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계 성리학의 수기치인과 현대 리더십의 비교 연구(1)

        최일범,림관헌 (재) 우계문화재단 2023 牛溪學報 Vol.45 No.-

        이 논문의 목표는,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우계 성혼의 수기치인(修己治人) 사상을 현대의 리더십 사상과 비교함으로써, 수기치인의 고전적 개념을 현대 리더십으로 해석하는 한편, 성리학의 수기치인 사상이 현대 리더십 사상의 발전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특히 수기치인의 패러다임과 현대 리더십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일치하는지 구명함으로써 유교와 리더십의 소통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현대 리더십은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을 통해서 고찰할 것이고, 유교의 수기치인 사상은 우계의 상소문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로써 유교 고전의 수기치인 사상이 현대인의 삶과 리더십에 용해되어 생생하게 살아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관점에서 본 다산의 『주역周易』 사상

        장위에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9 다산학 Vol.- No.34

        The thought of Neishengwaiwang(內聖外王) and Xiujizhiren(修己治人) that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personal moral cultivation,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the solution of realistic problem(經世致用) is the aim of Confucianism. As the Master of Practical Learning of Joseon Dynasty, Tasan’s original system of thought is accord with the fundamental spirit of Confucianism. Especially in his analysis on the Zhou Yi interpretation, it turned out well. In Tasan’s interpretation of “Zhouyi”, Tasan criticized an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Zhouyi” by the scholars of the past, suggestting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Yilisifa(易理四法). At the same time, Tasan broke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Xiangshu(象數) and Yili(義理), and acknowledged that “Zhouyi” had a dual nature as a book of divination and Self-cultivation.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character of this book, the character of Tasan’s interpretation of “Zhouyi” that emphasized the theory of personal moral cultivation and the solution of realistic problem(經世致用) turned out well.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dea of Xiujizhiren(修己治人) in Tasan’s interpretation of “Zhouyi” by exploring the theory of personal moral cultivation and the solution of realistic problem(經世致用). 개인의 도덕적 수양을 중요시하는 동시에 “현달顯達하면 천하를 구제한다.(達則兼濟天下)”라는 경세치용을 강조하는 “내성외왕內聖外王”ㆍ“수기치인修己治人” 사상은 유학의 종지宗旨이다. 다산은 조선 시기 실학의 집대성자로 그의 독창성 있는 사상체계는 유학의 이러한 근본정신에 부합한다. 특히 그의 『주역』 해석에 잘 드러났다. 다산의 『주역』 해석에서 살펴보면, 다산은 역대 학자들의 『주역』 해석에 기초하여 비판하면서 계승하고 계승하면서 비판함으로써 한대 상수역적 해석방법론을 중심으로 하는 역리사법易理四法을 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다산이 전통적인 상수역학과 의리역학의 경계를 깨뜨리고, 『주역』이 복서卜筮의 책과 개과천선改過遷善의 책으로서의 이중二重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다산의 이러한 『주역』이라는 책의 성격에 대한 관점에 기초하여 다산의 『주역』 해석은 도덕수양론道德修養論 사상을 강조하는 동시에 경세치용經世致用 사상을 중시하는 특징이 드러났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다산 『주역』 해석의 도덕수양론 사상과 경세치용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다산 『주역』 해석의 수기치인修己治人 사상을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후반기 학술대회 논문 및 현암 이을호 연문논문 연보 : 이을호의 다산경학 연구의 구조와 특징

        장복동 ( Bok Dong Jang ) 한국공자학회 2010 공자학 Vol.19 No.-

        현암(玄庵) 이을호(李乙浩)의 『다산 경학사상 연구』는 다산의 경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시발점을 열었다. 이을호는 정약용이 자구의 해석에 치중하는 한·당유학(漢·唐儒學)과 형이상학적 천리에서 인간실존의 근거를 찾는 성리학에 의해 은폐·왜곡된 요순주공의 본지를 찾기 위해 수사학적(洙泗學的) 복고주의(復古主義)를 철학적 사유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뿐만 아니라 다산학(茶山學)이 ``원초적 순수성을 갖는 실천윤리학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근거로 "다산학을 일관하는 한 줄기 맥락이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원리이고 이것이 바로 다산학의 생명"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는 다산학에 있어서 경학과 경세학의 유기적 관계를 실천유학의 고유이념인 ``수기치인``이라는 실천적 명제로 통합하여 이해한 것이다. 이을호가 다산학을 ``수사학에로의 복고``라고 포괄적으로 규정한 것은 그의 표현대로 "근세 실학의 토양에 뿌려진 고전적 수사학이라는 씨앗이 결실을 맺은 현대적 열매가 다름 아닌 다산학"이라는 관점에서다. 그가 다산학을 공자의 실천유교를 직접적으로 계승한 ``근세수사학의 창시자``로 지칭한 것은 다산학을 규정하는 외장적(外裝的) 수식어가 지니는 개념적 빈곤의 한계를 극복하여 그 사상의 내재적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기 위한 의도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을호의 다산학 연구방법의 근저에는 공맹의 실천유교로부터 발원(發源)하여 다산에 이르러 체계화된 수사학적 수기치인의 논리가 견고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을호의 학적 방법과 연구방향을 통틀어서 ``현암학(玄庵學)``이라 지칭할 수 있으며, 공맹학 - 다산학 - 현암학으로 이어지는 수사학의 계보를 형성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수사학적(洙泗學的) 수기치인의 논리를 개인의 학문적 취향이 아닌 유학사의 한 방향을 결정하는 체계로 정립하려는 시도는 이을호의 중요한 공헌으로 인정해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또한 이을호가 다산 경학의 상고적(尙古的)·복고적(復古的) 경향을 강조한 것도 과거에로의 무비판적 회귀가 아니라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사고에 기반 하여 다산경학을 새롭게 재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이 글에서는 현암이 다산경학을 성학(誠學)의 체계로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중요한 내용의 고리를 윤리적 행위의 근거로서 상제천(上帝天), 행위윤리적(行爲倫理的) 특성을 제시하였다. 결국 수사학적 수기치인의 논리를 다산학 전체를 일관하는 방법론으로 삼아 다산경학연구의 일가를 이룬 이을호의 연구는 여전히 다산학 연구의 방향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玄庵李乙浩的『茶山經學思想硏究』是深奧地硏究茶山經學的出發點. 李乙浩認爲丁若鏞的觀點, 不是占在于漢唐儒學那樣偏重于解釋字句和依形上學的天理尋求人間實存的根據那樣的性理學, 而是爲了回復堯·舜·周·孔的意圖, 回歸了洙泗學的復古主義. 不僅如此, 他認爲茶山學是``具有原初的純粹性的實踐倫理之性格``. 因此, 基于這樣的觀點, 他規定了"茶山學里面存在的核心觀點, 就是修己治人的原理, 而且這就是茶山學的生命". 他把茶山學中的經學和經世學之有機的關係成爲了實踐儒學的固有理念, 卽``修己治人``這樣的實踐的命題.李乙浩把茶山學規定爲``回歸于洙泗學的復古``, 因爲他認爲"近代實學這樣的土壤爲基礎, 而得到的所謂古典的洙泗學之現代的果實就是茶山學". 他把茶山學稱爲直接的繼承孔子的實踐儒敎的``近世洙泗學的創始者``, 因爲茶山學克復了槪念的貧困而所出現的表現之界限, 而且明顯地表現了其意圖.李乙浩硏究茶山學的方法里面, 一貫地存在着從孔孟的實踐儒敎發源而到茶山得到體系化的洙泗學之修己治人的論理. 從這一點來看, 我們可以把李乙浩的學的方法和硏究方向稱爲``玄庵學``, 而且我們還認爲從孔孟學-茶山學-玄庵學這樣的體系里面, 存在着一脈相傳的洙泗學之系譜. 因此, 李乙浩學問的主要貢獻就是: 他把洙泗學的修己治人, 當做儒學史之一方向, 這就是他的學的貢獻. 而且他强調茶山經學的``尙古的``·``復古的``傾向, 不是無批判的回歸, 而是基于溫故知新的思考, 重新解釋了茶山經學. 基于這樣的觀點, 這一篇文章考察了玄庵對茶山經學解釋爲誠學的體系, 而且提出了其主要倫理的核心根據-上帝天, 行爲倫理的特性.綜而言之, 李乙浩的茶山學硏究, 是基于洙泗學的修己治人這樣的一貫的方法, 終于在茶山經學硏究當中, 成了一家的成就. 因此, 我們可以這樣評價: 李乙浩的茶山學硏究導引了茶山學硏究方向, 而這就是他的貢獻.

      • KCI등재

        율곡의 수양론과 계몽의 일상성 의미 연구 - 『동호문답』ㆍ『성학집요』ㆍ『격몽요결』을 중심으로

        김희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2 No.-

        This paper tries to examine social meanings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sugichiin, that has been emphasized in Yulgok’s thoughts, in relation to enlightenment for social reform. Yulgok suggests royal politics of chido (治道) for jesegumin (濟世救民) through 『Seonghakjibyo』. This corresponds to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a yangmin theory in 『Donghomundap』 that suggests a gyeongse theory of anmin (安民). In this regard, Yulgok’s suyang theory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order to to understand and interpret Yulgok’s gyeongse theory based on awareness of the current affairs of gonghyo (功效). Considering Yulgoks’ thoughts through saying, “For King, there is no more important learning to change his disposition”, he refutes social and political effects of the suyang theory of sugi (修己). He thinks that importance of changing disposition does not applies only to the King, but all people. In other words, Yulgok perceives changing of people’s disposition regardless of social status, which is gonghyoseong (功效性) of the suyang theory, as the universal value of social meanings. Such his thought, cultivating moral characters intrinsic to people properly, is reflected on Donghomundap, Seongwangjibyo, and In this context, an interpretation of the suyang theory of sugichiin (修己治人) that Yulgok emphasizes is in need of expanding its significance rather than focusing on personal effort into building one’s character. And this approach involves with the necessity for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of 『Gyeongmongyogyeol』 Yulgok’s idea, reforming people’s consciousness for the better world, in 『Gyeongmongyogyeol』 is different from an idea of reforming in 『Donghomundap』 and 『Seonghakjibyo』 based on sugichiin (修己治人) of Confucian tradition. To the extent that significance of reforming consciousness for new changes in daily life is emphasized through the suyang theory of sugi, 『Gyeongmongyogyeol』 is equivalent to Yulgok’s new political awareness that leads to specialize the meanings of sugi. Therefore, an analysis of social meanings that 『Gyeongmongyogyeol』has can be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to examine in social aspects meaning of sugi reflected on Yulgok’s thoughts in connection with enlightenment in daily life. 본 논문은 율곡의 사상체계 속에서 일관되게 강조되어 왔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수양론을 사회개혁을 위한 계몽의 정신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은 제세구민(濟世救民)의 실현을 위한 치도(治道)의 왕도정치를 『성학집요』를 통해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의는 제도의 개혁을 통해 안민(安民)의 경세론을 제시한 『동호문답』의 양민론(養民論)이 확대, 발전한 것에 해당한다. 이 점에서 인간 기질의 변화에 관한 율곡의 수양론은 공효(功效)의 시무(時務)의식에 기초한 율곡의 경세론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에 있어 중요한 내용이 된다. 더욱이, “제왕의 학문은 기질을 변화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없다.”는 말로 수기(修己)의 수양론이 갖는 사회적, 정치적 효과에 대한 실리적 의미를 논설하고 있는 율곡에게 있어 인간 기질의 변화에 대한 중요성은 군주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신분의 높고 낮음으로부터 벗어나 인간 기질의 변화에 관한 수양론의 공효성(功效性)을 사회적 의미의 보편적 가치로 인식하고 있는 율곡에게 있어 인간 본연의 덕성을 바르게 함양하는 것은 『동호문답』과 『성왕집요』를 거쳐 『격몽요결』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적용되는 내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율곡이 강조하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수양론에 대한 해석은 개인의 인격수양에 한정되지 않는 논의의 확대 가능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것은 지금까지 선행된 『격몽요결』에 대한 접근과 해석의 관점이 보다 폭넓고, 활발하게 논의될 필요성을 대변하는 것이 된다. 율곡에게 있어 『격몽요결』의 집필은 전통 성리학의 수기치인(修己治人)에 토대한 『동호문답』과 『성학집요』의 저술활동과 공유 가능한 공통의 내용을 갖는다. 하지만 군주와 제도에 의거한 민의 정치를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새로운 사회의 창출을 인간 의식의 계몽을 통해 시도하는 『격몽요결』은 『동호문답』, 『성학집요』과 다른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이것은 일상의 생활세계에 대한 새로운 변화에 관한 인간 의식의 개혁이 갖는 중요성을 수기(修己)의 수양론을 통해 강조한다는 점에서 『격몽요결』은 수기(修己)의 의미를 보편의 사회적 가치 속에서 특화시킨 율곡의 새로운 정치의식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고찰하는 『동호문답』과 『성학집요』와 다른 목적성을 갖는 『격몽요결』의 의미 비교는 율곡이 강조하는 수기(修己)의 보편적 가치와 의미를 사회적인 측면에서 고찰하는 동시에 일상의 계몽의식에 대한 율곡의 새로운 정치적 견해를 고찰하는 논의의 과정이 된다.

      • KCI등재

        “수기치인”의 동아시아 문명의 봄

        임채원(Chae Won L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1980년대 동서 냉전이 끝난 뒤에 국가 간 분쟁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기독교 문명과 이슬람 문명의 충돌 그리고 미국과 중국 문명의 패권갈등은 지구적 평화가 아직 요원함을 보여주고 있다. 2001년 9.11테러는 국가간 대결이 아니라 문명 충돌이 새롭게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문명 충돌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글은 문명 충돌과 갈등의 인류문명사에서 패권갈등이 아니라 소프트 파워를 중심으로 한 협력과 평화의 길을 모색한다. 1842년 아편 전쟁에 이은 난징 조약 이후 동아시아는 문명 쇠퇴기에 문명의 겨울에 접어 들었다. 그 이후 180여년이 지난 지금 동아시아는 다시 문명의 봄을 맞고 있다. 최근의 한국 문화컨텐츠는 패권경쟁과 분열의 세계사에 문명 간 협력의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 글은 동아시아 문명의 봄이 동아시아 철학인 ‘수기치인(修己治人)’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After the end of the East-West Cold War in the 1980s, conflicts between countries were expected to decrease, but the clash between Christian and Islamic civilizations and the hegemony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ese civilizations show that global peace is still far away. The 9/11 terrorist attack in 2001 became an opportunity to draw new attention to the clash of civilizations, not the confrontation between nations. Th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based on the clash of civilizations. This article seeks a way of cooperation and peace centered on soft power, not hegemonic conflict, i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of conflict and conflict. After the Treaty of Nanjing following the Opium War in 1842, East Asia entered the winter of civi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civilization decline. Now, more than 180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East Asia is experiencing the spring of civilization again. Recent Korean cultural contents are conveying the message of peac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ivilizations in the world history of hegemonic competition and division.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 spring of East Asian civilization is rooted in ‘East Asian philosophy, Self-Discipline and Governing the World(修己治人)’.

      • KCI등재후보

        수기치인(修己治人)論에 관한 반성적 고찰

        이종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3 No.-

        공자유학의 방법론은 수기이안인(修己以安人)체계에 집약되어 있 다. 그것은 修己以敬· 修己以安人· 修己以安百姓으로 보편성을 강 화시켜 가면서 不踰矩[上達]에 이르는 길이다. 하지만 수기이안인의 체계는 성리학에 이르러 ‘修己治人’으로 전회된다. 유학의 현재화라는 입장에서 볼 때, 수기치인론은 공자의 수기이안 인의 본의를 왜곡시킨 것이며, 수기를 수단으로, 치인을 목적으로 이 해될 수도 있으며, 수기라는 과정을 통하여 치인이라는 결과에 도달 한다는 뜻으로도 읽힐 수 있다. 그러므로 수기치인론은 공자의 본의 대로 수기이안인 론으로 그 개념과 가치를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 해 보인다. Confucianism is the study for my own self and others. It is for my own self and for others at the same time. So Confucius said, “Old scholars studied just for themselves, but now, they should be also for others.” Confucius extended the goal of learning just from crisis to the realm of others. The methodology of Confucius about crisis and other is concentrated on the system of “practice for others”. Enhancing the universality with ‘practice with respect’, ‘practice for other’s happiness’ and ‘practice for people’s happiness’ (修己以敬·修己以安人·修己以安百姓), it didn’t exceed the duty. But the system of “practice for people’s happiness” was changed into “practice for the ruling of others” by Joo Hee. As for Confucianism and the present of Confucianism, Joo Hee’s “practice for the ruling of others” was out of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us’ “practice for people’s happiness”. And by excluding the purpose of practice, it prevented the extension of mutual subjectivity to the system of virtuous circle an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nd it made Confucianism trapped in the preposterous thinking. The fact that the practice should be conducted before ruling of others means that the practice is the mean and the ruling is the purpose, or that the result of ruling others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practicing. Especially in today’s democratic society of multiple intelligences, ‘ruling of others’ is not appropriate concept for the spirit of the times and also it cannot be accepted for the thinking system of Confucius. Confucius uses the words of “happiness for others” instead of “ruling of others”. Thus, it is desirable to re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theory of ‘practice for the ruling of others’ is changed into the system of ‘practice for other’s happiness’ according to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us.

      • KCI등재

        수기치인 겸전론의 교육학적 해석

        이대식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Chong Yak-yong’s theory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修己治人 兼全) in view of educational theory. In view of education, Chong’s theory can be 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theory to shed new light onto relations between education and life as well as educ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Chong Yak-yong’s theory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people-governing can not be subjected to self-cultivating but plays more active roles in relation to self-cultivating.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commandments of love, Chong’s theory can be summarized as a proposition that ‘Self-cultivating is not only for myself but also for the world. People-governing is not only for the world but also for myself.’Chong Yak-yong’s ‘theory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implies the meaning of ‘education for life’ and ‘life for education’, simultaneously. Teacher’s life of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involves realizing that the fact of lif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lf-cultivation and promoting its sublime values to the world and society. His life of embodying ‘co-perfection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becomes the representation of life to embody ‘education for life’ and ‘life for education’, in itself. 본 연구는 정약용의 수기치인 겸전론(兼全論)의 의미를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보면, 정약용의 수기치인 겸전론은 교사와 학생의 교육적 관계뿐 아니라 교육과 삶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는 교육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키아벨리나 한비자는 수기와 치인을 별개의 활동으로 간주한다. 성리학의 관점에 의하면, 수기는 치인의 ‘인식론적 기준’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성리학의 관점은 치인보다 수기를 상대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치인이 곧 수기’라는 주장의 의미를 정당하게 존중하지 않는다. 정약용은 ‘수기가 곧 치인이며 치인이 곧 수기’임을 주장한다. 정약용의 수기치인 겸전론은 ‘나를 위한 수기는 곧 세상을 위한 치인이요, 세상을 위한 치인은 곧 나를 위한 수기이다’라는 명제로 요약된다. ‘수기치인 겸전’을 구현하며 살아가는 교사의 삶은 ‘삶을 위한 교육’과 ‘교육을 위한 삶’을 동시에 구현하는 삶의 표상이 된다.

      • KCI우수등재

        〈오륜가〉와 출처(出處)의 두 얼굴 : 주세붕의〈오륜가〉와 박인로의〈오륜가〉의 거리

        최홍원(Choi, Hong-won)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3

        This study started from the self-reflection that we could not read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refully from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because we were carried away by the content of Oryun(五倫) and the objective of Hunmin(訓民). I tried to read it with a new vision around the phase of communication including the writer, the recipient and the context. Based on such critical mind, I categorized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aimed at both <Oryunga(五倫歌)> of Ju, Sebung(周世鵬) & Park, InRo(朴仁老). Also, I distinguished and researched into the situations of formation and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ul(working for the government, 出) and Cheo(living in seclusion, 處). The difference of two positions, namely,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Sajok(scholarly families, 士族), resulted in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intentions and the purposes which were the reformation of the people and the unity of Sajok(士族) respectively. In addition, for the contents and the critical mind, the same contents, Oryun(五倫), was chosen or excluded according to the literary work. Besides, there were different emphases on the action and knowledge. Such changes came from the difference of the recipients, represented by common people and Sajok(士族) living in the country. As the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were generated and enjoyed in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Sugichiin(cultivating self-reliance and ruling others, 修己治人), we need to take a look at the goal and usefulness of a variety of Oryun Sijo(五倫時調) works,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context including the writer, the work and the recipient, with a new viewpoint.

      • KCI등재

        『論語』「學而」1장의 解釋學的 硏究

        徐根植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2 No.-

        {論語}의 핵심사상이라고 하면 보통 ‘仁’을 떠올린다. 그러나, {論語}의 첫 구절인 [學而] 1장에는 ‘仁’에 대한 언급이 없다. 그렇다면, {論語}의 편집자는 왜 [學而] 1장을 {論語}의 첫머리에 놓은 것일까? 본 논문은 {論語} [學而] 1장에 孔子의 핵심사상이 함축되어 있음을 서술하였다. [學而] 1장은 ‘기쁨(說)’⋅‘즐거움(樂)’⋅‘君子’라는 단어가 중심이 된다. ‘說’은 자신을 修養하는 단계 혹은 ‘올바른 관계맺음’을 위한 자격을 갖추는 단계이고, ‘樂’은 자신과 뜻을 같이하는 同志들과 관계를 맺는 단계이다. ‘君子’는 天下의 모든 사람과 ‘올바른 관계맺음’하는 단계로 孔子가 제시한 理想的 人間像을 뜻한다. [學而] 1장의 핵심인 ‘說’⋅‘樂’⋅‘君子’는 {論語}의 핵심사상인 ‘仁’⋅‘恕’⋅‘修己治人’과 연결된다. ‘仁’⋅‘恕’가 ‘올바른 관계맺음’을 의미한다면, ‘說’은 ‘올바른 관계맺음’을 위한 자격을 갖추는 단계이고 ‘樂’은 同志와의 ‘관계맺음’을 하는 단계이고 ‘君子’는 天下 모든 사람과 ‘올바른 관계맺음’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修己治人’에 대해 孔子는 修己以敬(敬으로 자신을 修養함)→修己以安人(자신을 修養하여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만들어줌)→修己以安百姓(자신을 修養하여 天下 모든 백성을 편안하게 만들어줌)의 3단계를 제시하는데, 이는 [學而] 1장의 ‘說’→‘樂’→‘君子’와 연결된다. 孔子가 [學而] 1장을 통해 제시한 ‘君子’라는 人間像은 ‘修養’으로 깨우친 도덕성을 ‘관계맺음’을 통해 ‘實踐’으로 옮기는 인간이다. When we say the core thought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e normally come up with ‘Ren(仁)’. However, in the first phrase of Chapter One([學而]) of the Analects, there is no mention about ‘Humanity’. Then, why the editor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had put the First Chapter at the opening of book?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fact that the First Chapter On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mplies the core thought of Kongzi(孔子). In the First Chapter One, the vocabularies, such as ‘Pleasure’(說), ‘Delight’(樂), and ‘Confucian Gentlemen’(君子) are central to the phrasal structure. ‘Pleasure’(說) is the phase to cultivate himself, or the phase to equip with a qualifi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righteous relation’. And ‘Delight’(樂) is the stag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who share same value and ambition with himself. ‘Confucian Gentlemen’(君子) is the stage to ‘establish righteous relationships’ with all people in the world, and it denotes an ideal human image presented by Kongzi(孔子). The core concepts of the First Chapter One are connected to the core thought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o wit, ‘Ren’(仁), ‘Shu’(恕), and ‘Xiujizhiren’(修己治人). If ‘Ren’(仁) and ‘Shu’(恕) refer to specifically ‘establishment of righteous relationship’, then ‘Pleasure’(說) is the stage to obtain qualification in order to ‘establish righteous relationship’, and ‘Delight’(樂) is the stag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brothers and colleagues, and ‘Confucian Gentlemen’(君子) means a person who can build up ‘righteous relationships’ with all the people of the world. Regarding the Confucianism in ‘Character building and guiding other souls’ Confucius presents three phases, viz. ‘Cultivation of himself in reverential carefulness’(修己以敬) → ‘Cultivation of himself so as to give rest to others’(修己以安人) → ‘Cultivation of himself so as to give rest to all the people’(修己以安百姓), and the se get through ‘Pleasure’(說) → ‘Delight’(樂) → ‘Confucian Gentlemen’(君子) in the First Chapter One of the Analects of Kongzi(孔子). The human image, named ‘Confucian Gentlemen’(君子) presented in the Chapter One is equated with the human who practices ‘morality’(修養) that attained by means of ‘cultivation’(實踐) through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 KCI등재

        정약용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다문화 윤리교육적 의미 고찰

        이종우 ( Jong Woo Yi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5 No.-

        다산 정약용(1762-1836)은 君子란 修己治人을 해야 하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자신을 수양하고 다른 사람을 잘 다스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실천으로서 忠信과 篤敬이 있다. 나와 남을 믿고, 정성을 다한다는 의미이다. 군자는 오랑캐의 나라에서도 그것을 실천한다는 것이다.또한 군자는 그곳에서 그것을 실천하고 그들을 교육시키기 때문에 오랑캐도 그것을 실천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충신과 독경은 윤리 교육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信과 敬을 실천하지 않으면 중국이라고 할지라도 오랑캐이고, 그것을 실천하면 오랑캐의 나라에서 산다고 할지 라도 군자라고 그는 생각하였다.그것을 실천하는 군자는 구태여 仁者의 마을을 찾아서 들어갈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信과 敬은 나와 남을 연결해주고 일체가 되는 윤리라고 그는 여겼다. 군자는 修己治人하는 존재이며, 修己는 義이고, 治人은 仁 이라고 정약용은 말한다. 따라서 군자는 오랑캐 나라에서 있어도 스스 로 수양하고 그들을 교육시키고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이러한 군자는 현재 교육자의 역할과 상통한다. 이에 입각한다면 교육자는 스스로 충신과 독경을 실천하고, 다문화가정의 학생과 내국인가 정의 그들을 구분하지 않고 忠信과 篤敬을 가르쳐야 한다. 전자는 義와 修己이고 후자는 仁과 治人의 방법이다. 이 때문에 정약용의 수기치인 의 의미인 인의와 그 구체적 실천으로서 충신과 독경은 현재 다문화 윤리교육적 의미와 가치가 있다. Chong Yagyong(1762-1836) say that gentleman should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The practice are self-belief[忠信] and the mindfulness[篤敬]. That is, gentleman should practice self-belief and the mindfulness. Thus, they can also practice the ethics. Thus, human beings should not try to find gentle man[君子]. Chong Yagyong think that practicing self-belief and the mindfulness connect between I and others. He said that gentle man should self-cultivation and educating. His gentleman is teacher. If teacher in Korea base Chong Yagyong`s that, they should teach that don`t divide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home family. That is, they should teach practicing self-belief and the mindfulness. Just as, that is truth education. So, Chong Yagyong`s the ethics will need when do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nd hav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