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손상과 동반된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의 치료 결과 : 내측부의 안정성은 후방 안정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MCL Stability depends on PCL Status

        서승석,곽희철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동반된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의 치료 후 예후에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2월부터 1999년 4월까지,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이 동시에 발생하여 본원에서 치료를 받았던 13예의 환자중에서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33.6세이었고 손상 원인은 스포츠 손상이 2예, 교통사고가 8예였다. 후방 십자인대의 치료는 복원술이 3예, 재건술이 7예에서 시행되었고, 내측 측부 인대의 치료는 복원술이 8예, 보존적인 치료가 2예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후 5내지 6주간 석고고정을 한 후에 보조기 착용을 하고 재활 치료가 시행되었다. 결과: Lysholm 평가 점수에서 우수가 2예, 양호가 2예, 보통 3예, 불량 3예였다. IKDC 판정기준에 따르면 A등급 2예, B등급 2예, C등급 4예, D등급 2예였다. 술 후 스트레스 부하 방사선상에서 후방 십자 인대 이완 정도에 따라 이완이 5 mm 이내인 경우를 제 1군, 6 mm 경우를 제 2군으로 하였을 때 제1군이 4예, 제 2군이 6예였다. 후방 십자 인대 이완 정도에 따른 내측 측부 인대의 이완 정도는 제 1군에서 평균 1.6 mm였고 제 2군에서 평균 3.0 mm였다(P=0.05). 후방 십자 인대의 치료 방법에 따른 내측 측부인대의 이완 정도는 복원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2.5 mm였고, 재건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2.4 mm였다(P>0.05). 내측 측부 인대의 치료방법에 따른 내측 측부 인대 이완 정도는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평균 2.8 mm였고, 복원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2.4 mm였다(P>0.05). 결론: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이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동반되었을 때 내측 측부 인대의 이완 정도는 후방십자 인대나 내측 측부 인대의 치료 방법보다는 후방 십자 인대의 이완 정도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동반된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 우수한 외반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fo treatment of combined injury of PCL and MCL and to analysis the facotors affecting the MCL 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10 patients of combined injury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was evaluated after an average duration of follow up of 62.3 months. The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injury had twenty five to fifty five years (average 33.6 years)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ere treated reconstructed (7case) or repaired (3case) Medial collateral ligament were treated repaired (8case) of nonoperatively (2case) of repaired (3case) Medial collateral ligament were treated repaired (8case) of nonoperatively (2 case) Postoperatively, all knees had been immobilized for 5~6weeks in 30degrees flexion with a plaster of cast. Results: Lysholm knee score were revealed Excellent (2), good (2). fair (3) poor (3). IKDC knee evaluation form were classified A (2), B (2), C (4), D(2). Materials were grouped according to posterior laxity on the stress x-ray. Group Ⅰ- less than 5 mm posterior translation (4 case), Group Ⅱ-more than 6 mm posterior translation (6case). MCL laxity were average 1.6 m in group Ⅰand 3.0 mm in group Ⅱ (P=0.05). The MCL laxity of PCL repair group was 2.5 mm and that of PCL reconstruction group was 2.4 mm (p>0.05). The MCL laxity of MCL non-operative group was 2.8 mm and that of MCL repair group was 2.4 mm (P>0.05). Conclusion: Lsxity of medial collateral ligament was more related to the PCL laxity than method of treatment PCL and MCL on combined injury of PCL and MCL. To obtain the excellent medial stability on the combined injury MCL and PCL needs a more sophisticated PCL reconstruction.

      •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보존한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안진환,하권익,정윤성,양일순,Ahn Jin Hwan,Ha Kwon Ik,Chung Yoon Sung,Yang Il Soon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2

        목적 : 대부분의 후방 십자 인대 부전시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이 남아 있어 골-슬개건-골 이식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할 때 이식물의 원활한 통과를 위해 이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후방 십자 인대의 경골 터널을 정확히 만들고,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유지하면서 관절경 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1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저자에 의해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실시된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44례 중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하였던 3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31.8세(최저 14세, 최고 56세)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7.8개월(최단 12개월, 최장 61개월)이었다. 이식물로 이중 고리 자가 슬괵건 29례, 이중 고리 동종 슬괵건 4례, 동종 아킬레스 건-골 이식 4례가 이용되었다. 결과 : 술전 보였던 주관적 증상은 많이 소실되었으며 Lysholm 점수는 술 전 평균 60.4, 술 후 평균 88.1로, KT 관절계 검사는 술 전 평균 11.0mm, 술 후 평균 2.3mm로 향상되었다. 술 후 시행한 자기공명촬영술상 이식물은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조직과 하나의 인대로 유합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경골 터널을 만들 수 있으며,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은 이식물과 함께 치유되어 좋은 결과를 얻었다. Purpose : The majority of PCL deficient knees have some intact remnant PCL bundles. In these cases, the remnant PCL bundles were removed fur easy passage of graft(especially in bone-patellar tendon-bone graft). The purpose of study is to report the results of PCL reconstruction by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technique and by preserving the remnant posterior cruciate ligament bundles. Materials & Methods : From November 1993 to June 1999, 44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s have been performed by one surgeon. We studied 37 knees those were followed up over 1 year among them. The mean age($14\~56$ years) was 31.8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7.8 months($12\~61$ months). The graft materials were 29 double-loop hamstring autografts, 4 double-loop hamstring allografts and 4 Achilles tendon-bone allograft. Results :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preoperative subjective symptoms. The last follow-up shows that the average Lysholm knee score was markedly improved from 59.8 pre-operation to 89.2 post-operation and the average KT 2000 side difference was decreased from 11.1mm pre-operation to 2.3 mm post-operation. Follow-up MRI showed that the graft was healed with remnant posterior cruciate ligament bundles as one ligament. Conclusion : The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makes it possible to locate the exact tibial tunnel. The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preserving the remnant of original PCL bundles seems to provide the good result.

      • 자기공명영상 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연관성

        강재도,김광열,김형천,이성춘,Kang Jae Do,Kim Kwang Yul,Kim Hyung Cheon,Lee Sung Chun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2

        Propose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test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index) for diagnosis of a tear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by means of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r. 1997 to Feb. 2001, concomita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knee joint arthroscopy were performed in 56 patients of either pain or instability of the kne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and tibial attachment of PCL (X) and the distance from that line to the tip of the arc marked by the PCL (Y) on the sagittal plane images were measured. The quotient of these two parameters (Y/X) defined the PCL index. Results : Using MRI diagnosis, there were 35 patients diagnosed with ACL rupture and 21 patients were ruled out of ACL injury. Using arthroscopy, 32 of the 35 patients diagnosed by MRI showed ACL rupture, and 20 of the 21 patients were ruled out of ACL injury. The mean PCL index was 0.40 in the 33 patients diagnosed with ACL rupture through arthroscopy. The mean PCL index was 0.23 in 23 patients with an uninjured ACL through arthroscopy. In 33 patients with ruptured ACL, this value exceeds 0.31. The index value was 0.31 in 3 patients with uninjured ACL. The value of the index was not above 0.31 with an uninjured ACL. PCL index on MRI had a sensitivity of $91\%$ and a specificity of $94\%$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Conclusion : Injury to the ACL changes the PCL index markedly. In diagnostically unreliable MR images, amelioration of the PCL index could help in the diagnosis of ACL injury. 목적 :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MRI상 간접소견인 후방십자인대 곡선값(PCL index)의 통계학적인 의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슬관절 동통 및 불안정성으로 내원한 총 56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소견과 관절경을 이용하였다. 시상면에서 대퇴골의 후방십자인대 부착부위와 경골의 후방십자인대 부착부위의 거리(X)를 표시한후, 이 선에서 후방십자인대에 내린 가장 큰 수선거리(Y)를 표시하여 Y/X를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자기공명영상에서 35명을 전방십자인대 파열, 21명을 정상인 전방십자인대로 진단하였으며, 관절경으로 35명중 32명이 전방십자인대 파열, 21명중 20경이 정상인 전방십자인대로 확인하였다. 총 33명에서 관절경으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확인하였으며,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평균은 0.40기었으며, 층 23명에서 정상인 전방십자인대의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평균은 0.23이었다. 파열된 33명의 환자에서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은 0.31을 초과하였다. 정상인 전방십자인대의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에서 3명은 0.31이었으며, 그 외에는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이 0 31을 초과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민감도 $91\%$와 특이도 $94\%$이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손상시 후방십자인대 곡선 값에 영향을 주었으며, 후방십자인대 곡선 값은 자기공명영상에서 파열의 직접소견이 보여지지 않을 때 진단에 도움이 되었다.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및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상면상 관절선 위치의 변화

        최충혁 ( Choong Hyeok Choi ),성일훈 ( Il Hoon Sung ),최진우 ( Jin Woo Choe ) 대한슬관절학회 2006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8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에 관절선의 변화는 골 절제 뿐만 아니라, 연부 조직의 변화에 의해서도 초래된다. 슬관절 전치환 시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보존 여부에 따라 저자들이 고안한 방법으로 관상면상 수술 후 관절선의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 중 일 측은 후방십자인대 보존형을, 반대측은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22명 환자에서 수술 전, 후의 관절선 위치를 기립 전후면 방사선 사진상에서 동일 저자가 2회, 또 다른 저자가 1회 계측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후방십자인대 보존형과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 군 모두에서 관절선의 위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근위부 이동을 하며, 근위부로의 이동 정도는 후방십자인대 보존형의 경우는 평균 2.4±4.1 mm, 후방십자인대 대치형의 경우는 평균 5.4±5.8 mm로 계측되어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보다는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 후 관절선 위치의 근위 이동이 더 많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Measured resection technique과 gap technique를 절충한 슬관절 전치환술식 후에 관절선은 근위부로 위치 변화가 생기며,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보다는 대치형에서 더 많은 근위부 이동이 초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관절선 변화 정도의 표준 편차가 4~6 mm 정도로 개체간에 차이가 많아 일반적인 예측은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change of the joint line is associated not only with bone cutting levels but also balance of soft tissu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analyze to compare the changes of the coronal joint line levels between PCL retaining total knee arthroplasty and PCL-substituting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the new method designed by authors. Material and Methods: A total 44 knees of 22 patients who received both TKA, of whom the one side was CR TKA and the other side was PS TKA, were analysed on pre- and post-operative weight-bearing anteroposterior radiopraphy of the knee. The joint line levels were measured two times by one author and one time by different author. Results: The proximal shift of the joint line showed differently in both groups. The average of shifting values were 2.4±4.1 mm in CR TKAs, and 5.4±5.8 mm in PS TKAs. PS TKAs had significantly larger shifting value than CR TKAs for all times(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joint line level proximally shifted after TKA, using measured resection technique and gap technique. The shifting level in PS TKA was larger than CR TKA. Bu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change of joint line level after TKA, because of deviation between case by cas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d value was 4~6 mm.

      • KCI등재

        만성 후방십자인대 손상에서 남아 있는 후방십자인대의 긴장술 및 후방십자인대의 전외측 다발 재건술

        정영복(Young Bok Jung),정호중(Ho-Joong Jung),박세진(Se-Jin Park),김상준(Sang Jun Kim),이용석(Yong Seuk Lee),김경운(Kyung-W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만성 후방십자인대 손상에서 변형된 tibial inlay 술식을 이용하여 늘어난 상태로 남아있는 후방십자인대를 긴장시키고 후방십자인대의 전외측 다발을 재건하는 새로운 술식을 소개하고 이 방법으로 치료하였던 환자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86명의 환자가 만성 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늘어난 상태로 치유되어 남아있는 후방십자인대에 대해 긴장술 및 전외측 다발 재건술을 시행 받았으며 이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후방십자인대의 긴장술은 앙와위에서 후내측 도달법을 통해 남아있는 후방십자인대의 경골부착부의 골편을 떼어내어 원위부로 이동시켜 긴장술을 시행하였고, 4다발의 자가슬괵근 또는 동종이식건을 이용하여 전외측다발의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Telos 기구를 이용한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및 KT-1000 관절계측기를 이용한 최대 도수 전위 검사를 통해 객관적인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IKDC 및 OAK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학적 검사로는 후방 견인 검사, 내반 긴장검사, 후외측 견인 검사와 30도와 90도 무릎관절 굴곡 상태에서 경골의 외회전 검사(Dial test)를 측정하였다. 결과: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및 KT 1,000 관절계측기를 이용한 최대 도수 전위 검사에서 건측과의 차이가 각각 10.4±2.0 ㎜에서 2.2±1.0 ㎜, 8.2±1.5 ㎜에서 1.9±1.0 ㎜로 감소하였다. 최종 IKDC 점수는 A가 11명(21.2%), B가 35명(67.3%), C가 6명(11.5%)이었다. 평균 OAK점수는 64.3±8.9에서 90.8±7.2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만성 후방십자인대 손상 시 늘어난 상태로 남아있는 후방십자인대의 긴장술 및 전외측 다발의 재건술을 통해 만족할 만한 임상 결과 및 아주 좋은 후방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 This report introduces a new method for tensioning the remnant PCL with a reconstruction of the anterolateral (AL) bundle of the PCL using a modified tibial inlay technique with an assessment of the outcome of this method in chronic PCL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8 to August 2003, eighty six patients was underwent tensioning of a laxed remnant PCL with a reconstruction of the anterolateral bundle of the PCL. Of these, fifty two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were evaluated. Tensioning was performed using a distal transfer of the tibial attachment with the posteromedial approach in the supine position. The AL bundle of the PCL was reconstructed with 4 bundles of a hamstring autograft or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The stability was assessed objectively using stress radiographs with the Telos<SUP>ⓡ</SUP> device and the maximal manual test with the KT-1000 arthrometer.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by the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and OAK (Orthopadische Arbeitsgruppe Knie) scores. The posterior drawer test, varus stress test, posterolateral drawer test and dial test in 30° and 90° flexion were performed for a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 The average side to side difference of the posterior tibial translation in stress radiographs with the Telos<SUP>ⓡ</SUP> device decreased from 10.4±2.0 ㎜ to 2.2±1.0 ㎜. The average side to side difference in the maximal manual test with the KT-1000 arthrometer also decreased from 8.2±1.5 ㎜ to 1.9±1.0 ㎜. The final IKDC score was A in eleven (21.2%), B in thirty-five (67.3%) and C in six (11.5%) patients. The average OAK score improved from 64.3±8.9 to 90.8±7.2. Conclusion : Tensioning of the laxed remnant PCL with a reconstruction of the AL bundle in chronic PCL injuries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and excellent posterior stability.

      • KCI등재

        후방 이중 후방십자인대 징후; 양동이 손잡이형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드문 MRI 징후

        유재호(Jae Ho Yoo),한성호(Sung Ho Hahn),양보규(Bo Kyu Yang),이승림(Seung Rim Yi),안영준(Young Joon Ahn),윤동진(Dong Jin Yoon),김성완(Seong Wan Kim),장종범(Chong Bum Ch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양동이 손잡이형 반월상 연골판 파열 시에 나타날 수 있는 MRI 소견들 중에서 이중 후방십자인대 소견은 후방십자인대의 전하방에서 후방십자인대와 평행한 음영을 보이는 것으로 양동이형 반월상 연골판 파열 시 전위된 절편이 중앙부로 전위되어 과간 절흔에 감돈되어 있는 상태를 반영한다. 그러나 전위된 절편이 후방십자인대의 후상방에서 관찰되는 경우는 드물며,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전방부에서 전각부와 분리가 생겨 절편이 후상방으로 전위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저자들은 이를 전자와 구별하여 ‘후방 이중 후방십자인대 징후(posterior double PCL sign)’로 부르고자 한다. 본 증례에서는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후방 이중 후방십자인대 소견을 보였던 내측 반월상 연골판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 동반된 환자에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Among the MRI signs of meniscal bucket handle tears, a doub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sign manifests on the sagittal images as a low signal band anterior and parallel to the PCL. The mesially displaced fragment may be confined to the intercondylar notch. However, the torn fragment is rarely displaced to the posterosuperior region of the PCL. If it does occur, separation at the anterior horn may be assumed. We propose this type of lesion be called the posterior double PCL sign in contrast to the ordinary double PCL sign. We present a case showing the 'posterior double PCL sign' accompanying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안진환(Jin Hwan Ahn),유재철(Jae Chul Yoo),왕준호(Joon Ho 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잔여 후방십자인대를 보존하며 시행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적인 결과 및 이식건으로 사용한 자가 슬괵건 및 동종 아킬레스 건의 임상적인 결과를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가 슬괵건 및 동종 아킬레스 건을 사용하였으며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사용하여 잔여 후방섭자인대를 보존하며 경골 터널법으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임상적인 결과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Lysholm 슬관절 점수의 평균(p<0.01) 및 IKDC 등급(p<0.01)은 수술 후 의미 있는 증가 소견 관찰되었다. Telos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장에서 수술 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 소견 관찰되었다(p<0.01). 자가 슬괵건 및 동종 아킬레스 건을 사용한 군의 Telos 스트레스 검사, IKDC 등급 판정상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사용하여 잔여 후방십자인대를 보존하며 시행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로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자가 슬괵건은 동종 아킬레스 건과 같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좋은 이식건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reconstruction with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ligament with use of a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and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double-loop hamstring tendon autografts and Achilles tendon allografts. Materials and Methods: 36 patients underwent P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autografts and with Achilles tendon allografts. At the final follow-up, patients were evaluated by four measurements: Lysholm knee scores, Telos stress radiography, IKDC grade, and second look arthroscopic examination. Results: The postoperative mean Lysholm knee scores, the postoperative mean distances of posterior displacement by the Telos stress test, and the postoperative IKDC grade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The postoperative mean distances of posterior displacement by the Telos stress test and the postoperative IKDC grades demonstra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PCL reconstruction with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remnant ligament with use of a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were good. The clinical outcomes of double-loop hamstring tendon autografts were equivalent to those of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 경골 내재술식을 이용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수술 기법 -

        이영현,남일현,문기혁,안길영,이상충,Lee, Yeong-Hyun,Nam, Il-Hyun,Moon, Gi-Hyuk,Ahn, Gil-Yeong,Lee, Sang-Chung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목적: 아킬레스 동종 이식건을 사용하여 경골 내재술식으로 시행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소개하고, 이 방법으로 수술하여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11예의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만성 후방 불안정성과 급성 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는 11예에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고, 임상적 분석 방법으로는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후방 전위 방사선 소견 및 KT-1000TM arthrometer를 이용한 전위 검사법을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결과: 90도 굴곡위 후방 전위 방사선 사진 및 10도 굴곡위 KT-1000TM arthrometer 에서의 결과는 술 전 평균 각각 13.4 mm, 11.4 mm에서 술 후 평균 각각 4.4 mm, 3.9 mm로 호전되었다. 또한 IKDC 평가법에서는 9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1예에서 굴곡 시 경미한 관절 강직이 발생하였고, 나머지 1예에서 후방 불안정성이 충분히 교정되지 못하였다. 동종 이식건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아킬레스 동종 이식건을 사용하여 경골 내재술식으로 시행한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급격한 경골 터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식건의 마모를 피할 수 있고, 슬관절 굴곡위 뿐만 아니라 신전위에서도 후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슬관절의 후방 십자 인대의 급성 파열 및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재발된 불안정성을 포함한 만성 후방 불안정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ouble 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allograft by the tibial inlay method and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11 cases who had PCL reconstruction using this method and were followed for more than 2 years afte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Our series consists of 11 cases of PCL reconstruction due to chronic posterior instability of knee and acute PCL rupture.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coring system, posterior stress radiographs and the maximum posterior displacement using a KT-1000TM arthrometer.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posterior displacement in 90 degree flexion stress radiograph was measured 13.4 mm and in 10 degree flexion the average posterior displacement using the KT-1000TM arthrometer was measured 11.4 mm. Postoperatively the 13.4 mm reduced to 4.4 mm and the 11.4 mm reduced to 3.9 mm. According to IKDC scoring system, 9 cases(81.8%) were satisfied. One case showed limitation of flexion with mild stiffness in the knee and another one case was not improved the posterior instability sufficiently and no complication of allograft was noticed. Conclusion: The double bundle PCL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allograft by the tibial inlay method is a useful method for acute PCL rupture and chronic posterior instability of the knee including failed PCL reconstruction, because it will also make the posterior stability in the extension and 90 degree flexion position, and avoid the grafted tendon abrasion by acute turn of tibial tunnel.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십자인대 절제가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에 미치는 영향

        정영복(Young Bok Jung),박세진(Se-Jin Park),정호중(Ho-Joong Jung),김상준(Sang Joon Kim),이종석(Jong-Se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절제가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6년 4월까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58명, 69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모든 수술은 변형된 대퇴사두근하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내측 연부조직 유리술을 시행한 다음 근위 경골 절제 후 원위 대퇴골 절제를 시행하였다. 근위 경골 절제 시 얇은 osteotome을 이용하여 후방십자인대의 손상을 보호하였다. 수술 시 경골과 대퇴골 절제 후 후방십자인대의 긴장도와 육안적 모양이 정상임을 확인한 후 balancer/tensor device (Stryker Howmedica Osteonics<SUP>ⓡ</SUP>, Allendale, NJ, USA)를 이용하여 후방십자인대 절제 전과 절제 후에 슬관절의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을 수동적으로 가능한 한 최대부하를 가한 상태에서 측정하였고, 술 전 및 술 후 측정한 슬관절 측면 방사선 사진상에서 관절선의 변화 및 후방 경골경사의 변화를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후방십자인대 절제 후 굴곡 간격은 평균 3.6±1.5 ㎜ 증가하였고, 신전 간격은 2.0±1.0 ㎜ 가량 증가하여 후방십자인대의 절제로 인해 굴곡-신전 간격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신전 간격보다 굴곡 간격이 평균 1.6 ㎜ 정도 더 증가하였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절제는 굴곡 간격을 3.6 ㎜, 신전 간격을 2.0 ㎜ 가량 증가시키므로, 굴곡 간격이 1.6 ㎜ 더 증가하였으며 선택적인 후방십자인대 절제가 굴곡-신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술기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To assess the effects of a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on the tibiofemoral joint gap in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 of a PCL resection on the tibiofemoral joint gap was analyzed prospectively in 58 patients (69 knees) who had undergone TKA between May 2003 and April 2006. The knee was exposed using a modified subvastus approach. The medial soft tissue was released and a tibial cutting was made first. The tibial insertion of a PCL was protected during the tibial resection by inserting a thin osteotome in front of the posterior spine. An extension and flexion gap were measured using a balancer/tensor device (Stryker Howmedica Osteonics<SUP>ⓡ</SUP>, Allendale, NJ, USA) under manual maxim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PCL resection. The change of the joint line and the posterior inclination o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ateral roentgenograms was also assessed. Results : After the PCL resection, the flexion gap and extension gap increased by an average of 3.6±1.5 ㎜ and 2.0±1.0 ㎜, respectively. Although the PCL resection resulted in an increasing a flexion gap and extension gap, the increase in the flexion ga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extension gap by 1.6 mm. Conclusion : A PCL resec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flexion and extension gaps by 3.6 ㎜ and 2.0 ㎜, respectively. Therefore, a PCL resection would be a good alternativ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lexion-extension gap in T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