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김민국 ( Kim Min-go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구조에서의 신정보인 가로초점을 표시한다. ‘이/가’와 ‘을/를’은 세로초점의 실현과도 관계가 있다. 하지만 ‘이/가’와 ‘을/를’에 의한 세로초점은 발화 맥락에 따라 수의적이고 가로초점에 늘 겹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초점의 본질은 결국 가로초점이다.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가로초점에 세로초점이 겹쳐 나타나면 다양한 의미가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는 ‘이/가’와 ‘을/를’에 관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들 조사의 의미로 볼 수는 없다. ‘이/가’와 ‘을/를’이 세로초점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이른바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에서 나타난다.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강조’의 의미는 세로초점의 핵심인 대안집합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가’와 ‘을/를’은 그 실현을 통해 초점을 표시해 주지만 초점의 유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여부에는 차이가 있다. ‘이/가’는 주어에 초점이 놓이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지만 ‘을/를’은 목적어에 초점이 놓이더라도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주어의 문법화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격과 대격의 비대칭적 실현 양상은 주격과 대격의 비실현형이 서로 다른 문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주격의 비실현은 주격과 대립 관계를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대립을 통해서 소극적으로만 드러나기 때문에 주격 조사로서의 지위는 불완전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s. It seems that i/ka and ul/lul have relevance to paradigmatic focus which is so-called contrastive focus. However paradi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marker is optional and always involves syntagmatic focus. Thus the essential function of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syntagmatic focus. There are several meanings when synta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pluses paradigmatic focus. But these meanings are not conventional meaning of i/ka and ul/lul and 'emphatic' function of i/ka and ul/lul comes form contrast in alternative set. Thus i/ka and ul/lul have in common in that focus marki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ir obligation. i/ka must occur in focus subject but ul/lul does not have to occur in focus object. This aspect seems to result from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subject. Asymmetric occurrence of i/ka and ul/lul shows that non-occurrence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has difference grammatical status. Non-occurrence of nominative can be interpreted zero marker but non-occurrence of accusative is simply non-occurrence of case marker.

      • KCI등재

        한국어 정보구조의 초점

        김민국(Kim, Min-Gook)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본고에서는 ‘초점의 개념과 성격’, ‘초점의 실현 수단’, ‘초점과 형태․통사․의미 층위의 상호 작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정보구조의 ‘초점’과 관련한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정보구조의 초점은 관계적 신정보인 가로초점으로 대안집합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세로초점과 구별된다. 하지만 두 초점은 겹칠 수 있으므로 세로초점의 성격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 등을 파악해야 한다. 둘째, 운율적 돋들림은 가로초점을 표시하는 필수적 수단이자 그 유형을 변별하는 수단이다. 가로초점의 형태적 표지는 초점 주어에서의 ‘이/가’가 될 것이다. ‘S-것은 X-이다’ 형식의 분열문은 초점 표시보다 전제를 화제로 바꾸어 주는 것이 더 주된 기능으로 보인다. 후보충 구문도 초점을 나타내는 특수 구문의 후보가 된다. 셋째, 초점의 무표적 특성은 문장 형식으로 이어져 문장초점은 기본문과 유사하다. 초점은 무표적이므로 별도의 초점 표지 없이 격표지가 초점 표지로 활용된다. 그러나 주어에서의 초점은 유표적이어서 ‘이/가’는 초점 표지로서 필수성을 띤다. 문장초점의 존재 구문은 화제 제시 기능이 더 강해서 화제 표지로 문법화되기도 하고 주어 표지로 발달할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부정문에서 가로초점은 의미 해석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대체초점, 판정의문문의 초점은 극성 연산자의 세로초점과 늘 겹쳐 의미 층위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issues concerned focus in information structure from three points that is ‘notion and characteristic of focus’, ‘realization of focus’ and ‘interaction between focus with other grammatical levels’. First, focus in information structure is syntagmatic focus that is relational new inform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paradigmatic focus that occurs in the relations with alternative set. Second, focus involves prosodic prominence. Focus marker in every true sense of the word is nominative i/ka. The main function of cleft-sentence of ‘S-gesun X-ita’ seems re-forming presupposition to topic. After-thought constructions are candidate for focus marking construction. Third, basic sentence and nominative i/ka as a focus marker reflect unmarked property of focus. As existential construction which has sentence focus can introduce new topic it can grammaticalize topic marker or subject marker. Replacing focus and focus in yes-no question can affect semantic level by overlap with paradigmatic focus of polarity operator.

      • KCI우수등재

        대격 중출 구문의 특징과 ‘을/를’의 기능

        이준희 ( Lee Junhee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5

        이 글의 목적은 대격 중출 구문의 특징과 교체되거나 추가된 ‘을/를’의 기능을 살펴보는 것이다. 대격 중출 구문은 기존 문장의 조사가 ‘을/를’로 교체된 경우와 새롭게 추가된 경우로 분류가 가능하다. 첫 번째 유형은 수여동사 구문, 처소 구문, 상태변화 구문, 소유주 구문이, 두 번째 유형은 기능동사 구문, 합성동사 구문, 분류사 구문이 해당한다. 이들은 ‘을/를’이 결합한 명사구가 긴밀한 의미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선후 관계가 고정되어 있는 경향을 지녔다는 공통된 특징이 존재한다. 구문별로 특징도 존재하는데, 이는 ‘을/를’의 의미 층위 기능인 타동성과 관련이 있다. 대격 중출 구문에 교체되거나 추가된 ‘을/를’은 화용 층위에서 초점으로 기능한다. 수여동사 구문과 소유주 구문의 교체된 ‘을/를’은 가로초점으로 기능하는 반면 다른 구문들의 교체되거나 추가된 ‘을/를’은 가로초점과 세로초점을 함께 나타낸다. 더불어 두 번째 유형의 경우 해당 문장이 화용적으로 다르게 해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function of the ‘ul/lul’ in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s. In this paper,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 already existing particle in a sentence is replaced with ‘ul/lul’ or newly added ‘ul/lul’.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s have a common feature that the noun phrases combined with 'ul/lul' have a semantically close relationship, and their order tends to be fixed. There are also features for each construction, which is related to the semantic level function of 'ul/lul'. The ‘ul/lul’ in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s functions as a syntagmatic focus marker and paradigmatic focus marker at a pragmatic level. And in the second type, it is added function to limit a sentence from being interpreted pragmatically differently.

      • KCI등재

        초점의 유형에 따른 운율 실현 양상 -‘은/는’과 ‘이/가’ 초점 성분을 중심으로-

        김민국,하영우 한국어의미학회 2017 한국어 의미학 Vol.58 No.-

        58.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osodic realization, declination of pitch, of focuses which are marked by un/nun and i/ka and to find correlation between focus markers with prosody, which are major means of focus expression. Discussion of this articl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focuses are marked by focus marker, focuses always involve prosodic prominence regardless of focus typ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prosodic prominence can distinguish different type of focuses by cooperation of focus markers which co-occur with it. Second, but prosodic prominence has distinctive function when different type of focuses which can not be expressed by paradigmatic focus marker un/nun or syntagmatic focus marker i/ka appear. Thus, prosodic prominence has expressive function and distinctive function. Third, context which be able to differentiate type of focus has no effect on prosodic realization of focuses. In other words, prosodic prominence obligatorily appears when focuses are marked. Finally, prosodic realization of focuses can usually be characterized by absolute pitch level. However, occasionally readjustment of relative pitch level and length are important to observe prosodic realization of focuses. So, we need to develop various method of observing prosodic realization of focuses.

      • KCI등재

        피동문에 나타나는 ‘을/를’의 기능

        이준희 한국어학회 2019 한국어학 Vol.83 No.-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function of the ‘ul/lul’ in a passive construction. The ‘ul/lul’ in passive construction can be found to be highly transitive based on having affectedness and passing some syntactic tests. This shows that the ‘ul/lul’ in passive construction is an accusative case. The function of this ‘ul/lul’ is pragmatics. Generally, the accusative case ‘ul/lul’ functions as a syntagmatic focus on the pragmatic level. But the function of ‘ul/lul’ in the passive construction is a paradigmatic focus an along with a syntagmatic focus. The reason why they can function as a paradigmatic focus is that the subject of the passive construction and the noun phrase ‘ul/lul’ have a semantically close relation. The ‘ul/lul’ noun phrase in passive construction can only come from factors that have a semantically close relation with the subject of the passive construction. This results in a list of ‘ul/lul’ noun phrases being formed as an alternative set and a paradigmatic focus.

      • KCI등재

        ‘(이)야말로’의 의미와 범주 - 가로 초점 표지로서의 정보 구조적 특성을 중심으로 -

        전후민 ( Jeon Hu-min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61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meaning and category of (i)yamallo.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eceding expression of (i)yamallo indicates the syntagmatic focus(replacing focus) and the following expression of (i)yamallo indicates the background. Therefore, (i)yamallo can be referrred as the syntagmatic focus marker. Second, the focus of (i)yamallo can refer to both of the referential old information and new information, but the following expression of (i)yamallo which indicates the background refers to the old information. Third, as the focus of (i)yamallo has the exhaustiveness or exclusiveness, the alternatives of (i)yamallo do not have the value of the focus or have a lesser value than the focus. (I)yamallo means the weak exclusion and can also express the meaning of certainty or confidence. Fourth, it is general to appear in the order of ‘focus-background’ and expressions with a strong tone may follow (i)yamallo to reinforce the meaning of certainty or confidence. Fifth, the fact that (i)yamallo can not appear in the ‘-ki ha-’ construction is the strongest evidence that (i)yamallo is not a paradigmatic focus marker. The fact that a sentence with (i)yamallo can be used as a kes-un cleft also suggests that (i)yamallo indicates the syntagmatic foc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