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로스에 대하여

        박찬영 ( Chan Young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8

        이 논문은 사랑의 본질을 연구한다. 여기서 문제 삼는 사랑은 아가페가 아닌 에로스이다. 사랑은 ‘존재의 승인’이다. 사랑은 ‘통일의 힘’이다.(피퍼) 사랑은 주는 일이며 사랑 안에는 마음-씀, 책임, 존경, 인식이 들어 있다.(프롬) 사랑은 의지이며 모든 가치를 창조하는 원천이다. 사랑이 없으면 우리의 인생은 무의미하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일은 자연스럽다.(프랑크푸르트) 사랑에 대한 이러한 본질규정을 뒤이어 본 논문은 여러 가지 문제점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을 확인하고 해명한다. 사랑이 감정인가 의지인가 사랑과 기쁨의 상관관계 문제, 즐김으로서의 사랑과 노력으로서의 사랑의 문제, 사랑과 인식의 문제, 자기-사랑의 문제가 다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ssences of love, not of agape, but of eros. Love is ‘the affirmation of being’ and ‘the power of unification’. Loving means giving, not receiving. The basic elements of love are care, responsibility, respect and knowledge. And love is the volitional configuration and the originating source of terminal value. Without loves our lives are meaningless. We love naturally ourselves. After these essential remarks on love the article investigates several important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f loving. Is love a feeling or a will The relation between love and pleasure, the problem of love as enjoying and love as effort, the problem of love and knowledge, the problem of self-love are investigat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사랑'의 담론화 방식과 의미론적 경계 : 18·19세기 야담집 소재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concentrating on 'the love story' in the 18th and the 19th centuries of yadam

        최기숙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8 No.-

        보편적인 사랑’이란 순수한 열정의 교환, 정신과 육체의 통일된 교환 관계, 친밀성의 상호성이라는 협소한 의미 맥락 속에서 정의되어 왔지만, 시대를 막론하고 ‘추문’의 형식으로 은폐되고 소외된 금지와 위반의 사랑이 존재해 왔으며, 이야기를 전달하는 서술자의 시선에 의해 사랑의 의미론적 영역이 제한돼 온 것은 사실이다. 18·19세기 야담집에 수록된 ‘사랑’의 수사적 표현은 표현 주체가 남성 인물에 치중되어 있고, 신분적 상하 관계를 전제로 한 것들이 포함된다는 특수성을 지닌다. 사랑이 담론화하는 방식도 성적으로 특화되어 있는데, 특히 쾌락과 방탕은 온천히 남성적 영역으로 제한되어 있다. ‘질투’의 문제가 여성의 기질적 성향으로 담론화된 것은 처첩제나 기생제도가 용인된 제도적 상황 속에서 ‘사랑의’ 권력성에서 배제된 ‘아내’가 자신의 지위를 탈환하려는 노력을 품성과 인격의 문제로 치환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이성적 여성’과 ‘감상적 남성’의 사랑 이야기들은 ‘이성적 남성’과 ‘감성적 여성’이라는 종래의 전제를 수정해야 할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궁녀와 같은 특정 신분에 속한 개인의 사랑은 명백한 위반 행위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그들은 개인적 사랑으로부터 소외되거나 질병이라는 왜곡된 형식으로 이를 감당해야 했다. 해당 시기에 허용된 유일한 사랑은 ‘혼인’이라는 제도적 승인을 확보한 것이었지만, 실제로 부부애를 다룬 이야기들은 비중은 매우 협소하며, 오히려 기생이나 노비 등과의 사랑이 사실혼의 형태로 완성되는 이야기들을 통해 그들의 사랑에 대한 사회적 승인을 요청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에 가장 숭고한 형태의 사랑은 감정과 열정의 교환을 넘어서 여성의 희생과 헌신에 의해 남성이 성공하는 형태로 담론화 되었다. 여성 인물의 사랑과 성공이 합일하는 형식은 여성의 자기 완성이 타자를 위해 개방되는 형식으로 실현됨으로써 숭고한 미덕으로 인정받았던 것이다. The ‘general love’ is defined as a exchange of pure passion, a coordinated relationship of body and soul and a mutual relation of the intimacy, that is a very strict senses. But to tell the truth there were existed a forbidden and a broken love which were concealed and eliminated from the social regulations regardless of the times. The semantics of ‘love’ in yadam is dominated by the narrator’s point of view. The rhetorical expressions about ‘love’ of yadam in the 18th and the 19th centuries are focused on the male characters’ point of view, and that is set the relation of upper and lower classes forth as a premise. The procedure of making discourse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xuality, as a natural consequence it follows that a pleasure and a dissipation in yadam are presented only in the man’s life. The ‘jealousy’ is described as a female’s unique temper in yadam, but in fact such discourses result from substituting woman’s personality for one’s social powerlessness. In those days, there existed the kisaeng(妓生) organization, and the noble class could have a wife and concubines, as a necessary consequence, the woman hardly ever had the domestic power. And some love stories appearing ‘a woman of reason’ and ‘a man of sensibility’ are requested to correct the the premise which is ‘a man of reason’ and ‘a woman if sensibility’ as in the past. On the one hand, an actual love of ‘a lady of the court(宮女)’ was forbidden as a obvious illegality in the Chosun dynasty. Only a love result in marriage obtain a law’s approval. But most of the love stories were composed by the extramarital relations such as noble man and kisaeng, or female servants, not man and wife. The most sublime love stories shows a woman’s sacrifice to make a lover’s success.

      • KCI등재후보

        황동규(黃東奎) 초기 시(詩)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의 사랑 연구

        오주리(Oh, Ju-Ri)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50

        이 논문의 목적은 황동규의 초기 시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의 사랑(the narcissistic love)을 『어떤 개인 날』을 중심으로 구명하는 것이다. 황동규는 4.19 민주화 혁명 세대의 시인이다. 그의 시는 식민지의식과 전후 허무의식을 넘어선다. 그의 초기시편들은 미성년 시기의 순수한 서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사랑은 젊은 시인의 내면의 사랑으로서의 나르시시즘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정식분석학적 이론을 원용하여 그러한 논제를 증명하고자 한다. Ⅱ장은 나르시시즘의 ‘사랑의 동일시(identification)’의 국면을 다룬다. 동일시는 사랑의 주체와 타자 사이에서 내면에 비치는 화면(screen)으로서의 나르시스의 물거울에 형성된다. 반면에, 그 화면은 주체와 타자를 가로막는 차폐막이 되기도 한다. 황동규의 시편들에서는 ‘강’과 ‘얼음’의 이미지들이 나르시시즘의 사랑에서의 동일시에 대한 내면의 화면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Ⅲ장은 나르시시즘의 ‘사랑의 이상화’의 국면을 다룬다. 사랑의 주체와 타자의 이상화의 국면은 대타자(the Other)에 대한 언술행위(enunciation)에 의해 형성된다. 황동규의 시편들에서 ‘편지’, ‘엽서’ 그리고 ‘기도’는 타자를 이상적인 존재로 만드는 언술행위들이다. 이상화는 나르시시즘의 사랑을 주체성(subjectivity)의 절정에 이르게 한다. 반면에 이상화된 타자는 사랑의 주체를 위협한다. 나르시시즘의 사랑에서 타자에 대한 공격성(aggressivity)은 그러한 주체의 위협으로부터 온다. 황동규의 시에서 ‘기다림’ 또는 ‘씨름’ 등의 행위들의 이미지는 나르시시즘의 사랑에서의 이상화의 비극적인 국면을 표현한다. Ⅳ장은 나르시시즘의 ‘사랑의 죽음충동(thanatos)’를 다룬다. 타나토스는 정신분석학에서 죽음충동을 의미한다. 사랑의 주체와 타자 사이의 대립은 주체의 패배로 귀결된다. 그것은 자신의 연인에 대한 일종의 자기희생이다. 그러한 자기희생적 주체는 시 안에서 상상적 죽음을 겪는다. 결국, 그의 연인의 죽음은 가장 숭고한 행위가 된다. 황동규의 시편들에서 「피에타」는 그러한 것이 재현된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이 논문의 결론을 맺으며 황동규 시의 나르시시즘의 사랑은 젊고 순수한 시인의 비성애적(non-genital)이고도 미성년적인 사랑이란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덧붙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cissistic love in the Dong-Gyu Hwang’ early poems focusing on One Fine Day. Hwang is the poet in the generation of the April 19<sup>th</sup> Democratic Revolution(1960). His poetry is beyond the colonial consciousness and the nihilistic consciousness of postwar era. His early poems are characteristic of the pure lyricism of the adolescence. The love in his early poems is the narcissistic love as the inner love of the young poet. According to Julia Kristeva’s psychoanalytic theory, this thesis is constituted. The chapter Ⅱ covers the phase of the identification in the narcissistic love. The identification is formed between the subject of the love and the object of the love by the inner screen(ecran) as Narcissus’ water-mirror.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is the shield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the Hwang’ poems, the images of ‘River’ or ‘Ice’ have the function of the inner screen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narcissistic love. The chapter Ⅲ covers the phase of the idealization in the narcissistic love. The idealization is formed between the subject of the love and the object of the love by the function of the enunciation for the Other. In the Hwang’ poems, ‘Letter’ ‘Postcard’ and ‘Prayer’ are the enunciations that make the other idealistic being. The idealization makes the narcissistic love get to the maximum of the subje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idealistic other frustrates the subject of the love. The aggressivity for the other in the narcissistic love comes from the frustration of the subject. In the Hwang’s poems, the images of the actions such as ‘Waiting’ or ‘Sirum’(Korean traditional wrestling) are expressed as the tragic phase of the idealization in the narcissistic love. The chapter Ⅳ covers the thanatos of the narcissistic love. Thanatos means death-drive in the psychoanalysis. The conflict between the subject of the love and the object of the love is concluded at the defeat of the subject. It is a kind of self-sacrifice for his lover. Such a self-sacrificial subject experiences the imaginary death in the poems. In the ends, the death for his lover becomes the most sublime action. In Hwang’ poems, Pieta is such a representative work. Finally, in the chapter Ⅴ, I summarizes this thesis. In addition, the narcissistic love in Hwang’ poems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genital love of the adolescence. One fine day is the chastity for his lover of the young poet.

      • KCI등재

        ‘진리인식을 위한 원리’로서의 시몬느 베이유의 ‘사랑의 개념’에 관한 고찰

        이명곤(Lee, Myung-gon)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2 No.-

        시몬느 베이유에게 있어서 사랑(l’amour)의 개념은 윤리・도덕적 행위 이전에 ‘인식의 원리’ 혹은 ‘진리인식의 원리’처럼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녀가 사랑의 삶으로 불림 받은 신비가로서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사랑이 인식의 원리인 것은 실재를 최상으로 인식하게 되는 사태가 대상에 대한 사랑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진정한 실재(réalité)에 대한 인식이란 ‘최고의 주의집중’을 통해 ‘실재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곧 사랑의 힘이다. 따라서 사랑은 실재를 밝혀주는 빛처럼 고려된다. 사랑은 항상 사랑하는 대상의 선과 올바름을 지향하는 것이기에 윤리・도덕적 지평에서 역시 진리추구의 원리가 된다. 따라서 사랑이 없이는 진리에 대한 추구가 불가능하고, 진리에 대한 추구가 없다면 사랑은 공허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진리에 가까이 갈수록 사랑은 보다 참되고 순수한 사랑이 된다. 이렇게 진리와 사랑은 비례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베이유의 사유는 탐구 대상에 대한 사랑이 부재하는 현대의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견지하게 하며, 항상 보다 더 세계의 근원적인 존재, 신성한 존재에 가까이 다가가도록 하는 신비주의적 사랑을 추구하게 한다. For Simone Weil, the concept of love (l’amour) is considered as a ‘principle of knowledge’ or ‘principle of truth recognition’ before ethical and moral action. This fact has to do with her life as a mystic, in which she called her life of love. Love is the principle of cognition because it is through love for the object that reality is best known. Recognition of réalité means ‘direct contact with reality’ through ‘highest concentration of attention’, so it is the power of love that makes this possible. Thus, love is considered as a light that illuminates reality. Since love always aims for the good and rightness of the object it loves, it also becomes the principle of the pursuit of truth in the ethical and moral horizons. Therefore, without love, the pursuit of truth is impossible, and without the pursuit of truth, love is empty. And the closer one gets to the truth, the more true and pure love becomes. In this way, truth and love exist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Such philosophy keeps the critical thinking about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bsence of love for the subject of inquiry, and pursues mystical love that brings us closer to the divine existence, the fundamental existence of the world.

      • KCI등재

        자기사랑을 통한 도덕 심리학의 기초 설정

        홍순원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전통적으로 심리학과 윤리학은 기초심리학으로서 연관되어 있다. 둘은 인간 행동 분석에 집중함에 있어서 인간의 심성을 공통적으로 다룬다. 윤리학은 심리학을 위한 실천적 기초를 제공하며, 심리학은 타당한 행위를 위한 근거를 확립시킨다. 자기사랑은 두 영역사이의 연결점이 될 수 있다. 존재와 행위, 법과 규범의 통일성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면서 자기사랑은 분명히 윤리학의 근원적 원리가 될 수 있다. 이웃사랑은 자기사랑을 전제하며 거꾸로의 길도 타당하다. 자기사랑과 이웃사랑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결코 성취 될 수 없다. 우리가 하나님을 더 사랑하면 할수록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더 책임적이 되며, 이웃을 더 사랑하게 된다. 자기사랑은 우리에게 선물로 주어진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수용이다. 인간실존의 완성은 오직 자기사랑과 하나님 사랑의 연합 안에서만 실현되며, 그 둘은 오직 이웃 사랑 안에서 성취된다. 오직 이웃 안에서 나 자신과 하나님은 사랑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 사랑을 떠나서 자아와 이웃은 자각 될 수 없으며, 사랑 받을 수도 없다. 이기적인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여 타자에게 관심을 가지는 대신에 자기가 원하는 대로 소유하는 것을 즐긴다. 그는 도구적 가치에 기초해서 결단하고 행동한다. 이기주의는 사랑의 과도함이 아니라 그것의 결핍에서 유래한다. 그것은 자기사랑의 결핍에 기인하는 자아도취증 정신건강과 인격의 문제이다. 우리는 윤리적 실존과 행동에 있어서도 특별하게 자기사랑의 기능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인간존재는 외적인 동기가 아니라 자신의 자아와 그것의 완성에 따라 행동하며, 자아는 올바른 자기사랑의 근거위에서만 진정으로 실현되고 완전히 인식될 수 있다. Psychology and ethics are traditionally connected as basic anthropologies. They care about human mind in common, when they devote themselves to analyzing human behavior. Ethics can provide a practical basis for psychology and psychology can establish the ground for proper conduct. The self-love can be a connecting point between two areas. Establishing the basis for the unity of being and act, virtue and norms, self-love has good reason to be a fundamental principle of ethics. Neighborly love prescribes self-love and also over the left. Self-love and neighborly love can not be achieved apart from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 more we love God, the more responsible we are for ourselves, and the more we love our neighbors. Self-love is the acceptance of God's love which is given to us as a gift. The completion of human existence comes true only in the union of self-love and love of God, and both are accomplished only in the neighborly love. Only in the neighborhood the self and God can be loved. In the same way, apart from the love of God the self and neighbor cannot be perceived and be loved. A selfish man is absorbed only in his own self so that he enjoy possessing what he wants, instead of caring for others. He decides and conducts on the basis of the instrumental value. Selfishness does not come from the excessiveness of love but from lack of love. The symptom of narcissism which is caused by the lack of self-love is the problem of mental health and of personality. We should especially care about the role of self-love, even in the ethical existence and behavior. Human being conducts not by the external motives but by his own self and its completion. The self can be actually realized and wholly recognized only on the basis of correct self-love.

      • KCI등재

        상징적 기호로 제시된 사랑(愛)의 표현성 연구

        장미경 ( Meekyung Jang ),이영화 ( Younghwa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고대부터 사랑에 대한 기원과 믿음은 인간의 영원한 철학적 테마가 되어왔으며, 디지털화된 현대사회에 까지 사랑의 상징적 기호들은 새롭게 생겨나고 발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다양한 욕구와 감정 중에 가장 원초적인 사랑에 대한 표현적 연구는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사랑의 상징적 기호를 통해 인간의 사랑에 대한 의미와 바람을 제고하는 한편 예부터 사용해 온 상징적 기호로 제시된 사랑의 의미와 표현성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사랑에 나타난 동서양의 상징적 기호들은 다양한 형태로 사랑의 소망을 의미하며 상징적 표현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사랑을 나타내는 표현요소는 다양한 영역과 특수한 사실을 나타내는 상징적 기호이지만 모두에게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사랑이라는 감정과 연관된 다양한 상징적 표현요소들은 우리들에게 어떤 형태로든 소통의 도구로 쓰이며 다중적 의미를 지닌 기호가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요소들은 사랑의 소망이나 바람의 역할을 담당하며 끊임없이 의미들을 재생산하고 모호한 측면을 우리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준다. 모든 문화권의 역사 기록을 보면 인간은 사랑을 추구하며, 여러 가지 종교의식과 신앙을 통해 사랑을 부르거나 예측하는 한편 닥쳐올 위기를 피하고 사랑을 지키고자 하였다. 상징적 기호로 제시된 사랑의 표현성은 각 시대의 문화, 종교적 소산(所産)으로서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하고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각 나라별, 시대별, 종교별로 그 당시의 문화와 정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From the ancient times, wishing for and trust in love have been a permanent philosophical theme of human, and new symbolic signs of love have been born and developed till the digitalized modern society. Nevertheless, studies on expression of love, which is the most basic aspect of a range of diverse human desires and feelings, have hardly been dealt with. In that respect,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meaning and wishes of human love through symbolic signs, while investigating the meaning and expression of love presented with symbolic signs used from the past till now. It was found that the symbolic signs representing love in oriental and western worlds refer to wishes for love in a variety of forms and imply some symbolic expressive elements. The expressive elements representing love are symbolic signs standing for various fields and special facts, but they do not mean the same thing to every person. Various symbolic expressive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feeling of love are used as a certain means of communication and constitute signs with multiple meanings. In addition, those elements play roles of wish and hope for love, constantly reproduce meanings and deliver ambiguous aspects to us in some effective ways. Historical records in every culture indicate that man pursues, calls for or predicts love and avoids upcoming crisis and protect love through various religious ceremonies and beliefs. Expression of love presented with symbolic signs is cultural and religious product of each age and displays itself in various ways regardless of ages and countries. At the same period, reveals culture and sentiment of each country, age and religion in a symbolic way.

      • KCI등재

        ‘사랑가’에 나타난 사랑의 미학과 욕망

        최혜진(Choi, Hye-Ji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춘향가>에서 사랑의 문제는 작품의 핵심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사랑가는 남녀 주인공이 서로 만나 영혼과 육체가 합일되는 과정을 그린 중요한 대목이다. 이 사랑가는 <춘향가>에서 성취한 문학적, 사회적 결과의 근원이라는 점에서 매우 세심하게 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본 연구는 그러한 점에서 사랑가에서 구현된 미학적 성취를 고찰한 것이다. 먼저 사랑가를 긴 사랑가와 자진 사랑가 대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긴 사랑가 대목에서는 주인공들의 사랑에 대한 관념과 정의 등이 드러나며 사랑타령-사후기약의 사설이 이어진다. 특히 사후기약 사설에서 나타나는 죽음의 문제는 사랑이 죽음을 넘어서 영원성을 가지는 신성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진 사랑가 대목에서는 빠르고 흥겹게 부르며 성적 유희성을 드러낸다. 사설은 태도와 음식, 업고 놀기, 정자노래, 궁자노래, 정체확인 노래 등 매우 감각적이고 쾌락적인 표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육체성을 근간으로 한 표현으로 사랑에 빠진 환희를 묘사하고 있다. 곧 긴 사랑가는 운명의 미학을, 자진 사랑가는 감각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사랑의 주체와 욕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먼저 이도령은 사랑에 빠진 본능적이고 열정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사랑에 빠진 사람이 일으키는 존재의 전이를 통해 춘향을 배필로 맞이하게 되며, 이를 위한 육체적 욕망의 발현을 그리고 있다. 춘향은 대개 소극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기는 하나 자신의 존재를 고양시키기 위한 욕망과 인정의 욕구를 드러내고 있다. 춘향이 부르는 사랑노래에서는 신분적 불안과 인정의 욕망을 포착할 수 있으며, 이는 사후기약에 대한 거부나 위치의 부정, 이도령에 대한 존경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랑가가 불리는 시간을 살펴 첫날밤에 부른 사랑가와 첫날밤 이후에 부른 무르익은 사랑가로 나누어 미학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춘향가>는 19세기 중반 무렵까지 첫날밤에 사랑가를 불렀을 것으로 보인다. 첫날밤에 부르는 사랑가는 춘향의 옷벗기기와 성적 결합을 유도한 노래로 불리어졌다. 따라서 첫날밤의 사랑가는 관능적 미학이 중심적이다. 반면 19세기 중반 장재백 창본 이후로는 사랑가가 첫날밤이 지난 후 정이 드는 시점에 부르는 것으로 이동하였다. 관능적이고 직설적인 사설은 비유적이고 상징적으로 변화하였고, 에로티즘에서 신성한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숭고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판소리는 인간의 육체와 그 육체의 욕망에 주목하여 한 육체를 진정한 서사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점에서 우리 예술의 근대적 변화 양상을 드러내었다. 그 중 사랑가는 특히 사랑에 대한 관념적, 육체적 표현들이 망라되어 사랑에 대한 담론을 남김없이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사랑가에서 드러나는 사랑의 미학은 운명과 감각, 관능과 숭고를 넘나들면서 우리 문학에서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경지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 이전 사랑에 대해 이처럼 섬세하고도 직설적으로, 혹은 상징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표현한 문학을 찾기는 어렵다. 더욱이 사랑의 주체 문제에 있어서 이도령과 춘향이 보여준 존재의 전이와 고양은 <춘향가>를 이끄는 핵심적 감성미학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혼인과 가정 이해의 신학적 전망으로서의 사랑과 자비

        최현순(Choi Hyeon Soon)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 철학 Vol.- No.30

        본 연구는 『사목 헌장』과 『사랑의 기쁨』에서 혼인과 가정 문제를 바라보는 신학적 전망을 고찰하고 한국 교회의 상황에서 『사랑의 기쁨』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해석학적 원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사랑의 기쁨』을 관통하는 주제는 사랑과 자비이므로 이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사랑과 자비의 관점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자체어서 뚜렷이 드러나지만 『사목 헌장』 에서 혼인과 가정을 다룰 때는 그렇지 못했고, 특히 가정 사목을 다룰 때는 자비의 측면이 간과되었다. 『사랑의 기쁨』은 『가정 공동체』, 그리고 2014년과 2015년 두 차례의 세계주교시노드 최종보고서를 수용하면서 자비의 관점을 강하게 드러냈다. 『사랑의 기쁨』은 혼인과 가정을 삼위일체적 모상이자 삼위일체적 사랑을 목표로 향해 가는 여정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여정 중에 있는 모든 가정은 저마다 ‘약함’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약함은 은총의 장이다. 띠라서 교회는 이 약함을 동감하고 동반하며, 식별을 통해서 모든 가정이 각기 고유한 방법으로 교회 공동체와 통합되어 본질적인 목표를 향한 여정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회가 취해야 할 가정 사목의 길은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하신 행동 방법, 곧 사랑과 자비의 길이다. 이런 점에서 『사랑의 기쁨』은 사랑이라는 핵심 개념을 통해 혼인과 가정을 바라보고자 했던 『사목 헌장』의 의도를 더욱 구체화하고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e pastoral principle about the pastoral care of the family in Gaudium et Spes and Amoris Laetitia. The research took caritas and misericordia, the penetrating themes through Vatican Council II and Amoris Laetitia, as its starting point. But in dealing with family and marriage, these issues are not obvious in Gaudium et Spes. Instead, in Amoris Laetitia, which takes the prospects of final reports of two Synods of Bishops in 2014 and 2015, the aspect of mercy is very evident. According to these documents, both family and marriage are the images of the Trinity, and in the ongomg Journey toward the Trinitarian Caritas. Since all the families have their own fragility, those are the places for the grace, the Church must have fellow-feeling(compassio), accompany their fragility, also discern their various situation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 the Church and help them to arrive at the goal of their journey. The way of the Church in the pastoral care for the family should be the same way with that of God, that is caritas and mercy. Amoris Laetitia has developed and refined these theological perspectives which had appeared in the embryonic form at Vatican II.

      • KCI등재

        리샤르 드 푸르니발의 『사랑의 동물지』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주나미 ( Ju Na-m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13세기 중반에 등장한 리샤르 드 푸르니발의 『사랑의 동물지』는 당시에 유행하던 ‘(궁정식 사랑풍의) 로망’과 ‘동물지’라는 두 장르를 결합시켜 동물들의 상징적 의미를 흥미롭고 독창적으로 변화시켰다. 동물들의 특성에서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가르침을 이끌어내고 있는 일반적인 동물지와는 달리, 그것을 남녀의 사랑이라는 주제의 알레고리로 바꿔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종교적·설교적 문헌인 동물지에서 『사랑의 동물지』가 출현한 이러한 변형은 ‘성(聖)’에서 ‘속(俗)’으로의 변형, 다시 말해 종교적 심성으로부터 세속적 심성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13세기의 지적 전통과 문화 안에서 바라보면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세속적 감수성이 아니라, 오히려 ‘신에 대한 열망’이라는 종교적 감수성과 사고들이 더욱 뚜렷하게 발견된다. ‘사랑’이라는 개념이 지닌 가장 커다란 특징은 어느 시대나 사회에서든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은 상징성을 지니고 중의적(重意的)으로 쓰일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랑을 최고의 덕목으로 선언하며 ‘사랑의 종교’임을 강조해왔던 기독교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기독교에서는 남녀의 교제와 결혼이라는 형식으로 신과 인간의 영적인 관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전통을 오래전부터 발달시켜왔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기독교 신비주의의 핵심을 이루어 왔다. 따라서 신과의 영적인 결합을 남녀의 교제와 결혼으로 표현한 기독교 전통과 신을 향한 영혼의 상승을 사랑의 기술로 표현한 중세 신비신학의 맥락 안에서 살펴보면, 『사랑의 동물지』의 의미는 전혀 다르게 해석된다. 『사랑의 동물지』가 내용을 전개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사랑’과 ‘기억’, ‘감각’, ‘절제와 헌신’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바탕을 둔 중세 신비신학의 핵심 개념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사랑의 동물지』의 전체 내용을 요약해보면 그 작품이 ‘기억-감각-절제와 헌신-신의 은총-신과의 일치’라는 중세 신비신학의 논리적 구조를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곧, 『사랑의 동물지』는 동물지의 소재를 빌어서 로망의 형식으로 중세 신비신학의 가르침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기존의 동물지가 자연 안에 내재된 신의 섭리를 성찰·묵상하려는 신학적 전통과 신플라톤주의적 우주관·자연관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라면, 『사랑의 동물지』는 동물이라는 소재를 신비신학의 내면적이고 주관적인 신학으로 범위를 넓혀 활용한 작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사랑의 동물지』에서는 신비주의적인 종교적 열망과 세속적인 육체적 욕망이 하나의 양식 안에서 상징적으로 서로 통일되어 공존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인 상징주의야말로 중세 문화의 독특함을 구성했던 중요한 특질임을 확인하게 된다. In the middle of the thirteenth century, Richard de Fournival’s Bestiaire d’amour(Bestiary of love) transformed the symbolic meanings of animals in an interesting and ingenious way by combining the two genres of ‘Roman(courtly love literature)’ and ‘Bestiary’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Unlike ordinary Bestiary which draw religious and moral teaching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s, Bestiaire d’amour translated into allegories under the theme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In this respect, the appearance of Bestiaire d’amour seems to have been a transformation from ‘the sacred’ to ‘the profane’, that is to say, a shift from the religious mentality to the secular mentality.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intellectual tradition and culture in the 13th century, in Bestiaire d’amour the religious sensibilities and thoughts of ‘desire for God’ are more clearly found rather than such secular sensitivities.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the concept of “love” is that it can be used in a wide variety of contexts in any age or society, and it can be used as symbols. In Christianity, which has emphasized love as the best virtue and “religion of love”, such tendency became more prominent. Thus if we look at Bestiaire d’amour through Christian tradition that expresses the spiritual union with God as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and marriage, the meaning of love in Bestiaire d’amour is interpreted quite differently. “Love”, “Memory”, “Sensation”, “Moderation and Devotion”, that are being used by the Bestiaire d’amour, are key concepts of medieval mystical theology based on St. Augustine's thought. Therefore, if we summarize the whole contents of Bestiaire d’amour centered on these concepts,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are composed mainly of the logical structure of medieval mystical theology “Memory”-“Sensation”- “Moderation and Devotion”-“Grace of God”. In this sense, if ordinary Bestiary reflects the theological tradition and the Neoplatonic cosmology and nature view to seek and meditate on the providence of God embedded in nature, Bestiaire d’amour can be interpreted as a work that uses the natures of animals for inner and subjective theology of mystical theology and widen its scope. Moreover, in Bestiaire d’amour, we can see that the mystical religious desire and the secular physical desire coexist and symbolically unite in one style. And this dual symbolism is an important attribute that constitutes the uniqueness of medieval culture.

      • On Love : Rethinking Tillich's Interpretation of Love in Dialogue with Heyward's Concept of Love

        Baik, Soyoung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0 No.-

        이 논문은 21세기 전지구적으로 지배적인 사랑의 형태가 된 ‘합류적 사랑’의 확산 현상을 지켜보며 기독교 사회윤리의 전통에서 사랑이라는 덕목을 재고한다. 후기 근대사회의 특징과 연관된 사랑의 변화를 분석하는 사회학자들은, 경쟁적이고 불안정한 직업 환경이 일상이 되어 있는 후기-근대 사회에서 더 이상 성별분업에 기초한 핵가족이 개인에게 사회적, 정서적, 경제적 지지기반으로 기능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글로벌한 이동성과 시간제약 없이 일하는 전문기계가 되어야 하는사회에서 젊은이들은 물론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영역에 손해가 되지 않는 시간과 상황에 한정하여 일시적으로 ‘합류’하는 감각적이고 육체적인 사랑을 선택한다. 여기에 자본의 논리까지 가중되어사랑의 대상마저도 대상화, 타자화, 상품화되어버린 상황을 ‘문제적’이라 판단하며, 본고는 폴 틸리히와 카터 헤이워드의 ‘사랑’에 대한 신학윤리적 해석을 교차읽기하며 사랑의 존재론적 본성과 가치를 다시 짚어보았다. 20세기 서구 남성 신학자로서는 드물게 통전적인 시각에서 ‘사랑’을 이해했던 틸리히는, 신론에 입각하여 존재론적 측면에서 ‘사랑’의속성을 풀어내었다. 그는 개별화와 참여, 독립과 연합의 긴장과 리듬이 신이 부여한 인간 존재의 실존적 상황이며 능력이라고 보고, 이 둘 사이를 연결하는 삶의 원동력이 ‘사랑’이라고 정의한다. 전통적인 신학자들이 취해왔던 사랑의 위계적 범주화를 비판하며 틸리히는, 리비도와 에로스, 필리아가 별도의 존재론적 위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랑에 참여하는 힘의 다양한 속성들이라고 보았다. 또한 인간의 사랑은 위계적인 다른 존재론적 사랑으로 분화되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신적 사랑에 구체적으로 참여해가며 개별적 특성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언제나 ‘임시적’이고 ‘단편적’이라고 했다. 틸리히가 건설한 ‘사랑의 존재론’에서 아가페의 위치는 위계적 상층부를 차지한다기 보다는 개별적, 단편적 사랑 안에 거하되 모든 특수하고 개별적인 사랑을 품는 보편적 특성을 지닌다. 아가페는 실존 안에서는 결코 완성태가 불가능하나 모든 사랑의 실천이 이를 지향하게 하는 일종의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내가 사랑하는 너의 바운더리와 중심주체가 나에게 대상화되어 사용되지 않도록 이끄는 아가페적 힘 안에서, 육체적 사랑을 포함하여 모든 구체적인 사랑의 모습은 좋은 것이며 신적이라는 선언이다.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사랑의 존재론을 주장한 헤이워드는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신적 관계성으로서의 사랑을 강조하기 위해 하나님을‘관계적 에로스’라고 불렀다. 비록 헤이워드는 틸리히를 서구남성중심적 자유주의자라고 비판하지만, 그녀가 피력하는 하나님 이해와 사랑의 존재론은 틸리히와 상당부분 공동의 기반을 소유하고 있다. 헤이워드에게 하나님은 사랑 그 자체로서, 인간의 구체적 관계 안에서 체현되고 작동하는 감각적이고 변혁적이며 정의로운 힘이다. 그러나 그 힘은 한 개개인의 편파성이나 개별성을 초월하는 보편적 힘이라는 점에서 신적이다. 헤이워드의 ‘에로스’는 그리스철학의 형이상학적, 추상적 열망을 넘어서지만 그렇다고 단순히 성적 열망만을 지칭하는 것도 아니다. 본고는 헤이워드가 이분화, 위계화된 사랑의 담론이 주도적인 기독교 신학 전통 안에서 의도성을 가지고 ‘에로스’라는 단어를 재점유하면서 육체적 사랑의 영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주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단독성, 임의성을 외치는 포스트-모던, 후기-모던 시대의 한복판에서, 개별성을 넘어, 그러나 개별성을 담보하고 존중하면서, 개별성을 포함하는 보편성으로서의 사랑을 말했다는 점에서, 본고는 틸리히와 헤이워드가 말한 ‘사랑의 존재론’이 주목받을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탈성적 전문가 개인’으로 살아가는 이 시대, 나의 개별성과 자기 확장만이 중요한 시대, 육체적 사랑이 전인격적 사랑의 매개체가 아니라 일상탈출의 엑스타시로 여겨지는 이 시대에, 잘못된 관계성을 바르게 재조정하는 힘으로서의 사랑, 의애(just love)의 존재론적 본성을 재고하는 작업의 정치성을 고려할 때, 틸리히와 헤이워드의 차이보다 공동점, 즉 창조적 힘, 관계적 힘, 통전적 힘으로서 삶을 이끄는 사랑이라는 존재론이 더 주목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된 요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