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손정인 한민족어문학회 2010 韓民族語文學 Vol.0 No.57

        본 연구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記述性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먼저 병서를 검토하여 이 작품의 기술성의 성격을 이해한 다음, 작품에 나타난 기술성을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그 구체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이라는 한 작품 안에서 ‘사실의 기록’, ‘의식의 전환’, ‘현실 비판’등을 한꺼번에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규보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명왕편>속에서 시도한 글쓰기의 기술성을 ‘기록을 통한 기술성’, ‘표현을 통한 기술성’, ‘구성을통한 기술성’의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층위에 따른 기술성의 의미를 정리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이규보는 <동명왕편>에서『구삼국사』의 「동명왕본기」의 내용을 註로 부기하여기록하는 방법에 의해 우리 고대문화의 전통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둘째, 이규보는 천하 사람의 의식을 전환시키기 위해, <동명왕편> 본시에서 해모수와동명왕의 ‘신이한 일’을 충실히 표현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주관의 첨가’, ‘설명의 부연’등의 다양한 표현을 시도하였다셋째, 이규보는 서사시인 <동명왕편>의 앞뒤에 비서사적 부분을 넣어 작품 전체 안에서 유기적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창작 의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이라는 한 작품 속에 기술성의 세 가지 층위를 모두 설정하여자신의 창작 의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Dongmyeongwang-pyu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Lee, Gyu-bo(이규보) intended to achieve in three aspects at once within the work : record of historic facts, conversion of consciousness and criticism in the reality. To achieve these three objectives, he divided his literacy shown in his work into three features: the literacy through the record, the literacy through expression and the literacy through composition. The meaning of literacy associated with each layer is as follows:First, Lee, Gyu-bo appended 「Dongmyeongwangbonki」(동명왕본기) of 『Kusamkuksa』(구삼국사) by means of annotation in <Donmyeongwang-pyun>. In other words, he effectively delivered the traditions of ancient cultures through record of historic facts. Second, to convert public awareness Lee, Gyu-bo faithfully express what Haemosu(해모수) and King Dongmyeong(동명왕) did. However, as circumstances demand, he tried to criticize in various ways through adding his thoughts and giving an amplification of his explanation Third, Lee, Gyu-bo put 'root' grasped through 「Dongmyeongwangbonki」of 『Kusamkuksa』 to embody in terms of the literacy through composition into non-descriptive parts back and forth.Through the above studying, we understand that <Dongmyeongwang-pyun>was included three layers of literacy and Lee, Gyu-bo effectively used three literacy.

      • KCI등재

        이규보(李奎報)의 「동명왕편(東明王篇)」 찬술과 그 사학사적 위치

        변동명 ( Byeon Dong-mye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8 No.-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검토하였다. 이규보가 굳이 명종 23년(1193)에 그와 같은 성격의 詠史詩를 찬술하려 든 연유라든지 혹은 「동명왕편」이 한국사학의 흐름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을 더듬었다. 「동명왕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序에 해당하는 散文部와 本篇으로서 五言詩 및 그 夾註로 이루어진 韻文部가 그것이다. 본편은 다시 중국의 신화적 존재를 읊은 導入部와 동명왕에 얽힌 신이한 사적을 상세히 다룬 主題部 및 찬자의 소회를 거듭 밝힌 終結部로 구분된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儒者임에도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을 시로 읊어야만 했던 사정을 구구히 늘어놓았다. 그리고는 본편에서 중국사를 연 신화적 존재들과 함께 해모수라든지 동명왕 등에 얽힌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수많은 일들을 두루 살핀 다음, 다시금 유자로서의 소회를 밝히면서 왕조의 창업에는 신이한 사적이 나타나게 마련임을 재차 확인하는 것과 함께 守成君을 경계하는 내용으로 끝을 맺었다. 儒者라는 자신의 정체성과 神異的인 역사이해 사이의 괴리를 정확히 파악하였으면서도, 더불어 왕조의 창업 시에는 일상을 뛰어넘는 신비스러운 일들이 나타나게 마련이며 그것이 또한 보편적 현상임을 역설하였다. 말하자면 이규보는 「동명왕편」에서 유교적인 역사이해와 신이적인 역사서술이 반드시 서로 어긋나는 일만은 아님을 강변한 셈이었다. 이규보가 그처럼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동명왕편」을 찬술하고자 나선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동명왕편」은 求官을 목적으로 지어진 시였다. 우선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은 당시 일반인 사이에서 회자되던 화젯거리였다. 그처럼 친근한 내용을 시의 소재로 삼음으로써, 타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견해에 쉬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더불어 동명 설화의 신이성은 유교적 합리주의와 상반되며, 더욱이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독자적 전통에서 이해하고 그리하여 고려의 자주성을 과시하는 데 유용하였다. 고려전기의 유교적 문치주의를 비판한다든지 혹은 문신정권의 북방종족에 대한 타협적이며 소극적인 대외정책의 한계를 드러내는 데 동명신화가 유용하였다.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야말로 유교적 문치주의에 기반한 고려전기의 문신정권을 비판하고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며, 그리하여 무인정권 하에서의 출사에 도움을 얻으려는 求官詩의 의도에 부합하는 소재였다. 말하자면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므로, 이규보는 그것을 소재로 삼아 「동명왕편」을 지어 당대 집권층의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구관에 활용코자 하였던 것이다. 그가 儒者로서의 자신의 정체성과 괴리됨을 정확히 인식하였으면서도, 신이한 동명왕의 사적을 긍정하고 더욱이 그것을 소재로 삼아 고려의 역사와 문화가 독자적 전통을 지녔음을 내외에 과시하는 「동명왕편」을 지은 까닭이었다. 한편 이규보의 그러한 찬술 의도와는 별개로 「동명왕편」은 한국사학의 흐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첫째, 한국사를 대상으로 한 가장 오래 된 현전 詠史詩로서 널리 읽히는 것을 목표로 삼은, 다시 말해 대중화를 염두에 둔 역사서술의 선구에 해당한다. 둘째, 『구삼국사』의 존재를 명확히 하는 것과 함께 그 체재라든지 내용이나 성격 등을 헤아리는 데 필수불가결의 자료이다. 셋째, 고려왕조의 고구려계승의식이 그 중엽에 이르도록 면면히 이어져갔으며, 무인정권시기에 들어 그것이 새삼 하나의 사조로 대두하였음을 보여준다. 넷째, 삼국시기 이래의 신이사관을 계승하여 후대로 이어주는 것과 함께 앞서 이미 제시된 바의 합리적인 역사이해라는 흐름을 거스르는, 그리하여 전진적이기보다는 복고적이라는 평을 면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I concentrated on studying A Lay of King Dongmyeong(Dongmyeongwang pyeon) written by Yi Gyubo in this paper. I pondered on why Yi Gyubo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and where the historical poetry was situated in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A Lay of King Dongmyeong can divide into two parts. The preface written in prose and the main part mostly put into verses were those. In the preface Yi Gyubo spoke long-windedly the circumstances that he ought to compose a poem on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despite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Next in the main part he first examined many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bout Haemosu and King Dongmyeong with the mythological beings who opened the Chinese history. Soon after expressing his intimate thoughts as a Confucianist Yi Gyubo confirmed again that it was natural that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ppeared upon the scene of founding a dynasty. Though Yi grasped correctly the contrast between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and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mysticism, he emphasized that a dynasty was never founded without showing fantastic and miraculous occurrences and it was a general phenomenon also. So to speak Yi Gyubo struggled to justify that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was not always contrary to writing history with mysticism and fantasticism while composing A Lay of King Dongmyeong.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a poetry which Yi Gyubo wrote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the talk of the town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Yi, choosing such a wellknown contents for subject matter of the poetry, expected to obtain the result that the poetry induced others easily to be concerned about his own opinions. Moreover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character of the saga of King Dongmyeong ran counter to a rational view of Confucian moralism and further availed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Goryeo dynasty in appreciation of their own tradition and show off the sprit of independence of Goryeo.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available to criticize the civil rule based on the principle of rule by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in the former term of Goryeo dynasty and justify the existence of the military rule, and therefore were subject matter in accordance with Yi’s purpose writing a poetry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Such as stated above was the reason that though he recognized certainly that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was contrary to the following he affirmed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and further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which showed off the original tradition of Goryeo history and culture A Lay of King Dongmyeong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flow of Korean historiography. The first,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the oldest extant historical poetry dealing with Korean history and therefore corresponded to a forerunner of writing history to aim widely-reading in other words mind popularization. Next,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dispensable for clarifying the existence of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considering contents and formation or character of that history book. The third, A Lay of King Dongmyeong is an evidence that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to Goguryeo of Goryeo dynasty continued till the middle of the time of that dynasty and rose again as a trend of thought under the military rule. The fourth, A Lay of King Dongmyeong succeeded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view of history continuing since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handed it down to later age. At the same time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 position hardly to avoid a comment to run counter to the trend of a rational view of history as previously presented and therefore be rather reactionary than advanced.

      • KCI등재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술 체계와 인물 형상

        구본현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reative motivation through the preface of Dongmyeongwangpyeon[The Epic about King Dongmyeong of Goguryeo] and reveal the distinct features of description system and characters. The most important mention in the preface is that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was not a nonsense but a historical fact that realized the mandate from heaven. This is a clue to the fact that the creative motivation of Dongmyeongwangpyeon is to represent the sanctity of King Dongmyeong more effectively. Divinity, evil spirits and illusions all are events that can not be understood by human knowledge, but divine events are (1)historical facts made by the mandate from heaven, (2)things done under the purpose of the benefit of the whole world. Li Gyubo seems to have created his own description and expression system of Dongmyeongwangpyeon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Old History of Three Kingdoms in order to effectively grant such sanctity to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Dongmyeongwangpyeon is composed of the story of ancient Chinese Emperors, who received the Heavenly Order. In the last part, the events taken place by two emperors of Han dynasty are mentioned. In the main chapter, the actions of Haemosu and Jumong,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Chinese saints, are specifically embodied in detail. The description system lik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ntion to prove that the act of King Dongmyeong was actual historical fact and sacred act based on the Heavenly Order by citing or associating the sacred case of China recognized as history. In Dongmyeongwangpyeon, (1)Haemosu is described as the recipient of the mandate from heaven, (2)the story of him has as much detail as Jumong’s, (3)Yuhwa is described as sacred mother, and (4)Yuri’s story is introduced to the minimum. As a result, it has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Haemosu’s actions for inheritance and Jumong's founding a new country through the help of Yuhwa is logically connected, thus creating the effect of justifying the sacredness of the establishment of Goguryeo. 본고의 목적은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문을 통하여 창작 목적을 재검토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삼아 <동명왕편>의 서사 구조와 인물 형상의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가장 중요한 언급은 동명왕 신화가 “귀(鬼)”와 “환(幻)”이 아니라 “신(神)”과 “성(聖)”임을 깨달았다는 대목이다. 이는 <동명왕편>의 창작 목적이 동명왕 신화의 신성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었음을 알려준다. 신성(神聖)은 논리적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귀환(鬼幻)과 비슷해 보이지만 ①천명(天命)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사실로서 ②세상의 이로움을 위해 행해졌다는 점에서 귀환(鬼幻)과 구별된다. 이규보는 『구삼국사』의 내용을 축약하여 시화(詩化)하면서도 서장과 종장을 더하고 인물의 성격과 역할에 변화를 주어 동명왕 이야기에 신성의 성격을 효과적으로 부여하였다. <동명왕편>의 서장은 천명(天命)을 받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장에는 고구려와 동시대에 존속했던 한나라의 고조와 광무제 고사가 제시되어 있다. 본장에는 중국 성인(聖人)들의 행적과 유사한 해모수와 주몽의 행적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서술 체계는 중국의 신성한 사례를 인용하거나 연상시킴으로써 동명왕의 행적이 실재한 역사적 사실이며 천명(天命)에서 비롯한 신성한 행위였음을 증명하는 효과를 거둔다. <동명왕편>은 ①해모수가 천명을 받은 존재임을 누차 강조하고 ②그 행적을 주몽만큼이나 자세하게 서술하며 ③유화의 역할을 강조하여 신모(神母)의 성격을 강조하는 한편 ④유리의 행적을 간략히 처리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그 결과 “천명에 의한 해모수의 계사(繼嗣)”와 “유화의 조력을 통한 주몽의 건국(建國)” 서사가 대등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추게 되어 고구려의 건국과 그를 수성한 결과인 고려의 역사적 정당성과 신성성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李奎報의 「東明王篇」 찬술과 그 사학사적 위치

        변동명 호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8 No.-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검토하였다. 이규보가 굳이 명종 23년(1193)에 그와 같은 성격의 詠史詩를 찬술하려 든 연유라든지 혹은 「동명왕편」이 한국사학의 흐름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을 더듬었다. 「동명왕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序에 해당하는 散文部와 本篇으로서 五言詩 및 그 夾註로 이루어진 韻文部가 그것이다. 본편은 다시 중국의 신화적 존재를 읊은 導入部와 동명왕에 얽힌 신이한 사적을 상세히 다룬 主題部 및 찬자의 소회를 거듭 밝힌 終結部로 구분된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의 서문에서 儒者임에도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을 시로 읊어야만 했던 사정을 구구히 늘어놓았다. 그리고는 본편에서 중국사를 연 신화적 존재들과 함께 해모수라든지 동명왕 등에 얽힌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수많은 일들을 두루 살핀 다음, 다시금 유자로서의 소회를 밝히면서 왕조의 창업에는 신이한 사적이 나타나게 마련임을 재차 확인하는 것과 함께 守成君을 경계하는 내용으로 끝을 맺었다. 儒者라는 자신의 정체성과 神異的인 역사이해 사이의 괴리를 정확히 파악하였으면서도, 더불어 왕조의 창업 시에는 일상을 뛰어넘는 신비스러운 일들이 나타나게 마련이며 그것이 또한 보편적 현상임을 역설하였다. 말하자면 이규보는 「동명왕편」에서 유교적인 역사이해와 신이적인 역사서술이 반드시 서로 어긋나는 일만은 아님을 강변한 셈이었다. 이규보가 그처럼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동명왕편」을 찬술하고자 나선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동명왕편」은 求官을 목적으로 지어진 시였다. 우선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은 당시 일반인 사이에서 회자되던 화젯거리였다. 그처럼 친근한 내용을 시의 소재로 삼음으로써, 타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견해에 쉬이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더불어 동명 설화의 신이성은 유교적 합리주의와 상반되며, 더욱이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독자적 전통에서 이해하고 그리하여 고려의 자주성을 과시하는 데 유용하였다. 고려전기의 유교적 문치주의를 비판한다든지 혹은 문신정권의 북방 종족에 대한 타협적이며 소극적인 대외정책의 한계를 드러내는 데 동명신화가 유용하였다.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야말로 유교적 문치주의에 기반한 고려전기의 문신정권을 비판하고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며, 그리하여 무인정권 하에서의 출사에 도움을 얻으려는 求官詩의 의도에 부합하는 소재였다. 말하자면 동명왕의 신이한 사적이 무인정권의 존립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였으므로, 이규보는 그것을 소재로 삼아 「동명왕편」을 지어 당대 집권층의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구관에 활용코자 하였던 것이다. 그가 儒者로서의 자신의 정체성과 괴리됨을 정확히 인식하였으면서도, 신이한 동명왕의 사적을 긍정하고 더욱이 그것을 소재로 삼아 고려의 역사와 문화가 독자적 전통을 지녔음을 내외에 과시하는 「동명왕편」을 지은 까닭이었다. 한편 이규보의 그러한 찬술 의도와는 별개로 「동명왕편」은 한국사학의 흐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첫째, 한국사를 대상으로 한 가장 오래 된 현전 詠史詩로서 널리 읽히는 것을 목표로 삼은, 다시 말해 대중화를 염두에 둔 역사서술의 선구에 해당한다. 둘째, 『구삼국사』의 존재를 명확히 하는 것과 함께 그 체재라든지 내용이나 성격 등을... I concentrated on studying A Lay of King Dongmyeong(Dongmyeongwangpyeon) written by Yi Gyubo in this paper. I pondered on why Yi Gyubo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and where the historical poetry was situated in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A Lay of King Dongmyeong can divide into two parts. The preface written in prose and the main part mostly put into verses were those. In the preface Yi Gyubo spoke long-windedly the circumstances that he ought to compose a poem on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despite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Next in the main part he first examined many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bout Haemosu and King Dongmyeong with the mythological beings who opened the Chinese history. Soon after expressing his intimate thoughts as a Confucianist Yi Gyubo confirmed again that it was natural that mysterious and marvelous affairs appeared upon the scene of founding a dynasty. Though Yi grasped correctly the contrast between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and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mysticism, he emphasized that a dynasty was never founded without showing fantastic and miraculous occurrences and it was a general phenomenon also. So to speak Yi Gyubo struggled to justify that reading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was not always contrary to writing history with mysticism and fantasticism while composing A Lay of King Dongmyeong.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a poetry which Yi Gyubo wrote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the talk of the town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Yi, choosing such a wellknown contents for subject matter of the poetry, expected to obtain the result that the poetry induced others easily to be concerned about his own opinions. Moreover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character of the saga of King Dongmyeong ran counter to a rational view of Confucian moralism and further availed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Goryeo dynasty in appreciation of their own tradition and show off the sprit of independence of Goryeo.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were available to criticize the civil rule based on the principle of rule by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in the former term of Goryeo dynasty and justify the existence of the military rule, and therefore were subject matter in accordance with Yi’s purpose writing a poetry to accep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Such as stated above was the reason that though he recognized certainly that his identity as a Confucianist was contrary to the following he affirmed the mysterious and fantastic deeds of King Dongmyeong and further wrote A Lay of King Dongmyeong which showed off the original tradition of Goryeo history and culture A Lay of King Dongmyeong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flow of Korean historiography. The first, A Lay of King Dongmyeong was the oldest extant historical poetry dealing with Korean history and therefore corresponded to a forerunner of writing history to aim widely-reading in other words mind popularization. Next,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dispensable for clarifying the existence of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considering contents and formation or character of that history book. The third, A Lay of King Dongmyeong is an evidence that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to Goguryeo of Goryeo dynasty continued till the middle of the time of that dynasty and rose again as a trend of thought under the military rule. The fourth, A Lay of King Dongmyeong succeeded the mysterious and marvelous view of history continuing since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and handed it down to later age. At the same time A Lay of King Dongmyeong is in position hardly to avoid a comment to run counter to the trend of a rational view of history as previously presented and therefore be rather reactionary than advanced.

      • KCI등재후보

        「東明王篇」의 성격에 대한 재론

        하승길(Ha Seung Gil)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2 No.-

        이 글은 이규보의 서사시 「동명왕편」의 ‘창작동기’를 당시의 역사적 사실에서 착안하여 ‘민족’이란 시각 대신에 작가 개인에서 찾는 데서 비롯하였다. 당시는 다른 나라와의 특별한 전쟁이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규보가 주로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까지 집중적으로 쓴 求官詩와 같은 맥락에서 그 창작동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求官的 性格’은 무신집권기라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서 작품의 성격에 일정 수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동명왕편」은 그 序文에서 밝힌 인식의 전환을 통하여 고구려의 건국과정에서 벌어지는 奇異한 異蹟들을 모두 神聖한 것으로 수용하였다. 또한 「동명왕편」은 해모수, 주몽, 송양, 유리 등 무인들의 모습과 그들의 대결구도 속에서 전개되는 서사가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서사의 특징을 ‘武人形象’이라고 하였고, 이것의 문학적 형상화는 ‘神異’한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동명왕과 관련된 고려시대 다른 자료들인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 등에 비하여 이규보의 「동명왕편」은 ‘무인형상의 神異性’이 작가의 윤색에 의하여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따라서 「동명왕편」은 고려중기 서사에서 ‘문학적 형상화’란 측면에서 분명한 선편으로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고려시대 자료들의 ‘신이성’은 조선시대와도 다른 것으로 앞으로 더욱 규명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motive of creating the Epic of King Dong-myeong(東明王篇) from its author, Lee Kyu-Bo's personal background, beyond the standpoint of a national hero,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there was no war with its neighbors when this epic poetry was composed. Therefore, this article approaches the creation motive in the Epic of King Dong-myeong from the same viewpoint regarding Lee's other poems for his government post(求官詩), mainly made in his late 20s to early 30s. It seems that such character of demanding government service had an effect on the work of Lee under the military regime of Koryo dynasty. As seen in the preface, Lee Kyu-Bo adopted strange miracl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guryeo as sacred events in the lay of King Dong-myeong through the change of his recognition. In this epic, both warrior figures(e.g. Haemosu 해모수, Jumong 주몽, Songyang 송양, Yuri 유리 etc.) and their confrontation structure are configured concretely. Warrior figures' mythical and strange character in this epic poetry is more clearly appeared than in other works regarding King Dong-myeong such as Samkuksagi三國史記, Samkukyusa三國遺事 and Jaewangunki帝王韻紀, through Lee's embellishment. As a result, the Epic of King Dong-myeong could be brought to the fore among works representing warriors in the middle of the Koryo. Warrior figures' mythical and strange character in the Koryo period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Choseon, and this theme deserves to be explored continuously.

      • KCI등재

        편체 악부로서의 동명왕편 연구

        우현식(woo, hyun-sh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동명왕편은 그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편체 악부다. 악부는 민간 전승의 노래를 채록하는 것이 그 본래의 목적이고, 그 속성상 역사 기록의 면모를 지닌다. 편체는 악부의 하위 장르로서, 다른 악부들과는 다르게 음악성을 배제하고, 개인 창작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배태되었다. 편체의 시작과 발전은 건안시대에 이루어졌고, 당시의 문학은 건국의 위업을 찬양하는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편체는 이러한 의도로서 특화된 장르다. 편체의 이러한 속성을 고려한다면, 동명왕노래가 편체 악부로서 창작된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동명왕의 사적을 기록하고, 고구려 건국의 위업을 드러내고, 그 신이함을 강조하여 민족적 우수성을 계도시키려는 의도 속에서 동명왕편은 창작되었다. 동명왕편에서 협운을 사용한 것은 악부가 지니는 용운의 자유로움에서 기인하므로, 형식상의 하자가 될 수 없다. As the title sugests, the pian(篇, a sub genre of Music Bureau) of King Dongmyeong is a sub genre of Music Bureau. The purpose of Music Bureau is the collecting the folk songs and the historical records are their original attributes. The pian genre is a sub genre of Music Bureau. It excludes musicality unlike other sub genres of Music Bureau and was originated as a personal creation. The pian genre began and developed in the Geonan era. The literature of that time was used to glorify the great achievement of the founding nation. The pian genre was specialized for this purpose. Considering these attributes of the pian genre, it is natural that the song of King Dongmyeong was created as the pian genre. the pian of King Dongmyeong recorded the history of King Dongmyeong and glorified the great founding of the of the Goguryeo Dynasty. It was created in an attempt to guide national excellence. Because Music Bureau used a more free rhyme, it is natural that the pian of King Dongmyeong used a more free prosody.

      • KCI등재

        <東明王篇>을 통해 본 李奎報의 스토리텔링 전개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4 No.-

        This study examines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through his "King Dongmyeong" and its preface. He recorded the purpose and method of his writing "King Dongmyeong." And actually he story-told his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King Dongmyeong" h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First, he used the story of "Yeohang" and "Old History of Three Countries" as his one source. Second, the trend of contemporary was fantasy worlds. Third, readers of public wanted for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to be descended unchanged. Forth, he used an epic as a media. Fifth, he made it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in "King Dongmyeong" by his epic. He separated meaning form words. The saint in the preface is to meaning, fantastic ghost is to words. He used fantastic motif, which was the trend of contemporary, as words to express the meaning. He accepted the fantastic motif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fantastic novel through the media of epic for story-telling. Further, he satisfied the readers by proving the fantastic motif. His work touched and moved the readers. He succeeded in making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the ultimate purpose of story-telling. 이글은 <동명왕편>과 그 병서를 중심으로 이규보가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서사시 <동명왕편>을 쓰면서 그 병서를 통해서 목적과 방법 등에 관해 기록을 했다. 그리고 실제로 <동명왕편>을 스토리텔링 했다. 이에 <동명왕편>병서에는 스토리텔링의 전반적인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첫째, 원소스는 여항의 이야기와 『구삼국사』의 내용으로 하였다. 둘째, 당시의 트렌드는 환상세계에 있었다. 이는 당시 전기문학(傳奇文學)의 유행과도 무관하지 않다. 셋째, 독자 또는 대중의 욕구는 동명왕의 이야기를 있는 사실 그대로 기록해서 전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넷째, 매체는 서사시를 사용했다. 다섯째, 이야기마케팅은 시를 지어 기록하여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다음은 이규보가 서사시를 통해서 <동명왕편>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뜻’과 ‘말’을 구분하여 작품을 썼다. 병서에서 말한 성신(聖神)은 뜻에 해당하고 환귀(幻鬼)는 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말은 당대의 트렌드로 쓰였던 환상모티프를 사용했다. 이때 사용한 스토리텔링 매체가 서사시였고, 전기소설 등에서 활용되던 환상모티프를 그대로 수용했으며, 오히려 환상모티프를 증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전하고자 하는 독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이런 이규보의 작업이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야기마케팅으로 우리나라가 성인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한 바를 이루었다.

      • KCI등재

        이규보 <동명왕편>의 창작 동기 신고찰

        이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In this paper, I concentrate on studying <Dongmyeongwangpyeon(東明王篇)> written by Yi Gyubo(李奎報) from a new angle. I ponder on why Yi Gyubo write <Dongmyeongwangpyeon> and take notice of the Gosa(故事) of ‘Western Han(前漢) king Kojo(高祖) and Later Han(後漢) king Kwangmuje(光武帝)’ in an ending part of the main poetry to solve this problem. I clarify that these Gosa are related with the ‘a inside creative motivation’ of author. First, <Dongmyeongwangpyeon> can divide into three parts, that is to say, ‘beginning part, main part and ending part’. Ending part repeats contents of the preface[幷序] and beginning part in order again. And the beginning and ending part shows the thought and comment of author directly. I would regard those as ‘a surface creative motivation’. I indicate two meanings as a surface creative motivation. : 1) to represent the sanctity of King Dongmyeong(東明王) more effectively, 2) to present the morals of later ruler. Next, I investigate why Yi Gyubo selects king Kojo and Kwangmuje as ‘founder’ in ending part and why author puts up king Kojo as his mysterious signs and nominates Kwangmuje as ‘a removal of pretender, Huang Kun(黃巾)’. Two kings’ stories are narrated by twelve lines in this poetry. King Kojo’s story shows that he removes Dragon that obstructs people’s traffic, and Kwangmuje’s story shows achievements that he removes some pretenders who usurp the throne and disturb the country. From this, maybe Yi Gyubo are impressed any delightfulness and vicarious pleasure. Following, I investigate author’s some poems. In his poems he laments his misfortune that cannot enter the government after Gwageo(科擧) pass for 10 years. And author thinks those days as the age of decadence. Maybe he composes <Dongmyeongwangpyeon> and shows some his feelings abou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king Myeong Jong(明宗), political dissatisfactions indirectly. Because I think that an ending part of this poetry involves the ‘a inside creative motivation’ of author. Finally, Yi Gyubo reveals some respond consciousness about a government office under the rule of the military and especially the death of king Myeong Jong through ‘the Gosa of king Kojo and Kwangmuje’ in an ending part of the main poetry. In historical materials of Koryeo(高麗), all people hate king’s murderer. Similarly Yi Gyubo are willing to do so. So he does hope that murderer Yi eumin(李義旼) are removed. Because Yi eumin kills king Myeong Jong. Yi Gyubo regards military rulers, especially Yi eumin as ‘pretender’. Those pretenders must be killed someone as like the story of king Kwangmuje about that time. He does compose <Dongmyeongwangpyeon> for the sake of revealing some respond consciousness about a removal of pretender, Yi eumin. That is a inside creative motivation of author. 필자는 <동명왕편> 창작 동기에 관한 선학들의 견해를 수용하되 본시의 결미부에서 언급된 ‘전한의 고조’와 ‘후한의 광무제 고사’를 새로이 주목하고, 이것이 곧 작가가 내세우고자 했던 또 다른 측면의 숨겨진 ‘이면적 창작 동기’와 연관되었음을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이 작품의 본시를 ‘서두부, 본문부, 결미부’로 나누어 각 구성부분의 내용을 재정리하였으며, 결미부가 병서·서두부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거듭 반복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서두·결미부는 병서와 함께 ‘작가의 소감과 논평’이 직접 드러나서 작가의 의견과 주장이 강하게 제시되고 있었다. 필자는 이를 ‘표면적 창작 동기’라 하고,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곧 첫째 병서에 나오는 것으로 ‘동명왕 이야기를 지어서 성인지도임을 널리 알리고자 함’, 둘째 결미부에 나오는 것으로 ‘후대의 통치자가 가져야 할 치자의 윤리를 제시하기 위함’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결미부에서 ‘고조·세조’를 ‘초창군’으로 선택하고, 그 가운데 고조의 ‘흥기의 기이한 조짐’과 세조의 ‘황건 가짜 소탕’을 내세운 이유를 검토하였다. 모두 12구의 짧은 분량인데, 한 고조 유방이 밤중에 사람의 통행을 가로막는 뱀을 퇴치하고, 후한 세조 유수가 한나라를 찬탈한 왕망, 그리고 적미군(경시제 포함) 등을 소탕한다는 내용을 보여준다. 필자는 이규보가 고조에게서 ‘백성들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행적’을, 세조에게는 ‘왕위를 찬탈하여 나라를 혼란에 빠뜨린, 가짜들을 소탕하는 행적’을 제시함으로써 어떤 통쾌함이나 대리만족을 느꼈을 것으로 판단했다. 다음으로, 주로 이규보의 시 작품을 검토하였는데, 급제 후 10년간 벼슬 없이 지냄을 한탄하고 자신의 신세가 곤궁함을 토로하면서, 당대를 말세로 보았음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작가가 세상사 온갖 잘못된 형편, 무신집권층과 왕 등 위정자에 대한 불만 등을 시 곧 <동명왕편>으로 에둘러 표현했을 것이며, 이러한 숨겨진 ‘이면적 창작 동기’가 말미부에 담겨 있다고 했다. 본시 결미부에서 ‘고조 · 세조’를 인용한 것은 무신정권에 대한 작가의 대응의식을 반영하며, 특히 무신란으로 폐위된 ‘의종 그리고 그의 죽음’의 문제와 관련된다.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의 사료를 통하여 볼 때, 집권 무신들, 문신들 그리고 일반백성들도 ‘국왕의 시해’를 결코 용납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이규보도 똑같이 가졌을 것이고, 나아가 국왕을 시해한 이의민이 제거되기를 바랐을 것이다. 무인집권자들 특히 이의민은 작가에게 왕권과 상관없는 ‘가짜’이고, 그런 ‘가짜’는 ‘후한 세조 광무제의 사적’에서 보았듯이, 고려 당대에도 누군가 소탕해야 마땅하다. 이규보는 ‘무신집권자 가짜’를 소탕하기를 은근히 원하였고, 그런 심정을 피력하기 위해 <동명왕편>을 창작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획 논문 : 고구려와 한민족문화 ; 이규보 <동명왕편>의 서사시적 성격과 고구려의 정체성

        홍성암 ( Seong Arm Hong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고구려의 정체성에 대해서 한국과 중국 간에 큰 논쟁이 되고 있다. 중국은 `동북공정(東北工程)` 이란 이름 아래 고구려를 자신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 고구려의 정체성을 바르게 파악하고 그것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어떻게 접맥되는지를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점에 유의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동북공정`의 내용을 개략한 다음 이규보의 <동명왕편>이 지니는 서사시의 내용과 그것의 형식적, 주제적 성격을 밝혀 고구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규보의 서사시 <동명왕편>에 나타나고 있는 내용은 고구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다. <동명왕편>은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의 출생과 생애를 서사시로 형상화한 것이다. 고구려 건국신화로 전승되고 있는 동명왕의 신화는 `단군 신화`와 더불어 우리의 민족적 특성을 잘 드러낸다. 동명왕 신화는 고구려의 건국신화이며 동시에 고려의 건국이념을 포괄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규보가 이런 점에 유의해서 이 신화를 서사시로 형상화한 것은 우리 민족의 독자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중국문화를 사대해온 기존의 의식을 탈피하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There is an intensive debate on the identity of Goguryeo between Korea and China. China bluntly reveals its intention to incorporate Goguryeo into its history under the name of the `North-East Project.` In this respect, it is very important to correctly graspthe identity of Goguryeo, and examine how it is related to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With this point in mind, this study tries to examinethe identity of Goguryeo by recapitulating the contents of China`s North East Project, and then by explicating the epic contents and formal and thematic properties of Lee Gyu-bo`s `Story of King Dong-myeong.` The contents in Lee Gyu-bo`s epic `Story of King Dong-myeong` are very important data in revealing the identity of Goguryeo. `Story of King Dong-myeong` is an epic featuring the birth and life of King Dong-myeong, the founder of Goguryeo. The myth of King Dong-myeong, transmitted as the myth of the foundation of Goguryeo, well shows Koreans` national properties along with the myth of Dangun.

      • KCI등재

        한국 중세 서사시의 서사 구성 방식과 장르적 특질

        이주영(Lee Jooyo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3

        고려 중후기와 조선 초기의 서사시와 관련된 장르 논의는 아직 합의된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특히 조선 초의 『용비어천가』는 서사시라 말해지기도 하고 악장(樂章)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서사시로의 규정 역시 에피소드식 구성으로 인해 교술시라는 주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 다룬 4편의 작품에 관해 논할 때 서사시적 성격을 언제나 언급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고려 중후기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 이승휴의 『제왕운기(帝王韻紀)』, 조선 초기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4편의 작품을 서사시로 느끼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추면서 동시에 서사시의 장르적 성격에 대해서도 살피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4편의 작품들은 모두 집단적 보편성을 가진 세계관을 갖고 있으면서도 서사 구성 방식에 있어서는 유기적인 플롯과 에피소드로 나누어짐을 확인했다. 이런 구성 방식은 차이는 주제의 보편성을 전제하는가, 보편성을 추구하는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보편성이 전제될 경우 유기적 플롯을 통해 주제를 집약해 강조하여 보여주는 형태를 가졌다. 반대로 보편성을 추구할 경우 그 주제를 폭넓은 사건을 통해 입증하려는 형태를 취했다. 하지만 그것은 시적 화자의 시점이 집단적 보편성 위에 기초하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나아가 보편적 세계관 아래 이 시적 화자의 시점은 독자의 시점, 그리고 제시된 사건인 객관적 상관물과도 동질성을 가진다. 그로 인해 시적 화자와 객관적 상관물 사이의 동질성 지향은 서정적 성격을, 시적 화자와 독자 시점의 동질성 지향은 교술적 성격을 갖게 했다. The genre discussion which relates with an epic poem of the middle and the latter period of th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oes not reach an agreed conclusion. Especially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of the early Joseon was called as epic poem and classified as Ak-Jang(樂章). There was assertion which is depiction poem by episode composition. Despite when discussing about Lee Gyu-Bo’s 『King Dongmyeong(東明王篇)』, Lee Sung-Hew’s 『Ghewangungi(帝王韻記)』,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and 『Wolinchonkangchikok(月印千江之曲)』 which it will treat from this dissertation to, the epic poem character is frequently referred. So, from this dissertation, it adjusts the focus the element which does to make these works feel with epic poem is what, simultaneously put a objective in even about genre character of epic poem. When it sees the result, 4 works had the view of the world which has all group universality, and the narrative composition method was coming to divide with organic composition and episode. This difference of composition method originated with difference which the universality of subject is prerequisite, or it pursues the universality of subject. The case where the universality is prerequisite had the form which emphasize a subject by integrating. In opposition, the case which pursue a universality had the form which proof the subject by various events. The fact show that a visual point of poetic speaker exists above group universality. Further from lower part of universal view of the world, this visual point of poetic speaker has homogeneity with the point of view of the reader and the objective correlatives-events which are presented. With the result, homogeneous intention of poetic speaker and objective correlatives make lyric character, homogeneous intention of poetic speaker and the point of view of the reader make character of dep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