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개토왕비문의 `안라인수병(安羅人戍兵)`에 대한 재해석

        신가영 ( Shin Ka-you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78 No.-

        이 글에서는 광개토왕비문의 영락 10년조에 등장하는 `安羅人戍兵`의 해석을 재검토하여 400년 고구려 남정의 실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고구려의 비문이라는 사료의 특징을 감안하면서 비문의 훈적기사 서술방식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야 세력인 안라가 비문에 기록되지 않았다고 파악하였다. 영락 10년조가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기록이라는 점과 `安羅人戍兵`이 기술된 위치 그리고 `安羅人戍兵`이 세 군데 기록된 점에서 볼 때 `安羅人戍兵`은 “신라인을 두다”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이해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400년 고구려의 남정에 대해 고구려의 한반도 남부 지역 진출과 가야 세력의 변동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安羅人戍兵` 기사는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400년 전쟁을 살펴보면 고구려군과 신라군이 연합하여 임나가라의 종발성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성을 점령하고 신라군에게 인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문에서 `安羅人戍兵`을 여러 번 반복하여 기술했던 것은, 전쟁의 성과를 신라에게만 베풀었음을 거듭 강조하고자 했던 고구려의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安羅人戍兵` 기사는 5세기 초 고구려와 신라의 역학 관계를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신라가 가야 지역으로 진출하는 가운데 가야 제국 간의 변동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This article explores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in 400, by reexamin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安羅人戍兵` phrase on the Gwanggaeto Stele. There is no record of Anla, which was one of the Gaya countries, in the inscription. The Gwanggaeto Stele focuses on the King`s achievements and was written from Koguryo`s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e article for the tenth year of Yeongrak concentrates on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Silla. Considering that the phrase `安羅人戍兵` is placed in the section for the year 400 and that the phrase appears three times in the same inscription, it should be translated into “deploy Silla people”. Earlier studies have tended to analyze Koguryo`s conquest in 400 as its southern expansion and have tended to focus on Gaya`s position. However, it needs to be reanalyzed in ligh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Silla, as the `安羅人戍兵` phrase meant “deploy Silla people”. The Koguryo army joined up with the Silla one and handed over recaptured regions including Imnagara`s Jongbalseong to the Silla army during the war of 400. The fact that the phrase `安羅人戍兵` was written several times in the inscription reflects the writer`s intention to emphasize Koguryo`s dispensation, which means that Koguryo assigned the recaptured regions from Wa and the newly conquered regions to Silla.

      • KCI등재

        6세기 前半 安羅國 주도의 加耶諸國 관계 이해를 위한 기초적 검토

        위가야(Wee, Ka-Ya)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이 글은 안라국이 6세기 전반 가야제국 관계를 주도할 수 있게 된 요인을 안라국 대외관계사의 주요 쟁점인 ‘포상팔국 전쟁’, ‘안라인수병’, ‘안라국제회의’에 대한 검토를 통해 확인하려 한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포상팔국 전쟁’을 전하는 『삼국사기』 본기와 열전, 『삼국유사』의 기록을 비교·검토하면 전쟁의 대상이 안라국임을 확인할 수 있다. 포상팔국이 안라국을 공격한 이유는 함안 지역의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안라국의 세력 확장에 대한 반격에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안라국은 신라의 지원을 받아 포상팔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광개토대왕비문』의 ‘안라인수병’은 안라국을 직접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400년 고구려 남정 당시 고구려군이 빼앗은 지역을 신라인 수비병을 배치하여 지키게 한 사실을 가리키는 문구로 이해할 수 있다. ‘안라인수병’의 이해를 통해 안라국이 고구려-신라군과 임나가라-왜군이 충돌한 전쟁의 戰火를 피해 국력을 온존할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이것이 이후 안라국이 가야제국 가운데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요인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는 신라와의 우호관계에 따른 결과로 그 계기는 포상팔국 전쟁 당시 신라의 구원군 파견이었다. 따라서 포상팔국 전쟁의 시기는 고구려 남정이 이루어졌던 400년 이전으로 그 하한을 좁혀볼 수 있다. ‘안라국제회의’는 기존 연구에서 이해되었던 것처럼 ‘남가라·탁기탄’이 신라에 병합된 것을 계기로 개최된 것이 아니라 백제군과 신라군에 의한 탁순국 점령을 저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최된 것이었다. 안라국은 왜를 끌어들여 우군을 확보하는 동시에 백제와 신라 사이를 저울질 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양국 모두를 안라가 마련한 국제회의의 무대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였다. ‘안라국제회의’는 탁순국의 점령 저지라는 개최 당시의 의도를 달성했으며, 이것이 가야제국 내에서의 안라국의 위상을 고양시켰다. 이렇듯 고양된 위상이 6세기 전반 가야제국의 관계를 안라국이 주도하게 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allowed Allaguk to lead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of Gay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by examining the three major issues in the history of foreign affairs of the country. The three issues are ‘War of Posangpalguk’, ‘Allainsubyong’,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lla’.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records of the ‘War of Posangpalguk’ that the target of the war was Allaguk. There were two reasons why Posangpalguk attacked Allaguk. The first is to secure farmland in Haman area, and the second is to counterattack against the expansion of Allaguk’s power. Allaguk had opportunity to grow by winning the war against Posangpalguk by virtue of the support of Silla. ‘Allainsubyong’ in The Great Gwanggaeto Stele does not refer to Alla. It is a phrase indicated the fact that Koguryo army tried to defend the territory which was taken from Silla by arranging guards of Silla during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in 400. Allaguk was able to protect the country’s power by avoiding the war between Koguryo-Silla and Imnagara-Wa. This was the reason why later Allaguk stood out in the countries of Gaya. It was also the result of amicable relation with Silla, which established because of the reinforcements from Silla during the War of Posangpalguk. Therefore, the year when the War of Posangpalguk broke out was before 400 when the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was made at the lates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lla’ was held not because Namgara and takgitan were absorbed into Silla as was understood in the previous research, but because Alla tried to prevent Baekje and Silla from taking Taksunguk. By winning Wa over to their side and gained ally and balancing between Baekje and Silla, Al laguk succeeded in bringing both countries t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by Alla. The Conference achieved its intention of preventing the occupation of Taksunguk, and this elevated the status of Alla in the countries of Gaya. This eventually made Allaguk lead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of Gay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 KCI등재

        ‘임나가라(任那加羅) 종발성(從拔城)’과 고대 부산

        백승옥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This paper ascertains Imnagara(任那加羅) in the great king Gwanggaeto’s tombstone inscription in Gyeongjanyeon 400 is Namgara(= garakguk) and defines the location of its Jongbalseong(從拔城) to district of Baesanseong(盃山城) located in Yeonsan-dong, Yeonje-gu, Busan. It is confirmed that ‘Im(任)’ in ‘Imna(任那)’ means South(南方) through ‘Sagi(史記)’, ‘Hanseo(漢書)’, ‘Hoohanseo(後漢書)’, and ‘Jinseo (晉書)’. It was believed that the people of Goguryeo were fully aware of this perception of ‘Im(任)’=‘South(南)’ by the ancient Chinese. This paper saw the editor of epitaph meant ‘Gara(加羅) in south’ when it said Imnagara(任那加羅). Regarding ‘Anrainsubyeong(安羅人戍兵)’, it was interpreted to enshrine ‘Rain(羅人)’ to keep it safe. Rain(羅人) was not seen as the army of Silla(新羅), but as the army of Goguryeo(高句麗). It was seen that the Goguryeo army had conquered the castle and had their army stationed. The ancient Busan area was a border with Silla. Therefore, it was very similar to Silla in language, text, and daily life. It was also the reason why this ancient Busan area was often regarded as to be subjugated to Silla. However, the Yeonsandong Tumulus Cluster, which was established until the early 6th century, proves that there was a unique group in Busan until then. The period when Busan's Gaya forces were brought into Silla would be sometime in the early 6th century. 본고는 광개토태왕릉비문 경자년(400)조에 보이는 ‘任那加羅’를 남가라(=가락국)임을 고증하고, 그 從拔城의 위치를 현 부산광역시 연제구와 수영구에 위치한 배산성(盃山城)과 그 주변 일대로 비정하였다. ‘任那’에서의 ‘任’은 ‘남쪽(南方)’을 가리키는 말임을 『史記』, 『漢書』, 『後漢書』, 『晉書』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대 중국인들의 ‘任’=‘南方’ 인식은 고구려인들도 학습을 통해서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능비문의 찬자가 ‘任那加羅’라 한 것은 ‘남쪽에 있는 加羅’를 의미하고 서술한 것으로 보았다. ‘安羅人戍兵’에 대해서는, ‘羅人을 안치하여 지키게 하였다’로 해석하였다. 羅人은 신라인이 아니라 고구려 군대로 보았다. 고구려군이 성을 정복한 후 그들의 군대를 주둔시킨 것으로 본 것이다. 고대 부산 지역은 신라와의 접경지였다. 따라서 신라와는 언어와 문자, 생활습속 등에서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양상은 고대 부산 지역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신라에 복속된 것으로 보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6세기 전반 대까지 조영된 연산동고분군은 당시까지도 부산에는 독자성을 가진 집단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부산의 가야 세력이 신라에 복속된 시기는 6세기 전반 이후의 어느 시기일 것이다.

      • KCI등재

        4~6세기 加耶의 對百濟 · 新羅 관계

        백승옥(Beack, Seoung-ok)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4세기 대 한반도에서 波動의 진원지는 낙랑과 대방 故地였다. 4세기 초에는 이 지역을 장악한 고구려가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면, 4세기 중·후엽은 백제가 주도한 시기였다. 백제 근초고왕은 고구려는 물론 가야와 신라지역까지 진출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일시적 진출은 행해졌다 하더라도 실질적 영토 지배권을 행사할 정도의 국가권력이 작동하지는 못했다. 『일본서기』 신공기 한반도 관련 기사는 가야와 백제 및 신라 관계와 관련하여 많은 내용을 품고 있다. 사료로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가야제국과 백제와의 우호친선관계의 성립이 그 역사적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남해안 주변의 가야 소국들은 교역 체계의 변화로 인한 생존 압력에 의해 전쟁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른바 포상팔국전쟁은 가야 제국들 가운데 해상세력들이 힘을 합해 안라국과 남가라국을 공격하지만, 신라의 개입으로 인해 실패한 사건이다. 신라의 개입도 결국 해상교역 체계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경자년(400)에 고구려군은 신라에 침입한 倭을 쫓아 任那加羅 從拔城까지 이른다. 여기에서 임나가라는 현 부산·김해지역 일대에 존재했던 南加羅를 말한다. ‘安羅人戍兵’에 대해서는 城이 항복해 오자 고구려가 그 후속 조치를 행한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고구려의 남정 이후 내륙의 가라국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등 가야 제국은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가야 제국은 때로는 백제 측과 연계하기도 하고, 때로는 신라측과 연계 했다. 그 형태는 ‘請和’의 형태이거나 결혼동맹의 형태 등을 택했다. 6세기 대에 접어들어 백제 신라 양국은 가야 지역 진출을 노골화한다. 이의 저지를 위해 가라국과 안라국 등은 자구책을 강구하지만 결국 멸망되고 만다. 가야 제국 중 일부는 자진 항복하는 경우도 있었고, 끝까지 항쟁하다 복속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단일 연맹체로서 행동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In the 4th centur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origin of the wave was the area of Nakrang(樂浪) and Daebang(帶方)’s old land. While Goguryeo(高句麗), who occupied the area in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took the initiative, the middle and late 4th century was Baekje’s time. King Geunchogo(近肖古) of Baekje showed his will to go to Gaya and Silla as well as Goguryeo. However, at this time, even if the temporary advancement was made, the state power enough to exercise real territorial control did not work. 「Jinggugi(神功紀)」 in the 『Nihon Shoki(日本書紀)』, the article about the Korean peninsula, has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 between Gaya, Baekje and Silla. Although it has many limitations as historical record,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establishment of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Gaya Empire and Baekje is historical fact. The small countries of Gaya around the southern coast had to choose the war by the survival pressure due to the change of trade system. The so-called ‘Posangpalguk(浦上八國) War’ is a case in which the maritime powers among the Gaya empires joined forces to attack Anla(安羅) and Namgara(南加羅), but failed due to the intervention of Silla. The intervention of Silla seems to be related to the maritime trade system. In the year of Gyeongja(庚子 ; A.D 400), the Goguryo army chased the Wae(倭) who invaded Silla, reaching the ‘Imnagara Jongbalseong (任那加羅 從拔城)’. Imnagara refers to Namgara, which was in the present area of Busan and Kimhae. Regarding the ‘Anlainsubyeong(安羅人戍兵)’,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Goguryeo took the follow-up measures when the castle of the Gaya was surrendered. The Gaya empire underwent a lot of changes, including the emerging of the interior Gaya after the southern conquest of Goguryeo. In the meanwhile, the Gaya Empire sometimes linked with the Baekje and sometimes with the Silla. It took the form of ‘Cheonghwa(請和; ask for peace)’ or the form of marriage alliance. In the 6th century, both Baekje and Silla advanced into the Gaya region. In order to stop this, Gara and Anla took measures for self-help but eventually they were destroyed. Some of the Gaya Empires voluntarily surrendered, and some of them fought but were subjected at the end. However, they do not seem to have behaved as a single ally.

      • KCI등재

        安羅加耶와 倭国의 初期 交流―倭漢氏의 出身地를 중심으로

        오하시 노부야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1 No.-

        안라가야와 왜국의 교류의 개시에 관해서는 『고구려호태왕릉비명문』에 보이는 ‘安羅人戍兵’이 최초인데, 『일본서기』에서 백제의 옛 기록을 근거로 한 「百濟記」에 의거하여 기술한 초기 백제와 왜의 교류사에 관한 내용은 대체로 이것을 뒷받침한다. 즉 360년대에 왜국과 교류하고자 한 백제의 사자가 안라가야의 이웃국가인, 아마 제휴관계로 여겨지는 탁순국의 중개로 교섭이 진행된 것이 알려져 고구려의 남하에 앞서 안라가야가 탁순과 함께 왜와 교류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한편 고고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4세기말 경부터 大阪灣沿岸과 奈良盆地의 왜국의 중추에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가진 도래인 집단이 이주하기 시작하였고, 5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도 지속되어 도래인의 활동이 활발하였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도래인 집단의 출신에 관해서는 백제나 신라뿐만 아니라 가야남부인 금관가야․안라가야를 중심으로 한 지역과 영산강유역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함안양식의 도질토기는 大阪灣沿岸의 久宝寺北遺蹟, 大和의 布留遺蹟・新堂遺蹟, 南山城의 宇治市街遺蹟 등 왜국의 중추로 직접 건너간 것으로서 안라가야와의 밀접한 교류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래씨족의 전설적 기재를 재검토하면, 대표적인 도래씨족 倭韓氏는 그 씨명과 도래시기를 감안해 볼 때 안라가야의 이주민이 씨족조직의 중추를 구성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즉 4세기말 경부터 잇따라 大阪灣沿岸과 야마토의 주요부에서 이주해 온 가야동남부․가야남부․전라남도서부의 영산강유역 출신 도래인 집단 중에서 안라가야의 집단이 각지에서 도래한 다양한 집단을 통괄하여, 그 중핵을 차지한 것으로 상정된다. 이리하여 倭韓氏는 씨족을 형성하여 야마토정권의 중추에 등용됨에 따라 출신지인 안라=안야(아야)를 가문의 씨명으로 채용한 것일 것이다.

      • KCI등재

        安羅加耶と倭国の初期交流

        大橋信?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1 No.-

        안라가야와 왜국의 교류의 개시에 관해서는 『고구려호태왕릉비명문』에 보이는 ‘安羅人戍兵’이 최초인데, 『일본서기』에서 백제의 옛 기록을 근거로 한 「百濟記」에 의거하여 기술한 초기 백제와 왜의 교류사에 관한 내용은 대체로 이것을 뒷받침한다. 즉 360년대에 왜국과 교류하고자 한 백제의 사자가 안라가야의 이웃국가인, 아마 제휴관계로 여겨지는 탁순국의 중개로 교섭이 진행된 것이 알려져 고구려의 남하에 앞서 안라가야가 탁순과 함께 왜와 교류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한편 고고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4세기말 경부터 大阪灣沿岸과 奈良盆地의 왜국의 중추에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가진 도래인 집단이 이주하기 시작하였고, 5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도 지속되어 도래인의 활동이 활발하였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도래인 집단의 출신에 관해서는 백제나 신라뿐만 아니라 가야남부인 금관가야ㆍ안라가야를 중심으로 한 지역과 영산강유역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함안양식의 도질토기는 大阪灣沿岸의 久?寺北遺蹟, 大和의 布留遺蹟ㆍ新堂遺蹟, 南山城의 宇治市街遺蹟 등 왜국의 중추로 직접 건너간 것으로서 안라가야와의 밀접한 교류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래씨족의 전설적 기재를 재검토하면, 대표적인 도래 씨족 倭韓氏는 그 씨명과 도래시기를 감안해 볼 때 안라가야의 이주민이 씨족조직의 중추를 구성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즉 4세기말 경부터 잇따라 大阪灣沿岸과 야마토의 주요부에서 이주해 온 가야동남부ㆍ가야남부ㆍ전라남도서부의 영산강유역 출신 도래인 집단 중에서 안라가야의 집단이 각지에서 도래한 다양한 집단을 통괄하여, 그 중핵을 차지한 것으로 상정된다. 이리하여 倭韓氏는 씨족을 형성하여 야마토정권의 중추에 등용됨에 따라 출신지인 안라=안야(아야)를 가문의 씨명으로 채용한 것일 것이다.

      • KCI등재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의 대립구도와 가야 諸國의 향방

        신가영(Shin, Ka-Young)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6

        이 글에서는 「광개토왕비」의 영락 9년과 10년조를 ‘백제·가야·왜 연합’의 대응으로 이해하려는 관점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의 대립구도로 인해 가야 제국은 백제, 왜와의 우호관계를 바탕으로 고구려, 신라와 대립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이는 일부의 가야 세력의 대외활동을 가야 전체로 이해했기 때문에 가야 제국의 실상을 왜곡할 여지가 있다. 가야 제국은 단일한 정치체가 아니었고, 당시 구심 역할을 하는 중심국의 여부도 불확실하다. 4세기 후반 가야 각국의 대외교섭은 다양하게 진행되었는데, 백제·왜와 이해관계가 같지 않았던 가야 세력을 상정할 수도 있다. 가야사 연구에서는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에서 가야 각국의 동향을 달리 이해하고 있기에 전쟁의 피해를 입은 지역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파악한다. 그러므로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을 백제, 왜와의 관계에서만 분석하는 것은 당시의 가야의 역사상을 왜곡할 여지가 있다. 가야와 백제의 우호관계의 근거로 제시된 『일본서기』 신공기를 검토해보면, 금관국이 아닌 탁순이 백제와 왜의 교섭을 중계하였다. 광개토왕비문에는 ‘임나가라’, 즉 금관국만 등장할 뿐 백제 측에서 4세기 후반부터 우호관계가 있었다고 주장된 대가야, 안라, 탁순은 나타나지 않는다. 신공기와 비문을 근거로 가야 제국이 백제, 왜와 연합하고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구려·신라 연합’과 ‘백제·가야·왜 연합’의 대립구도에서 벗어나 4세기 후반 가야 각국의 동향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또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도 백제, 왜와의 관계만이 아니라 고구려, 신라와의 관계에서 면밀히 재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요컨대 가야 제국이 백제, 왜와 연합하여 고구려와 신라에 맞섰다는 기존 견해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의 국제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descriptions of the ninth and tenth years of Yeongrak discussed in the inscription of the Great King Gwanggaeto are responses to the union of Baekje, Gaya, and the Japanese Wae. Due to the confrontation between Goguryeo and Baekje in the late 4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came to be at odds with Goguryeo and Silla as a result of the empire’s friendly relations with Baekje and Wae. However, perceptions of the Gaya Countries can be warped because they were understood to be a unified whole as a result of some of their activities. The Gaya Countries were not a single political body and it is uncertain whether it ever acted in a unified way at the time. Each Gaya countries engaged in foreign relations in different ways in the late 4th century and had different interests with regard to Baekje and Wae. Gaya researchers view the behaviors of the Gaya countries during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and identify the areas affected by the war differently. Therefore, analyzing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only in relation to Baekje and Japan would produce a distorted perspective of the Gaya countries at the time. According to the chapter reviewing the Jin’gu-ki in Nihonshoki, Takujunnokuni, not Geumgwan,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Wae, reported on the negotiations between Baekje and Wae. The inscription of Great King Gwanggaeto shows only Imnagara, or Geumgwan, but Daegaya, Anra, or Taksun, with which Baekje had had friendly relations since the late 4th century, were not mentioned. Based on the Jin’gu-ki and the inscrip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Gaya countries were allied with Baekje and Wa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op viewing this period in terms of the Goguryeo-Silla alliance and the Baekje-Gaya-Wae alliance and instead examine the actions of each Gaya country individually. In addition,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should be closely reviewed in relation to Baekje, Wae, Goguryeo, and Silla. It is time to understand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is period from a new perspective and reject the prevailing idea that the Gaya Countries were allied with Baekje and Wae against Goguryeo and Silla.

      • KCI등재

        高句麗의 庚子年(400) 遠征의 실상과 加耶 諸國의 대응

        기경량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9

        On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there is a record that Goguryeo sent troops to the ‘Imnagara’ area located in the southernmost tip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tenth year of Yeongrak, the year of white rat (AD 400). This was part of the operation to save Silla that fell into crisis by Japanese Navy. However, it seems that the crisis of Silla recorded in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has been exagger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It is judged that there were actually the Japanese Navy’s attacks, but it does not seem that they were large forces, and also, it does not seem that they were not a life-or-death concern for Silla. The essence of war in 400 was the confrontation between Silla and Geumgwan Gaya surrounding the lower Nakdonggang River area. Geumgwan Gaya constantly pressed on Silla, making use of the military power of Wae-guk which was 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it. Silla planned intervention of Goguryeo to break through adverse circumstances. Silla appealed to Goguryeo, exaggerating Wae-guk’s force and threat level while it emphasized that Wae-guk was associated with Baekje that stood against Goguryeo. Silla that made Goguryeo’s expeditionary force go ahead drove out the Japanese troops that invaded their home territory and attacked ‘Imnagara (Geumgwan Gaya),’ tracing them. As a result, Geumgwan Gaya suffered a heavy blow, and east of the Nakdonggang river fell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Concerning the way in which many small countries in Gaya responded to Goguryeo’s expedition in 400, many opinions have been presented. Especially,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about the position of Anra-guk in Haman concerning the phrase on the epitaph, “Anra-in Subyeong.”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areas where the real battles took place in the war were limited to the territory of Geumgwan Gaya, and it is assumed that other small countries in Gaya, except for Geumgwan Gaya, waitedand saw the war, without getting involved. Geumgwan Gaya that suffered blows was defeated in its competition with Silla and greatly lost its influence in the Gaya region. Taking advantage of this gap, Anra-guk in Haman and Daegaya in Goryeong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e Gaya region. Goguryeo’s expedition in 400 surely is an incident that is the important point of inflection in the history of Gaya. However, to some extent, it was overrated as compared to the scale and impact of the actual warfare. 광개토왕비문에는 영락 10년 경자년(서기 400)에 고구려가 한반도 최남단에 자리한 ‘임나가라’ 지역에 군대를 보내어 활동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는 왜군에 의해 위기에 빠진 신라를 구원하기 위한 작전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신라의 위기 상황은상당 부분 과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왜군의 공격은 실제로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지만, 대규모 병력이었다고 보이지는 않으며, 신라가 존망을 걱정할 수준이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400년에 있었던 전쟁의 본질은 낙동강 하류 지역을 둘러싼 신라와 금관가야의 대결이었다. 금관가야는 우호 관계에 있는 왜의 병력을 활용하여 신라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었다. 신라는 불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고구려의 개입을 기획하였다. 신라는 고구려에왜의 실력과 위협 수준을 과장하여 호소하는 한편, 왜가 고구려와 대적하고 있는 백제와 연계된 세력임을 강조하였다. 고구려 원정군을 앞세운 신라는 자국 영역을 침범한 왜군을 몰아내는 한편 이들의 뒤를 추격하며, ‘임나가라(금관가야)’를 공격하였다. 그 결과 금관가야는 큰타격을 입어 세력이 위축되었고, 낙동강 동안 일대는 신라의 영향 아래 들어가게 되었다. 고구려의 400년 원정에 가야의 여러 소국이 어떠한 식으로 대응하였는지에 대해서는많은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특히 ‘安羅人戍兵’이라는 비문의 문구와 관련해 함안의 안라국이 어떤 입장이었는지에 대해 이견이 많다. 그러나 400년 전쟁에서 실제 전투가 전개된 지역은 금관가야의 영내로 한정되었다고 여겨지며, 금관가야를 제외한 다른 가야의 소국들은전쟁에 참여하지 않고 관망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금관가야가 신라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 영향력을 상실하자, 그 공백을 틈타 함안의 안라국과 고령의 대가야가 가야 지역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었다. 고구려의 400년 원정은 가야사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되는 사건임에분명하지만, 전쟁의 규모와 실제 영향력에 비해 과도하게 평가되었던 측면도 있다.

      • KCI등재후보

        대외관계로 본 가라국의 발전 -5세기대를 중심으로-

        유우창 ( Yoo Woo Chang ) 부경역사연구소 2005 지역과 역사 Vol.- No.16

        This thesis examined the stream of Grar-gook(加羅國)’s foreign relationship in the 5th century. In Chapter 1, the object is to examine the political situations of three kingdoms in Korean Peninsula and its surrounding forces in the 4th century by three periods : 360s, 370s and 380-90s. In Chapter 2, the object is to assume the location of ‘Imna Gara(任那加羅)’ shown on the article 10 year of ‘the Epitaph on the Monument of the King Gwang-gae-to’( 廣開土王陵碑文) and to study Gara-gook’s countermeasures for Gogooryeo’s southward conquest by reexamining the facts of ‘Alla-in-su-byeong(安羅人戍兵)’. In Chapter 3, examining Gara-gook’s dispatched envoys to Namje of China(中國南齊) in 479, the possibility has been raised that Gogooryeo intervened in direct exchange between Gara-gook and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