizil Cave-temple and the Golgul Cave-temple. The Kizil Cave-temple is studied by Cave 38 and Cave 47, while the Golgul Cave-temple is studied by Worship Cave and Rock-Cut Buddha. The Golgul Cave-temple is a famous Cave-temple temple that inherits the world's Cave-temple tradition. If Seokguram is a creative Cave-temple, the Golgul Cave-temple inherits the orthodox Cave-temple. The restoration of the Golgul Cave-temple will be an opportunity to shed light on the value and meaning of our country's Cave-temple. The Kizil Cave-temple is located in Kucha, the largest oasis city in the Western Regions, along with Hotan in the Western Regions, and was created during the Kucha Kingdom, when Buddhism flourished around the 3rd century. This article consider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Kizil Cave-temple, the plunder of the powers, the distribution of Cave-temple, the structure of Cave-temple, the transformation of the Cave-temple format, and the significance of Cave-temple.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Kizil Cave-temple is the Center Column Format. This form of Cave-temple is created as a problem of structural safety. In addition, the writer investigate the Kizil Cave-temple in the field to consider the structure and spatial composition of Cave 38 and Cave 47. Contrary to the interpretation that the diamond-shaped mural symbolizes Sumisan Mountain(Sumeru), it is interpreted as barley or lotus petals, the leaves of the spatial tree. The Kizil Cave Temple is believed to have creatively implemented the symbolic scheme of early Indian Stupa to address the structural limitations under load. In addition, the Golgul Cave-temple's Worship Cave and Rock-Cut Buddha were compared to the Kizil Cave-temple Cave 38, and Cave 47. So we looked at each other'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lthough they reveal differences in structural limitations that arise in natural conditions, they were found in common in the form of worship and a large Buddha statue caves.

      • KCI등재

        칸헤리석굴과 골굴석굴

        손신영 ( Shon Sinyoung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칸헤리석굴과 골굴석굴은 암산 전체에 걸쳐 굴실이 조성되어 있는데, 칸헤리석굴은 검은색 현무암, 골굴석굴은 회백색의 응회암이어서 재질의 차이가 있다. 굴실의 개수는 칸헤리석굴이 109 개, 골굴석굴이 12 개로 현저하게 차이가 나지만, 두 석굴 모두 굴실을 조성할 수 있는 암벽면을 최대로 활용한 결과로 보인다. 예배굴은 현재 두 석굴 모두 1 室이지만 굴실의 양상과 기록을 통해, 두 석굴 모두 예불할 수 있는 공간이 적어도 2 室이 계획·조성되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2 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칸헤리석굴의 예배굴에서 예배의 대상은 스투파이며, 불상은 굴실 내부가 아닌 베란다에 조성되어 있는데 5 세기 이후 새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골굴석굴에는 두 곳에 불상이 새겨져 있었는데 굴실 내에 있던 상은 18 세기에도 조성시기와 도상을 파악키 어렵다고 하였다. 이 상은 현재 파악되지 않으며, 굴 밖의 불상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마애여래좌상으로 보인다. 칸헤리석굴의 예배굴인 제 3 굴이 입구의 계단·난간 및 좌우 벽기둥·4 개의 기둥 및 베란다·굴실內 34 개의 기둥 및 스투파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골굴석굴의 예배굴인 관음굴은 전면의 목조결구와 문·지붕·굴실 내부의 불단과 불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칸헤리석굴은 열주가 세워져 스투파 앞의 공간이 신랑과 측랑으로 구분될 정도로 넓고 깊지만 골굴석굴의 불상이 봉안된 불단 앞 공간은 상대적으로 좁고 단일한 공간이다. 굴실 내부 장엄에 있어서도 칸헤리석굴은 입구의 난간에서부터 굴실 내 주두에 이르기까지 곳곳이 건축부재로서 조각된 모습이지만 골굴석굴에는 그러한 장엄이 없다. 다만 골굴석굴의 경우, 굴실 전면에 형성된 목조가구에 채색된 바가 장엄의 양상이라 할 수 있다. Both Kanheri Caves and Golgul caves are built over the rocky mountains. Kanheri Caves are black basalt and Golgul caves are grayish tuffs. The number of caves in Kanheri is 109, and the number of Golgul is 12. The numbers of caves are noticeably different but both caves seem to be the result of maximizing the use of a rock wall to create the caves. Even though the worship cave remains just one in each cave now, it can be inferred that at least two rooms were planned and constructed through the records in both caves. In the worship cave of Kanheri Caves which seem to have been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century, the object of worship is the stupa. The Buddha image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carved since the 5th century is built on the veranda, not inside the cave. There were two Buddhist statues in Golgul caves, but these statues can’t be recognized now. Even in the 18th century, it has been said that the statues inside the cave had been difficult to grasp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the images. The statue outside the cave appears to be a statue of Maaeyeoraejwasang(Rock-Carved Seated Buddha Statue) which is designated as a treasure. The third rock cave, the worship cave of Kanheri caves, consists of a stairway at the entrance, a railing, wall pillars on the left and right, four pillars at veranda, 34 columns and the stupa inside the cave. However, Gwaneum (Avalokitesvara) Cave, which is a worship area of Golgul caves, is composed of a frontal wooden structure, the gate, the roof ,aBuddhistaltar, and a Buddhist statue. While Kanheri Caves with columns being set are spacious and large enough to be divided into a nave and aisles, Golgul caves have the relatively narrow space in front of the altar where Buddhist statues are enshrined. As for the embellishments of the inside of the caves, Kanheri Caves are carved in architectural members of framework from the entrance railings to the headpieces on columns , but there is no such splendor in Golgul caves. However, in the case of Golgul caves, the colored wooden furnitur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aves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embellishment.

      • KCI등재

        골굴 석굴과 인도 콘다네 석굴의 비교 연구

        이분희 ( Yi Boon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신라의 골굴 석굴은 석굴암과 더불어 한국의 석굴사원을 대표하는 석굴이다. 본 고에서는 인도 초기 석굴 가운데 중요한 석굴로 꼽을 수 있는 콘다네 석굴과 골굴 석굴의 비교를 통해 골굴 석굴의 시원을 살펴보았다. 물론 이 두 석굴의 조영 시기는 상당한 차이가 나며, 탑을 봉안한 초기 석굴인 콘다네 석굴과 불상을 봉안한 골굴 석굴은 이러한 시대적 차이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 두 석굴은 자연동굴을 이용하여 만든 개착굴이라는 점, 석굴의 구조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목조 건축과의 관련성 등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콘다네 석굴은 기원전 1 세기경에 조성된 인도 초기 석굴의 구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 석굴이다. 차이티야굴은 U 자형 말발굽형의 평면구조와 스투파를 둘러싼 간략한 구조의 8 각 기둥, 그리고 굴 입구 전면의 벽을 구성하는 큰 아치창과 목조건축물을 반영하는 여러 의장들, 인물상 등이 표현되어 있다. 비하라굴은 너른 안마당을 두고 정면에는 베란다에 기둥을 두고 삼면은 각 6 개의 독방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초기 방형의 비라하굴 형식을 하고 있다. 골굴 석굴과 콘다네 석굴은 차이티야굴의 기본 평면이 U 자형의 말발굽형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과 앞면에 목조가구를 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석굴의 구조가 1 개의 차이티야굴에 여러 개의 비하라굴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같다. 그러나 가장 큰 차이는 콘다네 석굴이 차이티야굴 내부에 스투파만을 봉안한 것에 비해 골굴 석굴은 불상을 굴 내부에 봉안하였던 점을 둘 수 있다. 그리고 콘다네 석굴의 비하라굴이 베란다에 기둥이 있고 정방형의 비하라굴 형식인 것에 비해, 골굴 석굴의 비하라굴은 주의 암벽에 여기저기 배치된 자연굴을 이용한 것에서 그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이 두 석굴을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은 인도 석굴사원이 한국의 석굴사원 조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밝힐 수 있다. 골굴 석굴의 기원은 인도 초기 석굴에서 찾을 수 있지만 시대적 차이와 골굴 석굴의 자연적인 환경 요인으로 인해 한국의 독특한 석굴사원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e Golgul cave in Shilla is a cave which represents Korean cave temples along with Seokgul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igins of the Golgul cave by comparing the Golgul cave with the Kondane cave,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aves in India. Of course, the construction timing of the two caves is quite different, and the early caves, the Kondane cave enshrining a Stupa and the Golgul cave which enshrine the Buddha statue, reflect the difference of the times. However, these two caves have a common point in the structure of a stone cave which is an excavation cave made by using a natural cave, and the similarity can be found, such as its relevance to wooden architecture. The Kondane Cave is a representative cave which shows the composition of the early Indian cave built around the first century BC. Chaitya cave is represented by a U-shaped horseshoeshaped planar structure, an octagonal column with a brief structure surrounding the stupa, and a large arch window that forms the walls of the cave entrance, as well as various designs and figure statues reflecting wooden buildings. The Vihara cave has a typical early Vihara cave style, with a wide courtyard, a pillar on the veranda on its front, and six solitary rooms each on three sides. The Golgul cave and the Kondane cave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 basic plane of the Chaitya cave consists of a U-shaped horseshoe-shaped plane and has wooden furniture on the front. It is also the case that the structure of the cave is made up of several Vihara caves in one Chaitya cave. The biggest difference, however, is that the Kondane Cave only encircles the Stupa inside the Chaitya cave, while the Golgul cave encircles the Buddha statue inside the cave. In contrast, while the Vihara cave of the Kondane stone cave has a pillar on the veranda and a square type of Vihara cave, the difference of the Vihara cave of the Golgul cave is that it uses natural caves placed all over the rock wall of the cave. A comparison of these two caves reveals how the Indian cave temple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the cave temples in Korea. The origins of the Golgul cave can be found in the early cave of India, but it can be seen that due to the periodic difference and the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Golgul cave, it formed a unique cave temple in Korea.

      • KCI등재

        병령사석굴과 골굴석굴에 대한 고찰

        손영문 ( Son Young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병령사 석굴은 하서주랑에 개착된 석굴로, 동서문화의 교착점에 위치한다. 이곳에는 일찍부터 불교가 교류하며 불교교학 뿐만 아니라 불교미술사상 의미 있는 작품들이 조성되었다. 병령사 석굴에서 가장 중요한 석굴은 제169굴로, 이 석굴은 개착 당시의 신앙을 알려주는 불상과 수행자의 흔적이 벽화로 남아 있어 석굴연구에 있어서 절대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병령사 석굴은 영이(靈異)롭게 생긴 암벽에 형성된 천연 동굴을 이용하여 수행자들이 드나들며 예배존상을 조성하고 관불수선하므로서 그 시작을 알렸다. 실크로드의 동쪽 끝에 있는 골굴 석굴은 초기의 신앙모습을 알려주는 자료는 남아 있지 않지만, 마애대불의 존재나 그 주변으로 형성된 크고 작은 천연의 석굴은 병령사 초기 석굴과 유사점이 많다. 법흥왕대 불교가 공인된 이래 수도 경주의 곳곳에는 가람이 건립되고 많은 수행자들와 이를 따르는 신도들이 생겨났다. 수행자들은 불교의 홍포를 위해 대중과 호흡하면서도 불교의 본연의 가르침인 깨달음을 향한 수행에도 소홀하지 않았다. 수행 장소로는 반듯하게 지어진 가람과 더불어 불교경전에서 설하고 있는 숲이나 나무아래, 수려한 바위굴 등도 선호되었다. 이렇듯 병령사 석굴이나 골굴 석굴은 천연의 수행 장소였다. 이곳은 대규모 인원이 들어 가 불상을 예불하거나 설법을 할 수 있는 공간은 아니지만, 일념으로 구도행각을 벌이는 수행자에게는 최적의 장소였다. 초기 병령사 석굴의 기록을 보아도 주로 수행을 위한 몇 몇의 이승(異僧)들이 드나들며, 불상을 만들고 일념으로 관하며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고자 했다. 병령사 석굴이 그러했듯이 골굴 석굴도 이와 같은 신앙 형태를 띠었을 것이다. 즉 불상의 흔적이 또렷이 남아 있는 단석산 마애불상군이나 경주 남산의 삼화령 석굴, 불곡 석굴, 탑곡 마애조상군 등 삼국시대 석굴사원과 마찬가지로 골굴 석굴의 수행방식도 불상을 일념으로 관하고 칭념하며 궁극의 목적인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갔을 것이다. 한편 병령사 석굴의 상징인 미륵대불은 당대에 조성되고, 골굴 석굴의 상징인 마애대불도 통일신라 9세기대에 조성된다. 수많은 석굴을 대표하여 큰 규모의 상징을 조성하는 사례는 당대에 들어서서야 본격화 된다. 상징불로 선택된 도상은 대개가 의좌세를 취한 미륵불이 많으며, 그것은 정치권력의 정치적인 야망과 결부되는 경우가 많았다. 미륵은 석가여래 이어 下生하는 부처이지만, 그가 하생할 시점은 곧 불교의 이상적인 군주 전륜성왕이 치세하는 시절이어야 하므로 정치화하기 매우 좋은 신앙이었다. 골굴 석굴의 마애대불은 도상과 신앙적으로 석가여래로 판단되고 있고, 조성시기 9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다. 신라 9세기 대는 왕족들 간의 왕권쟁탈로 인해 정치·사회적으로 대단히 불안한 시기였다. 사회적으로 불안한 시기에는 시대를 막론하고 미래불 미륵신앙이 급부상하고 각광을 받았다. 아마도 마애대불이 조성되던 시대를 통찰하면, 이 마애대불을 조성한 조성자는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뤘던 문무대왕릉이 조망되는 곳에 새로운 세상과 시대를 갈망하며 미륵대불을 조성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물론 그 원류와 조성배경은 둔황이나 병령사, 천제산 등 당대 조성된 대불신앙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e Byeongnyeongsa(炳靈寺) cave, which is a stone cave that was excavated in the Hexi(河西) corridor,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East and West cultures. As Buddhism was practiced in the place from early on, not only study of Buddhist doctrines were established, but also meaningful Buddhist art were created. The most important cave in the Byeongnyeongsa cave is the 169th cave, and this cave provides absolute data for the study of the stone cave, as the traces of Buddhist statues and Buddhist monks who convey the faith at the time of the founding remain as murals. Disciples of Byeongnyeongsa cave used strangely shaped natural rock surface to create alter with seating Buddhist. They began and announced their spiritual training by seating down in front of statue of Buddha and closing their eyes. The Golgul(骨窟) cave at the eastern end of the Silk Road does not contain any information indicating the form of faith, but the existence of the big engraved Buddha on the rock surface and the large and small natural caves formed around it are similar to those in the early days of Byeongnyeongsa cave. Since Buddhism was recognized during King Beopheung(法興王) of Silla era, Buddhist temples were built in various places in Gyeongju, the capital city of Silla, and many people became Buddhist monks or believers. The disciples of Buddhism breathe with the public to promote the Buddhism, but have not neglected the original teaching of Buddhism and their own training for enlightenment. As the Buddhist scriptures say, for the place for meditation, well-built Buddhist temples, forests, under trees, and beautiful rock caves were favored. As such, the Byeongnyeongsa and Golgul caves were natural places of practicing Buddhism. This is not a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enter and worship or preach the Buddha's will, but it is best for disciples who practice Gudohaenggak(traveling the whole country to practice Buddhist doctrine, 求道行脚) with ilnyeom(one thought, 一念). Looking at the early records of the Byeongryeongsa cave, several foreign Buddhist monks came to cave making Buddha statues, thinking deeply with conviction, in order to advance to the level of enlightenment. Like the Byeongnyeongsa cave, the Golgul cave would have taken the same form of faith. In other words, just like the cave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Danseoksan(斷石山) Buddha engravings, Samhwaryeong(三花嶺) cave, Bulgok(佛谷) cave, and Tapgok(塔谷) Buddha Group in Namsan, Gyeongju, the disciples thought deeply about the statue of Buddha and trained themselves to move on to the ultimate goal of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big Maitreya Buddha, the symbol of the Byeongnyeongsa cave, was built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the image of Buddha engraved on rock, the symbol of the Golgul cave, was engraved in the 9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The case of creating a large-scale symbol representing numerous caves did not happen until the Tang dynasty of China. Most of the statues chosen as symbolic Buddha have many Maitreya Buddha in the form of sitting on a chair, and it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ambitions and power. Maitreya Buddha is a Buddha who descends after Sakyamuni Buddha who descends into the world to rebirth, but when the time when he will descend must be the period of the reign of Chakravarti, the ideal monarch of Buddhism, which was a very good faith to politicize. The big Buddha engravings in the Golgul cave is religiously considered to be the Buddha of Sakyamuni, and is considered to be in the late 9th century when it was engraved. The 9th century of Silla was a period of great political and social unrest due to the struggle for kingship among royal families. In times of social unrest, the faith of the future Buddha, Maitreya, emerged in the limelight regardless of the times. Perhaps looking deeper into the time when the big Buddha was engraved, the creator of the Buddha dreamt of a new world, longing for a peaceful new era in the place such as the time of great achievement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unified by King Munmu(文武王) of Silla. As the engraved Buddha was created overlooking of the tomb of King Munmu of Silla, the possibility of engraving of big Maitreya Buddha was cannot be excluded. Of course,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its creation can be found sorely in the beliefs of the big Buddha engravings that were often established during the Tang Dynasty, such as Dunhuang, Byeongnyeongsa cave, and Mt. Cheonje.

      • KCI등재

        베제크릭석굴과 골굴석굴의 비교 연구

        고승희 ( Koh Seung 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투르판 지역 최대의 석굴로 손꼽히는 베제크릭(柏孜克里克, Bezeklik) 석굴과 우리나라에서 자연동굴을 적극 활용하면서 축조가 동시에 이루어진 골굴석굴을 비교한 논문이다. 이 두 석굴은 자연 개착과 인공 축조굴로 이루어진 혼합석굴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부분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이에 따라서 Ⅱ장에서는 베제크릭석굴의 조성배경과 사상 및 현황을 살펴보았고, Ⅲ장에서는 석굴 조영 형식과 석굴에 조성된 다양한 벽화 주제 가운데서 현재 가장 잘 남아있는 ‘서원화(誓願畵)’를 중심으로 알아보았으며, Ⅳ장에서는 베제크릭석굴을 통해 골굴석굴의 위상을 살펴보고 상호 연관성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베제크릭석굴은 개착식과 축조식 조영 방법으로 이루어 졌는데 골굴석굴도 이 두 가지 방식을 모두 보여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골굴석굴이 베제크릭석굴과 유사한 측면은 수행굴의 외형을 자연스럽게 바위면을 놔두고 그 사이에 수행굴을 개착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골굴석굴은 대부분 자연암벽을 깍은 개착식이며 베제크릭석굴은 이와는 다르게 축조 방식으로 많이 조영했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둘째, 예배굴 내부 구조 형식에서 전실과 본실이 긴 장방형에 가까운 석굴에 속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수행굴도 베제크릭석굴에서 소굴을 후벽에 조영했다는 점에서 승방 역할도 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점도 골굴석굴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셋째, 베제크릭석굴 ‘서원도’ 도상에서 묘사한 건장하고 당당한 형태의 불상은 필선이 매우 유려하면서도 강한 힘이 표현되어 있는데 골굴석굴 마애불상의 형태와 가사 옷주름 표현도 이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베제크릭석굴의 벽화 주제는 매우 다양하여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봐야하겠지만 현황으로 봐서는 그 중심이 법화사상을 배경으로 조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골굴석굴의 조성 사상과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우리의 골굴석굴과 서역 베제크릭석굴의 비교 연구는 중앙아시아 미술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불교미술의 원류를 밝히는 데에도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compares the Bezeklik (柏孜克里克, Bezeklik) caves, one of the largest caves in the Turpan region in Central Asia, and the Golgul Caves, which wer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while actively utilizing natural caves in Korea. These caves of two separate regions have great implications from the point that they have a common point of being mixed caves consisting of natural excavation and artificial burrows. Accordingly, in Chapter II, the background, thoughts, and current status of Bezeklik Caves were examined, in Chapter III, of the caves building formats and the various mural themes created in the caves, the best remaining Seowonhwa(誓願畵)' was focused and examined, and in Chapter IV, through Bezeklik ca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Golgul Caves and examined their interrelationships. As a result,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Bezeklik Caves were constructed by the cut-and-cover and construction-type methods, and that the Golgul Caves also show both methods. The similar aspect of Golgul Caves to Bezeklik Caves is that as for the outer shape of the discipline cave, its rock surface is naturally left, and the discipline cave is intersected between them. Besides, most of Golgul Caves are cut-and-cover, cut from natural rock walls, and unlike the Bezeklik cave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y were built a lot by way of construction. Secon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orship cave, it was found that the front and main rooms belong to caves that are close to the long rectangular shape. It can be said that the discipline cave also played a role of monks’ living quarters in that a small cave was built in the rear wall of the Bezeklik caves, and this point was also connected to the Golgul Caves. Third, the sturdy and stately form of the Buddha statue described in the ‘Seowondo’ iconography of Bezeklik Caves has a very fluid line and expresses a strong force, and the shape of the Golgul Caves rock cliff Buddha statue and the expression of the Kasa creases were similar. Fourth, the theme of murals in Bezeklik Caves is very diverse, so we need to take a closer look, but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was created with the Lotus Sūtra thought in the background. It is said that this could be in line with the idea of the formation of Golgul Caves. Thus, through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our Golgul Caves and the Bezeklik caves in a country to the west of China, it is thought that it can present the importance of Central Asian art and will be an important study to clarify the original streams of Buddhist art in Korea.

      • KCI등재

        용문석굴 고양동과 골굴석굴의 비교연구

        이분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0 강좌미술사 Vol.54 No.-

        Longmen Caves are important cave temples in Chinese art history to understand cave temple construction and Buddha image style from the dynasty of BeiWei to the present days. They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Cave temples in Korea, and inscriptions of construction remain, providing abundant data. In this paper, we compared and explored Guyang Caves, the first cut among the Longmen Caves, and Golgul Caves, a Korean Cave temple. Longmen Guyang Caves have 19 out of 20 Longmen, and several inscriptions engraved therein also reveal the caves cutting, Buddha imag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faith at the time. Longmen Guyang Caves enshrines the Buddha image in the Shakyamuni Triad on the wall with the basic structure of a horseshoe, and a large number of tabernacles were creat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floors on both walls and constructing large‐scale Buddha images. Buddha images show a Buddha image style that has more evolved into Chinese painting than Yungang Caves, and the Sakyamuni image and the Maitreya image were mainly enshrin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letter markings on the construction inscriptions as well as the iconographic specification, it can be seen that it was constructed based on Lotus Sutra thought. When comparing Golgul Caves and Longmen Guyang Caves, the cutting time of Longmen Guyang Caves is ahead of that of GolgulCaves, but it was the place visited by monks studying abroad since the Shilla era, and is believed to have influenced the cutting of Golgul Caves. The basic structure of both two caves is a horseshoe‐shaped U‐shaped plane, and at the entrance, there is a common thing that there used to be a wooden building. However, compared to Golgul Caves consisting of 10 monks common room caves in one worshiping cave, the difference is that Longmen Cave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worshiping caves and monks common room caves. However, the construction thought of the two Caves is based on the Lotus Sutra thought, confirming that the Longmen Guyang Cav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Buddha image construction in Korea. 용문석굴은 중국미술사에서 북위시기부터 당대까지의 석굴사원의 조영과 불상양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석굴사원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석굴사원에도 그 영향을 많이 끼쳤으며, 조성기도 남아 있어 풍부한 자료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특히 용문석굴 가운데 가장 먼저 개착되었으며, 규모도 큰 고양동 석굴과 우리나라 석굴사원인 골굴석굴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용문석굴 고양동은 용문 20품 가운데 19품이 있을 정도로 서예사적으로 중요한데, 그 안에 새겨진 여러 조상기를 통해 당시 석굴개착과 불상조성, 그리고 조성 신앙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용문석굴 고양동은 말발굽형의 기본 구조이며, 정벽에 석가삼존의 불상을 봉안하고, 양 벽면에 3층으로 나누어 많은 감실을 만들고 대규모의 불상들을 조성하였다. 불상들은 운강 석굴보다 더욱 중국화로 진전된 불상양식을 보이며, 석가상과 미륵보살상이 주로 봉안되었다. 존명의 구분뿐만 아니라 조상기에 새겨진 명문의 내용을 파악해보면 법화경 사상을 근간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골굴석굴과 용문석굴 고양동을 비교해보면, 용문석굴 고양동은 개착시기가 골굴석굴보다 앞서지만, 신라시대부터 구법승들이 자주 방문했던 곳으로, 골굴석굴 개착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기본 구조은 두 석굴 모두 말발굽형의 U자형 평면이며, 입구에 목조 건축을 하였던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골굴석굴이 하나의 예배굴에 10개의 승방굴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용문 석굴은 예배굴과 승방굴로 구분하기 어렵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두 석굴의 조영사상은 법화경 사상에 기반을 두어 용문석굴 고양동이 우리나라 불상 조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골굴석굴과 운강석굴 제 6굴의 구조와 도상의 비교연구

        문명대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0 강좌미술사 Vol.54 No.-

        The structure and iconography of Golgul caves and Yungang cave 6 were compared to reveal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study restates the points that are characteristic are that the structure of Golgul caves is a rectangular main room with a rectangular structure, and the walls of the rooms are stone walls, but the roof is wooden, not stone, and that the main room is a fully stone room, but there is no tower in which the image is sculptured in the center or backward in a long rectangular structure. Second, the structure type of Yungang caves is a rectangular chamber structure with an entrance to the wooden pavilion and a stone wall with three walls, and the main room is characterized by a square structure with four wall reliefs and a gamshil three main Buddha image on the inner Ojin and a four-sided tower with a Buddha image carved on the center four walls. Third, the iconography feature of Yungang cave 6 is that reliefs that carve out the thoughts of Lotus Sutra, Maitreya Sutra, Vimalakirti-nirdesa-Sutra, and Bulbonhaengjipgyeong are carved into the entire cave. Fourth, this Buddha image is an early Chinese Buddha image sculpture full of power, such as a face full of smiles, powerful faces, sturdy and powerful body, and a Baoyibodai Chinese-style robe and parallel staircase geometrical costume pattern. Fifth, in comparison, the iconography of Golgul caves Buddha image is likely to be a Maitreya Buddha due to thoughts of Yogacara vijnaptimatra, but the Golgul caves built in the 9th century are compared to the composition of the Shakyamuni Buddha image by thoughts of the Lotus Sutra or thoughts of Shininjong. Sixth, it was revealed that the Caitya Grottoes of India were transformed into Yungang cave 6 after being transformed simple-clearly, and that Golgul caves were apparently transformed. 골굴석굴과 운강 6굴의 구조와 도상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밝히게 되었다. 첫째, 골굴석굴의 구조형식은 전실 사각형 주실 장방형의 구조인데 전실은 벽체가 석실이지만 지붕은 석조가 아닌 목조라는 점, 주실은 완전 석실이지만 긴 장방형 구조에 후진(后陳) 내지 중심에 상이 조각된 탑주가 없는 점이 특징이라는 사실을 다시 밝힌 것이다. 둘째, 운강석굴의 구조형식은 누각식 목조 전실 입구와 3벽면이 석벽인 직사각형 전실구조, 주실은 정사각형 구조에 4벽면 부조와 안쪽 오진에 감실 3존 주불과 중심 4면에 불상을 새긴 4면 탑주의 구도형식이 특징이라는 점을 밝혔다. 셋째, 운강 6굴의 도상 특징은 법화경, 미륵경, 유마경, 불본행집경의 사상을 도해한 부조들이 전체 석굴에 가득 새겨져 있다는 점이다. 넷째. 이 불상들은 만면한 미소 띈 박력 넘치는 얼굴과 건장하고 당당한 역강한 체구, 포의 박대식 중국화된 대의와 평행계단식의 기하학적 의문 등 역강한 초기 중국화 불상조각이라는 사실이다. 다섯째, 이에 비해 골굴석굴 불상 도상은 초창기 골굴 도상이 유가유식 사상에 의한 미륵불일 가능성이 있지만 9세기 중창 골굴석굴은 법화경사상 또는 신인종사상에 의한 석가불이 조성되었던 것이 비교된다. 여섯째, 인도 챠이티야 석굴이 화려하게 변모되어 운강 6굴로 변형되었고, 다시 간명하게 변모되어 골굴석굴이 나타나게 되었다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 KCI등재

        골굴석굴의 구조형식과 아쟌타 19굴

        문명대 ( Moon Myeong-da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이 논문은 골굴석굴의 원류가 되는 아쟌타 19 굴과 골굴석굴을 비교사적으로 논의한 글이다. Ⅱ장에서는 골굴석굴의 형식과 구조를 명료하게 살펴보았다. 첫째 차이티야 예배굴인 법당굴의 구조는 U 형의 장방형 석굴은 정방형 전실과 장방형 본실로 구성되었고, 본실에는 불좌상이 있고, 전실벽의 불상은 마애굴의 마애불상으로 대체되었다고 보았다. 그 다음 둘째 이 마애굴의 불부조상은 예배굴의 전벽에 새겨진 불상으로 대체되는 성격을 갖고 있으며 셋째 승방굴은 골굴의 암벽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10 개의 승방굴이라는 사실을 살펴본 것이다. Ⅲ장에서는 아쟌타 19 굴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서 논의했다. 19 굴은 후기 석굴인 차이티야 석굴의 대표 석굴인데 U 자형 차이티야 석굴 구조가 기본적인 특징이다. 앞에는 측실이 있는 앞뜰 즉 전정(前庭)이 있고 전정 다음에는 현관과 앞 회랑식 전실이 있고, 이를 지나면 U 형의 긴 말발굽형 본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실에는 좌우로 열주가 서 있고 열주와 벽 사이의 좌우 회랑이 있고 중앙 본실 끝인 후진에는 불입상이 새겨진 석탑이 놓여 있다. 이른바 전정과 전실과 본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19 굴 차이티야 예배굴은 16·17·18·20 굴의 전형적인 방형 승원굴을 거느리고 있어서 아쟌타석굴의 1 군을 형성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아쟌타 19 굴 및 부속 승원굴과 골굴석굴의 차이티야식 예배굴인 법당굴과 승방굴을 서로 비교하여 다른 점과 같은 점을 일목요연하게 표로 정리하여 간단명료하게 비교해 본 것이다. 그래서 아쟌타 19 굴 같은 후기 차이티야 굴에서 변모하여 골굴석굴의 형식과 구조로 변했다는 사실을 밝히게 되었다. This study is the discussion of a comparative history of Ajanta Cave 19 and Golgul stone cave, which are the origin of the Golgul stone cave. In Chapter 2, we have looked at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Golgul stone cave. First, as for the structure of the sanctum cave, which is the Chaitya worship cave, the U-shaped rectangular stone cave is composed of square front room and rectangular main room. The main room has a Buddha-seated statue, and the Buddha statue of the front room wall was replaced with a Buddha rock carved statue in the rock cave. Second, the Buddha image of the rock cave is replaced by a Buddha statue carved on the front of the worship cave, and third, the living quarters cave are 10 living quarters cave scattered around the rock wall of Golgul. Chapter 3 discussed the format and structure of Ajanta Cave 19. Cave 19 is a representative stone cave of Chaitya stone cave, which is a later stone cave, and the basic feature is the U-shaped Chaitya stone cave structure. There is a front yard, the vestibule (前庭) with a side chamber in front, and next to the vestibule is the front door and front cloister room. After this, it is composed of a long horseshoe-shaped main room of U-shape. There is Yeolju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room, and there are left and right corridors between Yeolju and the wall, and a stone pagoda with a Buddha standing statue on the back of the main room. It is composed of so-called vestibule, front room and main room. This Cave 19 Chaitya worship cave has a typical temple cave of 16 - 17 - 18 - 20 caves, forming a group of Ajanta caves. In Chapter 4, Ajanta Cave 19 and the temple cave of Chaitya style worship cave of Golgul stone cave and sanctum cave and living quarters cav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are clearly compared in a table. So it turned out that Ajanta Cave 19 was transformed in later Chaitya cave and changed into the form and structure of Golgul stone cave.

      • KCI등재

        기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골굴석굴(骨窟石窟)의 양상

        손신영 ( Shon Sinyoung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경주 골굴석굴은 암벽개착식 석굴로, 축조식 석굴인 석굴암에 비해 석굴사원의 원형에 가깝다. 벼랑에 조성된 골굴석굴의 양상은 처음 조성된 이래로 여러 변천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골굴석굴의 원형을 추론키 위해, 조선후기의 기록에 묘사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사족들이 명승지 유람 후 적은 遊山記와 지도 및 회화에 묘사된 바, 『新羅含月山祇林寺事蹟』 등에 언급된 조선후기 골굴석굴의 양상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위산에 자연스럽게 생긴 굴을 인위적으로 평평하게 갈아 한 두 사람이 겨우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조성되어 있었다. 둘째, 사람이 들어가 앉을 수 있는 정도의 굴실은 12 개가 조성되어 있었다. 셋째, 12 개의 굴실 중 6 굴에는 처마와 벽, 창호가 부가되어 있었다. 넷째, 굴실 중 최소 2곳에는 마애불이 조성되어 향과 초로 공양되고 있었다. 다섯째, 각 굴실은 각기 용도가 정해져 그에 상응하는 편액이 걸려 있었다. 이처럼 암벽을 깎고 파내고 삼면에 목조를 조성하였던 조선후기 골굴석굴의 양상은 현재와는 사뭇 달랐다. 현재 굴 전면에 부가되었던 처마와 벽·창호 등은 남아 있지 않다. 퇴락되기 쉬운 목조의 특성과 함께 다공질이어서 가공이 쉬운 응회암질의 암벽 물성도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는데 일조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골굴 원형 추론에 있어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Gyeongju Gol-gul cave is a rock- cut cave temple which is closer to the original form of a cave temple than Seoguram which is constructed by the stones. The shape of the gol-gul cave built on the cliff seems to have undergone many changes since its incep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aspects depicted in the rec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order to deduce the original form of Gol-gul cave. In other words, the aspects of Gol-gul ca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mentioned in Yousangi (遊山記) which were produced by Sajok(noble man) after the sightseeing of the scenic spots, described in the maps and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tated in 『the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新羅含月山祇林寺事蹟)』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aturally occurring caves in the rocky mountains were artificially rubbed and flattened to the size for one or two people to barely enter. Second, there were twelve caves that people could sit in. Third, of the 12 caves, there were 6 caves with eaves, walls, and windows. Fourth, at least two of caves were decorated with rock-carved Buddha(磨崖佛), which are offered incense and candle. Fifth, each cave has its own purpose and the tablet corresponding to it was attached. The shape of Gol-gul ca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cut and dug rocks and had a wooden structure on three sides,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sent one. No eaves, walls, or windows that were present at the front of the cave remain. The possibility that not only characteristic of wood which is easy to fall down but also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tuff rocks, which are porous and easy to process, have played a role in forming the current shape also should be considered in speculating the original form of Gol-gul cave.

      • KCI등재

        간송미술관 소장 <골굴 석굴도>의 작가와 회화적 재현 방식 고찰

        유미나 ( Yu Mina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간송미술관 소장 《교남명승첩》 중의 <골굴석굴도>는 골굴사와 석굴암의 모습을 담은 조선시대 진경산수화이다. 이 작품은 석굴 사원의 복원을 위한 史料가 될 뿐 아니라 겸재 정선의 작품이라는 위창 오세창의 발문이 있어 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양식상 정선의 작품으로 보기 힘들다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가 나온바 있고, 골굴사와 석굴암이 같은 산에 배치된 화면 구성은 관람자에게 혼란을 안겨주는 측면이 있다. 본 논문은 그 동안 논란이 있었던 이 작품의 작가 문제를 짚어보고, 골굴사와 석굴암을 함께 배치한 <골굴석굴도>의 회화적 재현 방식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골굴석굴도>에 대한 양식적 고찰을 통해 작가는 겸재 정선도 아니고 그 손자 정황도 아닌 18 세기 후반에 활동한 겸재 정선을 추종한 이름 없는 화가로 보았다. 기계적이고 도식적인 묘법을 속필로 구사하였으며, 작품의 수준이 다소 떨어지는 점을 지적하였다. <골굴석굴도>는 조선후기 영남지방의 명승명소를 담은 영남 명승도첩 제작의 유행과 관련된 점을 살필 수 있었다. 겸재 정선이 제작했던 《영남첩》이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이 같은 유행을 가져왔고, 겸재를 추종했던 김윤겸, 김희성과 같은 화가들이 영남 지방에서 관직을 역임하거나 유람을 하면서 영남의 명승도를 적극적으로 제작한 점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관동팔경도·사군도·한양명승도 등의 유행과 더불어 유·무명의 많은 화가들의 작품 제작으로 이어졌는데, 이에 따라 실경을 접하지 못한 채 앞선 작품을 베낀 영남명승도도 다수 제작되었다. 《교남명승첩》의 <골굴석굴도>의 경우도 이 같은 사례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골굴석굴도>의 재현방식을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의 골굴사와 석굴암의 표현 양식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지도의 제작에 있어서 기존의 지도를 베껴 제작한 경우 지역이나 장소 간의 거리나 방향이 왜곡되어 정확도가 떨어진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토함산 자락에 위치한 석굴암과 함월산 끝에 위치한 골굴사가 하나의 산록에 그려지는 왜곡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골굴석굴도>는 첫 공개 때부터 석굴암과 골굴사 석굴사원에 대한 뜨거운 관심 속에 18 세기 조선후기의 석굴사원의 상황을 보여주는 시각자료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으나, 이 그림이 현장을 보지 못한 채 기존에 전해지던 그림을 보고 베낀 작품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그러나 골굴사가 18세기 영남 지역의 명승명소에 대한 높은 관심 속에 그 독특하고 신비로운 석굴 양식으로 인하여 조선 사람들의 뇌리에 인상 깊게 각인되었음이 확실하다. 《교남명승첩》의 <골굴석굴도>는 이러한 관심과 이해의 시각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ainting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part of the 《Album of Scenic Spots in Gyonam》 in the collection of Kansong Museum is a true-view landscape painting from Joseon Period representing the Buddhist temples, Golgulsa and Seokguram. This painting gathered a keen interest among the academic world because it served as a historic material for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hape of Seokguram and because it was identified as a work of Jeong Seon(鄭敾), one of the greatest true-view landscape painters of Joseon with the colophon written by O Se-chang(吳世昌). However, there have since been a number of scholars doubting the authenticity due to the stylistic features. Also,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which placed the two cave temples on the side of a same mountain has puzzled the viewers because it was not the actual geography. This paper, thus,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painter, whether it was done by Jeong Seon or another artist, and the way of the pictorialisation of the scenery comprising the two templ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 The Golgul and Seokgul > was painted not by Jeong Seon, nor was it done by his grandson, Jeong Hwang(鄭榥). It was painted by an anonymous painter who followed the landscape style of Jeong Seon in late 18th century. I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flourishing production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containing the scenic spots in Yeongnam province. Second, the mislocation of the two cave temples could have been affected by the pictorial maps from late Joseon period. Similar mislocation can be detected in some pictorial maps that copied the existing versions, thus lacking in accuracy in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spots. It is for sure the painter who worked the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has not been to the actual sites. He could have referred to the inaccurate copied versions of the pictorial maps or then existing paintings of the same scene. In any case, the painting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carrie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s the interest of the people in the unique and mysterious cave temples amidst the popularity of the albums of scenic spots in Yeongnam region in the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