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흑백필름의 표준현상에 관한 연구 : Contrast Index값을 중심으로

        최영호 경원전문대학 1995 論文集 Vol.17 No.1

        사진가는 촬영했던 당시의 피사체 모습 그대로를 인화지나 필름에 기록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조명상태, 노출, 현상방법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조명상태는 눈으로 확인하면서 촬영 가능하며 노출은 브라켓팅이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현상에는 상당한 주의를 가져야 된다. 현상이 실패된 필름을 조절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다시 촬영을 하더라도 처음과 똑 같은 상황은 설정되기 쉽지 않으며 똑 같이 촬영한다는 것은 사진의 특성상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학생들이 얼마나 정확히 펄름현상을 처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미리 선 노광된 Control Strip과 Step Tablet를 밀착한 필름을 나누어 주고서 항상 해왔던 방법으로 Small tank서에 현상을 하도록 했다. 그것의 결과를 농도측정기로 측정하여 Contrast Idex값을 구하고 그것으로 현상상태를 점검하였다. 대부분의 필름들이 현상과다에 의해서 CI값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온도계의 정밀도, 현상도중의 온도변화, 교반방법, 현상액의 회석방법, 현상시간 둥에 의한 이유이다. 빛에 노광된 할로겐화 은이 혹화되는 현상의 진행과정은 암실에서 이루어 지므로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 하다. 그리하여 과학적인 데이터 아래에서 표준 현상법을 익혀 작업하지 않으면 항상 일관적인 농도의 필름을 구하지 못할 것이다. 간혹 촬영당시의 상황에 의하여 현상 온도와 현상시간을 재조정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지만 이것 역시 표준 현상법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이다.

      • KCI등재

        Proposal for Digitization of 35 mm Black and White Film -Scanning film with digital camera-

        주종우 ( Jongwoo Joo ) 현대사진영상학회 2017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0 No.3

        사진 시장은 디지털화 되었지만 아날로그 필름의 정보가 존재하고 있으며 여전히 제작되고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디지털화 방법에 대한 연구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법은 스캐너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흑백 필름은 그 입자의 특성상 고해상도 레이저 스캐너로 스캔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평판스캐너나 가상 드럼 스캐너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데이터를 얻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재의 디지털카메라 기술은 35미리 흑백 아날로그 필름의 해상도보다 높으며 거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기존 방법인 스캐너로 은염 필름을 디지털화는 작업을 벗어나 디지털 카메라로 은염 필름을 촬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기존 스캐닝 작업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해상도를 향상 시킬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흑백영화 미학

        문정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2

        Even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film industry focuses on visual spectacles and digital technology redefines movies, black and white films continue their formal tradition by revealing their existence in a meaningful way. This study also begins with an interest in the black-and-white film format that conflicts with the trend of the times but still proves its existence. Above all, this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the special forms of black-and-white films that adjust the audience's perception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for narrative delivery. To this end, the perceptual features, aesthetic system, and representation strategy of black-and-white films are sequentially analyzed, and the formal order and logic that black-and-white films lead to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are approached in detail. In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gain insight into the potential of black-and-white films in the digital age, and to examine their existence and meaning. This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because it proves that the black-and-white film format is an aesthetic choice to expand the visual expressiveness of video media and to materialize a special narrativ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reveals the differentiated representation strategy and cinematic practice logic of black-and-white images, will not be limited to the theoretical category, but will be expected to be used as empirical and useful data for filmmakers leading creative forms.

      • KCI등재

        차광재배에 적합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품종 선발

        성기철,김동환,김천환,문두경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2 No.2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white asparagus varieties suitable for shading culture in greenhouse. Eight white and one green varieties were tested. Seeds were sown in 72-cell trays in a glasshouse on 24 Dec. 2008 and the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 a P.E house on 22 May 2009. Planting distances were 30 cm apart in araw and 125 cm between the raws. For white asparagus production, small tunnel (210 cm × 160 cm) was establishedinside the P.E house, and covered with black and white P.E film (0.1 mm) on 5 March 2010. Days to sprouting took 5days in ‘Ravel’ variety and took 16 to 18 days in ‘Backlim’, ‘Horlim’, ‘Herkolim’ varieties. The number of spearwas highest in ‘Ravel’ with 6 and lowest in ‘Backlim’ with 3.7. The spear weight was heaviest in ‘Herkolim’ with25.6 g and lightest in ‘Ravel’ with 15.6 g. The highest total yield was in ‘Herkolim’ with 296 kg/10a, followed by‘Super welcome’ with 275 kg/10a and lowest in ‘Rapsody’ with 176 kg/10a. Marketable yields in ‘Super welcome’and ‘Herkolim’ were 241 kg/10a and 239 kg/10a, respectively, and the yield was lowest in ‘Rapsody’ with 139 kg/10a. The L grade (over 20 g of spear weight) was highest in ‘Herkolim’. Accordingly, ‘Herkolim’ was the most suitablewhite asparagus variety among the tested varieties for shading cultivation in greenhouse. 본 시험은 차광재배 방법에 의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생산시 적 품종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품종은화이트 품종 ‘Backlim’ 등 8품종과 그린품종 ‘Super welcome’, 총 9품종 이용하였다. 2008년 12월 24일 72공 플러그트레이에 파종하여 유리온실에서 관리하였으며,2009년 5월 24일 P.E하우스에 140 × 30cm의 재식거리로정식하였다.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생산을 위하여 2010년3월 5일 P.E하우스 내에 폭 210cm, 높이 160cm의 소형터널을 만들고 흑백필름을 이용하여 차광을 하였다. 맹아소요일은 ‘Ravel’ 품종에서 5일로 가장 빨랐고 ‘Backlim’,‘Horlim’, ‘Herkolim’ 품종에서 16~18일로 늦었다. 평균수확 경수는 ‘Ravel’ 품종에서 6.0개로 가장 많았으며‘Backlim’ 품종에서 3.7개로 가장 적었다. 평균 순중은‘Herkolim’ 품종에서 25.6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Ravel’품종에서 15.6g으로 가장 가벼웠다. 10a당 총 수량은‘Herkolim’ 품종에서 296k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Super welcome’ 품종으로 275kg이었고 ‘Rapsody’ 품종에서 176kg으로 가장 적었다. 상품수량은 ‘Super welcome’품종과 ‘Herkolim’ 품종에서 각각 241kg, 239kg으로 많았고, ‘Rapsody’ 품종에서 139kg으로 가장 적었다. 또한L급 이상의 비율도 ‘Herkolim’ 품종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 상품수량이 많았던 ‘Herkolim’ 품종이 차광재배에 의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를 생산할 경우 가장유망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후보

        영화 <동주>와 윤동주 아우라

        김응교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6 사고와표현 Vol.9 No.2

        이 글은 영화 <동주>가 ‘윤동주’라는 실제 인물과 그 시대를 어떻게 살려냈는지분석한 논문이다. ‘윤동주 아우라’를 되살리기 위해, 이 영화는 다섯 가지 인물을등장시켰다. 형사, 송몽규, 윤동주, 여진, 부차적 인물들은 각기 영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또한 14편의 시를 적절히 선택 인용하여 시퀀스를 의미있게 하는 고정점으로사용하고 있다. 기법으로는 추리기법, 페이드 백, 흑백영상, 시집 구성 등의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영화를 보고 나서, 몇 가지 성찰을 할 수 있겠다. 윤동주 시에 대해 영화의 해석과 실제 해석의 차이와 다양성을 나눌 수 있겠다. 영화 <동주>에 나타난 여러인물에 대해 토론해 볼 수 있겠다. 영화 <동주>를 통해 윤동주 판결문을 함께 읽고 그 의미를 생각해 보는 것이 좋겠다. 감옥에서 죽어가는 마지막 장면을 함께보며 윤동주의 죽음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영화<동주>에 쓰인 추리기법, 플래시백과 흑백영화 등 여러 기법을 논할 수 있겠다. 이를 바탕으로 영화를 통한 성찰적 글쓰기를 할 수 있겠다. This is to analyze how the film <Dongju>(directed by Joonik Lee, 2015) recreated the life of Yoon-Dongju, the character who the film is based upon and the period he lived. The director chose four characters and a group of subsidiary characters to recreate the world of Yoon-Dongju and aura of his character. The four characters are Yoon-Dongju himself and Japanese detective who constantly checks on Dongju, Song-Monggyu who is Dongju’s cousin and a mentor of his, and Yeojin the female lead who is created by the director loosely based on the character Sooni from Dongju’s poems. And the group of subsidiary characters include prominent characters of the era such as Yoon-Chiho, Chung-Jiyong, Moon-Ikhwan. This film uses Dongju’s 14 poems as pivot points to turn the meaning of each sequence and thread them together. This film was shot entirely in black and white and employed various cinematic techniques to enhance the viewership. If you are not a total stranger to Yoon-Dongju and his poems, you might want to bring up a few points to talk about after watching this film. First, does this film take un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n Dongju’s poems and if it does, how does it do and why? Second, what about those main and subsidiary characters? Do they work properly? Third, let’s pay attention to the ruling from his trial. Have we ever read the ruling before? This is a really good chance to read it again and think about it, thoroughly. Fourth, as we all know and portrayed in this film, Dongju died in the Japanese prison. This is a good chance to discuss about it.

      • KCI등재후보

        흑백 화면 속 시간들의 겹침 -<자산어보>의 사례-

        조응철(Eung-Chul Cho)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2

        매해 다수의 흑백 영화가 만들어지고 있다. 오늘날 흑백 영화 제작은 시간성의 관점에서 정당화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흑백 화면은 가까이 있는 시간(지금)을 멀리 떨어진 시간(과거/미래/초시간성)과 효과적으로 대비시켜준다. 필자는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이 하나의 공식처럼 되풀이되고 있는탓에, 흑백 영화라는 독특한 표현 양식에 내재된 또 다른 가능성이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본고는 흑백 영화가 시간의 멀고 가까움 뿐만 아니라, 시간의 길고 짧음(다양한 시간 단위)을 표현하는일에도 이점을 갖는 매체라고 주장한다. 특히, 흑백 화면은 특정한 시간 척도에 대해 특별히 뛰어난표현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유형의 시간 척도를 웬만큼 시각화하는데 적합성을 보인다는 것이본고의 핵심이다. 이러한 가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페르낭 브로델의 시간론을 원용하여 잡다한 시간 척도들을 세 가지로 도식화 했다. 본고가 제시하는 이론적 가설이 영화적 실천에 대해 가질수 있는 타당성을 <자산어보>(이준익, 2021)에서 일부 확인했다. 상이한 유형의 시간성을 한 편의영화 안에서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역량이 흑백 화면에 잠재되어 있다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An important number of black-and-white films are made each year. Filmmakers tend to justify such practice based on the notion of temporality. Black-and-white images are indeed effective mediums in terms of visualizing temporal distance (past, future, timelessness etc.), as opposed to temporal nearness (now). This paper is an attempt to move away from such a reductionist view, by focussing on another type of temporality. I will argue that black-and-white films are powerful visualizers of various time scales, or temporalité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rong expressivity of black-and-white images is not restricted to its relationship with one particular time scale, but concerns all time scales. To make this point, I will rely on Braudelian time concepts, i.e. longue durée, conjoncture, événement. The validity of this hypothesis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The Book of Fish>(Lee Joon Ik, 2021). I will conclude that black-and-white films have the potential to visualize multiple temporalities within one single film, in a non-reductionist manner, rather than a reductionist one.

      • KCI등재후보

        흑백 화면 속 시간들의 겹침

        조응철(Eung-Chul Cho)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2

        매해 다수의 흑백 영화가 만들어지고 있다. 오늘날 흑백 영화 제작은 시간성의 관점에서 정당화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흑백 화면은 가까이 있는 시간(지금)을 멀리 떨어진 시간(과거/미래/초시간성)과 효과적으로 대비시켜준다. 필자는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이 하나의 공식처럼 되풀이되고 있는 탓에, 흑백 영화라는 독특한 표현 양식에 내재된 또 다른 가능성이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본고는 흑백 영화가 시간의 멀고 가까움 뿐만 아니라, 시간의 길고 짧음(다양한 시간 단위)을 표현하는 일에도 이점을 갖는 매체라고 주장한다. 특히, 흑백 화면은 특정한 시간 척도에 대해 특별히 뛰어난 표현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유형의 시간 척도를 웬만큼 시각화하는데 적합성을 보인다는 것이 본고의 핵심이다. 이러한 가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페르낭 브로델의 시간론을 원용하여 잡다한 시간 척도들을 세 가지로 도식화 했다. 본고가 제시하는 이론적 가설이 영화적 실천에 대해 가질수 있는 타당성을 <자산어보>(이준익, 2021)에서 일부 확인했다. 상이한 유형의 시간성을 한 편의 영화 안에서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역량이 흑백 화면에 잠재되어 있다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An important number of black-and-white films are made each year. Filmmakers tend to justify such practice based on the notion of temporality. Black-and-white images are indeed effective mediums in terms of visualizing temporal distance (past, future, timelessness etc.), as opposed to temporal nearness (now). This paper is an attempt to move away from such a reductionist view, by focussing on another type of temporality. I will argue that black-and-white films are powerful visualizers of various time scales, or temporalité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rong expressivity of black-and-white images is not restricted to its relationship with one particular time scale, but concerns all time scales. To make this point, I will rely on Braudelian time concepts, i.e. longue durée, conjoncture, événement. The validity of this hypothesis will be examined by analyzing <The Book of Fish>(Lee Joon Ik, 2021). I will conclude that black-and-white films have the potential to visualize multiple temporalities within one single film, in a non-reductionist manner, rather than a reductionist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