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과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원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 규장각 Vol.60 No.-

        이 연구는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과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의 영향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과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은 水滸誌語錄解, 西遊記語錄解, 西廂記語錄解를 篇目의 순서에 따라 모두 수록한 小說語錄解의 독자적인 이본이다. 서지적으로 볼 때 두 이본은 서지 형태와 수록 내용에서 공통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과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은 같은 계열의 이본임을 추정하였다.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과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의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의 추기 표제 항목과 수정 내용을 중심으로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에서 추기된 표제 항목이 대부분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에 수록된 것을 고려할 때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은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에서는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에 나타난 글자의 수정, 삽입, 삭제, 도치 관련 수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때문에 규장각 소장 『註解水滸志語錄』은 小倉文庫 소장 『水滸誌語錄』을 직접적으로 참고하여 편찬하였다고 보았다.

      • KCI등재

        睡虎地秦簡<日書>篇所見之占卜問病考察

        조용준 ( Cho Yong-j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3

        본고에서는 『수호지(睡虎地) 진묘(秦墓) 죽간(竹簡)』 중에 있는 <일서(日書)> 자료와 각종 선진시대(先秦時代) 전래문헌 및 기타 출토문헌 등과의 비교를 통하여 수호지 진간(秦簡) <일서>에 보이는 점술을 통한 병의 원인 진단의 내용을 탐구하고 있으며, 또한 거기에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동주시대(東周時代)에 이르면서 의술이 비록 이미 전문적이고 직능적인 경향을 띠고 있기는 하였지만, 그 당시에도 여전히 고대의 무의(巫醫) 사상을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동주시대의 이러한 전문적인 의료 지식은 미신적인 치료의 방법과 일체가 되어 고대샤먼의 중요한 한 직무였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통하여 샤머니즘적인 방법으로 병을 치료하던 현상이 동주시대에도 여전히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점술을 통한 병의 원인 진단 (占卜問病)’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호지 진간 <일서>에 보이는 당시의 샤머니즘적 의료 활동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The main thesis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about the shaman’s divination of illness activities seen on the Rishu(日書) in the Shuihudi(睡虎地) Bamboo Manuscripts, and verify with the Eastern Zhou dynasty’ handed-down literature and other underground written attestations,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Zhou dynasty, the medicine already emerged with a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property, but it didn’t disengage from the ideology of the shamanism in the society of Eastern Zhou dynasty. In other words, the shamanistic treatment of disease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of shamans, because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medical treatment always interlaced with the method of superstitious and mediumistic treatment. This article is going to look into the detailed aspects of the shaman’s divination of illness activities, and so on, through the Rishu(日書) in the Shuihudi(睡虎地) Bamboo Manuscripts.

      • KCI등재

        睡虎地秦簡<日書>篇所見之祝由巫術考察

        趙容俊 ( Cho Yong J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본고에서는 『수호지(睡虎地) 진묘(秦墓) 죽간(竹簡)』 중에 있는 <일서(日書)> 자료와 각종 선진시대(先秦時代) 전래문헌 및 기타 출토문헌 등과의 비교를 통하여 수호지 진간(秦簡) <일서> 편에 보이는 샤머니즘적 ‘축유의 술법 (祝由之術)’ 의료활동의 내용을 탐구하고 있으며, 또한 거기에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동주시대(東周時代)에 이르면서 의술이 비록 이미 전문적이고 직능적인 경향을 띠고 있기는 하였지만, 그 당시에도 여전히 고대의 무의(巫醫) 사상을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동주시대의 이러한 전문적인 의료 지식은 미신적인 치료의 방법과 일체가 되어 고대 샤먼의 중요한 한 직무였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통하여 샤머니즘적인 방법으로 병을 치료하던 현상이 동주시대에도 여전히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그 밖에 음양오행의 관념은 중국 고대의 샤머니즘뿐만 아니라 그 미친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여 중국의 역사와 문화사 각 방면에 깊이 자리잡게 되었다. 따라서 이 음양오행 관념은 중국의학의 발전을 포함하여 모든 중국 문화의 형성에서 간과할 수 없는 위치에 있고, 또한 현재까지도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 당시에 유행하던 오행원리(五行原理)를 이용하여 ‘축유의 술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호지 진간 <일서> 편에 보이는 샤머니즘적 의료활동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았다. The main thesis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about the shamanistic zhuyou(祝由) medical activities seen on the Rishu(日書) in the Shuihudi(睡虎地) bamboo manuscripts, and verify with the Eastern Zhou dynasty’ handed-down literature and other underground written attestations,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Zhou dynasty, the medicine already emerged with a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property, but it didn’t disengage from the ideology of the shamanism in the society of Eastern Zhou dynasty. In other words, the shamanistic treatment of disease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of shamans, because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medical treatment always interlaced with the method of superstitious and mediumistic treatment. In addition, the scope and penetration of the concept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in ancient China were quite extensive and deeply rooted in China's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Therefore, the concept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occupies a position that could not be ignored in the formation of Chinese cultural form. At the same time, it has a profound impact on all aspects of Chinese culture, including the early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shamanistic zhuyou(祝由) medical activities seen on the Rishu(日書) in the Shuihudi(睡虎地) bamboo manuscripts,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five elements(五行) principle at that time, and discusses its main contents.

      • KCI등재

        특집 전근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사(士)(1): 진(秦),한초(漢初) 출토자료(出土資料)에 반영된 "사(士)",리(吏)"의 성격(性格) ―유사(游士)에서 유사(儒士)로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김경호 ( Kyung Ho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80 No.-

        중국 역사상 사(士)의 전통은 선진(先秦)시기에는 ``유사(游士)``, 진한(秦漢)시기 이후에는 ``사대부(士大夫)``의 형태로서 불리웠다. 사(士)의 전통이 시작된 고대시기 이래로 ``사(士)``의 작용 및 그 변화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결코 하나의 관점을 통해 충분한 설명이 가능하지 않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각 시대마다 ``사(士)``는 정치·문화와 사상의 전승 그리고 창신(創新)의 주체였다. 이런 까닭에 본고 역시 중국역사에서의 ``사(士)``를 통시적으로 고찰하기에는 한계 가 있기 때문에 진(秦)·한초(漢初) ``사(士)``의 성격을 근년 공개된 출토자료인 『수호지진간』 『睡虎地秦簡』과『악록서원장진간』 『嶽麓書院藏秦簡』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춘추(春秋)·전국(戰國)시기 이후 유사(游士)는 정치적 활동은 활발하였을지라도 이들은 사(士)의 주요 가치인 "도에 뜻을 둔다(사지어도) (士志於道)."라는 인식은 소홀히 여겼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학식(學識)이나 재능(才能)이 있는 유사(游士)는 리(吏)가 되고자 했으며 군주는 이들을 자신 의 지배하에 두어 권력의 강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사(士)의 성격이 ``천하(天下)의 유사(游士)``에서 ``일주(一主)의 가신(家臣)``인 리(吏)로 변화해 가고 있음을 반영한다. 그 결과 진(秦)의 통일 이후 사인(士人)의 성격은 군주에게 직접적으로 예속되는 리(吏)의 존재로 변화하게 되었다. 『수호지진간(睡虎地秦簡)』「어서(語書)」에 보이는 ``양리(良吏)``와 ``악리(惡吏)``의 구분은 통일제국의 수립 이후 사(士)의 성격이 변화되었음을 반영한다. 그렇지만 『수호지진간(睡虎地秦簡)』「위리지도(爲吏之道)」와 『악록서원장진간(嶽麓書院藏秦簡)』 「위리치관급검수(爲吏治官及黔首)」에는 리(吏)에게 유가적(儒家的) 덕목(德目)을 요구하고 있는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진(秦)의 통일이후 한(漢) 문제(文帝)·무제(武帝) 이전시기까지 부정 되어 오던 유가적 성격의 士의 존재는 이러한 『진간(秦簡)』 자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한대 이후 유가사상은 중앙집권적인 전제권력의 이념적 기초를 확립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인(士人)은 춘추(春秋)·전국(戰國)시기의 ``유사적(游士的) 전통(傳統)``을 점차 상실하였으며 자신들의 존재를 황제를 정점으로 한 전제권력의 구성원으로 위치 지웠다. 이런 까닭에 武帝가 즉위하고 나서 제자백가의 사상을 파(罷)하고 易·詩·書·春秋·禮·樂의 육경(六經)을 표장(表章)했다는 반고(班固)의 언급은 전국시기(전국시기) (戰國時期) 이래의 ``유사(游士)``의 몰락과 ``유사(儒士)``의 본격적인 출현을 의미한다. The tradition of the Elite was called Youshi(遊士) in Pre- Qin Dynasty and the Literati after Qin and Han Dynasty. The func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Elite was very complicate and can not to be explain on a viewpoint until ancient times. Nevertheless the Elite was the subject of create and the heir of politics, culture and idea each times. I know that it is difficult to inquire diachronic features of the Elite in Chinese history. So I analyze a character of the Elite through the Shuihudi Qin bamboo slips (『수호지진간(睡虎地秦簡)』) and the To Yuelu Academy Tibertan Qin bamboo slips (『악록서원장진간(嶽麓書院藏秦簡)』) as recent materials. Although Yushi took part in political action after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they neglected the main value of the Elite, which set on Dao(도) (道). According to social changes, Yushi who had a learning or an ability want to be the government official. But a ruler intended to have power over them. These reflect changing a character of the Elite from Yushi of the world to a retainer of a ruler. As result a character of the Elite have changed into the government official, who was directly subject to a ruler. Changing a character of the Elite appeared a classification of ``a good Minor official`` and ``a bad Minor official`` in Written word(「어서(語書)」), the Shuihudi Qin bamboo slips, after the united empire. But the Minor official was required of Confucian virtue which was Dao to be the Minor official and to rule over officials in the Shuihudi Qin bamboo slips and the To Yuelu Academy Tibertan Qin bamboo slips. Therefore Confucian the Elite can to be discovered in these materials from Qin to emperor Wen(문제) (文帝) and Wu(무제) (武帝) of Han. Confucianism have established the idea of centralization after Han. The Elite have lost the character of Yushi in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And then they put to be a number of autocracy in the center emperor. For this reason Ban Gu(반고) (班固) mentioned that emperor Wu throw away thought of the Hundred Schools, and then he was enshrined in Six Confucian, Classic of Changes, Classic of Odes, Classic of Documents, Spring and Autumn Annals, Records of Ritual, Records of Music, Which means an emergency of the Literati and the fall of Yushi until Warring States.

      • KCI등재

        睡虎地秦墓 秦簡 『日書』 속의 五行思想 연구 -택일술을 중심으로-

        김용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5

        20세기에 들어서 고고학의 발굴 성과에 따라서, 출토문헌들은 기존의 전래문헌들이 보여 주지 못한 역사의 공백을 밝혀주고 있다. 그 중에서 1975년에 호북성 睡虎地 秦墓에서 발굴된 秦簡은 그동안 정확한 모습을 알 수 없었던 『日書』라는 문헌 최초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발굴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수호지 진간 『日書』를 통하여 戰國 末期의 오행사상의 모습을 확인하고, 五行思想이 擇日術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고 운용이 되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睡虎地 秦簡 『日書』의 사상사․술수사적 가치는 『史記』 이외에는 별다른 기록이 없는 秦代史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자료라는 점과 五行說이 戰國 末期에 이미 현대의 모습에 가깝게 정형화되었으며 민간에 널리 퍼져서 택일 등과 같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五行說의 기원과 유래는 아직도 定說이 없지만 睡虎地 秦簡 『日書』 속에는 전국말기 무렵의 五行思想의 발달된 모습과 그 영향력이 담겨져 있다. 고대에는 각종 술수로 점을 치는 사람이나 택일을 하는 사람을 日者라고 불렀으며 이들이 이러한 과정을 행하는 과정에서 사용하였던 工具書를 『日書』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日書』 속에는 일자들이 오행의 刑沖破害와 合을 사용하여 吉日과 吉方을 선택하는 모습도 담겨져 있다. 이를 통하여 고대인들의 사유의 한 단면과 선진시기의 택일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논자는 수호지 진간 『日書』를 통하여 전국 말기에 이미 오행의 상생상극을 비롯한 오행설의 많은 부분들이 현대의 개념과 유사할 정도로 성숙하였으며 음양과 오행은 아직 완전한 合一體를 이루어 하나의 완성된 이론으로 발전하지 못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睡虎地 秦簡의 오행과 관련된 이론들은 오늘날의 이론들과 비교하여도 그 완성도에 있어서 전혀 손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水滸誌語錄≫과 ≪西遊記語錄≫ 硏究

        민관동 한국중국소설학회 2009 中國小說論叢 Vol.29 No.-

        在韩国國內圖書館裏有很多 ≪水滸誌語錄≫和 ≪西遊記語錄≫的板本,这些書是中國通俗小說語錄解說集。≪水滸傳≫和 ≪西遊記≫由白話文寫成,而當時大多數的學者或文人,對文言文比較熟悉,但不太能通晓白話文。因此,朝鮮時代的文人和譯官选择中國通俗小說中的白話和難句做成辭典類型語錄解說集,這便是 ≪水滸誌語錄≫和 ≪西遊記語錄≫。 根据金台俊(1906-1949年)的 ≪朝鮮小說史≫(1932年出版),朝鮮顯宗10年(1669年),爲方便阅讀 ≪水滸傳≫和 ≪西遊記≫,曾出版了 ≪水滸誌語錄≫和 ≪西遊記語錄≫的記錄。但目前沒有現存的板本和證據,因此難以確定出版的有無。然而,尽管如此,但至少出現筆寫本的可能性很大。 朝鮮時代出現的 ≪水滸誌語錄≫和 ≪西遊記語錄≫板本有兩種,一种是按 ≪水滸傳≫和 ≪西遊記≫的回目順序编写而成的回目順序型語錄,另一种是按語彙的字數编写而成的字類順序型語錄。这些書的出現時期可能是先出現回目順序型語錄,後出現字類型語錄。

      • KCI등재

        秦漢券書簡所反映的“名計”制度

        楊振紅(Yang Zhenho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6

        秦漢시대에는 “上計”제도가 있었다. ≪續漢書·百官志五·州郡≫ “上計”의 劉昭注에서는 胡廣을 인용하여 “秋冬歲盡, 各計縣户口墾田, 錢穀入出, 盗賊多少, 上其集簿. 丞尉以下, 歲詣郡, 課校其功”이라고 하였다. “上計”의 기초는 “計”인데, 즉 지방 郡國縣邑은 매년 관할 구역 내의 戶口, 耕地, 錢穀物資收支, 범죄 등의 정황에 대한 기록 진행, 核算, 감독을 진행하여 관할 구역의 治理와 재정 상황을 전면적으로 장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計”는 計簿, 計吏 등을 가리킬 뿐 아니라 동사로도 사용되어 “計”의 행위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睡虎地秦簡 ≪倉律≫ 35간 “計稻後年”, 里耶秦簡 8-151 “遷陵已計”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秦漢 券書簡 에 반영된 計制의 “名計”문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名計”라는 말은 모두 里耶秦簡 9-1에서 9-12簡 및 파손이 심한 9-1846簡에 출현하였다. 9-1에서 9-12簡은 모두 陽陵卒 “錢校券”에 관한 문서로 학계의 인식에 매우 큰 차이가 있다. ≪文物≫ 2019년 제12기에 발표된 陳偉, 熊北生의 논문 ≪睡虎地漢簡中的券與相關文書≫에서는 睡虎地77號漢墓의 부분 券書簡 석문을 발표하였는데, 필자는 이를 통해 9-1에서 9-12간의 의문을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陽陵司空은 毋死가 소속된 遷陵縣에게 毋死 본인에 대해 貲餘錢의 추심을 요구하였지만, 반드시 돈을 우편으로 陽陵司空에게 보낼 필요는 없었고 借貸賬의 형식으로 記賬하면 되었다. 즉 陽陵司空은 借出賬에 이 돈을 遷陵縣에 지출한 것으로 기록하고 遷陵縣은 貸入賬에 陽陵司空에게 이 돈을 수입한 것으로 기록하면 平賬이 이루어진다. 그 수속은 遷陵縣이 한 통의 責校券을 제작해 陽陵司空 貲餘錢 8,034의 증빙으로 하고 동시에 한 통의 공문서를 쓰고 문서 중 구체적으로 遷陵縣 어느 부문에서 計賬하고 어떤 科目으로 어떤 연도 장부 상에 기록한 것인지를 注明하였다. 그 연후에 공문과 責校券을 함께 陽陵司空에게 발급하면 陽陵司空이 計賬시에 상응하는 장부 항목에 기입할 수 있었다. The newly published voucher bamboo slips from Western Han tomb M77 at Shuihudi(睡虎地) sheds light on the “Mingji(名計)” system in Qin and Han, which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money checking vouchers(錢校券) in Liye Qin Bamboo Slips Nos. 9-1 to 9-12. The 7th, 8th, 19th, 20th, 9th and 10th Shuihudi Han Bamboo Slips, the ‘Animal Yield Receive Vouchers and Pay in the Sixth Year’(≪六年畜息子入券及出≫), all are concerned with two official documents(“書”). The first document was from the bailiff(嗇夫) of Yangwu(陽武鄉) to Anlu(安陸縣), and includes the report and handing in of middle vouchers about “Pay(出) or Receive Voucher(入券)”, the explanation that the right voucher was already handed in to the county storehouse, and the details about the accounting institution, subject, and year. The second document was sent by the district bailiffs to the county storehouse to explain the transfer of the right voucher about ‘Pay or Receive Voucher’. In this group of bamboo slips, “receive(入)” referred to the income in new-born animals. Since the handling district unit was not an independent accounting unit while the county was, changes in district’s assets had to be reported to the county at all times. The county would record and count the details of income and expenditure, and the county storehouse was concretely responsible for accounting. The Liye Qin Bamboo Slips 9-1 to 9-12 are official documents concerned with the request of the Sikong(司空) of Yangling(陽陵縣), as he asked Qianling(遷陵縣) in Dongting(洞庭郡) to be redeemed the remaining money(貲餘錢) that was owed by the soldiers who had been punished for serving there. He sent the remaining owed money as a lending to Qianling while Qianling took it as a borrowing, so that they could achieve a financial balance. In this process, Qianling produced a debt checking voucher(責校券) as an evidence for receiving the remaining money from Yangling and wrote together an official letter to specify the department, subject and year. This letter with the debt checking voucher would be sent to the Sikong of Yangling, who would record it based on these documents. “受責(債)” means ‘accepting debts’. The debt checking vouchers(責校券), also called “debt vouchers(責券)” in short, are checking vouchers(校券) from loaners to debtors. “名計” refers to the record of these accounts. In that situation, the usage of “名” is the same as “名” in “名田宅”‧“付” in “問何縣官計、付” means “付責校券”, i.e, ‘giving the debt checking vouchers’. In “署計年、名爲報”, “署” means ‘recording’ while “報” means ‘replying’; that is, Qianling was asked to reply the Sikong of Yangling about the year and subjects of the accounts.

      • KCI등재

        한국(韓國) 중국고대사(中國古代史) 학계에서의 토지제도(土地制度) 연구

        임중혁 ( Im Joong-hyu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9 No.-

        이 글은 한국에서 중국고대토지제도에 대해 연구한 성과를 리뷰한 것이다. 睡虎地秦墓竹簡이 출토하기 전에 국내에는 민성기와 김엽 두 교수의 연구가 주목된다. 수호지지간이 출토한 1975년 이래로 이성규와 최창대·윤재석이 土地授田制(國有制) 논쟁을 벌였다. 그 후 2001년 張家山漢墓竹簡의 석문이 출간되면서 박건주·임병덕·임중혁·김진우 등의 글이 발표되어 수전제의 유무, 매매와 상속 등에 관한 논쟁이 보다 본격화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research on ancient Chinese land systems, which was conducted in Korea. Before the excavation of the Shuihudiqinjian(睡虎地秦簡), the research of two domestic professors`(Min, seong-ki and Kim, yub) is noteworthy. Since the year of 1975 when the Shuihudiqinjian was excavated, there has been controversies among the writings of Lee-sungkyu, Choi-changdae, and Yoon-jaeseok. Thereafter, in 2001 when the Zhangjiashanhanjian(張家山漢簡) was published, the writings of the following scholars were presented: Park-keonjoo, Lim, beong-duk, Im, joong-hyuk, Kim, jin-woo, among others. They had discussion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ate land system, land transaction, and its inheritan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