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효 일심의 철학적 성찰

        이향숙(李香淑)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6 No.-

        일심은 불교의 가장 주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며 서양철학에 비추어서 원효가 내세우는 일심이 무엇인지를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원효는 불교의 핵심 교리를 전반적으로 꿰뚫고 있으며, 그의 사상의 핵심원리를 일심으로 통섭하고 있다. 일심은 붓다의 근본 진리이자 인간이 지니고 있는 자성청정심, 여래장, 진여, 불성 등으로도 지칭되며 원효는 다양한 각도로 일심을 조명한다. 원효는 다양한 저술을 통하여 중도적 관점으로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 일체 중생들을 이익하게 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 서양철학에서 일심에 해당하는 말은 아르케로 시원, 시작, 출발의 의미로써 모든 것의 시작이면서 근원적인 존재의 원리이다. 원효가 말하는 일심이란 일(一)과 심(心)의 결합이고, 무이(無二)의 총체와 참다운 본성인 근원의 결합으로 이해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최초의 원인을 마음이 지었다고 하는 관념론에서 찾는다면 서양철학에서는 근원이 있는 어떤 것에서 찾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원효의 일심이 마음에 기반하여 심진여와 심생멸을 아우르는 중도적 입장이라면, 일자는 근원이 있는 것으로서의 하나라고 하는 특징을 보인다. 원효가 말하는 진여문 속의 생멸은 부처의 대비심이고 생멸문 속의 진여는 중생의 희망이다. 이 둘을 아우르는 것이 일심이고 중도적 포괄성이라고 본다. ‘One Mind’ is a pivotal concept and the foundation of beings in Buddhism. This paper’s aims compares Wonhyo’s ‘One Mind’ in the Western philosophy. It has been referred to the innate pure mind, the seed of the Tathagata, true self, Buddha nature; Wonhyo showed ‘One Mind’ in various ways. ‘One Mind’ can be compared to Archē, which is a Greek word meaning primary senses of ‘beginning,’ ‘origin,’ in Western philosophy. Wonhyo’s ‘One Mind’ is the combination of one and mind as well as heart, and together they mean everything combined and connected as one. Western philosophers searched for the origin from substance. However, according to the Buddhist perspective, everything arises from ‘Mind’; while doing that, all things are dependent upon other things. The common thing between ‘One Mind’ and ‘One Sort’ is that everything arises from one. Wonhyo’s ‘One Mind’ refers to the belief that everything arises from ‘One Mind’ and includes two concepts that the source of everything without a fixed form or shape, beyond time and space, with no beginning or end; the state of manifesting with defilements.

      • KCI등재

        芬皇 元曉의 一心과 妙空 大行의 한마음

        고영섭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4 No.-

        이 논문은 신라시대의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와 대한시대의 묘공 대행(妙空大行, 1927~2012)의 심층마음과 표층인식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궁구한 글이다. 원효는 심층마음을 ‘일심지원’ 혹은 ‘일심’이라고 했으며, 대행은 ‘한마음 주인공’ 혹은 ‘한마음’이라고 했다. 원효의 일심지원과 일심, 대행의 한마음 주인공과한마음은 마음의 구심과 원심에 대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붓다의 깨침인 중도의일심이 원효의 깨침인 일심지원의 일심에 상응하는 것이라면, 대행의 깨침인 한마음 주인공의 한마음과 상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원효의 일심지원과일심은 대행의 한마음 주인공과 한마음과 상응하면서 구심의 본래마음이 원심인중생심 즉 우주적 마음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원효는 일심을 좁은 의미의 의식을 일컫는 아뢰야식 개념으로 사용하면서도 넓은 의미의 의식을 일컫는 여래장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또 그는 ‘여래장으로서 일심’ 뿐만 아니라 ‘적멸으로서 일심’으로 사용하였으며, 나아가 적멸과 여래장 바깥에 ‘본법으로서 일심’까지 시설하여 일심의 원천으로서 일심지원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원효는 구역(舊譯) 경론의 체계 위에서 신역(新譯) 경론을 수용해 불학의 기반을 수립하였다. 그가 망식인 아뢰야식으로서 일심, 진망화합식인 적멸/여래장으로서 일심, 화엄의 진심으로서 일심, 선법의 본법으로서 일심 등으로 이렇게 철저히일심의 지형도를 그려나갔던 것은 깨침 혹은 깨달음에 대한 치열한 탐구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대행은 한마음을 ‘불성’ - ‘한마음 주인공’ - ‘한마음’ - ‘오공’의 관계 속에서 해명해 간다. 이 네 기호는 대행의 사상을 떠받치는 주축으로 이해된다. 대행은 한마음을 주인공, 아빠, 엄마, 심주, 평상심, 청수, 청수, 심봉, 한 물건, 본래면목, 한놈도 없는 그놈, 아미타불, 본존불, 포괄적인 주처인 하느님, 나의 님 등이라고 했다. 또 대행이 강조하는 주인공은 ‘자신을 이끄는 참 자기’이고, ‘나의 나’이며 ‘내마음의 마음’이라고 하였다. 동시에 ‘일체 법을 감싸고 일체 법을 지탱하며 일체법을 굴리는 그 자리’이며, ‘어버이이자 자녀’이며, ‘가장 높은 이이자 가장 낮은이’이며 ‘무엇이든지 다 될 수 있어서 도무지 고정된 것이 없는 것’이라 하였다. 이때문에 ‘나눌 수 없는 전체’가 이미 주인공이라고 하였다. 이같은 대행의 주인공 선풍은 그가 산과 숲에서 닦은 신라 무상(無相, 680~756; 684~762)의 두타행에서기원하고 있다. 원효의 일심학이 일심지원과 일심, 일(각)미와 일심, 본각과 진여 등의 구도로 이루어지듯이 대행선의 가풍도 한마음 주인공과 한마음으로 이루어지는 일원상으로구체화되며 한마음 주인공이 일원상의 구심화라면, 한마음은 일원상의 원심화라고할 수 있다. 이것을 원효의 용어로 바꾸면 우리의 본래 마음인 ‘한마음 주인공’은‘일심지원’이고, 본래 마음의 원심화인 중생심 즉 ‘한마음’은 ‘일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행의 한마음 주인공은 일심지원 즉 제9 아마라식에 상응하는 개념이 되며, 한마음이라고 할 때는 일심 즉 제8 아리야식에 상응하는 개념이 된다. 원효와 대행은 본래마음인 구심의 일심지원과 한마음 주인공, 우주적 마음인 원심의 일심과 한마음 사이의 연속과 불연속의 관계 속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연속의 지점 ... This paper examines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fundamental mind and present consciousness in Bunhwang Wonhyo (芬皇 元曉, 617~686) of Silla and Myogong Daehaeng (妙空 ⼤⾏, 1927~2012) of Korea. Wonhyo called fundamental mind the "Origin of One Mind", while Daehaeng called it "One Mind Juingong". On the other hand, both Wonhyo and Daehaeng called present mind as the One Mind. Therefore, the enlightened One Mind of Buddha corresponds to Wonhyo’s "Origin of One Mind" and Daehaeng’s "One Mind Juingong". Thus, Wonhyo’s "Origin of One Mind" and "One Mind" corresponds to Daehaeng’s "One Mind Juingong" and "One Mind". However, One Mind has been used to convey a variety of meanings. In the case of Wonhyo, this term means ālayā vijñāna, but at other times, he also used it to mean tathāgatagarbha. He did not stop there. He used the term to mean nirvana and he even went further and used it to mean the "Origin of One Mind". Wonhyo established his thoughts originally from the old translation system and accepted the new translation system on top of it. The four different kinds of One Mind ― that is, One Mind as ālayā vijñāna, tathāgatagarbha, nirvana, and Origin of One Mind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s of his endeavors in seeking the truth of Buddhism. In the case of Daehaeng, One Mind was understood as four different concepts: Buddha-nature, One Mind Juingong, One Mind, and Five Gong (cooperation). These four concepts seem to be the core ideology that constitutes Daehaeng’s worldview. Daehaeng referred to this One Mind with many names: Juingong, Dad, Mom, pillar of mind, everyday mind, clean water, one thing, original face, one thing that does not exist, Amitabha, main Buddha, all-inclusive god, my dear, and others. Daehaeng also emphasized the concept of Juingong; this Juingong means "the self that leads oneself", "the true self of everyone", and "the true mind of the mind". It also means "a place that encompasses every being, supports everything, and operates everything". It is "a father and son at the same time", "the highest one and the lowest one at the same time", and "a non-fixed being that can become anything". Therefore, this Juingong is a whole being that cannot be divided into parts. This tradition of Daehaeng’s Juingong practice can find its origin in Musang (無相, 680~756 or 684~762) who attained enlightenment through ascetic practices deep in the mountain. The structure of Wonhyo’s One Mind ideology is composed of Origin of One Mind, single taste (eka-rasa), One Mind, innate enlightenment and thusness.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Daehaeng’s One Mind ideology is composed of One Mind Juingong and One Mind. Here, "One Mind Juingong" is equivalent to Wonhyo’s "Origin of One Mind" and One Mind is equivalent to the One Mind of Wonhyo. Therefore, Daehaeng’s "One Mind Juingong" is equivalent to the 9th consciousness − in other words, amala vijñāna − and One Mind is equivalent to the 8th consciousness, or ālaya vijñāna. In the above sense, both Wonhyo and Daehaeng’s 9th consciousness and 8th consciousness share bo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t the same time. At the point where both consciousnesses meet, the aspect of dharma-kayā can be found; and at the point where both consciousnesses do not meet, the aspect of saṃbogha-kayā is found. Daehaeng’s One Mind Juingong and One Mind represent these two aspects.

      • 元曉大師의 一心과 靑潭禪師의 마음

        吳亨根 ( Oh Hyung-geun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11 마음思想 Vol.9 No.0

        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원효대사가 말하는 一心과 청담선사가 말한 마음이 서로 뜻이 같다는 점이다. 一心과 마음은 서로 표현만 다를 뿐 心性과 佛性이라고 한 것이 같고, 一心과 마음은 一切는 唯心造이고, 萬法은 唯識이라고 한 사상과 서로 통하는 사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一心은 허공과 같이 만법을 포용하면서도 지극히 공정하고, 一心은 바다와 같이 심오하고 청정하면서도 사사로움이 없는 至公無私의 진리를 실현하는 근본인 것이다. 그러므로 大乘을 말할 때 一心을 大乘體라고 하고 眞如를 말할 때는 一心을 眞如體라 하며 一乘을 말할 때는 一心을 一乘體라고 한다. 이와 같이 一心은 모든 진리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진리의 표현에 따라 별명도 많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一心은 一法界라 하고, 眞如心이라 하며 衆生心이라 하고, 大乘心이라 하며 無垢識이라 하며 淸淨心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경전과 논전에 마음에 대한 표현이 여러 가지 있지만 一心만큼 여러 가지로 표현하는 명칭도 없다고 할 수 있다. 一心은 중생으로부터 부처에 이르기까지 本性이 되기 때문에 佛心과 菩薩心과 眞如心이라고 칭할 수 있다. 그리고 眞諦와 俗諦의 本性이 되기 때문에 法性과 眞如性과 空性과 中道性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一心은 깨달음의 대상이며 중생과 보살 그리고 부처의 귀의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들이 본론에서 논술한 一心思想임을 전하며 이 초록을 끝맺는다. This paper has ascertained that St. Wonhyo's One Mind is the same as Rev. Cheongdam's Mind in its meaning. One Mind and Mind have been proved to mean the same thing. Both of them mean the human nature and the Buddha nature at the same time. Both of them are rooted i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hat everything is made by the mind and out of the mind. One Mind embraces everything like the void and is impartially fair; it is deep and clean as the ocean. It is the ground on which the just and fair truth can be materialized. Therefore, One Mind is called the body of the Great Vehicle[Mahayana], of the Truth[tattva], and of the One Vehicle at the same time. It is called by different names because it is the ground of truth: One Universe, True Mind, All Creatures' Mind, the Great Vehicle's Mind, Immaculate Consciousness, and Pure Mind at times. Buddhist scriptures and commentaries have many different expressions for the mind, among which One Mind has the most diverse expressions. One Mind is the nature of from all creatures to Buddha, so it can also be called Buddha's Mind, Bodhisattva's Mind, and True Mind. One Mind is also the nature of Permanent Truth[眞諦] and Worldly Truth[俗諦], so it is called Nature of Universe, Nature of Truth, Nature of Void and Nature of Impartiality. Therefore, One Mind is the target of spiritual enlightenment, and the returning home of all creatures, bodhisattvas, and Buddha as well.

      • KCI등재후보

        묘공(妙空) 대행(大行)의 실천성과 지성성

        이인석 ( Lee In-seok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5 No.-

        본고는 현대 한국 불교사에 큰 획을 그은 비구니인 묘공당 대행선사(妙空大行 1927~2012, 이하 대행으로 약칭)의 실천성과 지성성을 그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대행의 극한의 두타행과 깨달음 후의 괄목할만한 성취를 살펴봄으로 인하여 대행의 생애에 있어서의 실천성과 그 의의를 살펴볼 것이다. 대행의 생애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는 그의 생애를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볼 것이다. 첫째는 탄생과 유아기, 둘째는 첫 번째 깨달음이 있었던 9세 전후, 셋째는 한암스님을 만났던 십대, 넷째는 극도의 고행을 했던 이십대에서 삼십대초반, 다섯째는 수없는 이적을 보였던 삽십대, 여섯째는 대중포교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의 생애에서 보이는 특징은 다섯 가지가 있다. 그 중 첫째는 그의 수행에서 보이는 자성불에 대한 완전한 믿음과 놓음의 중요성이다. 둘째는 깨달음 이후의 그의 신이한 행적의 역사적 희유성이다. 셋째는 그의 깨달음에 나타나는 만 중생을 위한 자비의 대승정신이다. 넷째는 생활속에서의 수행의 강조이다. 다섯째는 그의 無相·無作行의 측면이다. 한편, 사상적으로는 그의 사상이 대승불교의 교과서라고 하는 『대승기신론』과 동일한 구조와 원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찰해 볼 것이다. 대행의 한마음은 『대승기신론』의 일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 두 가지 동일한 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제 대승교학을 섭수하여 회통하고 있다는 것이며, 둘째는 그 회통의 원리가 일심·이문·삼대의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 논점은 하나하나 논증하여야 하는 매우 방대한 주제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두 번째 논점인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와 원리의 동일성에 대하여 우선 고찰하고자 한다. 대행과 『대승기신론』양 사상에서 이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와 원리의 동일성을 고찰하는 데는 두 가지 관점이 필요하다. 첫째는 본 각으로서의 일심의 구조와 원리이며, 둘째는 본각과 시각이 둘이 아님을 설하고 있는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와 원리이다. 본각으로서의 일심은 중생이 그대로 부처임을 설하는 사상이다. 수행을 한다, 하지 않는다를 떠나 모르는 중생이 그대로 이미 깨달아 있다는 것으로, 대행과 『대승기신론』양 사상에서 모두 이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본각으로서의 일심을 이해할 수 없는 대다수의 중생들을 위한 선방편으로서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에 나타나 있는 시각과 본각이 둘이 아닌 입장이다. 그 요지는 먼저 『대승기신론』에서는 중생이 이문으로서의 심생멸문과 심진여문을 갖추고 있으며 삼대로서의 체대·상대·용대를 본래부터 갖추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이 이문과 삼대는 각각 불가분리의 관계이며 심진여문은 체대에, 심생멸문은 자체·상·용에 해당함을 설한다. 이는 중생의 본래 부처로서의 구족성과 중생과 부처의 불가분리성을 드러내는 부분이다. 그러나 중생은 심생멸문에서 심진여문의 체의 공덕을 감지하지 못하는 까닭에 심진여에 계합되지 못하며 그러한 고로 중생으로서의 고통을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통을 벗어나기 위하여 심생멸문의 자체·상·용으로서의 중생은 심진여문의 체를 감지하고 계합하여야 한다. 이 계합은 “탄다”는 표현으로 잘 대변된다. 『대승기신론』 「입의분」에서 “모든 부처가 본래 타고 있으며 모든 보살이 타고서 여래지에 이르는 수레를 탄다”는 것의 의미가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말해 중생이 본래로 부처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지 못하고서는 부처가 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된다. 수레를 탄다는 것은 止와 觀의 쌍운을 의미한다. 심진여문의 부동의 止와 심생멸문의 작용의 觀行이 합해져 止와 觀이 쌍운되니 이는 중생으로서의 자기와 부처로서의 자기가 계합된 행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레와 자신의 계합도 단계가 있어 점차적으로 삼 단계로 깊어지게 되니 이를 『대승기신론』에서는 세 가지의 발심으로 표현하여 신성취발심, 해행발심, 증발심이라고 하고 있다. 한편, 대행에게 있어서 본각과 시각이 둘이 아닌 일심·이문·삼대사상은 그의 수행론의 근간을 이룬다.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삼대구조는 대행에게 있어서 한마음·주인공·삼합구조로 나타난다. 一心은 한마음에 해당한다. 二門은 주인공에 해당되니 이 주인공은 부동의 근본으로서의 “주인”과 고정됨이 없이 작용하는 “공”이 합해진 단어이니 이는 체와 용의 결합을 의미하며 심생멸과 심진여문의 불가분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주인공”이란 단어는 이문의 의미도 되며 이문을 갖춘 진여의 의미도 된다. 三大는 삼합에 해당되니 이 삼합이란 생명의 근본인 불성·마음내는 것·육신의 작용의 세 가지이다. 다시 말해 삼합이란 생명의 근본이 있으므로 살아있으며, 살아있으므로 생각할 수 있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움직일 수 있는 인간의 세 가지 구성원리를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문과 삼대의 작용 자체가 신해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은 이것이 바로 본래의 부처의 능력과 작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래로 일심인데 이 일심이 이문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이문이 삼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은 본래로 부처인 중생의 구조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한마음이자 부처로서의 지혜와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생은 자신의 한마음의 공덕을 감지하지 못하는 까닭에 고통을 벗어나지 못한다. 아집과 법집에 가로막혀 자신의 일거수 일투족이 한마음의 공덕의 작용임을 감지하지 못하고 모든 것을 자기 자신이 하는 것으로 아는 전도몽상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그러한 까닭에 무명에 덮여 있다고 하는 것이요, 불각인 것이요, 그 결과로 고통을 벗어날 길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행은 이 고통을 벗어나기 위하여 중생은 자신의 근본인 한마음을 지극한 마음으로 굳게 믿고 중생으로서의 자신을 진여로서의 한마음에 내려놓아야 한다고 한다. 그리하여 ‘자신’이 살고 있다는 전도몽상에서 벗어나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이 한마음의 작용임을 증득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일거수일투족에서의 한마음에로의 계합을 止와 觀의 겸수라고 할 수 있으니 이것은 모든 것을 근본에 놓아 자신이 하는 게 하나도 없어지는 止이되 근본의 작용으로 소소영영하게 보고 듣고 생각하는 까닭에 觀인 것이다. 이와 같이 주인공에 믿고 맡기는 수행이란 止에만 집착하지도, 觀에만 머무르지도 않는 지관쌍운인 것이니 이를 대행은 “함이 없는 행”이라고 한다. 이러한 계합을 통한 지와 관의 겸수에 있어서도 차원의 높낮이가 없지 않으며 이 차원의 단계를 대행은 세 가지 관의 차제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니 내 일심으로의 관, 무심으로의 관, 둘 아닌 관이라고 하고 있다. 이상의 과정이 대행에게 있어서 시각과 본각이 둘이 아닌 가운데 본각을 회복하는 과정이 된다. 이와 같이 『대승기신론』과 대행의 일심·이문·삼대의 원리가 동일하게 본래로는 본각임에도 불구하고 무명으로 인한 불각으로 인해 고통의 원인이 되며, 그 고통을 벗어나 본각으로 돌아가는 방법으로 진여의 체에 중생으로서의 자신을 믿고 놓음을 설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 사상이란 점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examines the life and ideology of Myogong Daehaeng (1927-2012), who marked a new era in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The first chapter of this essay examines the life of Daehaeng by reflecting on her dharma practice and the remarkable achievements she experienced after her enlightenment. The second chapter examines her Buddhist thoughts to evaluate the intellectual aspect of her ideology. To evaluate Daehaeng’s life, this essay will divide her life into six parts: the period of her birth and infancy; her first awakening at nine years old; her teens, when she first met Hanam Sunim; her twenties through her early thirties, when she practiced extreme asceticism; her thirties when she produced uncountable miracles after her enlightenment; and the period when she taught people. Many people seem curious about how Daehaeng’s Buddhist thoughts will be related to Mahāyāna Buddhist thoughts because she awakened to the truth without any scriptural lessons. However, regardless of her background, Daehaeng’s thought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textbook of Mahāyāna Buddhism. Daehaeng’s Buddhist thoughts are focused on One Mind, as evidenced by the name of the One Mind Seon Center that she founded. One Mind means the mind of true thusness and the real nature of every being. The thought of One Mind may be discovered in many sutras, such as Huayan Sutra, Lotus Sutra, Lankȃvatāra Sutra,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Commentary on the Mahāyāna-samgraha-sastra, and Cheng weishi lun, but the concepts of One Mind in these sutras are somewhat different based on the stance of their sect. Daehaeng's One Mind has two things in common with the One Mind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First, they both reconcile and unite all the Mahāyāna thoughts into a pervasive and inclusive understanding. Second, the logic of their reconciliation is the principle of “One Mind with Two Doors.” However, because the first point is an issue that 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dividuall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imilarities based on the second point.

      • 원효철학에서 일심(一心)과 화쟁(和諍)의 관계

        김원명(Kim, Won M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화쟁과 일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원효철학은 전통적으로 일심과 화쟁으로 규정된다. 이제까지 그 관계에 대한 논의가 부분적으로 있기는 했지만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심과 화쟁의 관계를 밝혔다. 우선,『십문화쟁론』에서 논의되는 열 가지 화쟁이 각각 하나의 화쟁에 포섭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사실이 ‘하나’에 대한 원효의 철학적 통찰과 관련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그‘하나’가 각각의 화쟁을 가능하게 하며 열 가지의 화쟁을 가능하게 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원효의 『기신론』 주석에 나타난‘이문일심’을 통해 화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즉 일심이라는 근원이 어떻게 대긍정이라는 다리를 통해 화쟁이 가능하게 되고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원효 『금강삼매경론』에서 일심과 화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원효 저술들에 나타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부처에게는 화쟁이 일심의 귀결이지 이른 바 목적은 아니며, 중생에게는 거꾸로 화쟁은 일심에의 귀원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일심과 화쟁의 관계를 부처의 입장과 중생의 입장에 따라 그 관계를 반대로 말 할 수 있으나,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은 측면에서는 일심과 화쟁의 관계는 일심이 전제된 바탕 위의 화쟁적 전개 양상이 존재론적이고 인식론적으로 펼쳐지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원효철학은 대승불교의 한국적 전개다. 원효는 중생으로 하여금 일심에 귀원하게 하여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차이 속에서도 그 동일성을 자각하게 하고 모든 차별로부터 오는 괴로움을 벗어나게 하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의 다양한 가치관과 문화가 빠른 속도로 만나면서 가지게 되는 이해관계와 그 속에서 발생하는 갈등들로 한편 괴로움이 일어난다. 일심과 화쟁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우리에게 일어나는 구체적 사건들에도 적용한다면 이를 잘 극복하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making the relation of Ilsim and Hwajaeng in Wonhyo Philosophy clear. First, I inquire that One Hwajaeng of ten Hwajaengs contains the other ones in the Simoonhwajaengnon by Wonhyo. It means that each One Hwajaeng has a universality but at the same time has a peculiarity. The universality and the peculiarity of each One Hwajaeng make the difference of the different things differentiate and harmonize at once. Next, in Wonhyo's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I study that Ilsim has a kind of concept of consilience & totality but it is not the ultimate reality. Ilsim has two aspects which are an appearing & disappearing and a stillness. When an appearing & disappearing disappears appearingly in Ilsim, a stillness appears disappearingly in Ilsim. Il of Ilsim means One which cannot be called but is inevitably called. According to Wonhyo, there is no One that can be understood. Thereby there is no Sim which means mind. He explains that One can be understood misunderstandingly mysteriously, so one calls it Sim. Being understood misunderstandingly mysteriously brings up the great positiveness. Hwajaeng comes from the great positiveness.

      • 원효 『열반경종요(涅槃經宗要)』에 나타난 일심(一心)

        김원명 ( Kim Won-myoun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원효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일심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기신론관을 통해 원효의 일심 사상을 논구하였다면, 본 연구는 『열반경종요』를 통해 원효의 일심 사상을 논구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심(一心)이 바로 불성(佛性)이라는 것이다. 오직 부처만이 체득하는 것이므로 불성이라 하고, 그 특징을 세 가지로 말할 수 있다. ①불성일심은 모든 극단적인 견해를 멀리 여의어[遠離諸邊] 도무지 해당되는 것이 없고[都無所當], 해당되는 것이 없어 해당되지 않는 것도 없다[無所不當]. ②인과의 측면에서 보면, 비인비과(非因非果)도 되고 작인작과(作因作果)도 된다. ③일미(一味)로 적정(寂靜)한 측면과 육도(六道)에 유전(流轉)하는 측면이 모두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약초의 일미(一味)와 가는 곳에 따른 다양한 맛을 말하는 『열반경』의 설명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둘째, 일심(一心)이 바로 열반(涅槃)이라는 것이다. 열반일심의 특징은 세가지로 들 수 있다. ① 열반일심은 모양을 떠나고 성품을 여의었으며[離相離性], ‘공’도 아니요 ‘공 아닌 것’도 아니며[非空非不空], ‘나’도 아니요 ‘나 없음’도 아니[非我非無我]라는 것이다. 이는 모든 극단적인 것을 떠난다는 불성일심과 거의 다르지 않다. ② 일심(一心)이 다심(多心)으로 자재하게 변하여 나툴 수 있다는 것이다. 원효는 『열반경』 인용문을 통해 일심(一心)이 이심(異心) 즉 다심(多心)으로 자재하게 변하고 나툴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③ 일심(一心)으로 돌아오거나 만덕(萬德)을 이루는 것에 다름이 없고[無異] 걸림이 없다[無碍]는 것이다. 원효는 『열반경』에서 여래의 신(身)·식(識)·심(心)·처(處)·택(宅)·상(相)의 있고 없고 간의 걸림없음의 예를 들어 논거로 삼고 있다. 이상의 정리와 같이 『열반경종요』에 나타난 원효의 일심은 ‘불성일심’이라고도 하고, ‘열반일심’이라고도 하며, 원효가 그 특징을 각 세 가지씩 들고 있다. 『열반경종요』의 일심 사상은 이후 기신론관을 통해 형성되는 원효 일심이문 사상의 기초가 되었다고 보이며, 일심이문 또는 이문일심과는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면서 그 고유한 측면도 드러내고 있다.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philosophy of Wonhyo’s One mind in the respect of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Faith by Wonhy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aning of One mind appeared in the Essence of Mahā-parinirvāna-sutra by Wonhyo. Its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s said that One mind is the very Buddhahood which only Buddha get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it, first one is away from all extreme views, nothing to be included, nothing not to be included. Second one is to become the cause and to become the result, is not to become the cause and not to become the result. Third one is that it has two aspects of silence without any movement in One flavor and various shapes in six paths. Proof of this is the figurative story in the Mahā-parinirvāna-sutra that there are original flavor and several flavors of medicinal herbs. The original flavor of medicinal herbs is in mountain where it came from. The several flavors of those depends on where those went out. Second, it’s said that One mind is the very nirvāna.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it, first one is away from shape and nature, is not nothing and not non-nothing, is not I and is not non-I. Second one is said that one Mind can be seen and changed freely in many minds. It can be proved in the figurative story in the Mahā-parinirvāna-sutra. Third one is sai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and no hindrance between coming back one Mind and getting ten thousands virtues. All extreme views, nothing to be included, nothing not to be included. It can be proved in the figurative story in the Mahā-parinirvāna-sutra that there is no jam between being and non-being of body and consciousness and place and house and appearance in Tathagata. Through the above summary, I argue that One mind in the Essence of Mahāparinirvāna- sutra by Wonhyo, can be Buddhahood One mind and Nirvāna One mind which become bases of philosophy of One mind two gates in commenta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by Wonhyo.

      • 원효 일심의 정의와 의미

        김원명 ( Won Myoung Kim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일심의 정의와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심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 『기신론소(起信論疎)』와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을 중심으로 일심 관련한 원효의 설명들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원효는 『기신론』의 일심이문 설명 근거를 『입능가경』을 통해 찾고,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을 설명한다. 그리고 원효는『금강삼매경론』에서도 같은 문장을 인용한다. 일심의 무생무멸(無生無滅) 본래적정(本來寂靜)한 측면을 심진여문이라 하고, 본각인 일심의 체가 “무명을 따라 움직여 생멸을 일으켜(隨無明動作生滅)” 심생멸문이라 하는 것이고, 심생멸문에서는 “여래의 본성이 숨어있어 나타나지 않으”(如來之性隱而不顯)므로 여래장이라고 한다. 둘째, 일체의 경계는 마음이 지은 것으로 일심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는 원효가 『십지경론(十地經論)』을 근거로 설명한 것이다. 일체 경계는 일심으로서 끝이 있지 않지만 없지도 않다. 그래서 다 알 수 있지만, 생각하여 헤아릴 수 있는 경계가 아니다. 체로서의 불심과 상으로서의 망법이 서로 훤히 비추며 보는 바가 없으며 보지 못하는 바가 없다. 이와 같은 원효의 설명은 『금강삼매경론』에서 『화엄경』 <십지품>에 근거한 일심의 화엄적 설명으로서 『기신론소』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일심의 경지는 있는 것도 아니며 없는 것도 아니다.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착각이고 허망한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생각은 허망한 것 즉 망념이기 때문이다. 또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그것은 실제로 없지 않다. 원효는 모든 상을 분석하여서는 일심의 자성을 얻을 수 없으나, 도를 닦아 구하면 그것이 나투니, 그래서 실제로 없지 않다고 한다. 일심은 일체의 사려 분별이 사라진 경계의 마음으로 그 체가 적정하여 머무름이 없는 마음(無住之心)으로서 결정성의 경지이다. 넷째, 일심은 무이(無二)하며 불이(不二)이고 적멸(寂滅)하지만 그것이 전체 연에 따라 적멸하고 생동하므로 생동과 적멸도 불일불이(不一不異)하다. 다섯째, 일심이 무명을 연하여 다심이 된다. 일심(一心)이 무명(無明)을 연하여, 중생(衆生), 육근(六根), 육정(六情), 육진(六塵), 육도(六道), 사상(四相) 모두 지은 것이다. 일심은 무명과 화합한 힘 때문에 이런 다심을 일으킨다. 이것은 유전문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환멸문으로 말하여, 무명을 제하면 일심으로 다시 돌아간다. 여섯째, 결국 일심의 경지는 부처님 지혜의 경지로서, 네 가지 지혜로 나타나고, 일심의 체는 다섯 가지 모양으로 설명된다. 일심의 체는 대략 다섯 가지 모양(五相)이니, 첫째 취하는 대상의 차별된 모양을 멀리 떠난 것(遠離所取差別之相), 둘째 취하는 주체의 분별하는 집착에서 벗어난 것(解脫能取分別之執), 셋째 삼세의 때에 두루하여(遍三世際) 평등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等), 넷째 허공계와 같아서(等虛空界) 두루하지 아니함이 없는 것(無所不遍), 다섯째 유?무와 일?이 등의 변견에 떨어지지 아니하여(不墮有無一二等邊) 마음이 작용하는 곳을 벗어나(超心行處) 언어의 길을 넘어서 있는 것이다(過言語道). 또 일심에서는 “여덟 가지 식이 모두 전의하여(八識皆轉)” “네 가지 지혜로 원만하게(四智圓滿)” 나타나는데,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이다.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One Mind(一心). I looked them up focusing on "Gisinronso(起信? 疎)" and "Geumgangsammaegyoungron(金?三昧??)" which have lots of Wonhyo`s explanations about One mi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onhyo commented One mind two ways of "Gisinron" and "Geumgangsammaegyoungron", he quoted sentence in "Ipneunggagyeong"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Simjinyeomun is inner carlm side of One Mind, Simsaengmyeolmun is outer apparent and disapparent side of One Mind. Second, all the boundaries which the mind made are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Wonhyo quoted sentence in "Sipjigyeongron(十地??)" as an authority which can explain it. Third, the stage of One Mind is not real and is not non-real. Mind is the boundary of the disappearance of any calculative mind. Fourth, One Mind is not different and is not distinct and carlm, but according to conditions it is carlm and is full of life, therefore they are not different and same(不一不異). Fifth, One Mind becomes many minds because of brightnessless(无明). If we would remove brightnessless in many minds, they could go back to One Mind. Sixth, finally the state of One Mind is that of Buddha`s wisdom, is appeared to four kinds of wisdom(四智), is explained in five different shapes(五相).

      • 일심지원 혹은 일심이란 무엇인가? ― 분황 원효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 ―

        고영섭 ( Ko Young-seop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8 불교 철학 Vol.2 No.-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 元曉, 617~686)의 깨침사상의 구심과 원심을 ‘일심지원’(本覺)과 ‘일심’(眞如)의 기호를 통해 구명한 글이다. 우리는 고타마 붓다가 보여준 자유롭게 사는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불자이자 불제자이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오늘 이곳에서 보다 더 자유롭게 살수 있을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중생인 우리와 부처인 고타마의 거리를 최소화시키고 무화시킬 수 있을까? 우리의 깨침 혹은 깨달음 담론은 신라의 원효가 보여준 활로를 통해 조금씩 다가가 볼 수 있었다. 원효는 일심지원과 일심, 본각과 진여의 구도를 통해 중생과 부처가 하나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원효는 중생이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진여문과 생멸문, 즉 구극적 진리와 방편적 진리를 아우르는 일심을 발견함으로써 가능함을 몸소 보여주었다. 그는 내가 있다는 ‘작은 나’[有我]를 넘어서 내가 없다는 ‘덜 큰 나’[無我]를 거쳐 내가 있다와 내가 없다를 넘어선 ‘더 큰 나’[大我,眞我]를 향해 나아가는 길이 곧 부처와 중생이 하나되는 길임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일심지원’ 즉 ‘비인비과로서 일심’인 ‘본법으로서 일심’으로 적멸으로서 일심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을 아우르는 것이었다. 원효가 일심지원과 일심을 상통하면서도 상이한 것으로 파악한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그는 아뢰야식과 여래장의 관계에서는 둘 사이의 차이성을 강조하면서도, 여래장과 일심의 관계에서는 둘 사이의 동일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나서 다시 일정한 단계에 오른 이에게는 일심과 여래장의 차이성을 분명히 하였다. 대개 ‘수행을 하지 않는 중생이 부처’라고 하면 범부는 더 이상 수행을 하지 않을 것이다. 또 ‘부처와 중생은 분명히 다르다’고만 하면 범부는 더 이상 수행을 하지 않을 것이다. 이 때문에 ‘수행을 하여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일정한 단계에 오른 이에게는 ‘부처와 중생의 경계는 다르다’고 함으로써 수행의 질적 전환을 촉구하였다. 원효는 오늘 이곳에서 중생과 부처가 만나고 소통하기 위해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필요성을 환기하면서도, 부처와 중생은 같지 않다는 일깨움을 통해 더 높은 단계의 ‘깨침’으로 나아가는 통로를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원효는 오늘 이곳에 사는 우리가 부처와 중생임을 자각하게 하고, 지금 여기에 사는 우리가 중생과 부처의 통로를 여는 것이 급선무임을 일깨워 주었다. 그는 부처와 중생의 자각과 중생과 부처의 소통의 길을 열었으며, 부처와 중생의 평등성을 인정하면서도 중생과 부처의 차이성을 보여주었다. 원효는 진망화합식을 통해 일심의 평등성에서 비롯되는 ‘깨달음’을 인정하고, 자성청정심을 통해 일심의 차이성에 의거하는 ‘깨침’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원효 깨침 사상의 구심과 원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entral idea of Bunhwang Wonhyo (ca. 617-686) by comparing the concept of One Mind and the origin of One Mind. We are Buddhists who practice Buddha’s teaching to become liberated from all the compulsions in life. But how can we liberate ourselves from the compulsions here, today? How can we reduce the distance between us, the unenlightened people, and Buddha, the enlightened person? We could move forward toward that goal by the path that Wonhyo of Silla provided us. Wonhyo has offered us a way through which an unenlightened person can become an enlightened being, a Buddha. Wonhyo’s approach to attain enlightenment is by discovering One Mind, which has two aspects of truth: fundamental truth and expediential truth; in other words, the true thusness aspect and the arising-and-ceasing aspect of One Mind. His approach to reach the stage of greater self begins with the small self pausing at the stage of absence of self. That is, the stage of greater self is beyond the two previous stages, where the self once existed then disappears to eventually reach the fundamental goal of greater self. This is the stage where the Buddha and the unenlightened being become one. Here, the concept of Origin of One Mind, or One Mind as original enlightenment, includes both the concept of One Mind as Nirvana and One Mind as an embryo that will become Buddha. It is at this point that Wonhyo considered One Mind and the Origin of One Mind to be both same and different. He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consciousness and tathãgathagarbha. But he did not recognize any difference between tathãgathagarbha and One Mind; however, once a practitioner reaches a certain level, Wonhyo changes his words and recognizes the difference. The reason would be probably this: If somebody said that any sentient being is originally a Buddha, nobody would find any necessity to practice becoming enlightened. As well, if somebody said that a sentient being is different from Buddha, people would just give up and not practice. Therefore, the right way to lead people toward practice would have been to tell people that “you can become enlightened through practice.” However, when they reach a certain point, it would have been proper to tell them that Buddha and sentient beings are different. This would have been an appropriate method to lead people to make a qualitative transformation. Therefore, we can find that Wonhyo has presented us with two scenarios here. In the first one, he says that we are inherently Buddha, although living as unenlightened beings. Here he emphasizes the natural equality between us and Buddha. However, in the second scenario, he 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enlightenment and unenlightenment, although he admits to their natural equality. Within the concept of One Mind as consciousness in which the true and false are merged, Wonhyo presents us with the natural equality existing between enlightenment and unenlightenment. However, within the concept of One Mind as an inherently undefiled mind, he presents the supreme enlightenment aspect of One Mind, which is different from unenlightenment. This is the central idea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Wonhyo’s enlightenment.

      • KCI등재

        분황(芬皇) 원효(元曉)의 일심사상(一心思想) - 기신학의 일심(一心)과 삼매론의 일미(一味)와 관련하여 -

        고영섭 ( Ko Young - Seop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7 禪文化硏究 Vol.23 No.-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의 핵심사유는 일심(一心) 사상으로 대표된다. 그의 사유는 『대승기신론소』의 ‘이문일심’(二門一心) 혹은 ‘무량무변’(無量無邊), 『금강삼매경론』의 ‘일미관행’(一味觀行) 혹은 ‘십중법문’(十重法門) 또는 ‘무이중도’(無二中道), 『화엄경소』의 ‘일체 무애’(一切無碍), 『열반종요』의 ‘이문일미’(二門一味) 혹은 ‘부주열반’(不住涅槃), 『십문화쟁론』의 ‘화쟁회통’(和諍會通) 사상(논법)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현을 하나로 꿰는 상위의 기호는 일심 사상이라 해야 할 것이다. 그가 평생 모색했던 ‘귀일심원(歸一心源) 요익중생(饒益衆生)’은 ‘상홍불법(上弘佛法) 하화중생(下化衆生)’의 기호로도 표현되며 이것은 불교의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우리의 마음은 심층마음과 표층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층의 마음이 아뢰야식과 여래장으로 설명된다면, 표층의 의식은 전오식과 제육식 및 제칠식의 구조로 해명된다. 원효는 심층마음과 표층의식으로 이루어진 일심을 적멸으로서 일심(심진여문)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심생멸문)으로 해명하고 있다. 『능가경』(10권)의 교설처럼 적멸으로서 일심은 진여의 교문이고, 여래장으로서 일심은 생멸의 교문이다. 이 두 측면의 일심은 하나[一]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두나[二]도 아니다. 중생의 마음은 마음의 생멸문을 들어서 언급한 것이고, 생멸문에 의거해서 진여문을 나타내고 있다. 진여문에서 보면 본성은 본래 공적하지만 이 두 개의 교문은 그 본체에서 둘이 아니므로 모든 것이 다 일심법이라고 할 수 있다. 원효의 일심사상은 그의 대표작이자 만년작인 『대승기신론소』와 『금강삼매경론』에 집약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의 일심의 구조는 기신학과 삼매론에 나타난 일심의 지형도를 읽어내어야만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원효는 기신학에서 ‘적멸으로서 일심’과 ‘여래장으로서 일심’을 이위(異位)로 구분하고, 삼매론에서 일심의 근원과 삼공의 바다를 통해 존재론적인 측면과 인식론적인 측면을 가려본 뒤 이것을 다시 통섭해 나가고 있다. 그런 뒤에 ‘본법(本法)으로서 일심’을 시설하여 여래장 개념과 구분되는 상위개념으로서 일심 개념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원효는 적멸으로서 일심과 우주적 마음으로서 일심을 통섭한 행법(行法)과 여래장으로서 일심과 세상의 바다로서 일심을 통섭한 관법(觀法)으로 통로를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적멸과 일심지원을 통섭한 행법과 여래장과 삼공 지해를 통섭(通攝)한 관법은 그의 일심(一心)사상과 일미(一味)사상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원효의 일심사상이 기신학의 일심과 삼매론의 일미의 통섭 위에서 이루어졌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지형을 통해 원효의 핵심사유는 일심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examines Bunhwang Wonhyo’s(617~686) doctrine of One Mind, which was his central doctrine and thus represents all of his Buddhist thought. His Buddhist thought was expressed through many of his writings in different terms, such as “one mind, two aspects,” and “countless and limitless” i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 “one taste observation and action,” “tenfold dharma gate,” and “non - dual middle way” in the Vajrasamadhi - sutra ; “unconstrained to anything” in the Commentaries on the Huayan Sutra ; “two gates and one taste” and “Nirvana of no abiding” in the Doctrinal Essentials of the Nirvana Sutra ; and “reconciling disputes and uniting various doctrines” in the Ten Gates in Reconciling Disputes. However, the core doctrine that connects all these concepts is the doctrine of One Mind. This is also the reason his life - long motive to “return to the origin of One Mind” and “bring benefit to sentient beings” can also be understood to “aim at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and “emancipate sentient beings from suffering.” Our mind is composed of two levels: subconscious mind and present consciousness. When subconscious mind is understood as Alaya consciousness, and the Buddha - nature inherent in all beings, present consciousness is understood as 5 senses and 6th and 7th consciousness. Wonhyo explains that One Mind is the combination of both subconscious and present mind. He establishes two gates in explaining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One Mind; one of which is the gate of complete extinction, Nirvana, and the other of which is the gate of birth and death. As stated in the Lankavatara Sutra, One Mind as Nirvana represents the ultimately empty aspect of One Mind, while One Mind as life and death shows its phenomenal aspect. These two aspects of One Mind cannot be separated because the phenomenal aspect of One Mind is explained by the Gate of mind as life and death, and the ultimately empty state of mind is explained by the Gate of mind as Nirvana. The best place we can find the essence of Wonhyo’s doctrine of One Mind is in his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and Vajrasamadhi - sutra. The structure of Wonhyo’s One Mind can be best understood through these two writings. In the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he divided One Mind into these two levels, and in the Vajrasamadhi - sutra, he also gave thought to an ontological aspect and a cognitive aspect of mind. He also introduces another aspect of One Mind by setting up the concept of “One Mind as the Origin of Everything” and distinguishing it from its other aspec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the concept of One Mind has developed throughout his life, we can understand that the core doctrine of Wonhyo is One Mind

      • KCI등재

        원효(元曉)의 일심이문(一心二門)과 주희(朱熹)의 심통성정(心統性情) 비교 연구

        이혜영(Lee, Hye-Young),김원명(Kim, Won-Myoung)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3 No.3

        이 논문은 원효(元曉, 617-686)의 ‘한마음의 두 측면’[一心二門]과 주희(朱熹, 1130-1200)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원효의 ‘한마음’과 주희의 ‘마음’은 각각 참으로 그러한 ‘고요한 측면’[眞如門]과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生滅門], ‘본성’[性]과 ‘감정’[情]을 포괄하고 있다. 전자는 체상용의 구조이고, 후자는 체용의 구조다. 이는 마치 역(易) 철학시대의 고대 동아시아의 세계 이해를 담고 있는 이태극(二太極)과 삼태극(三太極)을 연상시킨다. 원효는 ‘한마음’에서 ‘하나’는 둘이 없는 하나로서 이해되기 어렵지만 ‘본성 스스로 신비롭게 이해하는 지각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래서 ‘마음’이라고 한다. 한마음 두 측면에서 고요한 측면인 진여문은 마음의 본체(本體)를 가리키고,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인 생멸문은 상용(相用)이라는 일심의 현상적 측면을 가리킨다. 생멸문 안에 자체(自體)를 가지고 있어 그 안에 불생불멸의 측면을 상정한다. 원효의 ‘한마음’과 주희의 ‘마음’을 비교할 때, 주희가 말하는 ‘성’이 갖고 있는 도덕본성을 원효가 말하는 심생멸문 안 자체(自體)가 진여문적인 요소로서 도덕본성의 가능성이 있다. 주희의 ‘심통성정’에서 ‘마음’은 ‘본성’과 ‘감정’을 주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통해 도덕 본성의 현실적 구현을 목표로 한다. ‘심’은 도덕 형이상의 본체론적인 의미와 ‘성’에 대한 지각 기능으로서의 인식론적 기능을 갖는다. ‘성’은 도덕 행위의 규범적 당위성을 부여하는 이치다. 한편, ‘감정’은 ‘마음’의 작용으로서 이것이 현실에 드러날 때, 도덕 이치인 ‘본성’을 적절히 구현해야 한다. 원효와 주희 사상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체상용의 구조적인 유사성뿐만 아니라 인식 기능과 도덕본성이라는 내용적 유사성도 있다. Wonhyo’s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nd Zhu Xi’s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can be said to be the identification of the mind which we observed in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This paper is ab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 of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nd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Concept of Wonhyo’s One mind(一心) and concept of Zhu Xi’s mind(心) are found to be similar in terms of structures that cover the texts of the Suchness Gate(眞如門) and Arising-Ceasing Gate(生滅門), human nature(性) and emotion(情).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each specific concept. This is distinguish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mind(心), that is, Two aspects(二門) are a specific interpretation of the One mind(一心). In other words, One mind(一心) indicates that the immortal nature and the phenomenon of extinction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awareness of the One mind(一心) is important as the ultimate form of the phenomenon.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mind(心) presides human nature(性) and emotion(情), but this is due to the moral element of human nature(性).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the role of mind is emphasized as a mediator of awareness of human nature(性). This is aimed at the realization of the moral nature. The Suchness Gate(眞如門) in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refers to the state of equality and nirvana as the nature of the mind. On the other hand, human nature(性)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acts as a possible basis of moral metaphysics that gives the justification of moral behavior. In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rising-Ceasing Gate(生滅門) has a characteristic of Tathāgata-Garbha (如來藏), which covers both aspects of immortality and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emotion(情) i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is the function of the mind and when this is revealed in reality, it is understood from the aspect of realizing mo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