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 말기 경무국 도서과의 활동 방향과 검열의 흐름

        문한별 ( Moon¸ Han-byoul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1926년 4월에 신설된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는 일제강점기의 중심을 거치며 가장 강력하지만 숨겨져 있는 사상 통제의 기관이었다. 1926년부터 식민지 조선의 언론과 출판, 영화와 음반에 이르기까지 사상과 관련한 모든 것들은 도서과의 검열을 통해서만 조선인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고, 그 역할은 일제강점기 중반부터 전시기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의 역할은 제국과 식민지 상황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양상을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경무국의 기관지인 『경무휘보』에 수록된 ‘도서과 통신’을 통하여 그 업무의 변화와 방향성의 전환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도서과에 대한 연구는 제도와 조직에 대한 것과 도서과가 생산한 검열 문건에 집중된 바 있다. 그러나 1937년 이후 도서과가 1943년 정보과로 통합되어 사라질 때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고는 이 시기 도서과의 활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무휘보』의 ‘도서과통신’을 번역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그 역할과 흐름의 변화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검열과 행정처분을 담당하던 도서과의 역할은 언론과 출판을 검열을 통해 통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상 교육과 언론지도라는 목적으로 확대되었고, 편집과 서술 방향에 이르기까지 확대되고 있었음을 우선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중기부터 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었던 영화 매체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였고, 중일전쟁 이후에는 검열과 통제를 넘어 선전 영화의 기획과 제작, 배급과 상영이라는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book department affiliated to Joseon Government-General Police Bureau established in April 1926 was the most powerful but hidden institution of thought control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1926, everything related to thought from the press and publication to movies and albums of colonial Joseon were only allowed to be delivered to Koreans through censorship by the book department, and the role remained unchanged from mid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wartime period. However,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der the police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hows significant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mpire and colonial situation,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work and direction through the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from 『Gyeongmuhwibo』, an organ of police bureau. Until now, researches on book department have focused on systems and organizations and the censorship documents produced by the book department.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specific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til it was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department in 1943. This study translated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of 『Gyeongmuhwibo』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the book department during this period,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role and tren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which was in charge of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measure, expanded from controlling the media and publishing through censorship to the purpose of ideology education and media guidance, and it was expanding from editing to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Also, it was identified that censorship of the movie media that has been gaining influence since the mid-Japanese colonial era was strengthened, and that it is advancing to the point of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propaganda films beyond censorship and control after the Sino-Japanese War.

      • KCI등재

        일제강점기 문학 검열의 자의성과 적용 양상 -아동 문학 검열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문한별,조영렬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8 No.-

        With a view to identifying the aspects of the censorship of publication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is thesis verifies the development and the actual applications of the specific guidelines on the censorship of publications in the colonial Joseon, based on records such as Joseonchulpangyeongchalwolbo, Gyeongmuhwibo, and Bulonsonyeonsonyeodokmulyeokmun. Newspaper Act (1907), Publishing Act (1909) etc., which were created by the pro-Japanese government cabinet in the early days of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provided a macroscopic perspective for the censorship standard. The documents that this study has examined flesh out how the censors applied their macroscopic standard and how new specific censorship guidelines are created out of them. The survey of the documents shows that the censorship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frequently and openly displayed control of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colonial population through the deliberate arbitrariness as demonstrated by the censors, that is, comprehensive and excessive interpretation. This was done as designed by the Japanese Empire, which aimed to subjugate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s, who were born into the colony in the mid-1920s and later, to uncritical conformity to the regime. To fulfill the goal, the censors expanded their censorship and control over those literary expressions and even those undescribed domains that handled not only thoughts but also feelings. As a result, works in children’s literature underwent expunging and were banned from publication through censorship, regardless of the authors’ intentions. The analysis performed by this study describes the practices by focusing on actual cases. It will present major critical viewpoints in reviewing the literary works from the colonial era that were impaired by the contemporary censorship. 본고는 일제강점기 출판 검열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선출판경찰월보』, 『경무휘보』, 『불온소년소녀독물역문』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식민지 조선의 출판물에 대한 세부적인 검열 지침이 형성되는 과정과 적용 사례를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기 초반 친일 내각에 의해 만들어진 신문지법(1907), 출판법(1909) 등이 검열 기준의 거시적인 시각을 제공하였다면, 본고가 살펴본 문건들에는 검열관들이 거시적인 기준을 어떻게 적용하였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세부 검열 지침들을 어떻게 만들었는지가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문건들을 살펴본 결과 특히 일제강점기 아동 문학 작품에 대한 검열에는 검열관의 의도적인 자의성, 즉 포괄적이고도 과도한 해석을 통한 식민지민에 대한 사상과 감정 통제가 빈번하고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1920년대 중반 이후 식민지배 상황에서 태어난 조선인 아동 및 청소년들이 제국의 지배 아래에서 무비판적으로 체제에 순종하도록 만들려는 제국의 기획에 따른 것이다. 검열관들은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상은 물론 감정의 영역에 해당하는 문학적 표현들이나 서술되지 않은 영역까지도 검열과 통제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아동 문학 작품들은 저자의 본래 의도와는 무관하게 검열에 의해 삭제되거나 출판금지 조치를 당해야 했다. 본고는 이 같은 양상을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향후 검열에 의해 훼손된 식민지 시기 문학 작품들을 살펴보는 데에 중요한 비판적 논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