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승규 「유봉래산일기」의 유람 여행 글쓰기와 문학교육적 의미

        김미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4

        This paper reviewed the writ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o Seung-gyu’s 「Yubongnaesan Ilgi」(Lit., Travelogue Diary on Mountain Bongnaesan), which recorded a trip to Byeonsan in 1897, and summarized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Yubongnaesan Ilgi」 used a formal diary format, focusing on the tour of Byeonsan from preparations for travel to the process of travel and return and writing, but started with and ended up with a dream story about deities, thereby show a completeness of the story. And it described the experiences of each day in chronological order, giving readers the effect of being together in that time. In this process, mak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poetry was composed, and recording actively the poems composed during the excursion, 「Yubongnaesan Ilgi 」 contained 82 poems. The travelogue thus offered a detailed look at the creative situation of classical Sino-Korean poems during tours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premise that it is used in university classes,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of 「Yubongnaesan Ilgi」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ubongnaesan Ilgi」 can be provided as a major resource related to travel literature and diary literature. Second, 「Yubongnaesan Ilgi」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direct experience writing. Third, it can be used to educate the process of writing and enjoying poetry. Fourth, it can be used to discover oral literature and introduce the process of its transmission. 본 논문에서는 1897년의 변산 유람 여행을 기록한 소승규(蘇昇奎, 1844~1908) 「유봉래산일기(遊蓬萊山日 記)」의 글쓰기 방식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학교육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유봉래산일기」는 정형적인 일기 형식을 사용하였으며, 여행 준비에서부터 여행 과정, 귀환과 글쓰기까지변산 유람 여행에 집중하되, 신선에 관한 꿈 이야기로 시작하고 끝을 맺어 완결성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하루하루의 경험을 시간순으로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독자들이 그 시간 속에 같이 있는 듯한 효과를 주고있었다. 이 과정에서 시를 짓게 되는 상황도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유람 여행 중에 지은 시를 적극적으로 수록하여, 「유봉래산일기」 속에는 82수의 시가 담겨 있었다. 이로 인해 조선후기 유람 여행 중 한시 창작 상황을자세히 볼 수 있었다. 대학교 수업에서의 활용을 전제로, 「유봉래산일기」의 문학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유봉래산일기」는 기행문학·일기문학 관련 주요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유봉래산일기」는 직접체험 글쓰기에 대한 예시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유봉래산일기」를 바탕으로 한시 작성과 향유 과정을 교육할 수 있다. 넷째, 「유봉래산일기」를 통해 구비문학 작품을 발굴하고, 전승 과정을 소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