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설시조와 감각 체험의 시적 형상

        이형대 한국시가학회 2019 韓國 詩歌硏究 Vol.46 No.-

        이 논문은 사설시조에 나타난 감각 체험의 몇 국면을 해명하고자 작성된 일종의 시론이다. 이 글에서 관심을 둔 부분은 다음 몇 가지이다. 첫째는 조선전기 평시조와의 대비적 고찰을 통해 사설시조가 지닌 감각 표현의 특이성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성리학을 기축 이념으로 설정했던 조선조 사회에서는 성정론을 중시하며 감성이나 감각을 불온시하였기 때문에 감각의 시학이 제대로 발달할 수 없는 환경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설시조는 조선 유학에서 마음의 위계 가운데 가장 하위에 있는 감각의 문제를 시학의 차원으로 끌어당겼던 것이다. 둘째는 사설시조에 나타난 감각 체험의 양상들이다. 사설시조의 감각 체험이나 감성 표현은 시적 인물이 발현하는 욕망의 행로에 따라 다채롭게 펼쳐지고 있다. 사설시조에서는 오감의 느낌들 가운데 에서도 특히 촉각의 이미지가 탁월하다. 이는 사설시조가 욕망하는 신체를 주요 시적 대상으로 삼은 까닭으로 추정된다. 셋째는 사설시조의 시적 형상이 창조되는 과정에서 감각과 정념이 상호 전이 되는 양상에 대한 문제이다. 강렬한 욕망을 지닌 사설시조의 인물들이 내면의 정념을 표현할 때는 감각적 이미지를 탁월하게 활용한다. 그리고 감각의 정념화도 사설시조는 자연스럽게 소화해 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감각 체험을 위주로 한 사설시조의 시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감각 체험의 사설시조는 예교주의의 확고한 규율 규범에 대해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느낄 수 있는 감각적 경험 차원의 의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삶의 일상에서 포착되는 구체적 현실감과 개성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지닌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가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성,김경미,Kim, Eun-Sung,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8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6 No.1

        목적: 본 연구는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 고유감각 처리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만 11세 2개월 된 남아로, 8세되던 해에 아스퍼거로 진단받았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 중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 기간(A) 3회, 중재 기간(B) 8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중재기간에는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정 고유감각 처리는 자세 조절 능력의 기초를 형성하므로 자세 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테이블 활동 후 아동의 앉은 자세 변화와 복와위 신전 자세를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앉은 자세 조절 능력과 복와위 신전 자세는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중재기간에 대부분 2 표준편차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가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 고유감각 처리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아스퍼거 아동이 보이는 감각처리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접근하고 그 결과를 측정함으로써, 감각통합치료의 질적인 효과를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SI) therapy on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sensory (BPS) processing ability of a child with Asperger Syndrome (AS). Method : A boy who is 11 years and 2 months old took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Short Sensory Profile, Bruininks-Oserest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and Test of Playfulness (ToP) for the baseline. The child participated in 3 evaluation sessions and 8 therapy sessions based on the AB research design. Duration of each session is 50 min and the therapy session is divided into 40 minutes for treatment and 10 minutes for evaluation. Since the vestibular sense and proprioception build up one's ability of postural control, several tests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child' postural control as outcome measure; distance from front leg of chair to heel of the child with sitting (C-H distance), angle between trunk and thigh (hip joint angle) with sitting, and the 'prone-extension posture' which is a subtest of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 (COMPS) to examine postural control embodied with integration of reflex and BPS processing. Result : During the therapy, average data of the C-H distance is decreased from 27.33cm to 11.69cm, average data of the hip joint angle is also decreased from $43.3^{\circ}$ to $20^{\circ}$, and average time for the prone-extension posture is increased from 13.15seconds to 24.84seconds. Conclusion :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bility to postural control in sitting and to maintain the prone-extension posture can be improved by sensory integrative therapy, with enhanced BPS processing.

      • KCI등재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와 소운동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홍은경,김한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와 소운동, 사회성 능력에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주 1회(40분씩), 총 21회가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 사회성, 소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eo Proficiency(BOTMP)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전과 후의 결과는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OTMP의 평균점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감각처리, 사회성, 그리고 소운동 능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앗다. 그러나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에 비해 후의 사회성과 소운동에서 평균점수가 향상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더 나은 연구를 위해 대상아동의 수, 치료의 회기를 늘리고 외적인 변인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group approach of sensory integration (SI) en­hances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function, and social skill for the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s. Method : Three children with problems related in sensory integration had got received 21 intervention sessions. We evaluated children with sensory profile(SP), social maturity test, 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K-DTVP),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 before-and after interven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ata is test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Results : All data of post-interventio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P, social ma­turity test, K-DTVP, BOTMP. Conclusions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SI intervention on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function, and social skill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average score after SI intervention has been improved in the section of fine motor and social skill comparing to that of pre-intervention period. It would have positive impact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It is needed to study with the larger number of target children and more often treatment session are suggested. The confounding variables also should be con­trolled in the further study.

      • KCI등재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진미,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발달지연 아동 5명이었고 실험기간은 2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매 70분)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임상관찰, Behavior during testing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후의 임상관찰(Z = -2.023, p = .043) 점수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 변화를 보기 위한 하위 카테고리인 사회성(Z = -2.121, p = .034), 주의집중(Z = -2.032, p = .042)과 Behavior during testing 총점(Z = -2.032, p = .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운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기에는 미흡하며 사회성 및 주의집중과같은 행동 변화에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개별적인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그룹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 고 다양한 내적·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변인을 제한하며 보다 객관적인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은영,박윤이,김경미,Kim, Eun-Young,Park, Yun-Yi,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은 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 회7기 당 0분씩 총 26회기의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초기능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BOT-2,(Wi사회성 기초기능척도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 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학령기 아동의 실행능력,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효과를 제시하여 학령기 아동의 그룹치료에 대한 초기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감각통합 치료적용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준을 사용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Method : The subjects are five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3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All children had participated in 26 session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The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and The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 were used so as to evaluate the praxis and socialization.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on(SI) interven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group SI intervention in the BOT-2,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 is test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 Results :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2(Z=-2.023, p=.043) and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Z=-2.023, p=.043) scores comparing pre-intervention with post-interventi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because the number of subjects was limited and the environmental confounding factors had not been considered.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should supplement the aspect these limitations before applying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order to suggest standard criteria for norm data.

      • 초감각지각(超感覺知覺)

        설영상 한국정신과학학회 2017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9 No.1

        우리는 가끔 – 책이나 TV에서 교회, 절 등 주변에서 – 특별한 사건이나 사람들을 보거나 듣거나 만나는 경우가 있다. 보지 않고도 밀폐된 통속의 물건을 맞추거나, 일어날 사건을 미리 맞추거나(꿈의 계시 또는 신의 계시 또는 명상시에 보이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음), 그냥 보고 아픈 곳 맞추기, 각종 기감으로 아픈 곳 맞추기, 치유의 은사로 아픈 몸 치유하기, 기로 아픈 몸 치유하기, 원격진단, 원격치유, 원격투시, 귀신이나 저승사자 보기 등의 사례들이 그것이다. 흔히 우리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들을 초능력자라고 부르고 있다. 우리 학회의 잠재능력분과(현 초의식분과)위원장을 오랫동안 맡았던 글쓴이의 입장에서 보면, 그들은 우리의 능력으로는 도달하지 못하는 초능력자가 아니라 인간 누구에게나 있는 잠재능력을 일부분 꺼내 쓸 수 있는 능력자라고 풀이한다. 이러한 다양한 특별한 능력들이 그들만의 것이 아니고 인간 누구에게나 있고 특별한 경우에 특정인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인간에 대한 이해 자체가 달라져야 한다. 도대체 인간은 무엇이고 인간이 가진 능력은 어디까지인가? 왜 특정한 인간만 특별한 일들이 가능한가(누구나 가능해야 하는데)? 누구나 가능하다면 왜 그러하며 왜 우리는 아예 특별한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모르고 있는 것일까? 이런 당연한 의문에 답하기 위해 고승들과 수도사들 중에 놀라운 능력을 보였던 분들이 많았던 점을 같이 살펴보던 중 흥미로운 점이 발견되었다. 완전한 깨달음의 증거나 부산물로 불교에서는 6신통六神通을, 우리나라의 신교神敎(또는 仙敎)에서는 4대신기四大神機를 말하고 있었다. 수행하는 분과 일반인이 나타내는 소위 초능력 현상이 공통점이 있는데, 불교에서는 이미 이런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용어들이 정의되어 있을 정도로 분명히 정리되어 있고, 서양심리학에서도 이미 용어들이 정의되어 있었다. 불교에서는 알아차림과 ‘알아차림 이전의 알아차림(감각이전의 알아차림)’ 이라는 용어가 있고, 철학, 심리학에서는 감각적 지각, 고감각적 지각, 초감각적 지각이라는 용어들로 인간의 저 깊이 잠재해 있는 지각 능력까지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감각적 알아차림 이전의 선험적, 선천적인 당연한 알아차림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알아차림(초감각 지각)이야말로 궁극적 깨달음을 가능하게 하는 꼭 필요한 알아차림이며, 모든 감각적 알아차림을 수정할 수 있는 직관체계의 핵심이며, 명상과 선禪으로 정답을 얻게 하는 항상 진여실상眞如實相을 알고 있는 누구에게나 내재된 알아차림인 것이다. 당연히 있는데 우리가 있는지도 모르고 있는 초감각적 지각을 파헤쳐 본다. From time to time, thou it happens rather rarely in life, that we witness some kind of super-natural phenomena occurred within self or performed by someone. Among diverse forms of supernatural manifestations, the well known cases are cognition of an object in a sealed container, premonition(revelation through dream or divinity, intuitions that pop up in a state of deep contemplation and other varied forms of manifestation), knowing intuitively raw spots in body, knowing raw spots in body with highsensorial-perceptive ability, healing by therapeutic souls, healing by therapeutic Qi, remote diagnosis, remote healing, telesthesia or seeing what is known as a ‘demon’ or a ‘ghost’. Commonly, we define a person who possesses such abilities of supernatural powers as a psychic or a person with Extrasensory Perception(ESP). As a scholar and a chairperson of the ‘Department of Superconsciousness in The Korean Society of Body, Mind, Spirit Science’, I must admit that I have a perspective and a firm conviction that those are not ‘special’ people with unattainable abilities that ‘normal’ people can not reach, rather, they are merely people who can reveal and unconceal only a part of abilities that inherently reside or more correctly said, ‘universally pervading’ in human beings. If such abilities of diverse supernaturalism is not their own and it is the universally pervading quality in human nature, it triggers a change in the whole attitude in understanding about human being itself. What is human being and what is its capability? Why is it the case that the certain people seem to have special abilities whereas the ordinaries don’t while it must be universally pervading ability? If it is universal, why is it so and how on earth have we been deprived of such knowledge about ourselves? Out of the researches done on the supernatural abilities disclosed by some high priests or monks there was a particular aspect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When talking about an evidence or a by-product of spiritual enlightenment or ultimate awakening, Buddhism specifically designates ‘six supernatural powers(六神通)’as a cold proof of being ‘enlightened’ and the similarity can also b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religion(仙敎) as it points ‘Four spiritual powers(四大神機)’ as such. There are relevant comparabilities in the observations of religious disciplinants and ordinary people who exert such powers and in Buddhist culture, such phenomenal events have been well thought over and coordinately organised and defined in words and the similar effort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psychology. In Buddhism, there is a well defined notion ‘awareness’ and ‘awareness before awareness(Awareness that is at play before any kinds of sense-based perceptions kick in)’, and in Philosophy and Psychology, there is a well-known distinction of human perception as Sensory, Higher Sensory and Extra Sensory Perception in order to explain the latent faculties of human beings. One clear conclusion is a fact that in human perception there is a a priori, innate, intuitive and universal awareness that is activated or geared in before sense-based, extrovertively affected cognitions take its position. And through such awareness of extra-sensorial realm, one comes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and intuitive living that surpasses a fixated mode of cognition. Awareness of such quality is the only and sole criterion for correcting errors from sensorial mode of perception and through engaging in an act of contemplating(冥想) or Zen(禪), such awareness, which is already-embedded, inborn and innate, can be coordinately disclosed and illumined as it always is. Let us look into this naturally obvious mode of cognition, the Extra-sensory perception, that we have been failing to notice.

      •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허소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5 재활치료과학 Vol.4 No.1

        목적 : 본 연구는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감각방어를 가진 만 12세의 자폐 범주성 아동 1명이었다. 보호자 인터뷰와 평가를 통해 대상 아동에게 맞는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만들었고, 보호자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가정에서 총 23일간 하루에 3번 30분씩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전 후에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과 사회성숙도검사가 시행되었고 아동의 감각증상목록이 작성되었다. 결과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후,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검사의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Sensation Avoiding영역이 정상범주에 속하게 되었으며, 사회성숙도검사 결과 사회연령과 사회지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감각방어가 완화되었으며 감각조절과 감정의 조절이 향상되었지만 한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 개념

        전재원(Jeon Jae-wo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론〉 제2권 제5장에서 잠정적으로 선배들의 견해를 받아들여 감각이 ‘일종의 변화’요,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변화는 감각능력이 감각대상의 감각적 형상을 받아들이는 변화라고 설명함으로써 선배들과 선을 긋는다. 계속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론〉 제2권 제7장-제11장에서 각각의 감각기관이 바깥 사물들의 영향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설명한다. 이 때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하고 있는 것은 상이한 종류의 각 사물이 모종의 중간매체를 통하여 감각기관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을 마친 후에 〈영혼론〉 제2권 제11장의 말미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과연 감각이 무엇이며 왜 감각이 감각대상에 대하여 ‘판단하고 평가하는’(κρινειν)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감각에 대하여 형이상학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말들을 다듬어 보면, 감각이란 ‘우리 외부에 있는 감각대상의 영향을 받아 감각능력 안에 가능태로 존재하고 있던 감각적 형상이 현실태로 존재하게 되는 하나의 과정’이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각각의 감각이 극단적 성질들 사이의 ‘중간자’이기 때문에 판단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 개념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가능태로 존재하고 있던 감각적 형상이 현실태로 존재하게 되는 과정을 신체 안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생리적(기계적) 사건으로 보는 사람들은 감각이 현실적으로 존재하게 되었을 때 그것을 감각(지각)작용으로 명명해야 할 것이고, 그 과정을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심리적) 사건으로 보는 사람들은 감각(지각)활동으로 명명해야 할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감각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를 따르자면, 감각은 언제나 감각활동 내지 감각작용을 의미한다는 사실이다. Aristotle opens his discussion of perception by describing perception as a kind of ‘change’ or ‘being acted upon’. According to Aristotle, when an animal perceives an object, the sense organ takes on or actually becomes like the form of the object it is perceiving. In describing this process, Aristotle uses two technical terms: potentiality and actuality. And Aristotle believed that we don’t perceive anything directly. Instead we perceive things indirectly, through some son of medium. This medium varies from sense to sense. According to Aristotle, sense-perception is to receive the sensible form without the matter. Plants cannot perceive because they do not have a medium and hence cannot receive forms of sensible objects without their matter. Aristotle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Greek science by being the first to propound a physiological and metaphysical theory of perception. His treatment of the sense-perception laid the groundwork for the debates which continue into our own day.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수연,장기연,한미애,천승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고,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 간에 상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 D광역시에 거주하는 13세 이상 19세 이하로 현재 법적 절차를 거쳐 비행이 인정되어 교호시설에 있거나, 보호 관찰 중인 비행청소년 114명과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청소년 124명으로 총 238명이었다. 결과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17세~13세의 비행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감각회피(p<.05)와 감각민감성(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17세~13세의 낮은등록(p<.05)에서 강력, 성폭력, 절도사범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고, 감각민감성(p<.05)에서 성폭력, 절도, 강력사범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 19세~18세에서는 감각민감성(r=-.47, p<.05), 감각회피(r=-.45, p<.05)의 점수가 낮을수록 약물남용의 점수가 높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17세~13세에서는 낮은등록의 점수가 낮을수록 지위비행(r=-.33, p<.05), 폭력행동(r=-.33, p<.05)의 점수가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 일반청소년과 비교할 때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은 낮았고, 특히 17세~13세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이 낮았으며, 감각처리능력이 낮은 청소년에게서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문제행동이 보이는 청소년에게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청소년/성인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조기에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고, 이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치료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다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감각처리특성 및 인성간의 관련성 연구

        최은숙,김유선,백다래,홍기훈,정혜림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감각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초기 청소년의 인성문제 접근법으로 감각통합치료의 긍정적 이용가능성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3세에서 15세의 초기 청소년 150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특성과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 AASP)과 인성평가 척도(Personality Assessment Questionnaire; PAQ)를 사용하였고, 감각처리능력과 인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초기 청소년의 감각처리특성과 인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ASP 특성과 PAQ 인성검사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감각 예민은 정서적 불안정(r=.501)과 중등도의상관성을, 정서적 무반응(r=.447)과 양호한 상관성(p<.01)을 나타내었다. 감각 회피는 공격성(r=.332) 과 정서적 불안정(r=.331)에서 양호한 상관성을 보였고(p<.01), 등록 저하는 정서적 불안정(r=.597)과공격성(r=.526)에서 중등도의 상관성을, 낮은 자존심(r=.458), 부정적 자아 적절감(r=.411)에서 양호한상관성을 보였다(p<.01). 감각 찾기는 불안정(r=.535)과 중등도의 상관성을, 공격성(r=.427)과 양호한상관성을 나타냈다(p<.01). 결론 : 초기 청소년의 감각처리특성과 인성은 성인에서 보다 많은 영역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후속 연구에서는 심리·사회적인 다양한 문제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청소년의 감각처리에 대한 연구들이 보다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s and personality in early adolescents. Methods : For the present study, 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 (AASP) and Personality Assessment Questionnaire (PAQ) were used. AASP and PAQ were executed for 150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3 to 15. Corelation between the AASP and PAQ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feature and personality in early adolescents presented statistically (moderate to fair degree of linear relationship). As the result of corelation between AASP and PAQ scores, sensory sensitivity had moderate relations with emotional instability, and fair degree relations with emotional unresponsiveness (p<.01). Sensation avoiding had fair degree of relationship with emotional instability (p<.01). Low registration had moderate relations with emotional instability, aggression, and fair degree of relationship with low self-esteem and negative self-adequacy (p<.01). Sensory seeking was also moderately strong related to emotional instability, and fairly strong related to aggression (p<.01). Conclusion : The sensory processing features were related to personality in early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Emotional instability affecting the sociality and developmental task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ad strong corelation to each sensory processing fe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