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 관련 위험에 대한 매스 커뮤니케이션,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다차원 건강통제소재가 공중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차동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58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s of mas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toward health related message(influenza A virus subtype HIN1) on public`s risk perception. Consistent with predictions derived from the impersonal impact hypothesis, the effects of mass communication were more evident in perceptions of risk to others rather than in perceptions of personal risk. Perceptions of personal risk were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owever, exposing to entertainment programs(e.g., movie, TV drama, TV show etc.) was related to judgements of societal risk, not to those of personal risk. Consequently, the impersonal impact hypothesis was supported. In contrast, the differential impact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risk perceptions seems very interesting. Only the dimension of powerful others, not the rest of two dimensions(internals and chance), affected both personal and societal risk perceptions on HIN1 influenza pandemic. Finally, it would be worthwhile to examine in great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societal risk perceptions. As with the results of some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personal and societal risk judgements had much variances in common. 본 연구의 목적은 비개인적 영향력 가설 및 차별적 영향력 가설을 적용하여 건강 관련 위험(신종 플루)에 대한 매스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다차원 건강통제소재가 공중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었다. 연구결과 비개인적 영향력 가설은 지지되었다. 대인 커뮤니케이션(가족/친척 및 전문 의료인과의 대화)은 사회적 위험지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개인적 위험지각에만 영향을 미쳤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TV오락물 및 인터넷)은 개인적 위험지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사회적 위험지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개인적 영향력 가설과는 달리 차별적 영향력 가설은 완전히 지지되지 못하고 부분지지 되었다. 즉, 선명성 면에서 타 매체와 구별되는 TV오락물은 사회적 위험지각뿐만 아니라 개인적 위험지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사회적 차원을 제외한 개인적 차원에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차원 건강통제소재와 위험지각 간의 관계는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차원 건강통제소재의 세 가지 기대성향 중 타인의존성향만이 개인적·사회적 두 차원 모두의 위험지각에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부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개인적 위험지각과 사회적 위험지각은 서로 상당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코로나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배양효과와 개인의 문화적 차이

        전종우(Jong-Woo Ju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유행하는 시기에 개인적 위험지각과 사회적 위험지각에 미치는 선행요인을 알아본 연구이다. 먼저, 인구통계적인 변인들은 두 가지 위험지각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여도는 개인적 위험지각과 사회적 위험지각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개인적 위험지각에 더 큰 영향력을 보였다. 미디어의 배양 효과에서는 뉴스 소비가 개인적 위험지각과 사회적 위험지각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SNS소비는 개인적 위험지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차원 중에서 집단주의는 개인적 위험지각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권력거리는 사회적 위험지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지향성은 두 가지 위험지각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코로나에 대한 위험지각에 미치는 미디어의 배양효과와 개인들의 문화적 성향의 효과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antecedents of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First of all, demographic variables did not influenced both two risk perception. Health involvement influenced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but showed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personal risk perception. For cultivation effects, news uses influenced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but SNS uses influenced only personal risk perception. Among cultural dimensions, collectivism only influenced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power distance only influenced social risk perception. Long-term orientation positively related with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Theses findings could provide implications of cultivation effects affecting COVID-19 risk perception and effects of individual cultural orient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운동지식과 건강위험지각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인경,김영호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목적: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 전공 그리고 운동참여형태에 따른 운동지식, 건강위험지각 그리고 신체활동 의 차이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운동지식과 건강위험지각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대학생 4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4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남성:178, 여성: 252, 평균연령: 20.453 세). 설문지 구성내용은 총 46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4문항, 운동지식 30문항, 건강위험지각 5문항, 신체활동 7문항으 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23.0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 처리하였고, 기술통계,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성, 전공, 운동참여유형에 따라 운동지식, 건강위험지각 그리고 신체활동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생의 운동지식은 신체활동에 영향이 없었으며, 성, 운동참여 유형에 따라 그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지각요인이 차이가 있었다. 논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전략은 대상자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major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methods: Four hundred fift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Among them, total 430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178, female: 252, Mage=20.453years). The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 23.O.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the college student’s gender, major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Exercise knowledge among college students did not affect physical activity and there were differences factors that affected their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gender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conclusion: Intermediation strategies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ubject. In addition, in-depth discussions about results of this study and follow up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

        이문숙 ( Moon-sook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이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일대의 공원과 등산로에서 걷기에 참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걷기 경험이 3년 이상, 주 2회 이상으로 하였다. 148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설문지를 작성 및 수집하였고 13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자기효능감, 건강위험지각, 운동지속의지로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WIN VER 24.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지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과 운동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위험지각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walking during covid-19.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8 walking partipants aged over 65 years in D-city and 137( over 3 years, 2 times a week) of them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health risk perception scal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cale. SPSS WIN VER 24.0 and Amos 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risk percep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direc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mediated by health risk perception.

      • KCI등재

        Covid-19 위험지각, 관광지이미지와 재이용의도 -건강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주형 ( Lee Jooh-yeo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위험지각이 관광지 이미지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광지 이미지의 매개효과 그리고 건강의식의 조절효과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제주도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273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25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R기반의 분석으로 자모비(Jamovi Program)통계 프로그램으로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분석과 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코로나19 위험지각이 재이용의도에 부(-)의 영향이 도출되어 가설1은 채택되었다. 가설 2의 분석 결과, 코로나19 위험지각이 관광지이미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의 분석결과, 관광지 이미지는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설3은 채택되었다. 가설4는 관광지 이미지의 매개효과 분석으로, 코로나19 위험지각과 재이용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가설4는 채택되었다. 마지막 가설5는 건강의식이 코로나19 위험지각과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설5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의 배경을 바탕으로 단일요인으로서의 역할이 관광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위험지각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기존 선행연구를 확장했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게다가, 웰니스 및 웰빙의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요즘 건강의식 변수를 통해 조절관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re-patronage intentions.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re-patronage,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in the travel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re-patronage intentions. The survey for analysis was distributed to tourists who had visited Jeju Island, and 25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responsive and insincere surveys. As an analysis metho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analysis, and moderation analysis were analyzed with the R-based Jamovi program. The hypothesis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COVID-19 risk perception has a negative (-) effect on re-patronage intention as adopted. Hypothesis 2, COVID-19 risk perception has a negative (-) effect on tourism destination image as adopted. Hypothesis 3: tourism destination image has a positive (+) effect on re-patronage intention. Hypothesis 4: tourism destination image has partially mediating effectㄴ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re-patronage intentions and as adopted. Lastly, Hypothesis 5: health consciousnes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re-patronage intention. In this study, from the background of COVID-19, the role of risk perception as a single factor was examined so that risk perception of previous study as several factors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studies, and additionally, it seems crucial in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in wellness and well-being lifestyle trend oriented society.

      • KCI등재

        COVID-19 시대에서 중국인 잠재관광객의 한국관광에 대한 위험지각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건강신념모델 적용 -

        진미안 대한관광경영학회 2022 觀光硏究 Vol.37 No.5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있는 지금에 한국과 중국은 전혀 다른 방역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조만간 양국 간의 여행금지 조치가 풀리게 되면 수백만 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다시 한국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인 잠재관광객의 한국 관광에 대한 위험지각과 관광 행동의도간의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 대유행 시기에 관광행동은 지속적으로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행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COVID-19 시대에서 중국인 잠재관광객이 한국 관광에 대한 위험지각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 위험지각은 건강신념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 요인 중 지각된 이익, 자기효능감이 한국관광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장애, 행동의 단서, 주관적 규범이 한국관광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한국관광에 대한 위험지각, 건강신념의 부분 하위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분석되었다. 향후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련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기초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 신념 모델 집중

        양은영,김봉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관련 지식, 감염위험지각, 건강신념과 감염예방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코로나-19예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행위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G광역시 간호학과 4학년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ant t-test, ANOVA, 피어슨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코로나-19 관련 감염예방행위는 감염위험지각(r=.217, p=.006), 건강신념 중 지각된 혜택(r=.260, p=.009)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고, 건강신념 중 지각된 장애성(r=-.219, p=.005)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감염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건강신념 중 지각된 혜택(β=.17, p<.001)과 코로나-19 감염 이후 정신적 변화(β=.19, p=.014)이었고,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행위 실천율 영향 요인 정도를 58% 설명하였다(F=9.68, p<.000).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신념 증진 프로그램, 감염관련 커리큘럼 그리고 정서적인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감염예방행위 실천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OVID-19-related knowledge, perception of infection risk, and health belief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on behaviors,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improve the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from 161 nursing students 4th in G city. Data analysis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a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ventive Behavior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VID-19 Risk Perception(r=.217, p=.006), Health Belief Model of Perceived benefit(r=.206, p=.009)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barriers(r=-.219, p=.005).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e Preventive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were the Perceived benefit (β=.17, p<.001), mental health status after COVID-19(β=.188, p=.014),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8% in Preventive Behaviors(F=9.686, p=.000).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nursing students' health belief promotion programs, infection-related curriculum,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s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degree of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 KCI등재

        종합적 사고경향이 코로나 19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낙인효과

        우미원 ( Mi Won Woo ),이종윤 ( Jong Yoon Lee ),전종우 ( Jong Woo Ju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상황에서 사람들의 종합적 사고경향이 코로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낙인효과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국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표본을 수집하였다. 가설로 제안한 연구 모델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종합적 사고경향은 사람들의 건강관여도와 긍정적인 관계에 있었다. 하지만, 종합적 사고경향이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건강관여도는 개인적인 위험지각과 사회적인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지각을 따로 보면 개인적인 위험지각은 환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사회적인 위험지각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환자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인 위험지각은 예방행동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환자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예방행동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 사태에서 사람들의 문화적인 특징인 종합적 사고경향의 역할과 감염병 낙인효과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effects of holistic thinking on Corona 19 perception and stigma effects in the situation where Corona 19 has spread worldwide. The general sampling survey was used to collect rresearch data. the results of SEM analyses showed that holistic thinking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alth involvement. We could not find roles of holistic thinking on risk perception. Health involvement influenced personal and social risk perception. Personal risk perception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patients, and social risk perception positively influenced at the limited level. Social risk perception influenced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 directly. Positive attitudes toward patients positively related to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roles of holistic thinking and stigma effects.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COVID-19 인식 차이

        유산산,전종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65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of COVID-19 Percep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 situation where COVID-19 is prevalent around the world. We conducted a survey o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o find out the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nese people had higher health involvement,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risk perception than Korea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ever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were more active in their intention to take preventive behaviors related to COVID-19. Looking at the effects of COVID-19 perception variables on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health involvement, social risk perception, and seriousness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 Breaking it down by country, Korea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overall results, but for Chinese, only health involvement and social risk perception affected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 but not seriousness percep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COVID-19 can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and can be explained by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에 유행하는 상황에서 국가별 코로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 본 것이다.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중국인들이 한국인들보다 건강관여도, 개인적 위험지각과 사회적 위험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성 지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코로나19와 관련된 예방행동의도도 중국인들이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인식 변인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건강관여도와 사회적 위험지각, 심각성 지각이 질병예방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국가별로 나누어 보면 한국인들은 전체 결과와 크게 차이가 없었지만 중국인들은 건강관여도와 사회적 위험지각만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심각성 지각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에 대한 인식과 행동이 국가별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문화적인 차이와 사회적인 차이로 설명이 가능하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 19 시대의 여행 회피 결정요인에 대한 인지심리적 접근

        이경여,정지연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6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ravel audience during the COVID-19 outbreak.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verify TriRisk - a risk perception scale proposed by Ferrer et al.(2016), 2) to confirm the determinants of travel avoidance intentions along with demographic variables by deriving the concept of perceived severity and risk perception, and 3)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travel frequency and the old and weak.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July 26, 2020 to August 7, 2020 when travel restriction measures and social distancing policy were enforced in South Korea due to COVID-19.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ose aged 20 and over, and 279 samples were included in data analysis. Us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authors confirmed that gender, education level, area of residence, affective risk perception, and perceived physical severity positively influenced travel avoidance intentions. Additionally, the old and weak and travel frequency exerted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ender and travel avoidance intention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contributions to the field by applying TriRisk perception to convey better knowledge of the decision making of travel avoidance in the pandemic era. It also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by suggesting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tailored to target markets. 감염병으로 인해 여행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이 좌절되는 데 있어 사람마다 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COVID-19)가 창궐한 시기에 여행을 회피하고자 하는 개개인의 결정요인을 인지심리적 접근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Ferrer et al.(2016)이 제시한 질병의 위험지각 척도인 TriRisk의 적용여부를 검증하고, 둘째, 지각된 심각성과 위험지각을 이론적 렌즈의 틀로 개념을 도출해 내어, 인구통계변수와 함께 여행 회피 의도의 결정요인을 확인하는 것, 셋째, 평소 여행 횟수, 주변에 건강이 염려되는 노약자 유무의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0년 코로나 19로 여행과 이동 제한 정책을 실행하던 상황에서 7월 26일부터 8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 성인의 자료를 수집하고 최종 279부를 분석하였다.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변수 중 성별, 학력, 거주지가, 지각된 심각성 중 신체적 심각성이, 위험지각 중 정서적 위험지각이 여행 회피의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위험지각이 높은 그룹은 여행 회피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변에 노약자 유무와 평소 여행 횟수는 성별에 따라 여행 회피의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방의학에서 주로 다루는 개념인 세 가지 위험지각 요인을 관광학에 처음으로 접목시켜 코로나 19와 여행 회피의 의사결정 개념을 제시하였다는 학술적 기여를 하였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여행이 제한된 시기에 여행의 개인적 결정요인 확인을 통해 타겟층에 맞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