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 일상성 연구

        이정선,최영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최근 일상성 및 일상문화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상이란 특정 사회의 구성원들이 매일매일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삶의 세계를 말한다. 본 연구는 상호작용론적 입장에서 소규모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아동의 일상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4-6년까지 광주광역시 변두리 소재 1개의 초등학교에서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과 분석 그리고 해석의 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의 아름다움과 정서적 풍요로움이라는 ‘풍요문화’와 꿈과 모방 대상의 결핍, 교육관계의 빈곤, 성비 불균형 및 올바른 성 역할 경험의 부족, 학교시설로부터 소외, 교육과정으로부터 소외, 문화시설 및 지역사회 환경으로부터 소외 등 ‘빈곤문화’가 이중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결핍을 다름으로, 무관심을 자기주도성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들이 제언되었다. There is an increased academic concern with everyday life and routinizedculture. Everyday life is composed of daily experiences of the people in a certain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veryday life of thechildren in the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interactionistviewpoint. The guiding question of the study focused on the daily life, play andexperi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of the children in the school.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one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 near GwangjuMetropolitan City for three years from 1994-1996. The data collection involvedintensive participant observation, extensive interview with students, teachersand pare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and interpretatio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aily life of the students studiedcharacterized two antithetic components: rich culture vs. poverty culture. Thenatural situation in which the students are living is positive and affluent, andthe emotional inclination of the student is sensitive and rich. On the contrary,the poverty culture of the students studied included lack of dream and theobjects for imitation, poverty of friend relationship, imbalance of sex andimproper sex role experiences, and alienation from school facilities, curriculum,cultural facilities and encompassed social environment of the school.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change the povertyculture to rich culture, namely, change deficiency to different viewpoint,indifference to self-initiative life style.

      • KCI등재

        브랜디드 콘텐츠를 통한 브랜드 무대후면영역(backstage) 정보 노출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문장호(Jang Ho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4

        소비자와 소통하기 위한 브랜디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마케팅이 현대 마케팅의 주요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는 시점에서, 브랜드의 무대후면영역 정보를 적극적이고 전략적으로 노출하는 시도, 이른바 비하인드씬(behind-the-scene) 콘텐츠가 마케터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비하인드씬을 연극적 접근이론을 통해 ‘무대후면영역’ 노출로 개념화 하였고, 브랜드 무대후면영역 노출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평소에 가지는 광고회의 성향이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접하는 브랜디드 콘텐츠의 평가에도 적용되는지 탐구하였으며, 광고회의 성향이 브랜디드 콘텐츠를 통한 브랜드의 무대후면영역 노출 시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브랜드의 무대후면영역을 접한 소비자는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보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를 나타냈다. 또한 광고회의 성향이 낮은 소비자는 높은 소비자에 비해 브랜디드 콘텐츠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브랜드 무대후면영역에 노출되었을 시 소비자의 정보태도와 브랜드 태도는 광고회의 성향에 따라 조절됨을 파악 하였다. One of the most latest trends in todays marketing practice is to create branded contents for interacting with online consumers. Marketers are increasingly adopting behind-the-scene contents which disclose a brands backstage information in their contents marketing efforts. The current study conceptualizes this behind-the-scene storytelling based on dramaturgical theory and investigates its impacts on consumer responses. The study also examines how consumers advertising skepticism level would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branded contents. In addition, the moderating role of advertising skepticism in evaluating brand’s backstage information is investigated. The findings suggests that consumers who are exposed to brand’s backstage indicate greater information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those who are not exposed to brand’s backstage. Also consumers who have lower advertising skepticism evaluated branded contents more positively than high ad skepticism consumers. Lastly, the moderating role of advertising skepticism on the impact of brand’s backstage disclosure is re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