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4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서구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무시되었던 집단주의 경향성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여 참여관리나 팀제와 같이 집단주의적 가치에 기반을 둔 조직관리 기법들을 적용하고 있다. 반면에 집단주의 경향성이 강한 한국에서는 오히려 개인주의적 가치에 기초한 성과보상 시스템이나 조직관리 기법들이 도입·운영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경찰은 업무와 특수성들로 인해 개인주의적 요소와 집단주의적 경향성이 혼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을 측정한 실증 연구는 전무했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이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경찰공무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을 측정하고,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경찰공무원들은 개인주의적인 성향과 집단주의적인 성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개인주의적인 성향보다는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공무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규범(+), 신념(+), 가치(-)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조직몰입의 하위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몰입과 지속몰입의 경우 직무만족과 마찬가지로 규범(+), 신념(+), 가치(-)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찰조직의 관리자는 조직구성원들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의 장점을 수용하여 두 가지 성향의 특성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통합적인 조직문화를 만들어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Individualism-Collectivism Value is an important parameter affecting the Job Attitude. Recently in the United Stat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new collectivism have been relatively ignored in the Western world. and introduced the organization``s management methods that emphasize the Collectivism Value(participation management and team system). On the other hand In South Korea(Collectivism Value is the dominate), introduced the organization``s management methods that emphasize the Individualism Value(Performance Management (based on individualism). This study examines how Police Officer``s Individualism- Collectivism Value affects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Personal value orientation is a predisposition which might have great influence on the behavior in the organization. The Police Officer``s Individualism-Collectivism Value &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Individualism-Collectivism Value affects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has been examined. As a result, Police officials have a tendency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 tendencies at the same time and it appeared to have more collectivist than individualist tendencies.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 KCI등재

        정서적 가족주의와 문화적 가치가 일반신뢰와 특수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수인(Lee, Soo In)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2

        본 연구는 가족주의를 사회문화적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한 범주체계이자 다양한 이념들의 집합체로 간주하여 정서적 가족주의를 독립변수로, 정서적 가족주의와 대인신뢰 모두에 영향을 줄 것으로 알려진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와 수평적 - 수직적 개인주의라는 문화적 가치를 또 다른 독립변수이자 통제변수로 설정한 후, 이들 변수들이 일반신뢰 및 특수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문화적 가치가 통제되지 않은 모델에서, 정서적 가족주의는 일반신뢰와 특수 신뢰 모두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수신뢰보다 일반신뢰에 대해 두드러진 영향력을 드러냈다. 집단주의적 가치가 통제되었을 때, 일반신뢰에 대해서는 수평적 집단주의 효과가 두드러지고 정서적 가족주의의 효과는 약간 완화되었다. 특수신뢰에 대해서는 정서적 가족주의의 효과가 사라지고 수직적 집단주의의 효과만 나타났다. 이것은 정서적 가족주의가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와 공유하는 특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정서적 가족주의의 일반신뢰에 대한 효과는 수평적 집단주의와 공유하는 특성의 효과 이외에도 그 자체의 고유한 특성의 효과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개인주의가 통제된 모델에서 일반신뢰나 특수신뢰에 대한 정서적 가족주의의 효과에는 별 변화가 없었다. 수평적 개인주의는 두 유형의 신뢰 모두와 관련이 없었고 수직적 개인주의가 일반신뢰에 대해서는 부적인 효과를, 특수신뢰에 대해서는 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 모델에서 수직적 개인주의의 효과가 나타나고 정서적 가족주의의 회귀계수에서 약간이나마 변화가 발생한 것은 정서적 가족주의가 수직적 개인주의와 약간이지만 관련 부분이 있음을 뜻한다. 그만큼 한국사회 대학생들이 갖는 정서적 가족주의 안에 수직성이 많이 내포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집단주의 - 개인주의 가치가 모두 통제된 모델에서 일반신뢰에 대해서는 정서적 가족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가 정적인 효과를, 수직적 개인주의가 부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특수신뢰에 대해서는 수직적 집단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집단주의가 효과를 나타냈다. 수평적 집단주의가 일반신뢰에 대해 가장 효력이 있는 동시에 특수신뢰에 대해서도 효력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정서적 가족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가 일반신뢰와 특수신뢰 모두와 관계를 맺는 것은 가족주의와 결합한 집단주의의 효과가 양면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집단주의의 경우 일면적으로 좋은 공동체에 기능적이거나 역기능적인 가치가 아니라 구체적 조건과의 결합에 따라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도, 역기능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considered familism as the changeable category system and a aggregate of various ideas.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et up emotional familis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generalized trust and the particularized trust as dependent variabl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function as control variables too. When the analysis model don’t include cultural values, the emotional familism is related with all of the generalized trust and the particularized trust but it is more related with the generalized trust than the particularized trus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is controlled, The effect of the horizontal collectivism for the generalized trust is remarkable but the effect of emotional familism for it is a little decreased. This means that the emotional familism has som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effect of emotional familism for the generalized trust comes from som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the emotional familism too. When the analysis model inclu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the effects of emotional familism for the two types of trust change little. The horizontal individualism has no relation with two types of trust. The vertical individualism has some negative effect for the generalized trust and some positive effect for the particularized trust. In this model, the effect of the vertical individualism appears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emotional familism has a little change. This means that the emotional familism has a littl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vertical individualism. When all of the collectivism and the individualism are putted into analysis, the generalized trust has positive relation with the emotional familism and the horizontal collectivism but it has negative relation with the vertical individualism. The particularized trust has relation with the vertical collectivism, the vertical individualism and the horizontal collectivism. The horizontal collectivism has the best effect for the generalized trust, at the same time it has a little effect for the particularized trust. Besides all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generalized trust and particularized trust have meaning correlations. The contrasted effect of the horizontal collectivism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four values mean that the collectivism, at least, in context of relational culture like korean society is functional or disfunctional one-sidely, According to the mode of incorporating collectivism into the concrete conditions, it can be functional or disfunctional for the ‘good community.’

      • KCI등재후보

        The Function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in the Choice of Information Sources for Product Purchase Decision-Making

        황장선 한국광고홍보학회 200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7 No.1

        The current study dealt with the collectivism-individualism, which has been widely known for its explanatory power of different cultures. The study employed this cultural construct, instead of conducting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for a homogeneous consumer market and examined whether the collectivism-individualism personality can influence consumers' external search behavior, especially preference of various information sources. Basic assump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was the fact that collectivistic consumers would prefer the personal sources, since they are expected to value others' thoughts. On the contrary, individualistic consumers are supposed to prefer nonpersonal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ads, the Internet, and commercials. Additionally, time pressure (short-term v. long-term) was predicted to moderate this major relationship. The study employed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ith 382 valid samples from a large southwestern university in the US. 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manipulate the levels of time pressure. The finding supports this hypothetical relationships roughly. Especially, collectivistic consumers preferred personal sources such as friends, family, and neighbors, while individualistic consumers preferred nonpersonal sources including commercials. Under the strong time pressure, this difference of source preference did not revealed, while the relationship remained under the weak time pressure (long-term). The study suggests that marketing communication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how collectivistic (or individualistic) their target consumers are and to apply their findings to the media planning and message strategy. Following studies need to enlarge the current findings with more various consumers, cultures, and product categories. 본 연구는 비교 문화 연구에서 지난 20여 년 간 문화간 행동의 차이에 대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다루어져 온 집단주의-개인주의 (Collectivism-Individualism)에 대해 초점을 두었다. 현재까지의 대부분 연구들이 둘 이상의 다른 문화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 집단주의-개인주의 변인을 다루어 온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이것을 한 국가내의 동질적인 소비자들이 다양한 제품과 관련된 정보원들 (Information sources)을 선호하는 현상의 설명 요인으로 규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소비자 행동의 과정에서 정보 탐색은 지난 50여 년간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정보 탐색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검증하는 데에 치우쳐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원들을 제시하고 어떤 정보원을 더욱 선호하는 지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집단주의-개인주의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처리되었다. 덧붙여, 시간상의 제약 (Time pressure)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즉, 구매 결정까지 허락된 시간이 매우 짧다면,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적 소비자들의 성향이 각 정보원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며, 시간의 제약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집단주의적 소비자들이 개인적 정보원 (personal sources)을 선호할 것이며, 개인주의적 소비자들은 광고와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비개인적 정보원 (nonpersonal sources)을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집단주의적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생각을 중시하는 반면, 개인주의적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더욱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이론에 근거한 것이다.실험은 미국의 남서부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n=382), 시간의 제약을 시나리오로 조작하기 위해 두 개의 다른 실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최초 480의 샘플 중 집단주의적 집단과 개인주의적 집단을 나누기 위해 중앙치를 중심으로 가까지 분포한 20%의 샘플을 무효화하고 나머지 집단주의적으로 평가된 40% 샘플과 개인주의적으로 평가된 40%의 샘플이 분석되었으며, 유효하지 않은 샘플들은 일부 제외되었다. 주요 실험 가설들은 대부분 지지되었다. 즉, 집단주의적 소비자들은 개인주의적 소비자들보다 개인적 정보원을 더욱 선호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친구와 가족에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반면, 개인주의적 소비자들의 TV 및 라디오 광고물들을 참고하겠다는 의견은 집단주의적 소비자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시간의 제약이 매우 강하게 주어진 경우에 있어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지만, 시간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없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정보원에 대한 차별적 선호가 잘 드러났다. 향후 실무자들은 해당 타겟 집단에 대한 매체 전략과 메시지 전략 등을 수립할 때에 이러한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참고하여야 할 것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샘플과 기타 변인들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개인이 바랄만한 개인주의 : 동아시아 문화에서 개인주의 발견의 정당성

        모기룡(Mo, Ki Ryo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8 No.-

        서양의 문화와 사고방식은 개인주의적이고 동양은 집단주의적이라는 생각은 최근까지 비교문화학과 사회심리학에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이분법을 비판하는 주장들이 있었고,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적 성향이 집단주의와 다르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하지만 ‘관계적 집단주의’처럼 동양의 관계주의를 집단주의에 속하거나 그에 가깝다고 보아왔다. 최근에는 동양의 오래된 문헌과 사상에서 개인주의적 속성을 찾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그것을 개인주의로 보는 것이 정당한지, 그리고 그 시도의 필요성의 정당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개인주의는 여러 가지 가치적 요소들의 혼합이며, 분리적 관점과 이익적 관점으로 개념화시킬 수 있다. 서양 문화의 산물인 분리적 개인주의는 독립성과 비의존성을 강조하는 반면, 이익적 개인주의는 개인의 이익을 위해 ‘관계적 자율성’을 가질 수 있다. 동기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관계적 성향이 강한 동양 문화권 사람들도 자신의 이익을 가장 중시함을 보고하였다. 사회적 분리는 개인에게 많은 고통과 불행을 낳는다. 분리적 개인주의는 그 자체로 분리와 고독의 치명적 단점을 가지면서 개인의 이익을 우선한다는 내적 모순을 가지고 있다. 동아시아 문화에서 찾을 수 있는 개인주의는 이익적 개인주의이며, ‘관계적 개인주의’이다. 그것은 분리적 개인주의가 낳는 문제를 개선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Until recently, cross-cultural studies and social psychology have accepted the idea that Western culture and their ways of thinking are individualistic while Eastern culture is more inclined toward collectivism. However, there have been counter-arguments that criticized the dichotomy betwee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addition to claims that the relational tendencies of East Asian culture are different from collectivism. Nonetheless, similar to “relational collectivism,” Eastern relationalism has continued to be considered as collectivism or close to it. There has been a recent emergence of studies that identify individualistic inclinations in the old Eastern literature and thoughts, which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fair to classify such a disposition as individualism and what is the justification behind such an attempt. Individualism is a compound concept conceived through various elements of values and can be conceptualized from a perspective of separation and a perspective associated with self-interests. Separative individualism, a product of Western culture, highlights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while individualism associated with self-interest can have “relational autonomy” for the interest of an individual. Empirical studies on motivation reported that individuals with strong relational tendencies from Eastern culture also give priority to their own interests. Social separation causes considerable suffering and unhappiness for individuals. Separative individualism itself has an internal contradiction as it prioritizes individual interests while having fatal flaws of separation and loneliness. The individualism found in East Asian cultures is the individualism associated with self-interests and “relational individualism.” This can be an alternative to ameliorate the issues generated by separative individualism.

      • KCI등재

        대학생의 집단주의․개인주의, 가족탄력성 및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응의 관계

        김민경 한국인간발달학회 2012 人間發達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치체계인 집단주의․개인주의, 가족탄력성,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를 파 악해보며 집단주의와 개인주의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권에 있는 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사회적응은 신선인(2001)의 한국일반 정신건강척도(KGHQ) 중 사회적응 문항을 추출하여 사 용하였으며, 가족탄력성은 유영주(2004)가 개발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중에서 가족탄력성 문항을 추 출하여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집단주의․개인주의는 Triandis(1994)가 개발하고 김의철(1997)이 번안한 척도 를, 자아탄력성은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중 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가족탄력성, 자아탄 력성, 사회적응과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즉 집단주의가 높은 경우 개인주의도 높게 나타나고, 가족탄력성도 높고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응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주의․개인주의가 사회적응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에서 집단주의․개인주의는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 관계에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집단주의․개인주의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서 집단주의․개인주의는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 관계에 집단주의와 사회적응에 대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대학생의 사회적응에 가족탄력성 보다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성향과 변화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한 시각과 함께 민속문화를 통해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어떤 양상으로 발현되고 확대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가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문화와의 조화가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주체가 개인인가 집단인가에 따라 목적과 방향이 확연히 구분되는데, 분명한 것은 개인주의는 ``개인의 이익 극대화``인 반면에, 집단주의는 ``집단 이익의 극대화``라는 점이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개인을 확대하면 집단이 되고 집단을 축소하면 개인이 되듯이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끝임 없이 개인과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중요한 의미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서 집단의 범위와 정도를 어떻게 보는가의 문제도 중요하며, 그 준거에 따라 인식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을 살폈다. 이를 토대로 민속문화 가운데 세시풍속에 담긴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한 의미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나``라는 개인이 존재하면서도 ``나``를 포함한 집단의 상호성이 긴밀하다. 즉개인적 목표가 내집단에 종속되며, 상호의존적, 내집단이 심리적 장의 중심이 되며 결과적으로 행위를 통해 ``우리``라는 의식이 비교적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즉 나와 우리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독립적이면서 상호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가정신앙과 마을신앙 그리고 풍수에 기반 한 조상묘와 입석의 사례 등에서도 확인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민속문화에 나타난 집단주의는 집단(마을)을 위한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마을사람들)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있는데, 다만 개인과 집단 가운데 어디에 초점을 두고 행하는가에 차이 일뿐 그 명확한 경계선은 없다. 이외 장자못전설과 유교이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도 민속문화에서 지향하는 개인과 집단이 결코 개별적이거나 독립적이지 않다는 점을 살폈다. 또한 문화형태가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개인과 집단이 결국 하나의 세트가 되어 맞물려 있고 상호 조화를 추구하는 문화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외적 혹은 내적요인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는 상황 속에서 민속문화를 통해 앞서 제시한 전통적 가치의 장점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상호보완적인 관계 즉, 조화를 이룰때 가장 이상적인 이념체계임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ism is shown and groupism is expandedthrough folk culture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cceeding to traditional values and harmony with modern culture based on them. Among folk culture, there is an individual called me and close group interaction including ``me`` in seasonal customs. That is, it can be found that me and u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not existing individually. This point was found in household religion, village beliefs, and the graves of our ancestors and menhir(立石) based on feng shu. In the e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groupism shown in folk culture just depends on cultural forms which is focused on. It was found thatindividuals and groups seek for mutual harmony as a set. Finally, it again emphasized the ideal ideology when traditional values continue to develop through folk culture and individualism and groupism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s they continue to chang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개인주의-집단주의 사고가 주변시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시각자극 변화탐지과제를 중심으로

        현이원,손명호,신현정,이동훈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6 No.2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top-down influence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thinking on the informational processing of peripheral vision. Using a cultural priming task we primed the thinking style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for two groups of subjects respectively and conducted two types of change detection tasks with them in Exp 1 and 2. The change detection tasks were embedded in a dual task paradigm with a primary memory task for four numbers presented in the central vision area (visual angle < angle <4°) in order to control subjects’ eye fixation with attentional focus to the central region when perceiving visual stimuli presented in the peripheral vision area. Visual stimuli for the change detection tasks consisted of eight circles with various colors and sizes and were presented in a relatively near distance (visual angle <8°) and a far distance (visual angle <14°) to the central region. When the number stimuli for the memory task were to be disappeared, the change of visual stimuli could be occurred with changes of color saturation and size respectively or both of randomly selected two circles among the presented eight stimuli. We defined the change of the color saturation as the target feature and the size as the distracting features for both change detection tasks in Exp 1 and 2. However, the decision rules for two tasks were different. For the Exp 1 which we named the inclusive change detection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tect if the change of visual stimuli included the change of target feature, i.e., the change of color saturation. For the Exp 2 named the exclusive change detection task, participants had to detect if only the target feature was changed, otherwise they had to reject all the other cases including the case that the target feature and distracting feature changed simultaneously. In results from Exp 1 and 2, there was a significant priming effect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when the visual stimuli was presented in the near distance. Results of Exp 1 showed the better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ism priming group when the target feature was changed, while results of Exp 2 showed the more accurate rejection responses of collectivism priming group when the target and distracting features changed simultaneously.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we insisted that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o not modulate the range of attentional allocation, but induce different informational processes. Namely, the individualism may facilitate the selective informational process for the information directly related to current task, while the collectivism may increase the distributed informational process for all the information in the situation including distracting information. 본 연구는 개인주의 혹은 집단주의적 사고가 주변시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에서는 문화점화 과제를 사용하여 개인주의 및 집단주의 사고를 각각 점화한 두 집단의 실험참가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변화탐지과제를 실험 1, 2에 걸쳐 진행하였다. 변화탐지과제는 화면에 제시된 자극을 지각하는 동안 시선과 주의 이동을 통제하기 위하여 화면 중앙(시각도 4°)에 제시된 4개의 숫자를 기억하는 1차 기억과제를 수행함과 동시에 숫자자극 주변에 존재하는 시각자극의 특정 속성의 변화를 탐지 하는 이중과제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변화탐지를 위한 시각적 자극은 크고 작은 크기를 가진 다양한 색상의 8개의 원들로 구성되었고, 화면 중앙에 가깝게(시각도 8°), 혹은 멀게(시각도 14°) 제시되었다. 주변 시각자극들은 기억해야 하는 숫자들이 사라질 때 때때로 변화하도록 조작되었는데, 제시된 8개의 원들 중 임의의 두 원의 색의 채도와 크기가 각각 변화하거나 혹은 동시에 변화하도록 조작하였다. 실험 1과 2에서 모두 자극의 채도 변화를 변화탐지 표적속성으로 크기 변화는 방해속성으로 규정하였으나, 변화탐지 기준이 서로 달랐다. 실험 1: 포함적 변화탐지 과제에서는 방해 속성인 크기 변화 유무에 상관없이 채도가 변화하면 모두 탐지하도록 하였고, 실험 2: 배타적 변화탐지 과제에서는 표적 속성인 채도만 변화할 경우 탐지하도록 하였다. 실험 1, 2의 결과, 시각 자극이 가깝게 제시된 조건에서 개인주의/집단주의 점화에 따라 상이한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실험 1에서 표적 속성인 채도 변화가 있는 경우 개인주의 점화집단이 집단주의 점화집단 보다 정확한 반응을 하였고, 실험 2에서 채도와 크기가 동시에 변화하는 경우 집단주의 점화집단이 개인주의 점화집단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기각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들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사고방식이 주의를 할당하는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질적으로 다른 정보처리를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개인주의 사고는 과제 수행의 일차적 목표와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선택적 정보처리를, 집단주의 사고는 과제 목표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방해 속성을 포함한 다른 정보도 함께 처리하는 분산적 정보처리를 유도할 수 있다.

      • KCI등재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성향과 변화

        서해숙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1 No.-

        This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ism is shown and groupism is expanded through folk culture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cceeding to traditional values and harmony with modern culture based on them. Among folk culture, there is an individual called me and close group interaction including ‘me’ in seasonal customs. That is, it can be found that me and u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not existing individually. This point was found in household religion, village beliefs, and the graves of our ancestors and menhir(立石) based on feng shu. In the e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groupism shown in folk culture just depends on cultural forms which is focused on.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and groups seek for mutual harmony as a set. Finally, it again emphasized the ideal ideology when traditional values continue to develop through folk culture and individualism and groupism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s they continue to change in modern society. 본 연구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한 시각과 함께 민속문화를 통해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어떤 양상으로 발현되고 확대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통적인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가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문화와의 조화가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주체가 개인인가 집단인가에 따라 목적과 방향이 확연히 구분되는데, 분명한 것은 개인주의는 ‘개인의 이익 극대화’인 반면에, 집단주의는 ‘집단 이익의 극대화’라는 점이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개인을 확대하면 집단이 되고 집단을 축소하면 개인이 되듯이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끝임 없이 개인과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중요한 의미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기서 집단의 범위와 정도를 어떻게 보는가의 문제도 중요하며, 그 준거에 따라 인식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을 살폈다. 이를 토대로 민속문화 가운데 세시풍속에 담긴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한 의미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나’라는 개인이 존재하면서도 ‘나’를 포함한 집단의 상호성이 긴밀하다. 즉 개인적 목표가 내집단에 종속되며, 상호의존적, 내집단이 심리적 장의 중심이 되며 결과적으로 행위를 통해 ‘우리’라는 의식이 비교적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즉 나와 우리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독립적이면서 상호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가정신앙과 마을신앙 그리고 풍수에 기반 한 조상묘와 입석의 사례 등에서도 확인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민속문화에 나타난 개인주의는 자신의 이익을 위한 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민속문화에 나타난 집단주의는 집단(마을)을 위한 문화적 행위이고, 이 행위를 통해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마을사람들)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있는데, 다만 개인과 집단 가운데 어디에 초점을 두고 행하는가에 차이 일뿐 그 명확한 경계선은 없다. 이외 장자못전설과 유교이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도 민속문화에서 지향하는 개인과 집단이 결코 개별적이거나 독립적이지 않다는 점을 살폈다. 또한 문화형태가 어디에 초점을 두고 있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개인과 집단이 결국 하나의 세트가 되어 맞물려 있고 상호 조화를 추구하는 문화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외적 혹은 내적요인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는 상황 속에서 민속문화를 통해 앞서 제시한 전통적 가치의 장점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현대사회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상호보완적인 관계 즉, 조화를 이룰 때 가장 이상적인 이념체계임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창의성 팀 활동에서 개인주의·집단주의에 의한 팀 구성방식이 집단창의성과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재기(Kwon, Jae Ki),정미경(Chung, Mi Ky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라 팀을 구성한 후, 팀에 따른 집단창의성과 집단효능감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팀은 세 개 팀으로 집단주의 성향이 높고 개인주의가 낮은 강한 집단주의, 개인주의가 높고 집단주의가 낮은 강한 개인주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이 뚜렷하지 않은 이질집단으로 구성된 비교집단이다. 팀 구성에 따른 집단창의 성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면, 강한 집단주의가 지속적으로 집단창의성이 향상되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유사하게 비교집단도 향상되었으나, 창의성 활동의 중반 이후부터는 상승폭이 작고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강한 개인주의는 시간이 지날수록 집단창의성이 감소되었다. 집단효능감의 변화에서는 강한 집단주의는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나, 강한 개인주의는 초기부터 낮은 집단효능감을 보이며 낮게 유지되었다. 비교 집단의 경우 초기 높았던 집단효능감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 구는 창의성 계발을 위한 팀 활동 시 팀 구성방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고, 팀 구성방식에 따라 창의적 결과 및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효과적인 팀 구성방식을 제안한 점에서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함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s of group creativity and group efficacy according to individualism-collectivism. The team consisted of three groups: a strong collectivist group with a high tendency toward collectivism, a strong individualism with a low individualism, and a heterogeneous group with a low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t tendency. In the longitudinal change of group creativity according to team composition, strong collectivism showed the highest growth because group creativity was continuously improved. Likewise, the group creativity was improved in the comparison group, but the rise was small and maintained from the middle of the creativity activity. On the other hand, strong individualism decreased with time as the group creativity. In the change of group efficacy, strong collectivism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ntinuously over time, but strong individualism maintained low group efficacy from the beginning. In the comparison group, the initial high group efficacy gradually decreased as time passed. This study suggests a need to be careful about team formation method in team activity for creativity development and confirmed that creative results and effect wer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eam formation method. Especially, it has a practical implication for creativity education in that it suggests effective team composition method.

      • KCI등재

        사회적 배제맥락이 개인주의적 메시지와 집단주의적 메시지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조형오,양우흔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광고연구 Vol.- No.139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맥락의 차이에 따라서 개인주의적 혜택 또는 집단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의 상대적 효과가 달라지는지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만일 그렇다면 그 차이가 어떠한 심리적 매개경로에 의하여 발생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20대 성인남녀 2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가상적인 이벤트에 대한 개인주의적 메시지 또는 집단주의적 메시지에 노출시킨 후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거절 맥락에서는 집단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가 개인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보다 이벤트 참여의향을 높여주는 반면, 무시 맥락에서는 개인주의적 메시지가 집단주의적 메시지보다 이벤트 참여의향을 강화시켰다. 둘째, 사회적 배제맥락에 따라서 개인주의-집단주의적 메시지 유형의 상대적 효과가 존재감위협과 자존감위협에 의하여 매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절맥락보다 무시맥락에서 존재감위협과 자존감위협을 더 많이 느끼며, 존재감위협과 자존감위협을 더 많이 느낄수록 개인주의적 메시지 노출 시 이벤트 참여의향이 높아지는 반면, 집단주의적 메시지 노출 시 이벤트 참여의향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맥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차이, 구체적으로 배제이유의 명시성 정도에 따라서 개인의 행동동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결과 개인주의적 혜택 또는 집단주의적 혜택을 강조하는 메시지에 대한 수용도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how different social exclusion contexts impact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messages, and identified the psychological factors behind such effects. An online experiment involved 240 adults in their 20s exposed to a fictitious event emphasizing either individualistic or collectivistic messages on an online video service platform(OTT). Results revealed that in a context of rejection, the collectivistic message increas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more than the individualistic one, while in a context of being ignored, the individualistic message led to higher participation willingness than the collectivistic one. Additionally, threats to meaningful existence and self-esteem played a key role in mediat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collectivistic versus individualistic messages in the social exclusion context. Subjects perceived more threats to meaningful existence and self-esteem when ignored than when rejected, strengthening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individualistic event and decreasing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istic ev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exclusion context, specifically the explicitness of the context, drives individual’s behavioral motivation and, consequently, determines their reaction to a message emphasizing individualistic or collectivistic benef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