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힌두성(Hindutva)’의 개념 규정과 문화민족주의 간의 상관관계 연구

        정채성(Jeong, Chae-Seong) 한국인도학회 2013 印度硏究 Vol.18 No.1

        힌두와 힌두이즘의 성격을 규정하는 문제는 한편으로는 근대 국가로서 인도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문제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를 비롯해 다른 사회들과 구별되는 인도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문제이다. ‘힌두’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은 정치권과 학계, 각종 사회조직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벌어지는데, 이렇게 대립되고 경쟁하는 이데올로기들은 다양한 대중매체들을 통해 일반대중에게 전달되어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며,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여론들은 선거라는 장을 통해 인도 사회의 발전방향과 성격을 규정하는 각종 정책들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1980년대 이후 소위 문화민족주의로 불리는 현상이 인도 국내뿐 아니라 해외의 인도 교민사회에서 뚜렷이 나타나고있다. 문화민족주의에는 쌍그 빠리바르가 주도하는 힌두 우익의 힌두뜨바 이념도 있지만, 이와는 별도로 국가로서의 인도, 혹은 역사적-문화적 실체로서의 인도에 초점을 맞춘 소위 세속적 문화민족주의도 뚜렷하다. 또한 신중간계급에서 쌍그 빠리바르가 주도하는 힌두 근본주의의 반(反) 이슬람적이고 전투적인 노선이 큰 지지를 못 받는 데 비해, 세속적이고 부드러운 문화민족주의는 광범위한 호응을 받는다. 이처럼 힌두-힌두이즘의 성격 및 힌두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과 힌두 문화민족주의의 보급이라는 두 과정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진행되면서, 현대 인도 사회가 변화하는 방향과 성격을 규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인도 국내외 여러 지역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힌두 정체성 논쟁과 문화민족주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 KCI등재

        힌두 민족주의의 힌두 정체성과 타자 — RSS와 M. S. 골왈까르(Mahadev Sadashiv Golwalkar, 1906-1973)의 사상을 중심으로 —

        이지은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5

        Revival of Hindu Nationalism and its political success since the 1990s brought about not only changes in political topography and policy but also shifts in personal and social levels such as realization and activation of Hindu identity. The electoral success of Hindu nationalism was engendered by the series of activities which strengthen the Hindu identity by way of the religious campaigns to aggravate the Hindu-Muslim conflicts and the suppression of minorities. RSS is a cardinal organization which provided the ideological basis and manpower to the these activities. RSS has been paramilitary organization with the influence of terrorist faction in Indian nationalism since its foundation in 1925. It has also showed the enmity against non-Hindu groups, especially Muslims, Christians and Communists. The thoughts of Golwalkar, who led RSS more than 30 years as its chief leader, inspired its members to enhance their religiosity and identity as a part of Hindu nation and gave ground to perceive the minority groups as “others” and the targets of hatred. Hindu nationalism pursued solidarity among themselves with its aggressiveness and exclusion of others when it was ideology of a minority group. Now it needs to establish broader ideology to embrace whole Indian citizens at present situation when BJP keeps stable governance as a ruling party. 1990년대 이후 힌두 민족주의의 부흥과 정치적 성공은 인도에서 정치 지형의 변동과 정책적 변화 이외에도 힌두 정체성의 자각과 활성화라는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변화도 초래했다. 힌두 민족주의의 정치적 성공 저변에는 힌두와 무슬림의 갈등을 조장하는 종교 캠페인과 소수집단을 억압함으로써 힌두 정체성을 강화하는 일련의 활동이 있었다. 이러한 활동에 사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인적 자원을 제공하는 단체로서 가장 중심적인 것이 RSS이다. RSS는 1925년 결성 당시부터 폭력적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준군사적 성격을 띠었고, 비(非)힌두 세력에 대한 적대감도 가지고 있었다. 대표로서 RSS를 30년 이상 이끌었던 골왈까르의 가르침은 단원들에게 힌두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고취시키고 종교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인도 내부의 소수집단들을 타자화하고 증오의 대상으로 삼는 근거로 작용했다. 과거 힌두 민족주의는 소수파의 이데올로기로서 과격하고 타자를 배제하는 성격을 가지고 내부적 단결을 꾀했다. 이제 BJP가 집권 여당으로서 안정적으로 통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체 인도 국민을 포용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북인도 예슈 삿쌍(Yeshu Satsangs)의 교회적(ecclesial) 정체성: 대런 듀억슨(Darren T. Duerksen)의 연구를 중심으로

        윤서태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60 No.-

        삿쌍(Satsang)이란 “진리의 모임”이란 뜻으로 힌두 혹은 시크 박타(bhata)들이 모여 의식(예배)을 치르는 곳을 말한다. 이런 삿쌍 문화를 활용하여 힌두/시크교의 신이 아닌 예수에게 헌신하고 예수를 따르는 박타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예배를 드리는 곳이 예슈 삿쌍 (Yeshu Satsang)이다. 내용은 교회와 유사하지만 음악, 그림, 상징 등 그 형식은 힌두/시크적이다. 듀억슨은 북인도에서 이런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그는 예수에 대한 박티적 헌신, 하나님의 축복과 성령의 역사(기적), 악의 분별, 복음의 증거, 이 네 가지를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으로 지적한다. 그리고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이 사도행전에 나오는 유대인 제자 공동체가 형성하고 있었던 교회의 정체성과 연관될 수 있는 것으로 보면서 어느 정도의 성서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처럼 보인다. 필자는 유대인 제자 공동체보다는 교회의 정체성을 완성형으로 구현한 바울의 “인-크라이스트”(in Christ)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면서 예슈 삿쌍의 교회적 정체성에 대해 재평가하고 인도 선교를 위한 예슈 삿쌍의 앞으로 의 역할을 전망한다. Satsang meaning “gathering of truth” refers to a place where Hindu or Sikh bhaktas regularly meet and practice their function. Utilizing this satsang culture, Yeshu bhaktas, who give their devotion to Jesus and follow him, are forming their community. Deuerkson has analyzed the ecclesial identity of some Yeshu satsangs in North India, that is, bhakti devotion to Jesus, focus on God’s blessing and the Holy Spirit’s work(miracles), the discernment of evil, and being a witness. Then he critically correlates the ecclesial identity of the disciples’ community in Acts to Yeshu satsangs. Instead and more critically, I re-evaluate the ecclesial identity of Yeshu satsangs from the “in Christ” identity of the Apostle Paul, who almost wholly embodied the ecclesial identity.

      • KCI등재

        영령(英領) 인도에서의 힌디-우르두어 분쟁: 힌두-무슬림의 분리된 정체성의 발상

        이은구(EUNGU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0 남아시아연구 Vol.25 No.4

        이 논문은 영령 인도에서 힌디어와 우르두어가 같은 방언에서 각기 다른 언어로 분화되어 출현하는 원인과 과정을 언어 민족주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의 내용은 언어 민족주의의 맥락에서, 언어가 동질적인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으로써, 힌두스따니어가 힌두의 공동체주의와 무슬림의 이슬람 문화의 상징으로서 힌디어와 우르두어로 분기(分岐)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시기와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렸을 따름이며, 역사적, 구조적으로 동일한 언어로 여겨져 평화로운 공생관계를 유지해 왔다. 힌디-우르두어 논쟁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은 영령 인도 시대부터이다. 그리고 이들 언어가 분리되게 된 가장 중요한 원인은 영국 식민통치 기간의 식민통치 정책에 따른 교육 및 언어 정책에서 야기된 언어 민족주의에 기인한다. 힌두와 무슬림 공동체의 배타적, 폐쇄적, 분리적 그리고 집단적 발상은 두 집단 간에 정체성 충돌을 빚었다. 힌두들은 인도에서 힌디어의 근원을 찾아 가능한 한 우르두어로부터 힌디어를 분리하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무슬림은 언어를 이슬람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보하려고 애썼다. 그리하여 힌디-우르두어에 대한 논쟁은 언어적 정체성에서 비롯되어 종교적 또는 민족주의적 정체성으로 확산되어 옮겨갔다. 그러므로 언어가 이들 양 집단이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장 대표적인 상징으로 작용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동시에 힌디-우르두어 논쟁은 공동체의 정체성 측면에서, 힌디어-힌두, 우르두어-무슬림 관계와 같은 사회적, 정치적 구조의 큰 틀에서 이해해야 한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causes and processes of Hindi and Urdu in the British India, which diverge into different languages in the same dialect, in terms of linguistic nationalism.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development of Hindi and Urdu languages as symbols of Hindu communalism and Muslim Islamic culture, by language 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homogeneous identity, in the context of linguistic nationalism. Hindi and Urdu have been called by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time of year and region. They have been regarded as historically and structurally identical, maintaining peaceful symbiosis. The Hindi-Urdu controversy began to take off in earnest from the time of British India.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ir separation was due to linguistic nationalism arising from education and language policy under the colonial rule of the British colonial period. The exclusive, closed, segregated and collective ideas of the Hindu and Muslim communities led to identity conflicts between the two groups. Hindus tried to find the source of Hindi in India and try to separate it from Urdu as much as possible. Muslims tried to secure their identity by considering language as a symbol of Islamic culture. Thus, the Hindi-Urdu controversy spread from linguistic identity to religious or nationalist identity.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note that language has served as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 of both groups’ cultural identity. At the same time, the Hindi-Urdu controversy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community identity, in large frameworks of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such as Hindi-Hindu and Urdu-Muslim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러크나우무슬림의 정치ㆍ사회적 딜레마

        김찬완(Kim, Chan-W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09 남아시아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무슬림의 정치ㆍ사회적 딜레마를 러크나우 사례를 통해 미시적으로 지역단위에서 무슬림들의 정치사회적 딜레마가 실질적으로 얼마나 심각한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무슬림의 70%이상이 지도자 선택에 대한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지만 지지정당 선택에 대한 딜레마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슬림의 언어적 정체성으로서 현재 우르두를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딜레마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하만이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힌두와의 삶의 터전을 공유하는 딜레마는 거의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보다는 같은 무슬림인 순이와 시아간의 터전 공존의 딜레마를 더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The article analyzes socio-political dilemma of the Lucknow muslims in micro regional level as a case study in searching for how far the dilemma is serious. It was observed that while more then 70% of the muslim are facing dilemma for choosing their leaders, very few muslims are having dilemma for selecting a political party of their support. In terms of social dilemma, less then half of the Muslims have dilemma in using Urdu in the public. They are also facing less dilemma in sharing living place with Hindu, but have more serious dilemma in living with Sunni or with Shia.

      • KCI등재

        인도의 독립적 여신신앙과 여성

        류경희(Ryu Kyoung-Hee)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2

        이 논문은 인도의 독립적 여신인 두르가와 깔리신앙에 초점을 맞추 어 강력한 여신신화와 신앙이 제시하는 독립적 여성정체성이 인도여성들의 실제 지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가 하는 문제를 주로 현지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해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신신화 속의 강력한 여성상이 실제 신앙 속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고 이러한 신앙이 실제 여성지위와는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가 하는 문제를 (1) 독립적 여신인 두르가와 깔리신앙의 실제 양태(2) 여신의 강력함에 대한 인도인들(종교전문가, 일반신도, 전문학자들)의 실제 인식과 여성성과의 연관성 (3) 여신숭배의 목적 등 세 주제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결론에서 과연 강력한 여신신앙과 여성의 실질적인 지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하는 문제를 논의한다. 현지조사연구는 깔리의 신앙중심지인 동인도의 꼴까따, 북인도의 두르가신앙 중심지 중 한 곳인 바라나시 그리고 바라나시 근교의 중요한 여신신앙 중심지인 빈다챨 등에서 이루어졌다. 이들 지역의 여러 계층과 연령의 남여 모두 신화에서 묘사되고 있는 독립적 여신의 강력함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인식은 독립적 여신이 인간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해주고 온갖 위험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해 주는 존재라는 믿음에서 비롯되는 것일 뿐 그것이 곧바로 일반여성의 강력함이나 독립성에 대한 인식으로 연결되고 있지는 않았다. 즉 독립적 여신을 남신과 특별히 구분해 인식하고 있지는 않았고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남여의 구분이 아니라 인간을 보호하고 인간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독립적 여신의 능력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런 현지조사 결과를 근거로 이 논문은 적어도 현 시점에서 인도의 독립적 여신신앙과 그것이 제공하는 강력한 여성정체성이 인도여성의 사회적 삶과 갖는 관계는 매우 약하며 인도여성의 독립적 의식을 고취하고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해왔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결론 짓는다. 그리고 그 주요 이유로 인도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롤모델로 기능해 온 것은 남성에 순종적이고 의존적인 여성정체성이고 독립적 여성정체성은 신앙의 차원에서만 작용해 온 점을 들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인도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최근 서구의 일부 페미니스트들이 강력한 여신상징이나 신화를 여성문제와 연결지어 해석하고 활용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 접근방법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논의한다. 즉 서구의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니즘운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구문화에는 없는 강력한 여신상징이나 신화를 다른 문화의 신화에서 빌려오거나 아니면 새롭게 창조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상당한 한계를 갖는다고 지적한다. 또 이 문제와 관련하여 여신신화나 신앙에 대한 연구가 신화텍스트및 2차 자료 분석에만 국한될 경우 그것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간과함으로써 실제와는 상당히 다른 왜곡된 이해와 해석을 낳을 수 있는 위험을 지적하고 신화의 살아 있는 역동성과 실제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면 텍스트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참여관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identity of woman which powerful goddess myth and faith offer and the actual status of women focusing on the independent goddess, Durga and Kali worship in India by mainly using field work. This study`s concrete concerns are how the powerful and independent image of woman in goddess myths is reflected on the real goddess worship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is worship has with the status of women. These concerns are dealt by analyzing (1) the real worship of Durga and Kali, (2)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perception of powerfulness of independent goddess and the feminity. (3) the purposes of goddess worship. Basing on this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powerful goddess worship and the status of Indian women is discussed in conclusion. Fieldwork areas are a center of Kali worship, Kolkata in west Bengal, one of Durga worship centers in north India, Varanasi and the other goddess worship center, Vindyachal near Varanasi. In these areas, we could find all female and male interviewers perceive well the powerfulness of Durga and Kali in myths and faith. But this perception was not connected to the perception of powerfulness and independence of women. It only came from the belief that these goddesses resolve human problems and protect human being from all kinds of dangerous situations. They did not perceive god and goddess separately. The important point for them is not the strongness of women but the power of goddess to protect man and solve man`s problems. Based on this result of fieldwork,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independent goddess worship and it`s powerful female identity has nothing with the social life of Indian women and it does not to enhance independent consciousness and to raise social status of Indian women. This article presents that the main reason of this is the perception of independent goddess and it`s powerful female identity only operates within the level of faith and it is the dependent female identity(Pativrata) to have played as a social role model for Indian women. And this article also raises some doubts and discusses about the western feminist`s approach to use powerful goddess images and myths like Kali to try to establish a strong female identity and to raise women`s status.

      • KCI등재

        A Father-Son Relationship: Mr. Biswas’s Search for Identity in V.S. Naipaul’s A House for Mr Biswas

        이승복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2 현대영미소설 Vol.19 No.2

        V.S. Naipaul’s A House for Mr Biswas describes an Trinidadian-Indian man’s lifelong struggle to secure and find a home for his family. From birth, he is declared to have a spell-bound fate. The sudden and unexpected death of his father leaves the remaining members houseless and unattended, and Mr. Biswas has suffered from hardships in various places. Without proper father to protect and guide him, Mr. Biswas has to determine his life course with many difficulties. The father figures he has encountered can be said to represent traditional Indian life style, or Hindu tradition, but all of them prove to be oppressive and sometimes exploitative. It is these unworthy aspects of father figures that cause Mr. Biswas to escape from fathers and Hinduism and find his own home. His struggle for freedom has much to do with establishing his own identity out of one of the collective Tulsi sons-in-law. The Tulsi house is ambiguous like his dead father in that it provides shelter for the in-laws, yet it frequently comes to dominate those in-laws under matriarchal family structure. Economic ability is one of essential factors that determines one’s status in the Tulsidom, and this fact suggests the changing atmosphere of the world the Tulsis belong to. Mr. Biswas’s successful career as a journalist is possible thanks to his English writing, and for the first time in life Mr. Biswas is able to enjoy a secure family life. The English language, representing the British colonial power, gradually replaces Hindi language and Indian tradition, to introduce to the Tulsis a new modern world in which each individual has to compete against one another for better future. With his career secure and family comfortably settled down, Mr. Biswas is now able to look to Hindu tradition from which he has endeavored to escape. His notion of Hindu tradition is different from father figures’ in that he has done all he could do to support his family and children with parental affection and care. His seeming reconciliation with Hindu tradition is, however, illusory, since he fails to reconcile with his own son. Anand’s decision to stay away from his father implies the end of one era to which Mr. Biswas and his contemporaries belong. That Mr. Biswas is unable to make peace with his own son and fall back into the tradition implies the impossibility of complete escape from the past. The modern society may offer certain advantages, but it does not seem to provide him with sure means of belonging, which is essential for his identity as Mohun Bisw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