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다공증이 동반된 흉요추부 후만증 환자에서 시상면상 척추-골반 정렬이 임상 증상에 미치는 영향

        송대건,김환정,이재원,장선호,박건영,김용호,마상범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ssess gln-llgnmnnlnl mm-the effect of saittaspiopevic aignmetothe ciicasyptosof thoracolumbar kyphosis (TLK; T10-L2 Cobb’s angle >20°) inosteoporotic patien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linicalsymptoms and radiologicalfeatures of TLK caused by de­generative changes. There is also controversy over whether clinicalsymptoms willdeteriorate inpatients with TLK or which treatment should be chosenaccordingto the degree of TLK. Materials and Methods: FromMay 2005 to May 2016, we reviewed 7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TLK (T10-L2 Cobb’s angle >20°) and osteoporosis. Patients were excluded fromthe study if they had neurologicalsymptoms, underlyingspinaldisorders, or unstable vertebralfractures. Fifty patients with TLK due to anosteoporotic vertebralcompressionfracture (group F) and 25 patients with senile TLK (group S) were assessed by clinicalsymptoms and radiologicalparameters. Thoracolumbar kyphosis angle and sagittalverticalaxis (SVA) were also analyzed. Clinicalsymptoms were assessed usinga visualanalogue scale (VAS)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clinicalsymptoms (VAS, ODI) and radiologicalparameters betweengroups F and S, or accordingto the degree of -33-44lnl mmgnnlmn ngl ml-TLK (20°-30°, 0°-40°, >0°). Ciicasyptoswere significatyore severe ipatiets with saittaibaance (SVA >5 cm) thaninthose with sagittalbalance. Conclusions: Sagittalimbalance is a more important factor affectingclinicalsymptoms thanthe cause or the degree of TLK. Therefore, sagittalimbalance should be considered inthe management of TLK inosteoporotic patients. Key Words: Thoracolumbar kyphosis, Osteoporosis, Sagittalspino-pelvic alignment, Sagittalimbalanc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시상면상 척추-골반 정렬이 골다공증이 동반된 흉요추부 후만증(T10-L2 Cobb’s angle>20°) 환자의 임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아직까지 외상 또는 선행 척추질환 병력 없이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흉요추부 후만증의 임상 증상 및 방사선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흉요추부 후만증 환자에서 후만 변형의 각도에 따라 임상 증상이 영향을 받는지, 혹은 어떤 치료방법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6년 5월까지 본원에서 흉요추부 후만증(T10-L2 Cobb’s angle>20°)으로 진단되어 보존적 치료를 받았던 골다공증이 동반된 65세 이상의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경학적 증상이 있거나 불안정 골절 또는 선행 척추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 골절로 인한 흉요추부 후만증 환자 50명 및 노인성 흉요추부 후만증 환자 25명에 대해서 임상 증상 및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를 후만 각도 정도, sagittal balance 여부에 따라서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Visual analogue score (VAS),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결과: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 이후 발생한 흉요추부 후만증 환자군과 노인성 흉요추부 후만증 환자군간 VAS, ODI 및 방사선학적 지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환자를 흉요추부 후만각(20~30°, 30~40°, >40°)에 따라 분류한 후 임상 증상 및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하였을 때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전체 환자를 시상면 균형(SVA <5 cm, >5 cm) 여부로 분류하였을 때 시상면 불균형이 발생한 환자들의 VAS, ODI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또한 처음 진단 시 시상면 불균형이 존재한 환자에서 최종 추시에서 VAS, OD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되었다. 결론: 흉요추부 후만 변형의 원인 및 후만각의 정도보다 시상면 균형의 유무가 환자의 통증 및 장애 정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골다공증이 동반된 흉요추부 후만 변형에서 시상면 불균형을 반드시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약칭 제목: 시상면상 척추-골반 정렬이 골다공증이 동반된 흉요추부 후만증에 미치는 영향

      • KCI등재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 치료에서 내고정 기기 제거의 유용성 - 다분절 고정·단분절 유합 -

        박희전,심영준,김완기,조태연,권성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3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implant removal based on fusion by radiological change analyses and non-fused segment motion angle after open reduction, multi-segment fixation, and single segment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have been reports that discuss possible fracture of fixator, loss of reduction, or failure of fixation in certain cases of single segment fixation consistent with thoracolumbar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83 patients who had undergone treatment by fixation of the top 2 segments and the bottom segment. The posterolateral fusions were performed for the top segment for thoracolumbar fractures. The mean follow-up was 21.3months. Wedge and local kyphotic angles, anterior, and posterior heights of the vertebral body were measured on plain radiograph. The range of motion of each segment was recorded by flexion-extension lateral radiographs at 6 month after the removal of implants. Results: Radiologic assessments performed on 83 patients demonstrated preoperative mean wedge angle, kyphotic angle, mean anterior body height of 20.1°, 18.5° and 62.0%, respectively, and, postoperatively, these were corrected by 9.0°, 9.3° and 24.6%, respectively. In the 44 cases that had the implants removed, the correction losses were 0.4°(P=0.258) and 3.7°(P=0.000), 0.5 %( P=0.756), and at the last follow-up, compared to measurements prior to the removal.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wedge angle or anterior body height. The range of motion measured on the non-fused segment was 3.9°on average at 6-months after the hardware removal. Conclusions: The multi-segments fixation and single-segment fusion for the thoracolumbar fracture can preserve correction and the motion of non-fusion segment. Although the implant removal after union can sustain motion, further studies regarding degenerative change of the non-fused segment are necessary. Key Words: Thoracolumbar spine, Fracture, Pedicular screw, Implant Removal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흉요추부의 불안정성 골절에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다분절 고정과 단분절 유합 후 방사선적 변화와 내고정기기 제거 후 비유합분절의 운동각를 분석하여 단분절 유합과 금속 제거의 유용성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흉요추부 골절에서 일부 단분절 고정으로 고정기기의 파단, 정복소실 및 고정 실패의 가능성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성 흉요추부 골절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후 골절 추체 상위 2분절과 하위 1분절을 고정하였으며, 골절 추체 상위1분절만 후외방 유합을 시행한 8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21.3개월이었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흉요추부 측면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골절 추체의 설상각, 후만각 및 전후방 추체 높이를 측정하였으며, 내고정기기 제거 6개월 후 굴곡-신전 방사선 사진에서 각분절의 운동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총 83예 수술 전 골절 추체의 설상각은 평균 20.1°, 국소 후만각 18.5°, 전방 추체 높이 62.0% 이었으며, 술 후 각각 9.0°, 9.3°, 24.6% 교정을 보였다. 술 후 금속 기기 제거 전까지 1.1°, 1.8°, 1.6%의 소실을 보였으며, 내고정 기기 제거를 시행한 44예에서는 기기 제거 후 최종 추시까지 각각 0.4°(p=0.258), 3.7°(p=0.000) , 0.5%(p=0.756)의 소실을 보여, 설상각, 전방추체 높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소실은 나타나지 않았다. 고정기기 제거 6개월 후 측정한 비유합 분절에서 운동각은 평균 3.9°이었다. 결론: 불안정 흉요추 골절의 치료에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상위 2분절, 하위 1분절의 고정과 단분절 유합은 골유합시까지 골절정복 및 교정이 잘유지 되었으며, 골유합 후 고정 기기 제거를 통하여 비유합 분절의 운동을 보존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비유합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대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색인 단어: 흉요추부, 골절, 척추경 나사못, 금속기기 제거약칭 제목: 흉요추부 골절에서 금속기기 제거의 유용성

      • KCI등재

        흉요추부 손상의 TLICS 분류법의 유효성

        김성규,이태민,서형연,이원균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thoracolumbar injury classification system (TLICS) when making treatment decisions in a group of thoracolumbar fracture patien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TLICS in consecutively treated patients, although many have evaluated the application of the TLICS to thoracolumbar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among the 230 patients who were treated from 2003 to 2015 in our hospital for thoracolumbar injuries. Evaluations were made of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 results, and each case was analysed and scored according to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the Magerl/AO classification, and the TLICS classification by 2 spinal surgeons. Results: Of the 230 patients, 116 (50.4%)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and 114 (49.6%) received surgical treatment. Of the 116 patients who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112 (96.6%) were treated according to the TLICS guidelines. Conservative treatment failed for 2 of the 4 patients (1.7%) whose treatment did not correspond with TLICS, and they required surgical treatment. Of the 114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in 87 (76.3%) the treatment corresponded to the TLICS guidelines. Conclusions: The TLICS classification showed high validity for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thoracolumbar injurie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흉요추부 손상 환자들의 치료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TLICS 분류법의 유효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흉요추부 손상에 대하여 TLICS 분류법 적용에 대한 연구들은 있으나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유효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본원에서 흉요추부 손상으로 치료를 받았던 총 2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임상 결과및 영상의학적 자료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ASIA 척도, Magerl/AO 분류법, TLICS 분류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230명의 환자들 중 116명(50.4%)의 환자들이 보존적 치료를 받았으며 114명(49.6%)의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총116명의 환자들 중에서 112명(96.6%)의 환자에서 TLICS에서 추천하는 치료법과 일치함을 보이고 있었다. 2명(1.7%)의 환자들은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고 수술적 치료를 요하였다. 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총 114명의 환자들 중에서 87명(76.3%)의 환자에서 TLICS에서 추천하는 치료법과 일치함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TLICS 분류법은 흉요추 이행부의 손상에 대한 보존적 치료에 있어서 높은 유효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유효성을 보이고 있다. 색인 단어: 흉요추부, 골절, TLICS,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약칭 제목: TLICS 분류법의 유효성 연구

      • KCI등재

        흉요추부 척추 수술 후 재수술의 원인과 시기

        이재철(Jae Chul Lee),양성석(Seong-Seok Yang),구형모(Hyeong-Mo Ku),신병준(Byung-Joo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4

        목적: 흉요추부 수술받은 환자에서 재수술이 필요했던 경우에, 원인 및 시기별 양상, 과거력 및 재수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요추부 질환으로 본원에서 1988-2011년 동안 척추 수술을 받은 2,198명 중 재수술을 받은 환자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수술의 원인과 수술 방법, 재수술 시기에 따른 원인과 재수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흉요추부 수술 환자들의 재수술률은 8.7%였다. 6주 이내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혈종이나 신경증상에 의한 진단적 수술 18명(26.8%), 추간판 탈출증이 18명(26.8%), 수술 부위 감염 17명(25.4%)으로 많았고, 6주 이상 6개월 이내는 추간판 탈출증 10명(47.6%), 수술 부위 감염 7명(33.3%)으로 많았고, 6개월 이후는 인접 분절 질환 38명(35.7%),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 26명(23.2%), 기구 관련 문제 17명(16.0%)으로 많았다. 결론: 흉요추부 재수술 원인으로, 합병증(2.8%)은 감염, 혈종 및 신경학적 손상, 불충분한 감압술 등이 있었으며, 자연사(natural course) (5.9%)는 인접 분절 질환,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 기구 관련 문제, 감압술 후 불안정성, 종양 재발, 척추 변형의 진행 등이 있었다. Purpose: We analyzed the patients who needed reoperation after undergoing a thoracolumbar spine operation and investigated the causes, pattern of timing, medical history and clinical outcome after re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2,198 patients who underwent spine surgery for thoracolumbar spine disease from 1988 to 2011, we targeted 193 patients who underwent reoperation. We studied the causes, operative method of initial surgery, time-variant causes and outcome of reoperation.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thoracolumbar spine reoperation was 193 out of 2,198 and the reoperation rate was 8.7%. We researched time-variant causes of reoperation. In six weeks after the initial operation, exploration for hematoma and neurologic deficit was 18 (26.8%), recurred heniated intervertebral disc (HIVD) was 18 (26.8%), and surgical site infection was 17 (25.4%). From six weeks to six months, recurred HIVD was 10 (47.6%), surgical site infection was 7 (33.3%), and after six months, adjacent segmental disease (ASD) was 38 (35.7%), recurred HIVD was 26 (23.2%), and implant related problem was 17 (16.0%). Conclusion: Causes of thoracolumbar spine reoperation included complications (2.8%); infection, hematoma, neurologic deficit, incomplete decompression, and natural courses (5.9%); ASD, recurred HIVD, implant related problem, instability after decompression, tumor recur, progression of deformity.

      • KCI등재후보

        흉요추부 불안정 방출성 골절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이규열,손성근,김현준,이명진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1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radiological analysis Objective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s of unstable burst fractures on the thoracolumbar region, radiologic studies, signal change area on MRA and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MRI is the first imaging modality that visualizes the extent of spinal cord derangement directly and it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an accurate diagnosis and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8 to September 2006, 39 patients who were eligible for a follow up of more than 1 year with an unstable burst fracture on the thoracolumbar region were studied. With these cases, The size of the bone fragment at the initial injury, signal change area on MRI, time to surgery, reduction rate of the bone fragments, recovery of the posterior curvature of the vertebrae and height of the vertebral body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fracture size rate, average time to surgery, reduction rate of bone fragment and the recovery rate of the height of the vertebral body was 46.1±12.8%, 17±4.5 hours, 35.2±10.1%, and 57.9±17.4%, respectively. The data shows that the time elapsed until surgery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prognosis (P=0.317). Injuries with broad signal changes on MRI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rate of bone fragments, recovery of posterior curvature of the vertebrae and the height of the vertebral body. Conclusions: In unstable burst fractures of the thoracolumbar region, although a comparison of the prognostic factors on simple X-ray film had no significance, it still has significant meaning when correlated with the signals on MRI. 연구계획: 흉요추부 불안정 방출성 골절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흉요추부 불안정 방출성 골절시 그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은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 한 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편이다. 흉요추부 불안정 방출성 골절의 손상시의 분류, 방사선 필름 및 MRI상 신호강도 면적의 변화, 그리고 예후 등을 분석하여 각각의 요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6년 9월까지 흉요추부 불안정 방출성 골절로 수술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39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예에서 후방 감압술 및 기기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17예에서 신경학 적인 이상이 관찰되었다(43.6%). 최초 손상시 방출된 골편의 크기, MRI상 신호강도 면적의 변화, 수술까지의 경과시 간, 골편의 정복 정도, 척추 후만각의 회복, 추체 높이 등의 회복 정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방출된 골편의 크기는 평균 46.1±12.8%, 수술까지의 경과시간은 17±4.5시간, 골편의 정복 정도는 35.2± 10.1%, 척추 후만각의 회복은 5.7±4.3도, 추체 높이의 회복 정도는 57.9±17.4%였으며, 수술까지의 경과 시간은 예 후와 통계학상 유의한 의미가 없었다(P=0.317). MRI상 신호강도 변화 면적이 넓은 경우 손상에서 골편의 정복 정도, 척추 후만각의 회복, 추체 높이의 회복정도와 예후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신호강도 변화 면적이 좁은 경우에 있 어서 상기 항목들은 예후와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P= 0.042). 결론: 흉요추부의 불안정 방출성 골절에서 단순 방사선상의 비교는 의미가 없거나 미약하다고 할 수 있으며 MRI상 의 신호강도 변화 면적과 연관시켰을 때 유의한 의미가 있었다.

      • KCI등재

        흉요추부 불안정성 방출성 골절, 굴곡-신연 손상에서 관혈적후방 고정 및 유합술과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비교

        한진영,권기연 대한골절학회 2020 대한골절학회지 Vol.33 No.1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two groups of patients with percutaneous fixation or conventional fixation after hardware removal.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analyzed 68 patients (43 open fixation and 43 percutaneous screw fixation [PSF] 25) who had undergone fixation for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The radiologic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lateral radi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the fixation and at the time of hardware removal. The clinical results included the time of operation, blood loss, time to ambulation,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The percutaneous pedicle screw fixation (PPSF)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did the conventional posterior fixation (CPF) group (p<0.05) in regard to the perioperative data such as operation time, blood loss, and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dge angle, local kyphotic angle, and the ΔKyphotic angle on the postoperative plane radiographs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edge angle and local kyphotic angle after implant removal (p>0.05) between the two groups as well.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gmental montion angle (p<0.001), and the PPSF group showed a larger segmental motion angle than did the CPF group (CPF 1.7°±1.2° vs PPSF 5.9°±3.2°, respectively). Conclusion: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the PPSF technique could achieve better clinical results and an improved segmental motion angle after implant removal within a yea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ixation method. 목적: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에서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과 고식적 방법으로 수술한 두 군을 영상의학적, 임상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흉요추부의 불안정성 골절로 관혈적 후방 고정술 및 유합술(43명),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25명) 을 시행한 환자에서 고정술 전후, 기기 제거술 전후의 흉요추부 측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영상의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결과로는 수술시간, 출혈량, 자가 보행까지 시간, 입원기간, 수술 후 VAS를 비교하였다. 결과: 고정술 당시의 수술시간, 출혈량, 입원기간, 자가 보행시기 등의 결과는 경피적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PPSF)군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5). 단순 방사선 사진상에서설상각의 변화, 전방 추체 높이의 변화는 고식적인 관혈적 후방 고정술 및 유합술(CPF)군이 더 좋았다. 기기 제거술 후 3 개월에 시행한 KODI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제거술 후국소 후만의 변화 및 분절 운동각(CPF 1.7°±1.2° vs PPSF 5.9°±3.2°)은 PPSF군이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우리는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에서 경피적 고정술식이 고전적 방법에 비해 임상적으로 좋으며, 1년 이내 기기 제거술 시행 시 고정분절의 운동성이 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 수술 후 정복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소재완,홍창화,방청원,이재철,신병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analysis Objectives: Loss of fracture reduction after posterior surgery to treat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can cause several complications. We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ontroversy exists about the factors causing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in thoracolumbar fractures during the follow-up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records of 59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surgery for thoracolumbar unstable fractures and had completed a minimum follow-up of 1 year.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was defined as 30% or more loss of vertebral body height or 15° or more progression of the kyphotic angle at the 1-year follow-up compared to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patients’ gender, age, level of fracture, injury of the posterior column, initial loss of fractured vertebral body height, loadsharing score, Thoraco-Lumbar Injury Classification and Severity score, number of fixed segments, type of pedicle screws, degree of postoperative reduction, degree of postoperative corrected kyphotic angle, changes in the insertion angle of the most proximal and the most distal pedicle screws, decreases in the upper and lower disc height of the fractured vertebral body, and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were analyzed. Results: Thirteen patients (22.0%) had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p=0.034), initial loss of fractured vertebral body height (p=0.042), and changes in the insertion angles of the most distal pedicle screws (p=0.02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loss of reduction. However, the other fac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Conclusions: In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surgery for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the frequency of loss of reduction was high in patients more than 45 years old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ith a 50% or more loss of the initial fractured vertebral body height, and with changes of 5° or more in the insertion angles of the most distal pedicle screw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의 후방 수술 후 추시 과정에서 정복이 소실되면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초래되는 경우가 있어, 정복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흉-요추부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후 추시 과정에서 골절의 정복이 소실되는 요인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로 후방 수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된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정복 소실의 기준은 수술 직후의 골절 척추체와 비교하여 1년 추시시의 골절 척추체가 30% 이상 척추체 높이의 소실이 있거나, 골절 부위에 15도 이상 후만각이 진행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의 성별, 연령, 골절의 위치, 후방 주 손상 여부, 최초 골절시 추체 높이 소실 정도, load-sharing 분류, TLICS 점수, 고정 분절 수, 척추경 나사못의 종류, 수술 후 골절 정복 정도, 수술 후 후만각 교정 정도, 최근위부 및 최원위부 척추경 나사못 삽입 각도 변화, 골절 추체 상, 하 추간판 높이 감소등의 요인들과 수술 후 정복 소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수술 후 정복 소실된 환자는 13명이었다. 수술 당시 나이(p=0.034), 최초 골절시 추체 높이 소실 정도(p=0.042), 최원위부 척추경 나사못 삽입 각도변화(p=0.021)는 수술 후 정복 소실에 통계적 연관성이 있었으나, 그 밖의 인자들은 수술 후 정복 소실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 흉-요추부 불안정성 골절로 후방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당시 나이가 45세 이상, 최초 골절시 추체의 높이가 50% 이상 소실되었을 경우, 그리고 최원위부 척추경 나사못의 삽입 각도가 5도 이상 변화될 때 골절 정복의 소실이 많이 나타났다. 약칭제목: 흉-요추부 골절 수술 후 정복 소실

      • KCI등재

        간과된 흉요추부 삼주 손상의 운명

        서승표(Seung-Pyo Suh),김철웅(Chul-Woong Kim),강창남(Chang-Nam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4

        흉요추부 골절에서 척추의 불안정성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방법의 선택과 추후 일어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며, 척추 불안정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서 후방 인대 복합체의 파열 여부가 척추 불안정성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인자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불안정성 흉요추부 골절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할 경우, 흉요추부의 후만 변형을 유발하여 만성 동통의 원인을 제공하고 기능적 손실 및 하지 마비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의 개념이 잘 정립되어 있으며, 후방 인대 복합체의 손상을 간과하여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결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저자들은 타 의료기관에서 불안정성 흉요추부 골절을 간과하여 수술적 치료 시기를 놓치고,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 지속되는 통증과 척추의 후만 변형이 발생하여 본원으로 전원된 2예를 경험하였기에 간과된 흉요추부 삼주 손상의 운명에 대하여 재차 상기하고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n a thoracolumbar fracture, accurate diagnosis of spinal stability is necessary in deciding on appropriate treatment options and for prevention of complications that can subsequently occur. In various reports for spinal stability, rupture of the posterior ligament complex is generally accept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of spinal stabiliby. In cases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s, the progressive kyphotic deformity can cause chronic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and neurologic deterioration in severe cases. Therefore, the concept of surgical treatment for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has been well established. We report on two cases of neglected three column injury in the thoracolumbar spine, which were treated conservatively due to misdiagnosis at other hospitals, and finally underwent delayed operation in our hospital because of chronic back pain and progressive kyphotic deformity.

      • KCI등재
      • KCI등재

        추락사고에 의해 발생한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에서 족부족관절 골절 동반 여부에 따른 차이

        신충식,최병열,정의섭,유창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2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bjectives: To know how the associated foot or ankle fracture influences the fracture pattern in the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caused by falls from heigh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were few studies on how the foot or ankle fracture influences the thoracolumbar fracture caused by falls from height.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46 subjects, who underwent surgery due to burst fracture of the thoracic or lumbar region,caused by fall accidents, from May 2004 to October 2008. Among them, we defined 19 cases that had associated foot or ankle fractures as group A, and the other 27 cases as group B.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radiological and clinical findings, and functional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falling heights were high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P<0.01). Thoracolumbar junction (T11-L2) was the most common location involved in both groups, but group A had more fractures on the lower lumbar region (L3-5), relatively (p=0.03). Kyphotic deformity was more severe in group B (p=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edge angle, amount of canal compromise,compression rate of anterior column between both groups (p=0.08, 0.46, 0.76). More segments were fused in group B (P=0.04). Neurologic deficit was more common in group B (p=0.03), but there were many complications related with foot or ankle fractures in group A (38%).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 clinical outcome between both groups (Pain scale p= 0.48, Work scale p=1.00). Conclusions: In patients who had burst fractures in the thoracic or lumbar region associated with foot or ankle fractures, there was a tendency to increase the incidence of lower lumbar fracture, relatively. The neurologic deficits were less common in this group of pati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outcome. 연구 계획: 후향적 임상 연구목적: 추락사고에 의해 발생한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에서 동반된 족부 족관절 골절이 척추 골절 의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낙상환자에서 족부 족관절 골절이 흉요추부 골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추락사고에 의한 방출성 흉요추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족부 족관절골절이 동반되었던 A군 19명과 대조군 B군 27명으로 구분하여 각 군의 방사선학적, 임상적 소견의 차이 및 기능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추락 높이는 A군에서 더 높았다 (P<0.01). 양군 모두 흉요추부 이행부 (T11-L2)의 손상이 가장 흔하였으나A군의 경우 하요추부에서의 골절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p=0.03). 후만변형은 B 군에서 심하였으나 (p=0.01) 그 외 설상각, 척추관의 침범 정도, 전방주의 압박정도는 양 군에서 통계학적 차이를보이지 않았다 (p=0.08, 0.46, 0.76). 유합분절의 수는 B군에서 더 많았다 (P=0.04). 신경학적 손상은 B군에서 더 흔하였지만(p=0.03) A군에서는 족부 족관절 골절과 관련된 합병증이 많았다(38%). 최종 추시시 기능적 결과는 양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동통 점수p=0.48, 작업 점수p=1.00). 결론: 족부 족관절 골절이 동반된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 환자에서 하부요추 골절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군의 환자에게서 신경학적 손상은 덜 발생하였으나 기능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