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 말기 경무국 도서과의 활동 방향과 검열의 흐름

        문한별 ( Moon¸ Han-byoul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1926년 4월에 신설된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는 일제강점기의 중심을 거치며 가장 강력하지만 숨겨져 있는 사상 통제의 기관이었다. 1926년부터 식민지 조선의 언론과 출판, 영화와 음반에 이르기까지 사상과 관련한 모든 것들은 도서과의 검열을 통해서만 조선인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고, 그 역할은 일제강점기 중반부터 전시기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의 역할은 제국과 식민지 상황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양상을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경무국의 기관지인 『경무휘보』에 수록된 ‘도서과 통신’을 통하여 그 업무의 변화와 방향성의 전환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도서과에 대한 연구는 제도와 조직에 대한 것과 도서과가 생산한 검열 문건에 집중된 바 있다. 그러나 1937년 이후 도서과가 1943년 정보과로 통합되어 사라질 때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고는 이 시기 도서과의 활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무휘보』의 ‘도서과통신’을 번역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그 역할과 흐름의 변화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검열과 행정처분을 담당하던 도서과의 역할은 언론과 출판을 검열을 통해 통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상 교육과 언론지도라는 목적으로 확대되었고, 편집과 서술 방향에 이르기까지 확대되고 있었음을 우선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중기부터 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었던 영화 매체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였고, 중일전쟁 이후에는 검열과 통제를 넘어 선전 영화의 기획과 제작, 배급과 상영이라는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book department affiliated to Joseon Government-General Police Bureau established in April 1926 was the most powerful but hidden institution of thought control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1926, everything related to thought from the press and publication to movies and albums of colonial Joseon were only allowed to be delivered to Koreans through censorship by the book department, and the role remained unchanged from mid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wartime period. However,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der the police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hows significant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mpire and colonial situation,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work and direction through the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from 『Gyeongmuhwibo』, an organ of police bureau. Until now, researches on book department have focused on systems and organizations and the censorship documents produced by the book department.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specific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til it was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department in 1943. This study translated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of 『Gyeongmuhwibo』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the book department during this period,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role and tren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which was in charge of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measure, expanded from controlling the media and publishing through censorship to the purpose of ideology education and media guidance, and it was expanding from editing to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Also, it was identified that censorship of the movie media that has been gaining influence since the mid-Japanese colonial era was strengthened, and that it is advancing to the point of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propaganda films beyond censorship and control after the Sino-Japanese War.

      • KCI등재

        1920년대 경무국의 대민(對民)방침과 사회교화 활동의 성격

        신정윤(Shin, Jeong-Yun) 부산경남사학회 2024 역사와 경계 Vol.129 No.-

        3.1운동은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을 초래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는 헌병경찰제를 폐지하고 보통경찰제를 도입하는 문화정치를 표방한 통치 방식을 채택하였다. 보통경찰제로의 전환 후 신설된 경무국은 민중 친화적 대민 방침을 추진하고 조선인 민중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친절하고 정중한 태도로 조선인을 대우하며 이미지 쇄신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조선인을 동정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선민의식과 민족적 차별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서 경무국은 사회적 불안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식민지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교화 활동을 전개하였다. 경찰은 민중의 생활을 개선하는 것으로 이들의 불량한 요소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교화 활동은 조선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열악한 사회 인프라와 조선총독부의 재정 부족으로 인해 경찰의 사회교화사업은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형태로 진행되었다. The March 1st Movement led to international criticism of the colonial rule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In respons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General abolished the military police system and adopted a governance style that emphasized cultural rule by introducing a modern police system. After this transition, the newly established Police Affairs Bureau sought to promote public policy and redefine its relationship with civilians. In this process, the police attempted to revamp their image by treating civilians with kindness and courtesy. However, this attitude was rooted in a paternalistic mindset and racial discrimination, which regarded Koreans as objects of sympathy rather than as equals. Under this perception, the Police Affairs Bureau launched various social reform activities aimed at preventing social unrest and establishing a stable colonial order. The police sought to prevent the emergence of delinquent elements by improving the lives of the people. However, these social reform activities failed to fundamentally address the structural problems of Chosun society. Due to poor social infrastructure and the financial constraints of the Government-General, the police’s social reform efforts were carried out in a passive and limited function.

      • 미군정시대 경찰조직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장승수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9 경찰복지연구 Vol.7 No.1

        지난 70여 년 동안 국립경찰의 발자취는 우리나라의 헌정사와 마찬가지로 명암과 영욕 으로 엇갈려 왔다. 조국이 해방된 후 정부수립에 이르기까지 우리 경찰은 자주 독립 국가 의 터전을 마련하기 위한 가시밭길을 걸어왔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았으나 1948 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될 때까지 3년 동안 미군정하에 있었고 미군정은 1945 년 10월 21일 군정기구에 경무국을 창설하면서 이것이 곧 국립경찰의 모체였다. 1945년 10월 21일 미군정 하에서 경무국으로 출범한 한국경찰은 1946년 9월 미군정 의 13부 6처 중 1개부인 경무부로 재출발하였으며, 동년 12월 27일 군정명령‘경찰조직에 관한 건’에 의하여 도지사 권한에서 경찰행정을 분리, 도경찰부를 독립시키고 산하에 총 무과 등 5개과를 두었다. 1946년 2월 16일 군정명령‘경찰국과 경무부에 관한 건’에 의해 기구 개혁을 단행하여 종래의 경무국을 경무부로 하고 과를 국으로 하는 조직을 개편하 였다. 그 후 1946년 4월 1일 행정기구 개혁으로 각도 경찰부는 관구경찰청으로 개청되고 관구 번호제를 채택하였다. 또한 도관구 경찰청의 총무과는 경무과, 공안과는 보안과로 개칭 되었으며, 동년 7월 1일에는 경무부 공안국에 여자경찰과를 설치하였고, 서울 등의 주요도시에는 각각 여자경찰서 를 신설하는 등 점증하는 경찰행정 수요에 대처해 나갔다. 그러나 미군정이 좌익과의 투쟁을 위해 일제강점기 경찰관 경력이 있는 한국인들을 대거 채용한 것이 문제였다. 일제강점기 경찰관들은 공산주의자들을 단속했던 경험이 있어 이들을 해방 후에도 그대로 채용하여 대 부분의 미군정 경찰관이 일제강점기 경찰관 경력자로 채워졌다. 아울러 독립 이후에도 당시의 사회혼란을 이유로 일제시대의 경찰조직을 그대로 유지 하였고, 이 때문에 경찰의 인적청산을 하지 못하고 그 관리들이 계속해서 관직을 유지함 으로써, 오늘날까지 국민들이 경찰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찰의 아픈 역사를 인식하고 되새기며, 치안의 최일선에서 국민의 생 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경찰 본연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국민 들에게 희망과 신뢰를 받는 경찰조직을 구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Over the past 70 years, the National Police have crossed between lightness and darkness, similar to the Korean Constitution. From the liberation of our countr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ur police have often walked the path of the thorny land to prepare the land of the independent state. It was liberated on August 15, 1945,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on August 15, 1948, and was under US military control for three years until October 21, 1945, when the US military established a police bureau. In October 1945, the Korean police officer, who was established as a police bureau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resumed his departure as a department of police, one of the sixteen departments of the US military in September 1946. On December 27 of the same year, , The police administration was separated from the governor's authority, and the provincial police departments were independent, and there were five departments, including the General Affairs Section. Then, on April 1, 1946,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form brought the Angle Police Department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adopted the number system. In addition, the General Affairs Division was reorganized into the Department of Public Security and the Public Security Division was reorganized into the Security Division. On July 1 of the same year, the Ministry established the Women's Police Department in the Public Security Bureau on July 1, I coped. However, the US military employed a lot of Koreans who had a career as police offic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fight the left wing. Police officer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experience controlling the Communists, so they were recruited after liberation, and most of the US military officers were filled with police officer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after the independence, the police organization in the era of the Japanese occupation remained unchanged because of the social disorder at that time. To this day, it can be said that the people became distrust of the pol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duty of the police to recognize and rehabilitate the illness of the police and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at the forefront of security and to implement a police organization that receives hope and trust from the people through endless efforts. It is the heart that wants to become the opportunity to do.

      • KCI등재

        중경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부 개편과 경찰기구

        황선익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논총 Vol.52 No.-

        In 1919, the poli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launched as the police bureau. Since then, the poli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have been changed on the basis of law and system. During the period of Shanghai, the poli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sisted of the Central Police Agency, the local police organization that consisted of the Gyeongmusa(警務司) and Uikyungdae(義警隊). In 1940, the police force was established, mainly in charge of protec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was reorganized into the Gyeongmusa under the revised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Enforcement Central Control System’. Organized in October 1941, the Gyeonweedae(警衛隊) was authorized to organize in 1943 under the Korean National Guard. And In 1944, the organization officially became a direct home affairs body in the undercover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the general affairs, civil affairs and public affairs. The captain of the guard was concurrently the chief of the police department. The main duty of the Gyeonwedae was to guard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ilding and to protect the factors. In 1945, members of the Gyeongmu department and Gyeonweedae were assigned special duties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 focused more on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nemy and the initial work. In early 1945, a young man from a school soldier entered the Gyeonweedae. They were tasked with protecting the government and protecting the factors in the middle of the interim government. The last mission of Gyeonweedae was to return to their homeland, protecting the temporary government factor.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은 ‘임시정부 장정’에 의해 경무국으로 출범했다. 이후 임시정부 경찰은 법과 제도에 근거하여 변천되었다. 상해시기 임시정부 경찰은 중앙경찰조직인 경무국, 지방경찰조직인 연통제 하 경무사, 교민단에 의해 운용되는 의경대로 구성되었다. 중경에 자리잡은 1940년에는 임시정부 수호를 주로 담당하는 경위대가 창설되었으며, 개정 ‘대한민국 임시정부 잠행중앙관제’에 의해 경무과로 개편되었다. 1941년 10월 조직된 경위대는 1943년 ‘대한민국 잠행관제’에서 조직이 공인되었으며, 1944년 잠행중앙관제에서는 총무, 민정, 경무와 함께 공식적으로 내무부 직속기구가 되었다. 경위대장은 경무과장이 겸임하였다. 경위대의 주요 임무는 임시정부 청사를 경비하고, 요인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1945년 들어 임시정부가 적 정보 수집 및 초모공작에 더욱 매진함에 따라 경무과, 경위대 소속원들이 특수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1945년 초 중경에 학병 출신 청년 등이 경위대에 들어갔다. 재편된 경위대는 임시정부 한복판에서 정부를 수호하고, 요인들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임무는 광복 후에도 계속되었다. 경위대의 마지막 임무는 임시정부 요인을 보호하며 조국으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 KCI등재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찰의 변천과 역사적 과제

        황선익 경찰대학 경찰대학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2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in April 1919, promoted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doctrine of democratic sovereignty. Accordingly, on April 25, ‘Disciplin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大韓民國臨時政府章程)’ was established, and the legal basis of the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was prepared. The polic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ere launched as the Police bureau by the ‘Disciplin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bureau began its official function after Kim Gu was appointed to head the bureau on August 12. Since then, the polic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have been changed on the basis of law and system. Basically, the the Police bureau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as in charge of safeguard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government factors and maintaining the security of the Korean community. In addition, they are collecting information and eliminate those of pro-Japanese group in charge of the task. On the occasion of the centenni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e need to look back on the history of the police, which dismissed the 1910-1945 history as a period of blank or darkness. Excessive interpretation and glorification should be avoided, but should reflect on the past calmly and seek a new biography of Korea’s modern police history from an active and subjective perspective.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국민주권주의에 입각하여 정부 조직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4월 25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장정’을 정하고, 정부 각 부처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임시정부 경찰기관인 경무국도 이로부터 출범했다. 이후 임시정부 경찰은 법과 제도에 근거하여 변천되었다. 상해시기 임시정부 경찰은 중앙경찰조직인 경무국, 지방경찰조직 경무사, 교민단의 의경대로 구성되었으며, 중경시기에는 경무과 개편과 함께 경위대 창설이 이뤄졌다. 임시정부 경찰은 기본적으로 임시정부 및 정부 요인을 지키고, 교민사회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이외에도 정보 수집 및 친일파 처단 등의 특수임무를 담당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백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1910~1945년의 역사를 공백기 혹은 암흑기로 치부한 기왕의 경찰사를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 과도한 해석과 미화는 지양하되 담담하게 과거를 성찰하고,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관점에서 한국 근대경찰사를 새로 쓰는 전기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경찰사 정립에 그치지 않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대한민국 정부의 역사적 연계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 KCI등재

        『조선출판경찰월보』에 수록된 납본 도서의 시기별 변화 양상과 의미 - 1, 2차 납본 도서의 성격 변화를 중심으로 -

        문한별 ( Moon Han Byoul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79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정리한 『조선출판경찰월보』(1928.09 1938.12)를 바탕으로 이 자료에 수록된 납본 목록을 중심으로 출판 상황의 변모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선출판경찰월보』에는 2차에 걸쳐 검열을 위한 납본 목록이 수록되어있는데, 1930년 6월부터 1931년 3월까지 1차 목록이 수록되었고, 1937년 3월부터 1938년 12월까지 2차 목록이 수록되었다. 1차 목록에는 전체 800종의 단행본 납본 목록이, 2차 목록에는 557종의 납본 목록이 정리되어있다. 1차 목록과 2차 목록 사이에는 7년여의 시간 간격이 있으므로 일제강점기 중반과 후반의 출판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본고에서 확인한 결과 1차 목록의 조선어 단행본들은 주로 신소설 및 고소설 등의 흥미위주의 작품들과 족보 및 문집 등의 출간이 빈번하게 출판 허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시기 일본어 단행본들은 주로 경제, 규정, 요람 등의 식민지 통치 방향에 부합하는 목적성이 강한 것들이 주로 허가되었으며, 이는 1930년대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강화된다는 특징을 보인다. 주목할 점은 조선어 단행본의 경우 식민지 조선인들의 우민화 정책에 종사할 수 있는 단행본들이 1930년대 초반에는 문제없이 허가되었다가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그마저도 불허가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강점기 후기에 이르러 사상 통제의 수단으로 사용되던 검열이 더욱 강화되 어 사상의 말살이라는 측면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실증적인 예이다. 본 연구는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이 같은 시기별 출판 상황의 변모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contemplated on the aspect of transition of publication condition based on 『Joseon Chulpan Gyeolchal Weolbo』(1928.09 1938.12) organized by the Police Bureau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the list of presentation copies included on the book. In the book, there are 2 lists of presentation copy for censorship. From June 1930 to March 1931, the first list is included and the second one is included from March 1937 to December 1938. In the first list, there are total 800 copies of presentation copy list, and 557 copies in second li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st, there is 7 years of gap, which enables us to confirm the different aspect of publication between the mid and late Japanese colonial era. The study confirmed that as for the Korean publication on the first list, entertaining novels such as new-style novel or old novel, genealogy, anthology were frequently allowed to publish. At the same time, as for the Japanese publication, the literature which has strong purpose to fit the colonial governing direction regarding economy, regulation and brochure were allowed to publish. This stream continues to enhance until the late 1930s. The noticeable fact is that the Korean copies that contributed to dumbing down of Korean in colonial era, were allowed in the early 1930s, but it was later banned in the late 1930s. This is a demonstrative example that at the end of colonial era, the censorship which was used as a method to control the thoughts was enhanced and led to annihilation of thoughts. This study aimed to specifically verify the aspect of periodical changes of publication condition based on references.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의 콜레라 유행과 일제의 방역지(防疫誌) 제작

        김나영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89 No.-

        This paper analyzed “The Report on the Cholera Epidemic(防疫誌),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port’)”, which recorded cholera that was spread over the country and quarantine activities conduct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Japan colonized Joseon, and it elucidated what data were the base of the Report, which department published the Report, and what were the purposes of creating the Report. This paper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cases either with or without enormous damage by investigating the Report on the aspect of the cholera epidemic at the time of the Report remaining. The purpose of publishing the report was to prepare for a pandemic situation that could occur again in the futur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Japanese Empire had a stronger intention of commemorating and promoting their quarantine activities as being excellen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various reporting forms employed as fundamental data in publishing the Repor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stablished a system to not only stipulate and distribute a unified reporting form but also report according to the for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quarantine activities. This paper made it very evident that they described the Report using various instructions and reporting data that were gathered through this process and included them by creating various diagrams and graphs. Lastly, it was derived a conclusion that the Report must have been published by the police administration division under the police bureau by examining the document management schem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식민지 조선에서 유행했던 콜레라에 대해 방역활동을 전개한 일제는 방역 활동 과정을 기록한 방역보고서 즉 방역지를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방역지가 조선총독부의 어느 부서에서 어떤 자료를 기초로 삼아, 어떤 목적을 위해 제작되었는가를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방역지 속의 콜레라 유행 양상을 검토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은 사례와 그렇지 않은 사례가 공존하고 있음을 밝혔다. 큰 피해를 입은 사례는 재차 발생할 수 있는 대유행에 대한 대비라 할 수 있으나, 피해가 많지 않았으나 방역지를 남긴 사례는 큰 이벤트를 앞둔 시기에 성공적으로 시행된 방역 활동이라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정황을 볼 때, 방역지 제작은 훗날 다시 발생할 수 있는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나, 일제가 얼마나 방역을 잘하였는가를 기념하고 선전하기 위한 목적이 강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방역지가 어떤 자료를 기초로 제작되었는가를 밝히기 위해, 방역지의 서술 내용과 조선총독부의 『관보』에 실린 각종 규정을 분석했다. 조선총독부가 방역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일된 보고 양식을 규정하여 반포하고, 양식에 맞춰 보고하는 체제를 만들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합된 각종 명령, 보고 자료를 이용하여 방역지를 서술하고 각종 도표와 그래프를 작성하여 수록했음을 명확히 했다. 마지막으로 방역지의 소재를 모아서 방역지를 제작한 부서에 대해 고찰했다. 지방의 경우 검역위원 본부에 서무계를 설치하여, 방역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도 단위에서 행해진 방역 관련 문서 행정의 관리, 조선총독부와 경무국(경무총감부)의 문서 및 기록물 관리에 대한 검토를 통해 방역 업무를 전담하고 있었던 조선총독부 경무국 휘하의 경무과에서 방역지를 제작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 KCI등재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諺文少年少女讀物の內容と分類)』(1927.12-1928.08)를 통해 살펴본 아동출판물 검열 기준과 사례의 성격

        문한별(Moon, Han Byoul),조영렬(Cho Young Ryeol)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총독부 경무국 도서과에 의해 생산된 출판물 검열 자료인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1927.12-1928.08)를 대상으로 하여, 출판 검열 제도와 사례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에 도서과가 신설된 1926년 4월 이후 만들어진 아동출판물에 대한 삭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전체 88종의 삭제 기사가 수록되어있다. 특히 88종의 자료를 정리하면서 이를 ‘민족주의적 독물(독서물)’, ‘사회주의적 독물’, ‘양자 모두 이용 가능한 독물’로 분류하고, 그 아래 10가지 항목을 두어 배치함으로써 검열된 사유를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항목과 분류 수록된 삭제 기사들은 당시 도서과가 신설된 이후 출판물에 대한 사상 통제를 위해 체계화시키기 시작한 검열 표준을 보완하고 강화한다는 의미가 크다. 본 연구는 이를 기존 연구에서 확인한 검열 표준과 대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서과가 아동출판물에 대해 새롭게 만든 검열 기준들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을 위해 지금까지 완역된 바 없는 일본어로 작성된 이 자료를 번역하고 해제하여 각 사례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ublishing censorship system and cases with 『The contents and classification of Eonmunsonyeon- sonyeodokmul(1927.12-1928.08)』 as the subject, which was publication censorship materials produced by the police bureau,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document contains deletions of children’s publications created after April 1926, when the Books Department was founded under the police bureau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which includes 88 deleted articles. In particular, while organizing 88 kinds of data, it was classified into ‘nationalist reading materials,’ ‘socialist reading materials,’ and’reading materials available to both parties’ and placed ten items below, enabling to confirm in detail the reason for censorship. These items and classified deleted articles have a great significance to complement and strengthen the censorship standards that have begun to be systemized to control the thought of the publicatio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department at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is with the censorship standards identified in the preceding studies to check the newly created censorship standards for children’s publications to trace their meaning. For this process, particularly, this material written in Japanese that has not been completed so far has been translated and released so that the meaning of each case can be confirmed in detail.

      • KCI등재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출판 · 독서 통제

        이중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8 No.-

        이 글은 일제 파시즘체제기 조선의 출판 · 독서문화 이해의 우선 조건인 출판 · 독서 통제의 출현과정을 究明한다. 중일전쟁 후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는 검열을 강화하면서도 검열 방침을 ‘소극적 금지’에서 ‘적극적 助長’으로 바꾸어 전쟁협력 도서를 많이 출판하도록 조선 출판계의 동원을 강제했다. 1938년 말부터 1939년 8월 사이에 도서과가 공표 · 기획 · 주도한 출판관련 제반 정책 · 행사, 곧 통제방침의 강화, 일제 전쟁문학서의 번역 · 보급, 일본군 위문사절, 문인 · 출판인 간담회 등을 통해 조선의 출판계는 전쟁동원을 위한 통제에 긴박되었다. 출판통제는 독서통제로 이어졌다. 독서의 자유는 공개적으로 부정되었고 금서조처 · 압수의 강화와 ‘焚書祭’를 통한 서적말살책, 나아가 전쟁동원 서적의 보급을 통해 독서인의 독서행위는 일제의 독서통제에 구속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earance process of publication & reading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 after the beginning of Sino-Japanese War(1937-1945). The book management section of the police administration bureau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BPC: 朝鮮總督府 警務局 圖書課] planned the publication control and carried out it. That was not only censoring, determining and confiscating the banned books, but also forcing the Korean publishing circles to publish the book to cooperate with Japanese Imperialism. At the end of 1938, the BPC declared openly two plans. One is the publication control and the other the distribution of the Japanese book about war. In April of 1939, under the control of BPC, Korean publishers were forced to take part in the mission of Korean literary men to visit Japanese army[皇軍慰問 朝鮮文壇使節], and in Sept. had to publish the book to propagandize war. The BPC had an informal gathering for discussion of Korean literary men and publishers in July of 1939, and ordered them to mobilize Korean publication. Through the BPC's plan of publication control and carrying out it in the years of 1938-1939, Korean publishing circles had to come under the rule of imperial Japan. An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deny the liberty of reading. The police administration bureau determined and confiscated many banned books, and in Aug. of 1939 executed the book burning event[焚書祭]. On the contrary, the books to propagandize war were became wide-spread. Eventually Korean readers were forced to read principally the books cooperating with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192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의 검열문건 연구 ― 『이수입 불온인쇄물기사개요』를 중심으로

        우시지마 요시미,문한별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the document "Summary of Imported Disquisition Publication Article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Drafted by the police bureau library, this document relates to the disquisition publication brought to Joseon from Japan, China, Manchu,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t specifically targets the censorship documents from September 1926 to September 1927, which look at the dismantlement and integration of disquisition organizations and their theories. This was a joint activity of the left and right political wings led by Singanhoe, and a reorganization of the groups that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ook place at that time. This was seemingly because even the left was undergoing a period of "redirection." In addition, these documents closely examine the cooperative relation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Communist Party and the terrorist activities of anarchic organizations. More importantly, they are the oldest documents found in the contents of the censorship documents as currently confirmed.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loration of the existence of publishing censorship documents at similar or earlier times. 이 글은 경성지방법원검사국의 문건인 『이수입불온인쇄물기사개요』를 해제 하고 그 의미를 확인한 것이다. 이 문건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 만주· 미국· 러시아로부터 조선으로 유입된 불온인쇄물에 관한 것이며, 작성자는 경무국 도서과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1926년 9월부터 1927년 9월까지 검열된 문서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각 불온단체 간의 해체· 통합과 그들이 주장하는 이론 을 주시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신간회에 의한 좌우합작활동으로 독립운동 단체 간의 개편이 이루어졌고, 또 좌파 내에서도 ‘방향전환’의 시기에 있었기 때 문으로 보인다. 그밖에 이 문건은 국제공산당 등 해외 단체와의 협력관계, 무정 부단체의 테러행위 등에 대해서도 주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하는 것 은 이 문건은 현재 확인되는 출판 검열의 내용을 알 수 있는 문건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에 해당되며, 이는 향후 유사한 시기나 혹은 보다 앞선 시기의 출판 검열 문서의 존재가 추가 발굴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