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도안’(新都內)과 ‘팟거리’(豆磨)에 대하여

        도수희 한국지명학회 2009 지명학 Vol.15 No.-

        ‘Sindoan’ and 'Phaskəri’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as "inside and outside" because two names of places were generated as a relative concept of inside of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door. It is possible to analyze that the first one, Sindoan came from the combination of morphemes of ‘sindo+ an’ and the second, from ‘phsk+kəri.’ The meaning of morpheme of a name of place, ‘sin'sdo(新都)’ is 'a new capital city' that is recorded in Taejosilrok. The original form of ‘phaskkəri’ is ‘phask()+kəri.’ The morpheme, ‘phask()’ is formed by combining ‘an+h+pask>anphask’(inside and outside) and became ‘phask()’ and finally ‘pha나()+kəri.’ Afterwards, because of rules of euphonic change, it is changed into ‘phask()+kəri>phatkəri.’ Therefore, these two names of place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process of interpreting names of places has orders. Thus, after analyzing the original names, and extracting the morphemes, original names of morphemes will be restored. Afte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orphemes, the exact meaning of the name of places is founded. These original words of names of places helps to understand when, why and how the derivative words were formed. 이 글은 ‘신도안’과 ‘팟거리’의 상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이 두 지명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둘은 ‘안팎’의 관계로 相補的 역할을 하였다. 두 지명은 문안과 문밖의 상대개념으로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이 두 지명은 여러 별칭이 있다. 그 중에서 본명(최초 지명)은 ‘신도안’(新都內)과 ‘팟거리’(豆磨)이다. 이것들은 ‘신도+안’과 ‘+거리’의 지명소 분석이 가능하였다. 지명소 ‘신도’의 뜻은 『태조실록』의 기록으로 ‘新都’임을 확신할 수 있다. 만일 확증기록이 없더라도 ‘밖거리’를 조성할 만큼의 위력이 있으려면 4대문 안의 서울이어야 하기 때문에 ‘神都’가 아닌 ‘新都’일 수밖에 없다. ‘팍거리’의 원형은 ‘+거리’이었다. 지명소 ‘’은 ‘안+ㅎ+>안’(內外)의 어휘화로 인해 ‘’으로 자립한 후 ‘+거리’가 생성되었을 것이다. 이후에 음운변화 규칙에 따라서 ‘+거리>팎거리’로 변하였다. 지명해석에 있어서 동일 지명에 대한 여러 별칭이 있을 경우에는 우선 본명(최초지명)부터 찾아내야 한다. 본명이 ‘新都內(안)-거리’인 것을 판별하여야 별칭(이표기형)인 ‘神都內, 新都案, 新都안(否), 廣沼, 豆磨, 豆溪’의 문제를 풀 수 있고, 본명이 ‘선바위(立岩)’인 것을 판별하여야 ‘柱岩ㆍ舟岩ㆍ船岩ㆍ梨岩’의 문제를 풀 수 있고, 본명이 ‘물살골(水靑里)인 것을 알아야 별칭인 ‘무쇠골(水鐵里), 無愁洞, 무수골(蘆谷), 무술(權씨)’의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찾은 본명을 분석하여 지명소를 추출하여야 한다. 지명소의 변화여부를 음운사적으로 기술하여 지명소의 원형을 복원하여야 한다. 지명소의 의미를 파악한 후에야 지명의 본 모습을 재구하여 그 의미를 규명할 수 있다. 이렇게 지명의 어원이 밝혀져야 본명에서 파생한 별칭(이표기 지명)들이 언제, 왜, 어떻게 발생하였나를 구명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계룡산 신도안 종교촌의 변천 및 종교구성 연구

        최원회,이근화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2

        Based on existing materials on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in Kyeryong mountain, this study identified the transformation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and the formation of religions in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in the level of restorat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was identified in terms of occurrence, existence, crackdown and closur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and relocation from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The most strik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us lineag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was the mixture of religions of various religious lineag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ligious composition in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s are the maintenance of uniqueness of individual religions,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 religions, the mix of emerging and orthodox religions, the uncertainty of the religious lineage belonging to individual religions, and the divergence of individual religious members from time to time. 신도안 종교촌은 종교취락, 다종교취락, 풍수지리·풍수도참적 장소성, 1984년 폐쇄로 인한 촌락 소멸, 본래 입지에 대한 접근 불가, 선행연구 결과들 간의 큰 편차 등의 특성을 갖고 있어, 연구의 필요성이 크고 시급하다는 판단 하에 본 연구는 신도안 종교촌에 관한 기존 자료들을 바탕으로 신도안 종교촌의 변천 및 종교구성을 복원 차원에서 파악했다. 신도안 종교촌의 변천은 신도안 종교촌의 발생, 존속, 단속, 폐쇄 및 종교의 이전 등의 측면에서 파악되었다. 신도안 종교촌의 발생 요인으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신도안을 중심으로 한 계룡산의 풍수지리적 특성과 풍수도참적 특성이다. 신도안 종교촌은 1903~1904년경 또는 1912년에 신도안에 시천교가 최초로 유입되고, 이를 계기로 군소영세 신흥종교들이 대거 유입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도안 종교촌은 일제강점기 내내 수적 규모를 갖추지 못했으나, 해방 후 1950년대 한국전쟁을 계기로 번성하기 시작하여 1970년대에 1백여 개가 넘는 종교가 입지하면서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신도안 종교촌의 종교들은 일제강점기와 197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행정기관이 주도하는 수차례의 정화운동에 의해 유사종교, 미신 등으로 왜곡되면서 일부가 추방되는 일이 있었다. 신도안 종교촌은 1983년에 고시된 6・20사업에 의해 1984년에 폐쇄되었으며, 이때 무속도 함께 철거되었다. 종교들은 주로 인근 대도시 대전과 인근 중소도시로 이전했으며, 무속은 대부분 계룡산에 최대로 근접한 곳으로 이전했다. 신도안 종교촌의 종교계통구성의 특성 중 가장 현저한 것은 다양한 종교계통의 종교들이 혼재했다는 것이다. 신도안 종교촌에서 개별 종교구성의 주요한 특성은 개별 종교의 고유성 유지 및 개별 종교간 공존, 신흥종교와 정통종교의 혼재, 개별 종교별 소속 종교계통의 불명확성, 시기별 개별 종교 구성수의 상이성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계룡산 신도안 종교촌의 내부구조 및 경관 연구

        최원회,성정락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2

        This study identified the internal structure and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in Kyeryong mountain at the level of the restoration of its original form through a number of pictorial materials, including maps from the 1910 ~ 1980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topography, administrative name, village, infrastructure, general functional establishment, religion and land use. The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was identified in terms of the general and religious landscape. In the general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the foundation of physical and humanistic geography and the foundation of the feng shui and feng shui docham in the village are well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religious landscape of the Sindoan religious village can be summed up by differences in religious orthodoxy and authority between Sichonism, religions outside of Sichonism and shamanism, active acceptance of the feng shui and feng shui docham characteristics in Gyeryong mountain of the new religion and shamanism, the preservation of uniqueness of the new religion and shamanism and the coexistence of the two. 계룡산 신도안 종교촌은 종교적·역사적·장소적 특성을 현저하게 가졌었고, 다종교촌이었으므로 한국의 종교촌에서 존재 의의가 특이했고 컸다. 현재, 신도안 종교촌은 소멸되어버린 상황이고, 선행연구 자료가 많지 않은 가운데 주요 연구결과의 상이성이 큰 점을 감안하면, 신도안 종교촌에 관한 종합적 연구가 시급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도안 종교촌의 변천, 종교구성, 내부구조, 경관 등에 관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신도안 종교촌의 내부구조 및 경관을 1910~1980년대의 지도를 비롯한 여러 그림 자료를 통해서 원형 복원의 차원에서 파악했다. 신도안 종교촌의 내부구조를 조사한 결과, 지형, 행정지명, 마을, 기반시설, 일반기능체, 종교, 토지이용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특성이 파악되었다. 신도안 종교촌의 경관은 일반경관과 종교경관으로 구분해서 파악되었다. 일반경관에서는 신도안 종교촌이 입지해 있었던 일반촌락의 자연지리적 및 인문지리적 기반과 풍수지리적 및 풍수도참적 기반이 잘 드러나고 있다. 종교경관에서 드러나는 특성은 시천교, 시천교 이외 종교 및 무속 간의 종교적 정통성·권위성의 차이, 신흥종교 및 무속의 계룡산 신도안 풍수지리 및 풍수도참 특성의 적극적 수용, 신흥종교 및 무속의 고유성 유지 및 공존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계룡산 풍수지리의 특성 개관: 산지풍수 연구의 관점에서

        최원회 ( Wonhoe Choi ),이근화 ( Geunwha Lee ),성정락 ( Jeongrak Seong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한국에서 고대 이래 풍수지리는 배산임수 입지에서의 풍수논리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고, 부수적으로 또는 특별하게 산지풍수가 추구되어 왔는데, 산지풍수 추구는 대체로 배산임수 입지에서의 풍수논리를 산지에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었다. 해방 이후, 특히 1980년대 이후 한국 풍수지리 연구가 일제강점기에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정립한대로 배산임수 입지에서의 주거풍수와 묘지풍수를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산지풍수에 관한 연구는 학계에서 소멸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산지풍수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우선 주요 산지들을 대상으로 개별적 산지풍수 연구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한국의 산지 중 산지풍수가 전형적이라고 알려진 계룡산을 사례로 풍수지리의 특성을 개관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자의 현지 답사자료들을 바탕으로 계룡산 풍수지리의 원형과 변형, 계룡산 풍수지리에 연계된 요소와 연계의 결과 및 계룡산 풍수지리와 연계요소에 의해 발생한 현상을 파악하였다. Since the 1980s, the study of fengshui topography has been developed mainly focused on housing fengshui and cemetery fengshui established by Murayama Jiju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result the mountain fengshui study is assumed to have consequences that are almost extinct in the academic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over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fengshui topography in case of Kyeryong mountain known for the model of mountain fengshui among the Korean mountains from the point that the individual mountain fengshui need to be studied for the development of mountain fengshui study in Korea. This study researched concretely about the original form and transformational form of fengshui topography of Kyeryong mountain, the element linked to the fengshui topography of Kyeryong mountain, and the phenomena caused by the element linked to the fengshui topography of Kyeryong mountain for the purpose of the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fengshui topography in case of Kyeryong mountain from the perspective of mountain fengshui study based upon the advanced studies and the field research materials by the resear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