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해혁명 시기 신사상운동의 전개과정과 내용

        오수열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09 인간과 문화 연구 Vol.- No.15

        신해혁명은 좁은 의미로는 1911년 무창(武昌)에서 폭발한 혁명을 지칭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1894년부터 1912년까지의 10여 년에 걸친 일련의 혁명과정을 지칭한다. 신해혁명의 발발은 1860년부터 시작된 양무운동(洋務運動)이 성공을 거두지 못한 채 청조(淸朝)가 쇠락의 길을 걷게 되면서 민중의 삶 또한 곤궁해진 데 대한 반발의 결과이다. 손문(孫文)을 비롯한 한족(漢族)의 지도자들은 양무(洋務) 및 변법(變法)과 같은 개량적 방법으로는 중국을 구제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청조를 타도하고 새로운 공화국(共和國)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된 것이다. 손문 등이 이처럼 공화국 수립을 주장하게 된 데에는 당시 사회의 여러 상황이 반영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상(思想)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신사상(新思想)’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시대적 조류는 첫째, 전제군주에 대한 반대, 둘째, 그동안 남권(男權)과 부권(父權)에 억눌렸던 여권(女權)의 신장, 셋째, 가족관계의 변화, 넷째, 미신(迷信)에 대한 무신론(無神論)의 대두, 다섯째, 신교육(新敎育)의 진흥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신해혁명 시기의 이러한 신사상운동은 신해혁명의 성공으로 ‘중화민국’이 수립됨으로써 그 역할이 끝난 것이 아니고, 1919년 ‘5․4운동’의 발발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5․4신문화운동(5․4新文化運動)’의 뿌리에는 ‘신사상운동’이 놓여 있는 것이다. 이것이 신해혁명 시기의 신사상운동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는 이유다. Chinese Revolution refers to a reform occurring in Wǔcháng in 1911 in a narrow sense, but refers to a reformative process over 10 years from 1894 to 1912 in a broad sense. The outbreak of Chinese Revolution was a result of impoverished life of the people as Qing Dynasty declined due to failure of the movement of strenuous efforts that began in 1860. Chinese leaders including Sun Wen judged that China could not be saved with enriching methods such as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s and reforms and insisted that Qing Dynasty had to be overthrown and a new republic had to be established. Sun Wen's suggestion to establish a republic reflected various conditions of the society and ideas that supported such suggestion already existed. That is, historical trends of what is so-called ‘new ideolog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pposition against autocrats; Second,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oppressed by men's right; Third, changes in family structures; Fourth, appearance of atheism against superstition; and fifth, promotion of new education. Such new ideology movement in the Chinese Revolution did not complet its role as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with a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Rather,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outbreak of New Cultural Movement in 1919. That is, New Ideology Movement lied in the root of May 5 New Cultural Movement. It is the reason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New Ideology Movement in Chinese Revolution.

      • KCI등재

        양무운동의 전개과정과 성격에 관한 연구

        오수열 한국동북아학회 2009 한국동북아논총 Vol.14 No.2

        The modern history of China is a history of violent change. It faced with confusion caused by many problems such as: its establishment by Manchu, issues concerning public welfare caused by incompetence and corruption of the Ching dynasty, and invasion of western imperial powers. As the regular army of the Ching Dynasty did not exert its function well during the Taiping Rebellion, with rise of Hsiang chun and Huai chun centering on the Han race, military power was grasped by the Han Race, which was decisive in the collapse of the Ching Dynasty. The emperor fled from the royal palace to Yeolha when the British and French Allies invaded it in 1860, which divided Ching Dynasty into two parties, Yugyeong and Yeolha. And, when the Yugyeong party negotiated with England and France, the Yangwu Movement began centering on the Yangwu party. The Yangwu Movement, Self-Strengthening Movement, aims to preserve the Chinese system by modernizing China based on advanced science, technology and institutions from western countries. Therefore, this movement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 revolution and so ended after a short time. However,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Yangwu Movement functioned under modern conditions in China rather than failed. If the movement did not appear, the Chinese Revolution led by Sun Wen would not have occurred either. That's why this study is to revaluate the Yangwu Movement. 중국의 근대사는 격동의 역사이다. 내부적으로는 만주족이 세운 정권이라는 민족적 문제와 청조(淸朝)의 무능과 부패가 빚어 낸 민생문제, 그리고 외부적으로는 서양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이라는 난관을 극복하지 못한 채 혼란에 직면하였기 때문이다. 태평천국(太平天國)과의 전쟁을 치루는 과정에서 청조의 정규군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에 따라 한족(漢族)중심의 상군(湘軍)과 회군(淮軍)이 부상하면서 군권이 한족으로 옮겨간 것은 청조의 몰락을 가져온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1860년 영불연합군의 공격으로 함풍제(咸豊帝)가 열하(熱河)로 몽진한 것을 계기로 청조가 ‘유경파’와 ‘열하파’로 나위어지고 유경파가 영․불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양무파(洋務派)’를 중심으로 양무운동이 태동하게 되었다. 양무운동은 이른바 자강운동(自强運動)으로, 서양의 앞선 과학․기술과 제도를 받아들여 중국을 근대화시킴으로써 중국의 체제를 보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이 운동은 ‘혁명’과는 근본적으로 성격을 달리하였으며, 그러한 한계 때문에 결국은 일시적인 운동으로 끝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필자는 양무운동이 실패로 끝났다고 하기 보다는 중국의 근대적 상황 속에서 소기의 사명을 다하고 소멸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만약 양무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면 그 후 손문(孫文)에 의해 주도된 신해혁명(辛亥革命)도 나타나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가 양무운동을 재평가해보고자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 KCI등재

        중국의 근대화 과정과 인천 차이나타운의 형성과 변화

        조봉래(Cho Bong-la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인천 차이나타운은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이다. 그러나 이 장소가 가진 동아시아 근대의 역사성은 무시된 채 국적성을 상품으로 팔기 위한, 외양만 이국적으로 조성된 공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 공간은 중국이 근대화를 이루기 위해 추진했던 양무운동의 산물이다. 중국은 근대화에 필요한 민간자본의 확대를 위해 화상을 한반도에 정주시켜 무역과 상업에 종사시킨 것이 인천 차이나타운이 만들어지게 된 주요한 계기였다. 또한 양무운동을 통해 북양함대의 건설 등으로 인해 군사적인 자신감을 회복한 청이 북양함대의 주 활동 반경에 있는 한반도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고자 하여 수도 한성과 가장 가까운 항구인 인천을 그 전진 기지로 삼고자한 결과였다. 그러나 한반도의 지배권을 놓고 일본과 치열하게 경쟁하던 중국은 청일전쟁에서 패함으로써 종주권을 상실하였고 양무운동도 실패로 끝나게 된다. 이는 화교사회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쳐서 그들이 주로 종사하던 무역에 있어서도 일본에 주도권을 넘겨주게 된다. 그렇지만 이후에도 인천항을 통한 수입업은 거의 화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청일전쟁 이후에도 재한 화교의 전체 수가 꾸준히 증가했던 것과 달리 인천 화교의 수는 부분적으로 줄어들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했지만 그 구성이 주로 무역업에 종사하거나 인천항에서 하역을 하는 노동자들로 이루어져서 그 정주성이 유난히 높았다. 이처럼 인천 차이나타운은 중국의 근대화 과정이나 동아시아 질서의 개편이 그대로 반영된, 역사성이 매우 높은 장소이다. 따라서 이곳은 동아시아의 근대사를 또 다른 시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역사의 공간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단순한 관광자원이 아니라 역사자원으로도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Incheon Chinatown is a major tourism resource in Incheon. However, the history of modernity in East Asia has been neglected, and it has become an externally created space to sell nationality as a commodity. This space is the product of the Yang-wu movement that China pursued to achieve modernization. In order to expand the private capital needed for modernization, China settled Chinese merchan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ngaged in trade and commerce, it i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Incheon Chinatown. And China built the North Sea Fleet through the Yang-wu Movement. They have recovered their military confidence and intend to strengthen their control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to make Incheon, the closest port to Hansung, the base for its advance. However, China, which had been fiercely competing with Japan for control of the Korean Peninsula, lost its suzerain rights by defeat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Yang-wu Movement also ended in failure. This has also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Chinese society in Korea, so that they will hand over the initiative to Japan, even in the trades they mainly engage in.However, after that, import business through Incheon Port was almost done by Chinese merchants. Eve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total number of Chinese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overseas Chinese in Incheon decreased or remained at a certain level. Their composition was mainly composed of workers engaged in trade business or unloading at Incheon Port, and the settlement was exceptionally high. As such, Incheon Chinatown is a very historical place with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China and the restructuring of East Asian order reflected. Therefore, it should become a space of history that can see modern history of East Asia can be seen as another point of view. Incheon Chinatown is not only a tourism resource but also a historic resource.

      • KCI등재

        청말(淸末) 변법유신운동의 전개와 성격

        오수열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1

        Since the Treaty of Nanjing which was the most humiliating in history of China was concluded in 1842, China became a place for struggles in which the powers of imperialism struggled to gain more interests. However, such invasion of the external powers made intellectuals of China to recognize that a reform was needed to protect their national rights resulting in a Reform of Modernity. However, the reform was not successful as it insisted to accept western technologies maintaining the Qing Dynasty which was based on feudalism, which raised First Sino-Japanese War in 1894. Then Hundred of Days of Reform followed for reflection of the previous reform. The new reform was an important step toward modernity in that it was to build a constitutional monarchy by accepting even reforms in political system as well as in science and technology of western countries. However, it did not reach to democratic stage in that it was also based on continuance of Qing Dynasty. In addition, violent conflicts between the reformists centering on Kuanghsu and the conservatives centering on Tz'u-Hsi T'ai-hou led to failure of the reform and the Coup of 1898. However, the Hundred of Days of Reform was evaluated to hav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olitical history of China. Most of all, though it was based on continuance of Qing Dynasty, it served as a foundation of Chinese Revolution which planned a republic system in that it mentioned introduction of representative system and led to the Communist Party's coming to power. This is why we can not evaluate that history itself is a success or failure. 1842년 중국 역사상 가장 치욕적 내용을 담고 있다는 남경조약(南京條約)이 체결된 이후, 중국은 제국주의 열강(列强)의 이권 쟁탈장이 되었다. 반면 이러한 열강의 침략은 중국 지식인들로 하여금 국권(國權)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강(自强)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시켰는데, 그 결과 다름 아닌 양무(洋務)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양무운동은 봉건전제(封建專制)인 청조(淸朝)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단지 서양의 앞선 기술만 받아들이려는 태도로 일관함으로써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고, 이는 다시 1894년의 청일전쟁(淸日戰爭)으로 나타났다. 바로 이러한 반성 위에서 나타난 운동이 다름 아닌 변법(變法)운동이다. 변법운동은 서양의 앞선 과학․기술 뿐만 아니라 그 정치제도의 개혁까지를 수용하여 입헌군주국가를 건설하려 하였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점이 없지 않으나, 이 역시 청조의 존속을 전제로 하였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적 경지에까지는 미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더욱이 변법을 추진과정에서 광서제(光緖帝)를 중심으로 한 변법파와 서태후(西太后)를 중심으로 한 수구파(守旧派)간의 치열한 갈등은 중국이 변법을 통한 개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무술정변(戊戌政變)이라는 파국을 맞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법운동은 중국의 정치사에 결코 적지 않는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도 비록 청조의 존속을 전제로 하였지만, 대의제(代議制)의 도입을 거론하는 등 정치체제의 문제까지를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이는 후일 청조를 전복하고 공화제(共和制)의 수립을 도모한 신해혁명(辛亥革命)의 밑거름이 되었고, 이는 결국 무산계급의 독재를 주장하는 공산당의 집권으로까지 이어졌기 때문이다. 우리가 역사를 평가할 때 그 자체만을 가지고 성공이냐 실패냐를 규정할 수 없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 근대중국 洋務運動에서의 幕府에 관한 연구

        이철원 韓國交通大學校 2013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8 No.-

        近代中國從中西兩種文化的接觸看,槪乎言之,无一而非兩大根本不同的文化的撞擊與衝突。西人挾其火砲鐵甲而帶來了聲光化電以及與中國傳統文化廻不相眸的典章制度,中國傳統文化在屢屢敗積中, 先進的知識分子轉而倡導向西洋文化尋求出路, 出內入外,持論百出,從體用之爭到本末之辦,到五四新文化運動而從倫理的覺悟作爲根本之道着手, 種種端端, 持續數十年。 上海, 這個海岸城市,由于所處的特殊地位, 在中西兩大文化的撞擊與衝突中,成爲集中点。 中西文化往往在上海首先相撞擊, 激烈相衝突, 然後是進而或相認同, 或予排拒。 洋務運動最顯著的成績表現于上海,維新思想的傳播盛著于上海,地方自治的成效最彰于上海, 辛亥革命在國內的中心是上海,五四新文化運動只可能發端于上海, 華人參政運動也只是在特殊格局的上海産生,以至于各種市民運動在上海明顯地不同于全國。由于中西兩大文化在上海已有前哨之戰, 成敗利鈍業已初見分曉, 從上海這個集中点將西洋文化輻射到全國, 其衝突的激烈性已見減輕, 其認同的可能性勢必增加。上海之所以獨異于全國,能够肩此重任,說是由于它所處的特殊地位,這包含了租界這個重要的因素。全國多有租界, 天津的租界且多之八個,爲何上海租界的作用影響特大? 无外乎在通商口岸中上海是列强最主目的地方,上海租界所具備的行政,立法,司法俱全的政治結構,較之其他同類型租界最爲完整與有力,上海西人遠多于中國其他通商口岸,西人投資最多,興辦事業最多,所爲西人利益在他們看來上海關係最大,因而西人所最着力經營者,在中國通商口岸中非上海莫屬。其所發揮的效能也最大,租界爲時也最長. 上海租界成了代表殖民利益的典型。

      • KCI등재

        洋務, 淸流 그리고 甲申易樞(1884)

        이영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From the viewpoint of the time, the Yangwu movement was not widely supported by all the political forces of the Qing Dynasty as the most urgent task. In the mid-1870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such as Taiwan[臺灣] incident, famine, and Yili[伊犁] incidents gave legitimacy to criticism. Qingliu was at the center of the criticism. Qingliu got the influences to criticize Prince Gong. In November 1882, the ratio of the royal and non-Prince Gong forces in the Grand Council [軍機處], became 3:2, 3:3, 2:4 in two days. In January of the following year, the non-Prince Gong forces resigned, the ratio of the two forces became 2:3. In March 1884, the Qing army was defeated by the French army in Vietnam. Next month, Dowager Cixi dismissed all member of the Grand Council because of the easy attitude of the military commanders, and appointed the Prince Li[禮親王] as a new leader. This was called Jiashenyichu. After then, it seemed to have been no object to control the absolute power of Dowager Cixi. 1861년 신유정변이 일어난 해부터 1884년까지, 청나라의 안정과 중흥을 위하여 가장 시급한 과제는 열강의 침략과 태평천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열강의 또 다른 침략에 대비하는 것이었다. 그 과제는 정변으로 중앙 권력의 일부를 분점한 恭親王세력과 李鴻章을 비롯한 지방 독무들에 의해 추진되었고, 양무운동으로 불렸다. 광서시대에 들어서면서 恭親王세력과 양무파에 대한 비판이 거세졌다. 1870년대 중반 臺灣사건, 대기근, 伊犁사건 등 대내외적인 문제들이 비판에 정당성을 부여하였고, 慈禧太后의 恭親王에 대한 견제는 비판이 용납되는 공간을 제공하였으며, 『신보』라는 언론의 등장은 여론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비판을 주도한 중심에는 淸流로 불린 인물들이 있었다. 광서시대에 들어서서 대내외적인 문제들이 淸流가 대두되는 환경을 제공하였고, 恭親王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축소되기 시작하였다. 1882년 11월, 軍機處에서 恭親王세력과 非恭親王세력의 비율은 이틀 사이에 3:2, 3:3, 2:4가 되었다. 이듬해 1월 非恭親王세력이었던 潘祖蔭이 사직했지만 두 세력의 비율은 2:3이었다. 1884년 4월, 청나라 군대가 베트남에서 프랑스 군대에게 패배하였다. 다음달, 慈禧太后는 군대의 패배가 군기대신들의 안일한 태도 때문이라며 甲申易樞를 단행하였다. 恭親王 등은 모두 파면되었고, 禮親王 등을 새롭게 군기대신에 임명되었다. 甲申易樞 이후 지방 독무들이 독자적으로 洋務運動을 지속하면서 그 추진력이 약화되었다. 그리고 慈禧太后의 권력 독점을 견제할 장치는 아예 사라졌다.

      • KCI등재

        양무시기의 아편문제와 곽숭도의 금연운동

        이학로 ( Lee Hag Lo ) 대구사학회 2004 대구사학 Vol.74 No.-

        郭嵩??的一生是正好在新舊思想交替的時代里. 他提出了흔多超卓的見解, 開創了新思潮的方向. 他是中國十九世紀中期, 在歐洲文明衝擊下, 知識階層表現抗拒心理的第一代的代表性人物. 郭嵩??自從咸豊9年隨僧格林泌協辨天津海防以來, 三十多年間, 每逢與洋務有關的案件, 或淸廷與外邦的外交, 他如不是親身參與其中, 便是向朝廷或大臣提建議, 他在官僚生活之中, 與一些重要人物如曾國藩, 胡林翼, 左宗棠, 李鴻章, 曾國전等又皆有深交. 郭嵩??是開中國派任外國常駐使臣的先例. 他是出任駐英公使的第一人. 他出使任內三年, 于開了中國人認識西方文化的新篇章, 又得到了若干具體的外交成就. 出使英國之後, 郭嵩??發現英國一些有正義感的人民和士紳, 不僅對其政府在中國進行的鴉片貿易感到羞恥, 而且成立禁煙會, 主動與郭嵩??聯系, 希望在中國推行禁煙運動. 洋務運動時期在法律上鴉片可以輸入和販賣. 鴉片戰爭之後鴉片禁令早己名存實亡了. 淸政府對外國鴉片販子的行爲早己默認, 鴉片貿易實際上已經完全不受法律制裁. 淸政府規定洋藥除系官員兵了太監人等照例治罪, 又私수 藏奸聚集者, 照聚賭例治罪外, 其余民人槪准買用. 以後中國漸漸地變成世界上之最大鴉片市場. 這樣的情況下, 李鴻章采取漸進的寓禁于徵政策. 郭嵩??反對因財政理由而作出有損國民經濟發展之政策. 他洞察到鴉片抽釐只會使白銀大量外流, 所入於政府財稅是速不及流出的資金之多, 故他反對李鴻章爲了增價數百萬之鴉片弛禁來持海防, 練兵之用, 而弛禁鴉片的主張. 郭嵩??認爲由于中國人中吸食鴉片 風氣的 蔓廷, 極大地危害着中國人的心身健康, 削毛了大量的財富. 他認爲吸食鴉片是中國衰落的主要原因. 在這樣的情況之下, 郭嵩??向朝廷拜發了『請禁止鴉片煙折』, 但是這些建議根本沒有實行. 所以他發起了禁烟運動而組織了禁烟公社. 郭嵩??歸國后便在湖南倡議由民間自動禁煙. 他根據人心風俗爲立國之根本的倫理思想, 展開了鴉片禁煙運動. 他曾積極運用外交影響力去解決鴉片入口的問題. 因此, 他對西方帝國主義者的野心欠瞭解, 而爲屈求全的政策是有問題的. 但是郭嵩??的禁煙努力促進了中國國內禁煙運動的深入發展.

      • KCI등재

        孫中山과 中國 民主憲政의 發展

        邱榮擧(CHIU RONG-JE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 No.2

        21세기 초를 살고 있는 우리가 동양 근대사와 정치지화에 대해 함께 토론한다는 것은 실로 그 의미가 크다. 과거 19. 20세기 동양 근대사에서 중요한 정치 변혁과 정치 변혁 중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지화의 정치적 성과의 중요성, 공헌 및 영향력이 어떠한 지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현재 동양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자신의 국가 발전을 추구함에 있어 과거 정치 선배들의 정치사상과 정치성과를 참고하고 그 당시 국가 발전사, 인류 발전사에서의 역사적 위치를 이해함으로써 지금의 국가발전 혹은 인류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근대중국은 내우외환 속에서 서방세력이 압력을 가하고 사상이 충돌하는 대변혁의 시기를 겪었다. 당시 중국의 조정과 재야 인사들은 중국 정치의 대변혁을 위해 중요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졌던 정치운동을 펼쳐나갔다. 洋務運動(自强運動), 太平天國運動, 變法運動(維新運動), 立憲運動, 辛亥革命, 5ㆍ4運動등이 그것이다. 손중산(孫中山)은 이런 신구 정치사조와 정치변환의 대시대 속에서 혁명과 건국을 영도한 정치지다로서 전 중국의 국가발전을 어떻게 추진해야 할지를 항상 고민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의 핵심은 간단히 말해서 三民主義(民族主義, 民權主義 및 民生主義)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三民主義와 五權憲法이며, 五權憲法은 바로 三民主義 특히 民權主義에 뿌리를 둔다. 五權憲法은 손중산의 三民主義가 정치제도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라 할 수 있는데 그는 그 정치사상을 헌법 제정을 거쳐, 구체적인 정치제도로 실현시켜, 중국을 民主憲政 국가로 하루 빨리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때문에 손중산의 정치사상에는 民主憲政과 관련된 부분이 매우 중요하며 그 民主憲政 사상은 주로 三民主義의 民權主義와 五權憲法을 가리킨다. 아울러 혁명 건국 3단계(軍政, 訓政, 憲政)를 제기했는데, 특색 있었고 기여한 바가 많았다. 이는 현재 대만 즉 中華民國(1912년 건국, 1945년 10월 25일 대만 통치 시작. 1949년부터 현재까지 사실상 대만 통치)과 중국 대륙 즉 中華人民共和國(1949년 성립, 1949년부터 현재까지 대만을 통치하지 못함)의 국가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본문의 연구제목은 ‘손중산과 중국 民主憲政의 발전’으로 주된 연구동기는 손중산이 현재 대만인 중화민국과 중국 대륙인 중화인민공화국 모두에 중대한 정치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주 연구목적은 손중산과 臺灣海崍兩岸의 民主憲政 발전의 관계 여부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손중산의 民主憲政 사상은 무엇인가? 2.각종 유형의 五權憲法制를 어떻게 해석 할 것인가? 3.손중산과 兩岸의 民主憲政 발전에는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 제목과 같은 문제를 다룬 연구 문헌이 상당히 많다.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모두 관련 연구에서 상당한 성과가 있었고 기타 대한민국, 일본, 미국 등과 같은 민주국가도 적지 않은 결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각 종 유형의 五權憲法制에 대해서는 줄곧 그 차이를 구별할 수 없고 심지어 五權憲法制를 總統制, 內閣制, 委員制, 雙首長制 등 중앙정부 체제와 같이 놓고 평가해 혼란과 오해를 낳았는데 이것이 가장 큰 결점이라 하겠다. 본문은 연구 접근(Approach)을 「외재적 연구 접근」(External Approach)과 「내재적 연구 접근」(Internal Approach)으로 나누었고 연구방법 (Method)은 문헌 분석법과 비교연구법을 채택하였다. 본문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근대정치 변혁 속의 수많은 저명한 정치지도자 중에서 손중산은 정치사상을 내놓고 정치활동을 펼쳤으며 나아가 정치제도에 중대한 변혁을 낳은 걸출한 정치지도자다. 2.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의 내용은 상당히 다양하고 풍부하며 특색을 갖추었고 공헌한 바가 크다. 3. 손중산이 창시한 五權憲法制와 그후 발전한 다른 유형의 五權憲法制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필자는 “五權憲法制의 原形과 變形”이라는 새로운 견해를 가지고 각종 유형의 五權憲法制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소위 五權憲法制의 원형은 손중산이 구상한 五權分立 구도의 憲政體制만을 지칭한다. 그후 손중산의 五權憲法 구도를 참작하여 연구해 발전된 오권분립 구도의 헌정체제는 五權憲法制의 변형이라고 칭한다. 4. 정치학, 헌법학적으로 중앙정부 체제를 논할 때 五權憲法制를 總統制, 內閣制(혹은 議會內閣制), 委員制, 雙首長制(혹은 混合制나 半總統制)등과 혼동하면 안되나 五權憲法制와 三權憲法制는 같은 선상에 놓고 말할 수 있다. 5.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은 현재 대만해협 양안의 民主憲政 발전과는 뗄 수 없는 관계이며 특히 대만 즉 중화민국의 民主憲政 발전에는 더욱 큰 영향을 주었다. 손중산의 정치사상 중 民族主義, 民生主義, 國體論, 革命論, 黨軍論, 黨國體制 등도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 의미와 영향이 크고 공헌한 바도 많지만, 民主憲政 사상과의 관련성은 적으므로 본문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한 국가가 君主 중심의 專制政治體制에서 國民 중심의 民主政治體制로의 전환은 쉽지 않은 상당히 어려운 과정이다. 손중산의 정치사상은 모든 大중국의 발전 혹은 華僑圈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고 특히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이 사실상 현재의 대만 즉 중화민국에 미친 영향은 절대적이다. 그 원인은 中國國民黨이 집권했던 중화민국은 대만을 반세기 이상 효율적으로 통치했는데 손중산은 중국국민당의 總理이자 중화민국의 國父였기 때문이다. 대만은 중국국민당이 집권하는 중화민국 통치 하에 있어 三民主義와 五權憲法을 대대적으로 선양하고 실천에 옮겼다. 비록 이론과 실제와는 거리가 있고, 중화민국이 실시했던 民主憲政과 오늘날 중화민국 헌법과 수정 조문 상의 규정에도 차이가 있지만 五權分立 구도의 헌정체제 및 威權政治體制에서 民主政治體制로의 전환은 현재의 중화민국이 진정한 민주국가가 되도록 만들었다. 대만이 民主憲政을 하게 된 것은 대만 국민과 수많은 대만 정치지도자들의 공헌이 컸던 것 외에도,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과民主憲政 발전에 영향을 끼치고 많은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고로 향후 대만해협 양안의 발전에 있어, 중국 대륙이 소위 社會主義國家 民主主義의 중화 인민공화국이든 대만의 소위 資本主義國家 民主主義의 중화민국이든 간에 民主憲政을 이루려면 각 민주주의 국가 정치 지도자들의 民主憲政에 관한 주장을 연구하고 참고해야한다. 여기에 손중산이 중국의 民主憲政 발전에 공헌한 바는 바로 우리가 고려하고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1880년대 초반 강위(姜瑋)의 일(日)·청(淸)여행과 조선 정부의 개화정책

        이헌주 ( Lee Heon-joo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3 No.-

        강위는 동아시아 삼국이 내우외환으로 큰 혼란을 겪던 격동의 19세기를 불꽃처럼 살다간 선각적 지식인이자 당대 조선을 대표하는 詩人이었다. 그는 한미한 무반 가계 출신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종신토록 자신의 포부와 역량을 충분히 펼 수 있는 지위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뛰어난 식견으로 문호 개방을 전후한 시기 위정자들이 정책 결정을 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고, 한문학에서도 한말 사대가로 불릴 정도로 큰 족적을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1880년대에 강위가 감행한 두 차례의 일본 여행과 연이은 중국 상해 여행을 중심으로 그의 만년의 삶을 다루었다. 강위는 환갑이 되던 년 제 차 수신사 1880 2 김홍집을 수행하여 첫 번째 일본 여행을 했고, 2년 후인1882년초김옥균과함께두 번째 일본여행에 나섰다. 제2차수신사행에서 일행에게는 조일 양국의 외교적 현안의 해결과 이홍장이 보낸 밀함과 관련한 일본의 동정 파악과 개화 문물의 시찰이라는 명확한 소임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신사 일행의 움직임은 외교 현안 해결에 집중되었고, 개화문물 시찰이나 일본 측 인사들과의 교유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반면 일본의 국정 탐색과 함께 국채 모집의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1882년의 일본 여행에서는 상대적으로 기간과 세부 일정 등에서 여유가 있었다. 덕분에 메이지 일본이 추진하고 있는 근대화의 실상을 자세히 살피고 다양한 인사들과 교유할 수 있었다. 조선 정부는 제2차 수신사행이 귀국 때 『조선책략』을 가져오자, 이를 계기로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개화정책 추진을 가속화하였고, 청국 정부에도 영선사를 파견하여 미국과의 수교를 주선해줄 것을 요청하여 조미조약을 조인하였다. 하지만『조선책략』의 반입으로 국내에는 거센 반개화 운동이 촉발되었는데, 강위는 유생들의 반대 논리를 반박하는 두 편의 글을 지어 개화정책 추진의 정당성을 옹호하였다. 이는 조선 정부의 대미수교 개화정책 추진의 논리와 명분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두 차례의 일본 여행을 통해서 강위는 일본의 근대화 추진 실태와 함께 흥아회가 주창하는 ‘아시아 연대론’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귀국하던 중 임오군란 소식을 듣고 어윤중과 사태 수습을 논의하기 위해 天津방문을 계획했던 강위는 이후 양무운동의 산실인 상해의 근대문물을 살펴보고 귀국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이미 두 차례의 여행을 통해 일본의 근대화 추진 실태를 살펴보았으니 청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양무운동의 성과도 직접 눈으로 보고 싶었던 것이다. 강위가 청일 양국의 근대화 정책 추진의 실태를 두루 살피고 귀국한 것은 1882년 11월의 일이다. 귀국 후 그가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아 아쉬움이 크다. 이는 고령의 나이에 무리한 외유를 했던 후유증 때문이기도 있지만, 김옥균 등 개화당 인사들과 친밀했던 그의 이력으로 인해 갑신정변 실패 이후 기록의 대부분이 인멸되었기 때문이다. Gang Wi is a visionary intellectual and iconic poet of his time who lived like a flame in swirling turbulence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were stuck in great confusion due to troubles at home and abroad. His relatively lowly social status from a military noble family prevented him from obtaining a position and opportunity to be able to exercise his aspirations and capabilities for life. However, his outstanding knowledge and deep insight made a great impact on politicians in making their policy decisions around the time of the opening the national door to foreign countries and left a distinct mark in Sino-Korean literature as one of the four mast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late years of his life when he took two trips to Japan, followed by to Shanghai, China. Gang Wi took the first trip to Japan in 1880 when he turned 60 years of age to accompany Kim Hong-jip, the second envoy to Japan(第2次 修信使), and made another trip two years later in early 1882 together with Kim Ok-gyun. The second envoy team had clear duties of resolving pending diplomatic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dentifying what Japan was up to with regards to the documents sent by Li Hung-chang and inspecting the civilized culture of Japan at the time. Accordingly, the envoy team focused on resolving pending diplomatic issues with limited resources assigned to inspecting the civilized culture and the exchanging friendship with Japanese officials. On the other hand, his second trip to Japan in 1882, which appeared to be intended to understand the Japan’s state affairs and to raise funds with government bonds, allowed more leeway for the envoy to set the schedule and itinerary. For this reason, they were able to make a closer inspection of ongoing Meiji Restoration and modernization sought by Japan and to meet with various figures. The second envoy team brought the Strategy for Korea(『朝鮮策略』) on its way back from Japan and the Joseon Dynasty accelerated its policy of progressive movement, which had made little progress since signing the Ganghwado Treaty, sent another envoy to the Qing Empire to ask for an arrangement for a treaty with US and eventually signed the Joseon United States Treaty in 1882.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Strategy for Korea triggered a strong anti-progressive movement in Korea while Gang Wi defended the legitimacy of implementing the progressive policy by writing two articles refuting the anti-progressive movement among Confucian scholars, which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d the reason and justification for the Joseon government to push ahead with making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and promoting its progressive policies. The two trips to Japan allowed Gang Wi to develop keen interest in Japan’s modernization move and the Theory of Asian Solidarity(亞細亞連帶論) sought by Heungaheu(興亞會). Hearing the the Im-O Military Revolt(壬午軍亂) on his way back home, Gang Wi decided to inspect the modernization of Shanghai, the cradle of the Chinese Westernized Reform(洋務運動) before returning home, after discarding his original plan to visit Tianjin to discuss how to respond to the situation with Eo Yun-jung. He wanted to witness the achievements of the Chinese Westernized Reform led by the Qing Dynasty after examining the Japan’s modernization status through two previous trips. It was in November 1882 that Gang Wi returned home after inspecting the ongoing modernization of the two countries. It is a pity that we are not able to gain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activities he engaged in after returning home due partly to the aftereffects of his overstretched overseas trips at a late age and partly to the destruction of most of the relevant records following the failure of the Gapsin Coup orchestrated by the Enlightment Party due to hi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rty’s key figures, including Kim Ok-gyun.

      • KCI등재

        近代 中國 경제체제 변동이 사회구조에 끼친 영향

        이철원(李哲源)(Lee, Chul-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2 No.-

        洋務運動시기의 경제체제변화는 생산양식의 전화를 의미한다. 즉 봉건주의 소농경제와 수공업의 공업체제에서 자본주의 기계제공장기업의 등장으로 대량생산이 도입되는 과정이었다. 이처럼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전화는 궁극적으로 봉건주의 전제정치와 봉건경제체제의 와해를 전제로 시작되었으며 양무운동의 초기 지향점이자 관심사였던 봉건통치질서인 정치체제의 와해를 가져왔다. 동시에 이들 체제수호자들의 이념적 기반이었던 中體西用의 이데올로기적 근본조차 전환 하였다. 즉 그들이 지키고자했던 體로서의 중국적 이념은 用으로서의 서양의 모든 생산양식과 정치체제 및 이데올로기로 인하여 철저하게 와해되었으며 이로 인한 사회문화적 영역에서의 전환도 어쩔 수 없이 수용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경제구조의 변동은 필연적으로 자본주의 특색을 지닌 상태로 전환되었으며 이에 따른 사회문화영역의 불균형--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불균형과 서양의 접촉이 많은 지역의 거대한 변화와 그렇지 못한 지역의 불변성--이 유지되는 상황으로 중국의 근대사는 진행되었다. 특히 초기 진행된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군수산업분야에서 근대적 공업화는 기타 다른 경제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중국의 근대도시화와 사회문화구조에도 심각한 변동을 촉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무운동으로 시작된 경제체제의 변화가 근대 중국의 사회문화구조의 분화를 통하여 나타낸 과정은 총체적 역사발전의 순응이었다는 점이다. 이후 역사에서 비록 완전한 발전을 이룩하지는 못하였지만 중국의 근대 자본주의라는 방향으로 진전되는 과정에서 반식민지화로의 진행을 지연시켰으며 민족자본주의의 발전을 양성한 진보적 노력이었다고 평가한다. The aim of the Restoration, T'ung-chich period Self-strengthening was the revival of Confucion values and institutions, but so modified that they might endure. There was within the accepted tradition such a wealth of diverse ideas about how to reach traditional goals that changes in method of government were possible, on the basis of precedent, within the bounds of orthodoxy. The doctrine of change dated from the formative period of Chinese civilization and was at hand to sanction reform throughout the course of Chinese history. During the Restoration the doctrine, in its classic formulation from the Book of Changes, was cited repeatedly in memorials advocating reform : "When a series of changes has run all its course, another change ensues. When it obtains free course, it will continue long." The hope of Restoration was centered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change; for the ideas and institutions that had two thousand years proved conductive to stability, together with a doctrine of change that had lent flexibility, gave "some ground for trusting that the regeneration of China will be accomplished, like the operation of leaven in meal, without shivering the vess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