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지명의 후부요소 유형

        변영수 겨레어문학회 2018 겨레어문학 Vol.61 No.-

        이 논문은 북한 지명의 후부요소 유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지명의 후부요소는 무표지로 실현되거나 유표지로 실현된다. 무표지는 영형태, ‘[Ø]’로 표시하였다. 유표지로 실현되는 후부요소는 [자연적] 대상을 가리키는 것과 [인공적] 대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구분된다. [자연적] 대상에는 ‘[산], [땅], [물], [자연사물]’이, [인공적] 대상에는 ‘[마을], [거리]’가 해당한다. [산]에는 ‘고개, 골짜기, 둔덕, 등성이, 령, 벼랑, 봉우리, 산, 재, 코숭이’가 각각 포함된다. [땅]에는 ‘굽이, 고치, 더기, 들, 뙈기, 목, 벌, 섬, 터’가 해당된다. [물]에는 ‘강, 개울, 늪, 소, 웅덩이, 여울, 폭포’가 속한다. [자연사물]에는 ‘바위, 서덜, 숲’이 있다. [마을], [거리]는 가리키는 대상이 각각 ‘마을, 거리’이다. 후부요소는 기존 사전에 규범어나 방언으로 올라 있는 어휘와 그렇지 않은 어휘로 나눈다. 표제어로 없는 어휘들의 일반적 쓰임이 확인되었을 때 『겨레말큰사전』에서는 새어휘 올림말로 올리기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type of the posterior elements of North Korean place names. The posterior elements of North Korea's place names refer to 32 types of objects. These are primarily classified as unmarked type and marked type. The unmarked type is represented by null-form or [Ø]. The posterior elements represented by the marked type are divided into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objects. [Natural] objects are [mountain], [land] and [water], and [artificial] objects are [village], [street] and [things]. The posterior elements are divided into the case where the element concerned is listed in the existing dictionary as standard language or dialect, and the case where the element concerned is not listed in the existing dictionary. When a vocabulary that is not listed as an entry is used in various place names and is confirmed to be in general use, 『Gyeoremal keunsajeon』 treats such vocabularies as a new words.

      • 淸原君 所在 山名의 後部要素 硏究

        金眞植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2000 語文硏究 Vol.34 No.-

        Names of mountains or region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called the anterior element and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referent and the mountains or regions. The second part is called the posterior element and indicates whether it is a region or mountain. This study categorizes the posterior elements of the names of the mountains in Cheong-won district, Chungbuk Province, and investigates the origins or the etymology of such elements. The elements under investigation are those that are found in names in ancient/old Korean documents, and include gae, gogae, gol, got, gi, tal, tteum, maru, mal, mi, bawi, buri, bul, and theo.

      • KCI등재

        지명 유형을 통해 본 부천 지명의 언어적 계통 고찰

        이용 한국지명학회 2023 지명학 Vol.39 No.-

        이 논문은 부천의 지명 유형을 통해 부천 지명의 언어적 계통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먼저 계통을 살펴보는 데 열쇠가 될 만하다고 고려되는 지명 후부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다음에 이 후부 요소들이 가진 의미를 살피고 『조선지지자료』를 대상으로 이들의 분포를 정리한 후에, 이를 중심으로 후부 요소로 쓰인 어휘들의 언어적 계통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주변 지역과 비교할 때, 부평 지역의 어휘가 신라어 계통에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비록 ‘골’과 ‘실’, ‘여울’과 ‘별’, ‘덕’의 5개 어휘에 지나지 않지만 향후 지역을 넓히고 조사 대상이 되는 어휘의 수를 늘린다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nguistic genetic of language in Bucheon area through the types of place names. Accordingly, we first selected posterior elements of place names that were considered to be key to examining th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then, after examining the meaning of these posterior elements and organizing their distribution based on Joseon-Jiji-Jaryos(朝鮮地誌資料, 1911), the linguistic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word used as posterior elements was examined focusing on this. As a result, compared to surrounding areas, it was discovered that the word of the Bucheon area was more influenced by the Silla language. Although our study only consists of five words: ‘kol(골)’, ‘sil(실)’, ‘yəul(여울)’, ‘pyəl(별)’, and ‘dək(덕)’, it is expected that better results will be obtained if the area is expanded in the future and the number of word items subject to investigation is increased.

      • KCI등재

        1917년 함경남도 정평군(定平郡) 《지지조서(地誌調書)》 편철 문서 지명 연구

        이근열 한국지명학회 2022 지명학 Vol.37 No.-

        본 연구는 함경남도 정평군 《지지조서》 편철 문서에 나타난 지명을 대상으로 한글 표기법과 한역 지명 표기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1911년 경에 작성된 《조선지지자료》의 함경도 지명 자료가 누락된 상태이기 때문에 1917년에 작성된 함경남도 《지지조서》는 당시의 한글 표기 지명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때문에 《지지조서》 편철문서에 실려있는 함경도 정평군의 지명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해석하는 일은 중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함경도 정평군 《지지조서》의 12개 면별 필사본 자료를 분석하여 필사본 원전의 재구하고, 나타난 한역 표기 지명과 한글 표기 지명을 확인하여 자료로 제시한 후에 이에 대한 한글 표기법과 한역 표기법을 살펴보았다. 한글 표기 지명을 대상으로 고유 지명소를 분석하고 당시의 표기법이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역 지명을 지명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로 나누어 구체적인 표기 양상을 확인하였다. 표기된 지명의 어원에 대해서는 지형과 현지조사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후일의 연구로 남겨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