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촌 공동주거공간의 헬스케어 디자인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안필균 ( Philgyun An ),엄성준 ( Seongjun Eom ),김상범 ( Sangbum Kim ),조숙영 ( Sukyeong Cho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우리나라는 2000년을 기점으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어섰고 고령화의 속도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공동시설과 주거시설의 이용에 대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령친화형기준, UD(Universal Design)기준, BF(Barrier free)기준 등이 수립되어 공동공간과 공동주거시설에 적용되고 있으나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설의 규모와 수가 적은 농촌에 고령자를 위한 시설기준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공동생활공간 중, 고령자의 이용빈도가 높은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공간별 헬스케어 기반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수는 총 780만여 명으로 연령대별 비율은 65∼70세 사이가 32%로 가장 많았고 75∼80세 사이가 20%로 가장 적었다. 이 중, 읍과 면 단위의 농촌에 거주하는 고령자 수는 210만여 명이였고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 고령자가 28%로 가장 많았다. 전국 연령대별 비율과 다르게 농촌은 80대 이상이 가장 높은 것은 인구구조의 역삼각형 현상이 도시보다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연령대별 장애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80세 이상이 22%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80대 이상 고령자가 많은 농촌에는 BF 기준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제 모든 공동생활공간에 BF기준을 적용하기에는 공간활용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공간구성이 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충남 홍성군 장곡면에 거주하는 80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은 38%로 연령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65∼70세의 비율도 21%로 두번째로 높았다. 이는 농촌 고령자 연령비율 결과와 대비되는 결과로 지역별 고령자의 현황을 고려하여 공동생활공간의 헬스케어 디자인을 선택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거공간을 크게 주호공간과 공용공간으로 구분하고 공간의 종류를 방, 현관, 거실, 주방, 화장실, 진입로, 휴게시설, 운동시설로 분류한 후, 공간의 주요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헬스케어 기반 디자인 모듈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고령자 시설기준, BF기준, UD기준을 조사하여 종합하였으며, 디자인이 필요한 요소를 선별하여 선택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화장실의 경우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위험요소를 방지하는 BF 기준을, 휴게시설은 전 연령대의 편의성 확보, 편안한 휴식 보조, 불편함이 없는 이동성 확보하는 고령자 친화형 기준을, 거실은 이용객들이 주로 머무는 공간임을 감안하여 자유로운 이동과 휴식이 가능하고 생활하는데 불편함을 최소화한 UD 기준을 적용하는 등 공간별로 디자인 기준을 모듈화 시켜 도입한다면 지역별 연령대와 이용객의 요구에 적합한 공동생활공간을 조성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령자 공동주거의 공간배치 평가방법론에 관한 연구 -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에 따른 공간분류의 통합도 비교를 중심으로 -

        배시화,황정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한국사회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26 무렵에는 초고령사회로 이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따라 다양한 고령자 공동주거 시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은 대개 주거기능을 바탕으로 의료, 여가 등의 기능이 부가된형태이며, 이 기능들을 통해 거주자들의 신체적, 사회적 건강을 증진하는 것은 해당 주거시설의 중요한 목적이다. 해당 공간들은 일정 규모 이상으로 확보되고,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해야 실질적인 이용이 촉진될 수 있다. 본연구는 고령자 공동주거 내 공적공간의 공간배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액티브에이징(active aging)이라는 개념에 입각하여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을 재구성하고, 이렇게 재구성된 지표 체계에 따라 용도공간들을 분류한 후 공간구문론을 통해 각 분류에 해당하는 공간들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통해 고령자 공동주거의 지원공간들이 액티브에이징과 매슬로우 욕구단계이론의 통합분류에 따라 균형적으로 분포하여, 적절한 배치계획이 되었는지를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을 4개의 분석사례에 적용해본 결과, 하나의 사례에서 접근성의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을 그 사례의 계획적 오류로 판단할 수 있었다. 고령자 공동주거와 같이 전체 공간구조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개별 공간들의 접근성 비교로부터 계획적 함의를 도출하기가 어려워지는데,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에 따른 공간의 분류체계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the year 2000, Korea has become an aging society. With continued aging, the country is now expe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in 2026. Following this social trend, housing types specifically focused on seniors are being proposed. Such housing types provide supporting services such as healthcare and leisure, with aims to enhance the physical and social health of the inhabitants. Such services should be provided with adequate spatial planning and proper loca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proposes an analytical methodology that evaluates the spatial layout of support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ctive aging, Maslow’s theory of hierarchy of needs was reconstructed, with spaces being allocated to the reconstruction. Finally, the spaces are analyzed their accessibility through the theory of space syntax. This methodology was tested on 4 cases of senior collective housing, and was able to identify a case where accessibility was biased towards a certain hierarchy of needs. While space syntax analysis is inappropriate for large-scale structures, the introduction of Maslow’s theory provided a breakthrough to overcome this limitation.

      • KCI등재

        BIM을 활용한 지역 커뮤니티 케어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고령자 무장애 생활환경을 위한 일반 공동주택 개조를 중심으로 ‑

        홍사철,이종렬,김석태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3

        Background : As the structure of society changes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government-led car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is approach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imits, and community care centered around the local community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is on the rise because of the convenience in managing the household and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lthough elderly housing is at the center of home care, most multi-family housing is designed for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 This study started with basic research to prepar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community care by identifying the requirements needed for realizing welfare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barrier-free liv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evaluated as the most well-organized quantitative barrier-free standard to dat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was used to establish and evaluate the information system of data operation. Results : The data for certification criteria that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of barrier-free housing was applied to home renovation was extracted and defined as a BIM object. The suitability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was evaluated by gathering BIM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of the type of residential unit that is most common in general multi-family housing before evaluating and grading.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general multi-family housing where the elderly currently reside requires massive housing renovations, particularly bathroom remodeling. 연구배경 : 사회구조의 고령화에 따라 정부주도로 추진된 전문시설 및 전문인력 위주의 고령자 케어가 질적, 양적 한계를 보이며, 이에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는 커뮤니티 케어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리상의 편의와 농어촌 인구의 감소에 따라 공동주택 거주 노인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노인주거는 재가 케어의 핵심이지만 대부분의 공동주택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고령자를 위한 별도의 주택개조가 필요하며, 이에 무장애 노인주택의 표준화 및 인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 현재까지 가장 잘 정리된 정량적 무장애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는 무장애 생활인증제도를 바탕으로 고령자 복지실현에 필요한 요건을 파악하여 커뮤니티 케어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기초연구에서 시작하였다. 정보운영 정보시스템의 구축과 평가는 BIM을 활용하였다. BIM정보는 도면조사와 실제 답사를 필요로 하는 재래의 인증시스템에 비하여 복지수준의 예측, 정량화, 자동인증 등, 시간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 무장애 주택 개조 적용을 위한 내용 인증기준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BIM 객체로 정의하였다. 가장 보편적인 일반공동주택의 실내공간 주거유닛의 BIM정보를 구축한 후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무장애 인증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현재 고령자가 거주하고 있는 일반 공동주택은 욕실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주택개조를 요구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모델링 데이터에서 실제 개조공사에 필요한 도면과 견적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인터넷 기반 고령를 위한 주택개조 지원사업 운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안된 BIM정보를 이용한 무장애 생활환경 실행 프로세스는 일반 공동주택의 개조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공사내역과 도면을 추출하는 등 실행에 필요한 정보까지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비대면으로 원격인증과 검토가 가능한 BIM의 장점을 활용하면 고령자의 장애정도와 특성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할 수 있으므로 커뮤니티 케어의 근본이 되는 고령자 주택개조 정부 지원사업을 운영하는데 유용한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령자의 재난안전성 기반 공동주거 계획요소 개발과 적용을 위한 평가

        김미경,김재성,김은정 한국생활과학회 2022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고령자의 재난안전을 위하여 공동거주 계획요소를 개발하고 적용성 평가를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통합적인 공간 계획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재난유형의 체계와 고령자를 위한 거주공간의 일반적인 계획요소를 문헌고찰을 통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를 위한 거주공간의 계획개념으로 14가지를 파악하였다. 단지 및 커뮤니티 시설에서는 안전성, 접근성, 기능성, 쾌적성, 보조성, 인지성, 거주 및 연계성의 29개 항목을 도출하였고, 주동에서는 안전성, 접근성, 기능성, 쾌적성, 인지성의 다섯가지 개념에서 18개의 요소를 파악하였다. 단위세대에서는 안전성, 접근성, 기능성, 쾌적성, 거주 및 연계성의 다섯가지 개념에서 16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계획요소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청주시 소재 아파트의 단지 및 커뮤니티 시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한 결과, 고령자를 위한 공동주거는 물리적인 피난공간을 확보하는 소극적 측면에서 벗어나 외부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경기도 지역 ‘카네이션 하우스’의 공간현황 및 특성

        문자영(Moon, Ja-Young),신경주(Shin, Kyung-J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This study reviews interior space characteristics and indoor environment of the Gyeonggi-do"s Carnation House. Research is conducted by case study of 4 hou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porch, all cases have hinged doors and sills so securing sufficient space for the opening is needed. Also lower the threshold is recommended. Additionally, to make taking off shoes more convenient, installing a chair or aids is needed. Widening the door width and removing the threshold are also required. Second, for the room, at least 2 spaces or variable living rooms are required for separation between men and women. Also toilet should be installed in indoor and electrical outlet, switch and cabinet should be installed at proper height considering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elderly. Indoor flooring should use non-slip material. Third, for the kitchen planning, if possible, securing enough knee space for assistive device users. Sink and cabinet should be installed with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height. Fourth, the threshold should be removed or lowered overall and installation of floor heating and double windows is required. Also windows need to be installed at the height where seated person can see the entrance and view. Fifth, room furniture need to have variability in space, within a range of physical condition of the elderly, to increase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