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이 청소년의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보연(Bo-yeon Kim),양명희(Myonghee Yang),김희정(Heejoung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4

        이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가족갈등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저해하여 가족만족도를 떨어뜨릴 것으로 보고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갈등을 높게 지각하더라도 가족의사소통이 개방적이면 가족응집력이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가족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라 가족갈등과 가족만족도 간의 관계를 가족응집력이 매개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자료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747명에게 가족갈등,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술통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가족갈등을 높게, 남학생이 가족만족도, 가족응집력, 가족의사소통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가족갈등은 가족만족도를 낮추었으며 가족응집력을 매개로 가족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가족갈등과 가족응집력 사이에서 가족의사소통은 여학생에게서만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이르는 영향은 가족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족갈등이 높으면 가족의 응집력이 낮아지고 가족에 대한 만족도도 낮아지는데, 이때 가족이 어떤 의사소통을 하는가에 따라 가족갈등이 가족응집력을 통해 가족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미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s, family cohesion and family satisfaction in adolescents. A questionnaire o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was distributed to 747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family conflicts, satisfaction, cohesion, and communications. Second, family conflicts have a negative effect on family satisfaction and negatively affect family satisfaction and lower family satisfaction through family cohesion for girls. Third,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family conflicts. Fourth, family communications perceived by the girls influence family cohe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conflicts, and as a result, influence family satisfaction. In conclusion, family communications of girls hav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process of family conflict and communications reaching family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even if a conflict occurs, family cohesion and satisfaction are not lowered when family members can communicate open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counselors and educator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이 인지한 가족여가활동이 가족응집력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최주환,이제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교육논총 Vol.37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가족여가활동이 가족응집력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405명을 대상으로 가족여가활동, 가족응집력, 스마 트폰 중독에 대한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 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가족여가활동에 따른 가족응집력과 스마트폰 중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가족여가 활동은 전 영역에서 가족응집력의 모든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각 여가활동 빈도에 따라 가족응집력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스마트폰 중독은 일상생활장애의 변인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가활동 빈도가 높아질수록 일상생활장애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금단현상의 변인에서는 스포츠활동, 여행활동, 산책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참여 시간 이 늘어날수록 낮은 수준의 금단현상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가족응집력은 스마트폰중독 일상 생활장애와 금단현상에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력의 존중감인식 과 유대감인식은 모두 스마트폰중독 하위변인인 일상생활장애와 모두 부적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가족응집력과 스마트폰중독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가족 노래만들기 활동이 입양가족의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부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황은영,박효정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가족이 함께 만드는 노래만들기 활동이 입양가족의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그리고 부부의사소통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입양아동이 있는 5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된 노래만들기 활동은 총 8주 동안 주 1회 9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가사토의, 악기연주 등 다양한 음악활동을 적용하면서 가족들이 함께 토의를 통해 가족만의 이야기를 가사와 멜로디로 만드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Olson(1983)에 의해 개발되고 수정 보완된 가족 응집력, 적응력 척도와 Power와 Hutchson(1979)의 부부의사소통 이해도 검사 와 Bienvenu(1970)의 부부의사소통 검사를 전영주(2003)가 수정한 부부의사소통 척도를 적 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고, 음악활동 이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노래만들기 활동 이후 가족의 응집력과 적응력은 향상되었다. 특히 아버지는 가 족 응집력에서, 아동의 경우 가족 적응력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 한 노래만들기 활동 이후 부부간의 의사소통 점수는 부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 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이 함께 노래를 만드는 활동은 입양가족의 적응력과 응 집력, 그리고 부부간의 의사소통 점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래만들기를 통한 음악활동이 입양가족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이후 이들을 위한 사후서비스 프로그램의 구성과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usical activities based on song writing with family affect on the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of adoptive children and their family. In this case, five families with adopt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ong writing activity for 8 weeks, and pre - and post - test were conducted. Accordingly,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family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scale, communication scal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level of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noted that after the song writing, the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of the family improved. Indeed, it was found that especially for children, family adaptability scor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addition, after the song writing, the communication score between husband and wif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both cou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song writing with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family relationship through the adaptability and cohesion of the adoptive famil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future program and development for the many types of families.

      • KCI등재

        가족 노래만들기 활동이 입양가족의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부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황은영(Hwang, Eun-Young),박효정(Park, Hyo-Jung)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가족이 함께 만드는 노래만들기 활동이 입양가족의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그리고 부부의사소통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입양아동이 있는 5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된 노래만들기 활동은 총 8주 동안 주 1회 9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가사토의, 악기연주 등 다양한 음악활동을 적용하면서 가족들이 함께 토의를 통해 가족만의 이야기를 가사와 멜로디로 만드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Olson(1983)에 의해 개발되고 수정 보완된 가족 응집력, 적응력 척도와 Power와 Hutchson(1979)의 부부의사소통 이해도 검사 와 Bienvenu(1970)의 부부의사소통 검사를 전영주(2003)가 수정한 부부의사소통 척도를 적 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고, 음악활동 이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노래만들기 활동 이후 가족의 응집력과 적응력은 향상되었다. 특히 아버지는 가 족 응집력에서, 아동의 경우 가족 적응력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 한 노래만들기 활동 이후 부부간의 의사소통 점수는 부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 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이 함께 노래를 만드는 활동은 입양가족의 적응력과 응 집력, 그리고 부부간의 의사소통 점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래만들기를 통한 음악활동이 입양가족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이후 이들을 위한 사후서비스 프로그램의 구성과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usical activities based on song writing with family affect on the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of adoptive children and their family. In this case, five families with adopt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ong writing activity for 8 weeks, and pre - and post - test were conducted. Accordingly,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family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scale, communication scal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level of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noted that after the song writing, the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of the family improved. Indeed, it was found that especially for children, family adaptability scor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addition, after the song writing, the communication score between husband and wif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both cou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song writing with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family relationship through the adaptability and cohesion of the adoptive famil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future program and development for the many types of families.

      • KCI등재후보

        가족기능과 여가제약 및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이주연 여가문화학회 2009 여가학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ened out by family function and their difference between groups. This study divides the families of married employee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cohesion and adaptability; HH Family who is high in both cohesion and adaptability, HL Family high in cohesion but low in adaptability, LH Family low in cohesion but high in adaptability and LL Family low in both cohesion and adaptability. When analysed the difference of leisure constraint between the HL, LH and HL, LL Families, When analysed the difference of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the HL, LH and LL, LH Families, The result means high in cohesion Family will take leisure constraint to feel, leisure satisfaction is high. It is suggestive, therefore, to develop a metho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o enhanc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a program to reinforce family relationship and emotional tie. 본 연구는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가족기능 유형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가족기능 유형에 따른 가족응집력과 가족적응력에 따라 네 집단, 응집력과 적응력 모두 높은 집단(HH가족), 응집력이 높고 적응력은 낮은 집단(HL가족), 응집력이 낮고 적응력이 높은 집단(LH가족), 응집력과 적응력 모두 낮은 집단(LL가족)으로 분류하여 가족기능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여가제약에서는 주변의식, 신체장애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만족에서는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족 구성원간에 긴밀한 정서적 유대를 지속. 발전시키며 가족의 정서적 안정 확립과 바람직한 가족환경 및 가족관계의 형성을 유도하여 여가활동이나 위기에 대한 저항력까지 갖출 수 있게 하므로 여가만족을 높일 수 있는 여가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

      • KCI등재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과 가족응집력에 관한 연구

        이현경(Lee Hyun Kyung),조춘범(Cho Choon Bum),이 현(Lee Hyun)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2

        본 연구는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전환하면서 증가하는 치매노인과 이로부터 파생되는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담문제, 가족갈등 및 해체에 문제의식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이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가 전개되는 경로와 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기 위해 부양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비공식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안양, 군포, 의왕, 과천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치매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주부양자에 대하여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응답된 설문 22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부양자들의 특성 및 주요변수들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모형검증에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은 가족응집력에 대하여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양부담이 증가할수록 가족응집력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과 가족응집력의 관계에서 부양스트레스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과 가족응집력의 관계에서 비공식 사회적 지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과 부양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양가족의 가족응집력 및 비공식 사회적 지원을 향상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light of the family conflict and family disruption caused by the burden of the caregivers who support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giver’s burden on family cohesion. Also,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l social support in the association. We conducted the survey in seven elderly nursing homes, seven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twenty community care centers in Anyang, Gunpo, Uiwang and Gwacheon. Total 227 ca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with SPSS 23 for identifying prevalence and verifying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giver’s burden was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cohesion, indicating that family cohesion decreased as the burden of care increased. Second, the stress was verified to have the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caregiver’s burden and the family cohesion. Third, the informal social support showe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burden and family cohe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1)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to share responsibility for the care and nursing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2) provision of the leisure programs to reduce the stress of caregivers, 3) developing the program for the caregiver and their family to improve the family cohesion, and 4) developing the program to boost informal social support of the caregivers.

      • KCI등재

        조손가정 가족원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박윤미,전수경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This study conducted a family art therapy targeting family members who live with grandparents sinceparents’ divorce and runawa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the family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of the self-esteem, the family cohesion and the adaptability of family members from the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Family members from an impoverished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who has requested consultation with a J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Y-gu, Seoul, was selected as aresearch subject. The subject with her grandmother (age 60) and younger sister (age 13) joined a total of 11sessions of the art therapy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9. In order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tudy evaluated problems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researchsubject, and conducted the ex-ante and the ex-post tests using Self-Esteem Scale (SES) and The Family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 Scales Ⅲ (FACES-Ⅲ). The study also carried out a qualitative analysison activities related to the self-esteem, th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family cohesion as well as a processof how behaviors change through each s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the family art therapy was observ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for it has improved the self-esteem offamily members from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Second, the family art therapy was understoodto have an effect for it has enhanced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family members from the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Third, in terms of the patterns of the self-esteem, the family cohesion andthe adaptability throughout the sessions, the study confirmed positive changes in those patterns. In the lightof that, the study understands how efficient the family art therapy is at enhancing the self-esteem and thefamily function of family members from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과 가출로 부모 없이 조모와 함께 살고 있는 조손가정 가족원에게 가족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조손가정 가족원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 향상에 있어 가족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Y구에 소재한 J 가족지원센터에 상담의뢰를 한 빈곤조손가정의 가족원이며, 2009년 9월부터 12월에 걸쳐 J 가족지원센터 내 상담실에서 주 1회(총 11회), 회기당 90분씩 총 11회기의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면담을 통한 문제의 평가를 하였고,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 SES)와 가족적응력 및 응집력 척도(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Scales Ⅲ: FACES-Ⅲ)를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자아존중감과 가족적응력 및 응집력 관련 활동및 행동변화과정 등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미술치료는 조손가정 가족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미술치료는 조손가정 가족원의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을 향상시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기별 진행과정에 따른 자아존중감과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의 양상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가족미술치료가 조손가정가족원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 응집력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윤화(Lee, Yon Hwa),김동기(Kim, Dong Ki),최은화(Choi, Eun Hwa)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가족응집력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양육부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아동 어머니와 가족의 지원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에 거주중인 장애아동 어머니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가족의 가족응집력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응집력이 높을수록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애아동에 대한 양육부담이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응집력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아동가족의 가족응집력이 높을수록 장애아동어머니의 우울은 감소하지만 이 과정에서 양육부담감이 높아지게 되면 그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지원서비스와 양육부담감 경감을 위한 지원서비스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n the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 burd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family cohesion among the mothers with a handicapped child in Korea. 210 mothers who have a handicapped child in Taejeon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WIN(ver. 18.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oble test were utilized. The result revealed that care burde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family cohesion and the depression of the handicapped children’s mo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ions of an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mothers and families who have a handicapped child.

      • KCI등재

        코로나19상황에서 중국20대의 가족여가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응집력의 매개효과

        엄준함,황향희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상황에서 중국20대의 가족여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가족응집력이 이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가족여가에 초점을 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중국국민여가상황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코로나19상황에서 가족여가활동이 1위로 나타났고,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코로나19시기 홈 여가시간이 23.9%로 증가된 결과가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조사대상은 중국 1선 도시(북경, 상해, 광주, 선전)에 사는 20대 중 2인 이상의 가족이 여가활동을 함께하는 20대이다. 최종분석 자료는 492부로 조사도구는 설문지이다. 가족여가는 6점 리커트 척도, 가족응집력과 생활만족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점수가 높으면 척도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가족여가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응집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가족여가는 가족응집력을 증가시켜 생활만족도를 높여준다는 것으로 가족여가의 중요성을 강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내원환자의 정신건강과 가족요인에 관한 연구

        임세라(Sela L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학과 내원환자의 정신건강이 가족요인과 어떠한 상관을 이루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신건강의학과 내원환자 중 만28세~만71세까지의 성인남녀 1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오프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무응답 10문항 이상에 해당하는 13부를 제외한 최종 149명을 선정하였다. 측정 도구는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 가족 스트레스 척도(FILE), 가족 응집력 및 적응력 척도(FACES-IV)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Process 매크로를 사용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SCL-90-R과 가족스트레스, SCL-90-R과 가족응집력 및 가족적응력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응집력 및 가족적응력은 유의한 정적상관(r(149)=.354, p<.01)을 나타냈다. 또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 스트레스 요인 중 부부관계와 가족재정, 건강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응집성 및 가족 적응력 요인 중 연결과 적응 요인과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직업관계 요인은 연결 요인을 매개로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내원환자의 가족요인에 있어 경험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가족 스트레스와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이 주요한 상관과 매개효과를 확인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outpatients in psychiatric clinic with their mental health and family factors. One-hundred and sixty-two patients, who are over twenty-eight years old and is below seventy-eight year were chosen as subjects of research and was surveyed off-line. One-hundred and forty-nine surveys were used for as-built analysis excluding thirteen surveys that were answered earnestly. For measuring, SCL-90-R, FILE, and FACES-IV were used in the current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L-90-R and family stress, SCL-90-R, and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but family stress,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r(149)=.354, p<.01).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tion on connection and adaptation factors of family stress, finance and health variables on mental health. Professional relationshi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health through connection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family stress, family cohesion and adaptive ability were found to have major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s on the family factors of psychiatric out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