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봉, 보조 계율사상의 계승과 발전

        황정일(Hwang Jung il)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본 연구를 통해 본 효봉(曉峰, 1888-1966)은 간화선 수행자일 뿐만 아니라 계율을 철저히 지키는 율사(律師)였다. 이에 그의 삶과 사상을 보면, 보조국사 지눌의 영향이 지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효봉의 법명이 고봉 원명에서 효봉 학눌(學訥), 즉 ‘지눌을 배우다’로 개명한 기연에서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봉이 송광사 삼일암(三日庵)에 주석하면서 보조의 목우가풍(牧牛家風)과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선풍(禪風)을 재현하고자 제2정혜결사운동을 일으킨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결사를 비교해 보면, 보조의 정혜결사가 다소 수동적, 은둔적이라면, 효봉의 제2정혜결사는 능동적, 적극적인 결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효봉이 처한 당시의 한국불교의 현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즉 조선의 억불정책과 일제강점기의 왜색불교로 인해 한국불교의 존립자체가 위협받던 시기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효봉이 보조의 정혜결사정신을 계승해서 자신의 시대적 상황에 맞게 발전시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효봉은 삼학(三學)에 있어서도 보조의 삼학에 큰 영향을 받았다. 보조의 삼학은 곧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삼학을 전승 및 발전시킨 것으로, 효봉의 삼학은 두 스승의 삼학을 자신의 방식으로 계승 및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효봉은 계율을 ‘집터’로 비유함으로써 계율이 보다 근본적인 의의를 갖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정혜결사의 이념에 대한 이해사(理解史) 속에서 계학은 너무나 오랫동안 외면되어 왔지만, 효봉 만큼은 보조의 결사정신이 계학(戒學)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더욱이 효봉은 단지 이해에만 그치지 않고 제2정혜결사, 종단정화운동 등을 주도함으로써 당시의 타락한 한국불교를 혁파하고자 했다. Through the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dentify venerable Hyobong(曉峰, 1888-1966) was the practitioner of the phrase-observing meditation(看話 禪) as well as the master of the rules of the discipline. Not only to this, the study enables us to know that Buddhist national teacher Bojo Jinul(普照 智訥, 1158-1210) was the one who most affected Hyong. This is largely because his dharma name was changed into Hyobong Haknul(曉奉 學訥), which means ‘learn from the venerable Bojo Jinul’ from Unbong Wonmyeong(雲峰 元明). Furthermore, while staying at the Samil hermitage(三日庵) of the Songgwang temple(松廣寺), Hyobong led the second move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定慧結社) to reenact the cowherd (a metaphor for the task of bringing the mind to awakening) family tradition(牧 牛家風) of Bojo and to reawaken the Chan style(禪風) of dual practice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雙修).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which Hyobong guided was different: while the first move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 of Bojo was slightly passive and seclusive, the movement of Hyobong was active and aggressive. Such a difference was attributed to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at that time when Hyobong had practiced. In other words, Korean Buddhism was threatened not only by the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also by Japanese style Buddhism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Hyobong needed to succeed to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Bojo by adjusting it in accordance with his time and situation. In addition, with regards to the three disciplines(三學), Hyobong followed the teaching of sixth patriarch Huineng(慧能, 638-713) to develop the doctrine of three disciplines of Bojo. Hyobong, in particular, used an expression ‘a site for a house’ as a metaphor for moral restraints and rules of discipline(戒律) to clarify the fundamental meaning of discipline itself among the three disciplines. The discipline by the precepts has been disregarded among the three disciplines for a long time. However, it was not until he started the second movement that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Bojo was rooted in the discipline by the precepts. Moreover, taking the lead in the second samādhi and prajñā movement and the religious order movement for purification, Hyobong had aimed at reforming Korean Buddhism at that time.

      • KCI등재

        曉峰의 法語에 나타난 歸鄕意識과 그 意味 試探

        차차석(Cha Cha 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본 논문은 효봉의 법어에 나타난 고향의 개념과 귀향의식을 분석한 것이다. 효봉은 법어를 통해 고향으로 돌아가자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이 경우 고향이란 단어의 개념은 깨달음의 세계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구름이나 기타 다양한 원인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깨달음으로 표현되는 고향의식은, 현실을 방황의 세계로 묘사하고 있다. 그 방황의 원인을 효봉은 끊임없는 분별심, 육도의 차별, 공을 깨닫지 못함, 혼침과 산란 등으로 설명한다.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유는 분명해 진다. 그것은 주객을 끊임없이 분별하면서 육도의 차별적인 모습을 연출하는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의 법칙을 깨우치지 못하고 혼침과 산란 속에 빠져 있는 인간들의 다양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효봉은 인간의 가능성을 믿고 있다. 즉 수행을 통해 상실된 고향을 회복할 수 있다고 하거나 깨달음을 추구하는 본능적인 각성에 의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수행을 강조한다. 이러한 효봉의 修證論은 3학의 실천과 철저한 무집착 공의 체득으로 압축된다. 효봉은 삼학의 실천을 통해 정혜겸수를 주장하지만 그것은 선정 위주의 정혜겸수이며, 이런 정신은 보조지눌의 사상적 연장선 위에 놓여 있다. 또한 상대적 차별을 초월한 무집착 공의 체득을 강조하지만 현실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 점은 定慧雙修라는 보조지눌의 수행 가풍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유마경』이나 『법화경』 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효봉의 선사상은 전반적으로 반야사상의 사상적 토대 위에서 전개된다고 볼 수 있지만, 그런 점은 고향을 인식하는 방법의 토대, 고향의 모습을 인식하는 방법 역시 마찬가지이다. 철저한 무집착 공의 바탕 위에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효봉스님이 인식하고 있는 고향의 모습은 두 가지라 분석할 수 있다. 첫째는 즉심시불의 경지이며, 둘째는 중도불성의 개현이다.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로 효봉은, 대승불교의 기본 이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자리와 이타의 완성을 위해 귀향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이것은 귀향 이후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야 하는가를 말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theme of hometown and a sense of homecoming expressed in Ven. Hyobong s Buddhist Sermon. Above all, Ven. Hyobong emphasizes returning to hometown. In his case, the concept of hometown is expressed the world of enlightenment, but he explains the reason why people cannot return to their hometown by means of diverse figures such as clouds or different origins. In Buddhism or Seon, hometown or the real world, described as the enlightenment, is expressed as the wandering world. In this vein, Ven. Hyobong finds the reason of wandering in the followings: the endless discrimination, the differentiation of six realms, unrealizing the emptiness, lethargy(styāna) and heedlessness, etc. That is, the reason why we cannot return to our native place is because of the endless discrimination on subject/object and the differentiation of six forms of existence. Then, such a situation is the very symbolic expression of the diverse sentient beings who unrealized the principle of the emptiness and who are immersed in the lethargy and heedlessness. However, Ven. Hyobong believes that man can recover his lost hometown through the thorough practice or that man can return to a real hometown through instinctive awareness to seek after the enlightenment. Therefore, so as to achieve Buddhanature, above all, he stresses the fierce practice. Hyobong s practic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condensed as the practice of ‘Three Essential Marks , the thorough non-attachment and the complete comprehension of emptiness. Likewise, Ven. Hyobong emphasizes the practice of both meditation and wisdom through the practice of ‘The Three Essential Marks , which is focused on meditation and also succeeds National Master Bojo Jinul s Seon thought. This tendency emphasizes the non-attachment and the complete comprehension on the emptiness transcending the relative discrimination but it doesn t deny the real fact. This fact is much influenced by the Vimalakirti Sutra and the Lotus Sutra, succeeding the Seon thought of Bojo Jinul s meditation and wisdom practice. It seems that Hyobong s Seon thought is generally developed on the basis of Prajuna thought, but this tendency is the same in the origin base and way of perceiving hometown because his thought is developed on the base of complete non-attachment and emptiness. In brief, Hyobong s perception of hometown is diagnosed as the two following characteristics: One is that Mind is the very Buddha and the other is the Revelation of Mid-path Buddha-nature. Hence, Hyobong stresses the following basic idea of Mahayana Buddhism concerning the reason why we should return to hometown: Benefit oneself and others, which is the very representation of how to live after homecoming.

      • KCI등재

        병렬 설치형 저압막 모듈 배관의 유량 균등 분배 평가에 관한 연구

        장석현,윤석민,김시연,이영주,박노석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5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flow rate flowing into each module is measured for the external pressure typed low-pressure membrane (microfiltration) filtration process that has been actually applied to water treatment,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echnique is used to clarify the cause and effect. Methods : Mobile ultrasonic flow 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flow rate flowing from the membrane module pipe to each module, and the CFD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is. Results and Discussion : From the results of the actual measurement using ultrasonic flowmeter and CFD si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utflow flow rate from the branch pipe located at the end of the header pipe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ranch pipe near the inlet. The reason was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etween each membrane module was higher toward the end of the header pipe. Conclusions : When the ratio of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anch pip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er pipe was reduced by about 30 tim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low rate flowing from each branch pipe to the membrane module was almost equal. Also, If the flow in the header pipe is transitional or laminar (Reynolds No. is approximately 4,000 or less), the flowrate flowing from each branch pipe to the membrane module can be more even.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정수처리에 적용되고 있는 외압식 저압막(정밀여과막, Microfiltration) 여과 공정을 대상으로 각 모듈로 유입되는 유량의 균등 정도를 실측하고,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를 이용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막 모듈배관에서 각 모듈로 유입되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형 초음파 유량계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 기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초음파 유량계를 이용한 실측과 CFD 모사 결과로부터 헤더 배관 끝단에 위치한 분지관으로부터의유출 유량이 유입구 근처의 분지관 유량보다 3배 높았다. 그 이유는 각 막 모듈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압이 헤더파이프 끝으로 갈수록 더 높았기 때문이다. 결론 : 지관의 단면적의 합과 헤더 배관의 통수 단면적의 비를 약 80배 정도 감소할 경우 각 분지관에서 막 모듈로유입되는 유량이 거의 균등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관내 흐름이 천이류 및 층류인 경우(Reynolds No.가대략 4,000이하) 각 분지관에서 막 모듈로 유입되는 유량을 균등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전법계보를 통해 본 효봉선사의 법통 인식

        지원스님(Ven Ji won),최규태(Choi Gyu tae)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본 논문은 효봉선사의 법통관을 고찰하여 태고문손임을 자임함에도 보조법통설을 주장하는 듯한 선사의 이중적 태도가 실제로는 전혀 모순이 없음을 주장하였다. 효봉선사는 스스로가 태고법통을 이어받은 청허계 편양파 중에서도 해원문파의 사람임을 자임하는 철저한 간화선사이다. 그런 선사가 몽중법문을 통해 송광사 제16국사인 고봉원묘의 법문을 듣고 이전의 법호와 법명을 바꾸었는데, 이것은 고봉의 법을 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당대의 한국불교를 개혁할 가장 적합한 정신으로 보조지눌의 정혜결사의 정신을 선택했다는 자신의 의지를 천명한 행위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효봉은 태고의 법통을 계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지눌의 정신을 선양하고자 했다. 이런 점에서 보조법통설을 지원했던 효봉의 의지는 당대불교를 바라보는 그의 시대정신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야만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주장을 논증하는 과정에서 아울러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효봉선사의 법계에 나타난 인물들의 사상과 법맥을 고찰하여 효봉의 근본정신이 어디에 있는가를 분석했다. This paper insists that it is not a contradiction that although Hyobong(曉峰, 1888-1966), a great zen master in modern korea, positioned himself as a zen master in Taego dharma tradition(太古法統), in practice, he supported the theory of Bojo dharma tradition(普照法統) which is in conflict with Taego dharma tradition. Hyobong is a strict Ganhwa(看話) zen master who is belong to a dharma tradition of Haewon(海源,1691-1770) division(海源門派), Pyeonyang(鞭羊, 1581-1644) sect(鞭羊派), Cheongheo(淸虛, 1520- 1604) Dharma line(淸虛系). In spite of his original dharma tradition, after a dream in which Hyobong heard a dharma speaking of Gobongbeopjang(高峰法藏, 1351-1428) who is the 16th national preceptor(國師) of Songgwang temple(松光寺), very famous korean buddhist temple, he changed his buddhist name which was conferred on him from his buddhist teacher belonging to Taego dharma tradition. They say that this change of a buddhist name may mean that Hyobong received the dharma of Gobongbeopjang, but in opinion of this paper, this don't mean Hyobong's receiving of the dharma of Gobongbeopjang, but a action showing that he takes Bojojinul's the spirit of buddhist practice society as an idea for modern korea buddhism reform. So, in opinion of this paper, the reason why Hyobong raised Jinul's idea and supported the theory of Bojo dharma tradition comes from his spirit of the age, not from a political problem of which buddhist dharma tradition is authenticity. In addition, this paper considers shortly zen masters who have not been known well untill now in the line of Hyobong dharma tradition in the process of proving in the opinion of this paper.

      • KCI등재

        曉峰의 定慧結社와 시대적 의의

        김경집(Kyung-Jib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효봉(1888-1966)은 1925년 출가한 이후 철저한 수행으로 1931년 여름 깨달음을 얻었고, 보임의 길에서 만공과 한암을 만 나 결사의 정신을 계승할 수 있었다. 그런 수행력은 뒷날 한국불교의 고비 때마다 바른 지침을 제시하는 지혜가 되었다.그의 생애는 한국 근, 현대사와 그 궤를 함께 한다. 그런 까닭에 일제 강점에 의한 한국불교의 변질을 지켜보았고,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무엇보다 전통을 정립하는 것이 급선무임을인식하였다. 그래서 1937년부터 송광사에 주석하면서 보조 지눌의 결사정신을 바탕으로 변질된 수행풍토를 바로 잡아 한국불교를 중흥하려 하였다. 이런 정신은 광복 후에도 계속되어1946년 7월 15일 송광사 三日禪院에서 3년을 기한으로 定慧結社를 시작하였다.이 결사는 1946년 8월 교무원이 모범총림을 설립하고 수행력이 높은 효봉을 조실화상으로 삼아 한국불교의 앞날을 도모하면서 교단 차원에서 실행하게 되었다. 한국불교의 수행풍토와인재양성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던 효봉도 자신의 결사를 해인사로 옮겼다. 이후 결사는 1950년 6.25가 발발하기까지 5년간지속되었다.이와 같이 광복 후 실시된 효봉의 정혜결사는 다음과 같은의의를 지니고 있다. 먼저 한국불교 있어 현대에 실시된 정혜결사의 효시라는 점이다. 그것은 광복 후 일제의 강점에서 벗어나자 한국불교의 중흥을 위한 움직임이었고, 이후 교단 차원의 수행풍토를 조성하기 위한 모범총림으로 이어져 한국 현대불교의 시금석이 되었다.효봉의 정혜결사는 멀리 보조의 사상과, 가까이는 경허와 만공 그리고 한암의 정혜결사를 계승하면서 한국불교 선풍운동을계승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후 제자인 구산에 의해 송광사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져 현대에 이르고 있다. In this paper, I present Ven. Hyo-bong's life and practice asceticism in modern times. Ven. Hyo-bong became a Buddhist monk at the age of 38 in 1925. He was practicing asceticism in the Geumgang mountains and became an excellent zen master in modern times. His life agreed with the period when Korean Buddhism lost the fundamental meaning and the spirit of the times of religion. This period was very difficult but he gained new courage and he took actions. He established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in Songkwang korean traditional Temple in August 1946. He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by improving Korean zen practicing method in depressed Korean Buddhism. Ven. Hyo-bong'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in Songkwang korean traditional Temple was moved in Haein korean traditional Temple by korean Buddhist Order in November 1946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has lasted for 5 years and Ven. Hyo-bong educated many Buddhist Priests and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Therefore, thi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was the first practice system Korean Buddhism in present-day, and its had a historical meaning that was continued from Ven. Man-gong and Ven. Han-am's movement of zen trend in modern times.

      • KCI등재

        九山 秀蓮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

        고영섭(Ko Young-seop)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이 논문은 九山 秀蓮(1909~1983)의 안팎으로 펼친 역사적 살림살이를 고찰하고 앞뒤로 펼친 철학적 사고방식에 대해 연구한 글이다. 구산은 지눌의 목우가풍과 효봉의 수선가풍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의 독자적 해석을 가미하였다. 그는 1954년에 '불법에 대처승은 없다'는 기치 아래 종단정화운동이 일어나자 상경하여 서울 선학원에 머물며 여러 비구 도반들과 전국비구승대회를 개최하여 정화불사를 위한 '종단정화위원회'를 결성하였다. 이후 구산은 '단지 혈서' 탄원서 작성을 통해 불교 종단정화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지눌-효봉의 정혜결사를 계승하기 위하여 송광사를 거점으로 제2의 정혜결사운동을 주창하였다. 그리고 구산은 대승불교의 보살행인 육바라밀에다 '만행바라밀'을 추가하여 '봉사의 날'로 새롭게 해석한 칠바라밀을 제창하여 생활불교의 길과 대중불교의 길을 열었다. 나아가 그는 1973년 하안거 결제 이래 송광사 내에 불일국제선원을 개원하여 그의 문하로 출가한 비구 비구니 제자들은 전 세계 15개국 53명에게 한국선을 전수하였다. 1980년 이후 입적 전까지는 해외로 몸소 나아가 한국선을 널리 선양하였다. 특히 한국선의 해외 전법을 위한 구산의 선구적 노력을 통해 한국은 국제사회에 부상해 가는 위상과 함께 민족의 우수성과 문화의 수월성을 널리 과시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한국 불교사에서 정화불사의 주도자, 정혜결사의 계승자, 총림강원의 개설자, 칠바라밀의 제창자, 국제포교의 선구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 구산은 지눌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의 조술자로서 그의 정신과 긴밀하게 연속하고 있다. 동시에 평생 '無字 화두'를 들고 수행하였던 그의 스승인 효봉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의 조술자로서 그의 정신과 친밀하게 해후하고 있다. 구산은 '참나'[眞我] 즉 '主人公' 혹은 '眞心' 또는 '眞性'을 찾기 위해서 화두선을 강조하였고, 간화선 수행의 세 가지 요체를 '大信大憤心', '大勇猛心', '大疑心'으로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간화선 계승자로서의 면모를 잘 보여주었다. 특히 그는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의 주요한 개념인 '佛性' 즉 '眞性'의 개념을 환기시키면서 진성은 영원히 신령스러운 존재이며 妙用이 많은 존재라고 강조하고 있다. 구산은 간화선을 닦는 방법으로써 혜능 이래 남종선의 가풍을 이은 지눌의 정혜쌍수 가풍을 원용하여 실천한 수행자였다. 그는 지눌과 같이 돈오-점수-체증의 체계를 또렷하게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그의 수증론을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구산은 깨침[悟]과 닦음[修]의 두 축에서 볼 때 돈오점수 체계의 지지자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는 한국불학사에서 상당법어와 수기설법의 재현자, 지눌과 효봉의 조술자, 간화선법의 계승자, 정혜쌍수의 실천자, 돈오점수의 지지자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This is a study on the historical life and philosophical thinking of Ku-san Su-ryon(九山秀蓮, 1909~1983). Ku-san developed his own interpretation on Buddhism even though he succeeded the tradition of Ji-nul(知訥) and Hyo-bong(曉峰). As there happened a movement for purifing Korean Buddhist Order with banner that there couldn't be a married Buddhist priest in Buddhism in 1954, he came up to Seoul and held the National Buddhist Monk convention with organizing the committee for purification of Buddhist Order. Since then he turned in a petition written in his finger's blood,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purification movement of Korean Buddhist Order. He advocated the second movement of the associ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結社) in order to inherit that of Ji-nul(知訥) and Hyo-bong(曉峰), with Song-guang-sa Tample as a center. And he opened up the way to the popular and practical Buddhism through the suggestion of seven paramita(七波羅蜜) which was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practise of Bodhisattva in Mahayana Buddhism. He added 'Man-hang(萬行) paramita' to six paramita, and made people provide services on the day of 'Man-hang(萬行) paramita'. So it was called 'the voluntary service day'. Since finishing the summer varsa in 1973, Bul-il(佛日) International Seon Center had been opened by him, and 53 monks and nuns from 15 countries who became disciples of Ku-san could learn the way of Korean Seon. Moreover, he went abroad and spreaded Korean Seon from 1980 to 1983, last 4 years of his life. Through his leading effort for propagation of Korean Seon practice abroad, the superiority of Korean and its culture could be widely known in the world. So he could be called a pioneer of International missionary work in Korean Buddhist history. Ku-san was very titely connected with Ji-nul in the way of life and thinking, and also with Hyo-bong who had practiced with koan of Mu(無) all his life. He inherited the tradition of Ji-nul in the way of Koan-Seon(看話禪) which came from Hae-nung(慧能), the 6th patriarch. As the result, he was the follower of the system of Sudden-awakening and gradual-cultivating(頓悟漸修). Therefore, he has been a propagator of Ji-nul and Hyo-bong, a successor of Koan-Seon, a practicer of concurrent cul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雙修) and a supporter of Suddenawakening and gradual-cultivating.

      • KCI등재

        조계총림 송광사의 수행과 문화

        고영섭(Ko Young Seop)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39 No.-

        이 논문은 조계총림 송광사의 수행 전통과 문화 지형을 살펴본 글이다. 조계총림 송광사(松廣寺)는 불교 조계종의 팔대총림(八大叢林) 중 조계총림의 본산이자 삼보사찰 중 승보종찰(僧寶宗刹)로 알려져 있다. 송광사의 원 절터였던 길상사(吉祥寺)는 신라 말 혜린(慧璘) 대사가 초창한 절이었다. 하지만 길상사는 후백제 전쟁을 치르면서 폐사된 뒤 다시 복원되지 않았다. 고려 인조 때 석조(釋照) 대사에 의해 중창이 진행되다가 선사의 갑작스런 입적으로 인해 완수되지 않았다. 그 뒤 거조사(居祖寺)에서 활동하던 지눌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정혜균습(定慧均習)의 살림살이를 제창하고 선교일원(禪敎一元)의 사고방식을 창안하면서 고려 불교계의 지형은 변모하기 시작했다. 송광사는 고려 지눌(知訥)선사를 필두로 하여 16국사와 나옹(懶翁)과 무학(無學) 왕사를 배출하였다. 이들 국사와 왕사는 이곳에 머물며 국사와 왕사로 책봉되었으므로 송광사의 인물로 집계할 수 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부휴계(浮休系) 문도들이 주로 이곳에 머무르며 송광사의 임제 법통(臨濟法統)을 주도하고 승풍(僧風) 진작에 힘썼다. 대한시대에도 고승 대덕들이 이곳에 머물렀으며 가야총림의 초대방장이었던 효봉 학눌(曉峰學訥)의 송광사 주석(1937~1946)을 필두로 하여 조계총림의 1ㆍ2대 방장인 구산 수련(九山秀蓮), 제3ㆍ4대방장인 회광 일각(廻光壹覺) 및 제5대 방장인 범일 보성(梵日菩成)이 주석하면서 총림과 사찰의 가풍을 드높였다. 조계총림 송광사는 보조 지눌(普照知訥)이라는 빼어난 수행자의 수행과 사상을 '보편적인 인류의 사상'으로 펴고자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울림을 지니고 있다. 지눌은 신라의 대표적인 사상가인 분황 원효(芬皇元曉)와 함께 한국의 대표하는 사상가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12세기에 그가 지녔던 역사의식과 시대정신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에서 조계총림 송광사의 대사회적 기반과 소통의 기제를 다시 확인하게 된다. 송광사는 보조 지눌의 정혜결사에서 제시한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 및 『진심직설』(眞心直說) 등에 담긴 뛰어난 사상"을 철학적 배경이자 사상적 근거로 삼고 있다. 때문에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보조 지눌의 선법을 확산하고 학술연찬을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더 요청되는 것이다. 조계총림은 고려 보조 지눌국사의 수선사와 이후 16국사를 배출한 조사전을 중심으로 한 여러 전각들이 승보종찰의 가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일찍이 구산 수련은 송광사 국제선원을 만들어 눈 푸른 납자들을 맞이하여 한국 간화선을 세계화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또 서울에 송광사 분원(法蓮寺)을 만들어 학술과 출판 및 장학재단과 갤러리를 운영함으로써 현대판 사찰운영의 전형을 제시해 왔다. 여기에다 성북동 길상사를 조계총림에 품음으로써 불교 뿐만 아니라 이웃 종교와의 대화와 소통의 무대까지 마련하였다.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안하려는 다양한 노력은 목우자 지눌의 가풍을 잇고자 했던 효봉 학눌과 그의 전법제자인 구산 수련과 불일 법정의 노력에 힘입은 결과로 보인다. 조계총림과 삼보종찰의 가풍과 문화의 특징은 한 마디로 '올바른 수행자상의 제시'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지눌 등의 16국사와 나옹-무학 등의 2왕사 및 효봉 학눌-구산 수련 등으로 이어지는 수선문화를 극대화하는 장치가 요청된다.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수련문화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국제적인 명성을 얻어가는 템플스테이의 활성화와 사찰 음식의 대중화는 조계총림의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절호의 타이밍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시대 현대인들이 요청하고 있는 치유와 소통을 위한 '참선수행 캠프' 혹은 '단기출가 캠프' 또는 '전통문화 캠프' 등을 운영하여 새로운 가풍과 문화로 승화시켜야 할 것이다. 송광사가 일찍부터 문서포교에서 남다른 감각을 보여주었고 문화지형의 형성에 뛰어난 시각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은 대중적인 지명도를 지닌 불일 법정과 그를 잇는 일초(一超, 高銀/泰), 석지현(釋智賢), 돈연(頓然), 보원(普願), 지원(智原) 등 일련의 문인 가풍을 지닌 승려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조계총림은 『불일회보』를 통해 사회 각층의 전문가들과 소통하였고 보조사상연구원을 통해 목우(牧牛)가풍과 부휴(浮休)가풍 및 효봉(曉峰)가풍과 구산(九山)가풍의 확산과 학술 연찬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우리 사회에 조계총림송광사라는 존재감을 분명하게 각인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송광사는 구산 수련, 회광 승찬, 불일 법정(佛日法頂) 등의 입적 이후 상대적으로 그 존재감이 미약해진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들을 잇는 후속 인물들의 교단 내 존재감과 대중적 지명도가 조계총림 송광사의 울타리를 넘지 못하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training tradition and cultural topography of Jogye Vindyavana Hall Songgwangsa. Jogye Vindyavana Hall Songgwangsa is known as the head temple of Jogye Vindyavana Hall among 8 Vinaya Halls and the temple producing the great priest among 3 main temples. Gilsangsa, which was the origin temple site of Songgwangsa, was the temple founded by Priest Hyerin(慧璘) in the end of Sinra Age. However, Gilsangsa was not recovered again after it was destroyed during Post Baekje War. Although its reconstruction was proposed by Priest Seokjo(釋照)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of Goryeo Dynasty, it was not completed because of the sudden death of the priest. After that, as Jinul(知訥), who acted in Geojosa(普濟寺), moved here, advocated the life of balance practice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均習) and created the way of thinking of unitary of Seon and Kyo(禪敎一元), the topology of Joseon Buddhism began changing. Songgwangsa has produced Priest Jinul, 16 national priests and royal priests such as Naong and Muhak. These national priests and royal priests stayed in Songgwangsa until they were appointed for their duties. Therefore, they belong to the people of Songgwangsa.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apprentice of Buhyoo lineage(浮休系 門徒) stayed here, leading dharma lineage of Imje(臨濟 法統) of Songgwangsa and trying to improve the temple tradition. In the age of Daehan Empire, high priests stayed here. The first chief priest of Gaya Vindyavana Hall, Hyobong Haknul (premier of Songgwangsa: 1937~1946), the 1st and 2nd chief priest of Jogye Vindyavana Hall, Gusan Suryeon, the 3rd and 4th chief priest Hoegwang Ilgak and the 5th chief priest Beomil Boseong stayed here, improving the tradition of Vinaya Hall and temple. Jogye Vindyavana Hall has a significant force from the aspect that it has displayed 'universal human thought' through the training and thought of the great disciplinant (Bojo Jinul). It is because Jinul was the philosopher representing Korea with Bunhwang Wonhyo who was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Sinra. In addition,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 spirit of the times are still valid today. We can check the social foundation and communication base of Jogye Vindyavana Hall Songgwangsa in this point. Songgwangsa use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Balance Cutiv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雙修) and the great thought contained in 『Jinsimjokseol』" as the background of philosophy and the ground of thought. Therefore, more effort to enlarge the training method of Bojo Jinul and confirm the study of scholarship is required in the global age. Jogye Vindyavana Hall shows the tradition of the temple producing the great priest around various Buddhist memorial buildings such as Suseonsa of Bojo Jinul and Josajeon producing 16 national priests. Gusan Suryeon founded the international Zen school in Songgwangsa, invited foreigners and le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Ganhwa Seon. In addition, he founded the branch of Songgwangsa in Seoul so as to run academic, publishing and scholarship foundation and gallery, suggesting the contemporary model of temple operation. He also established the stage for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with neighboring religion by embracing Seongbuk-dong Gilsangsa. It seems that various efforts to succeed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e new culture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efforts of Hyobong Haknul, his disciples, Gusan Suryeon and Bulil Beopjeong.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 and culture of Jogye Vinaya Hall and the temple producing the great priest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the proposal of right disciplinant image. Because of this reason, the measure to maximize the practicing Seon(修禪) culture connected from 16 national priests including Jinul to 2 royal priests such as Naong Hyegeun(懶翁惠勤) and Muhak Jacho(無學自超), Hyobong Haknul(曉峰學訥) and Gusan Suryeon(九山秀蓮). Moreover, the tra

      • KCI등재

        전법계보를 통해 본 효봉선사의 법통 인식

        최규태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This paper insists that it is not a contradiction that although Hyobong(曉峰, 1888-1966), a great zen master in modern korea, positioned himself as a zen master in Taego dharma tradition(太古法統), in practice, he supported the theory of Bojo dharma tradition(普照法統) which is in conflict with Taego dharma tradition. Hyobong is a strict Ganhwa(看話) zen master who is belong to a dharma tradition of Haewon(海源,1691-1770) division(海源門派), Pyeonyang(鞭羊, 1581-1644) sect(鞭羊派), Cheongheo(淸虛, 1520- 1604) Dharma line(淸虛系). In spite of his original dharma tradition, after a dream in which Hyobong heard a dharma speaking of Gobongbeopjang(高峰法藏, 1351-1428) who is the 16th national preceptor(國師) of Songgwang temple(松光寺), very famous korean buddhist temple, he changed his buddhist name which was conferred on him from his buddhist teacher belonging to Taego dharma tradition. They say that this change of a buddhist name may mean that Hyobong received the dharma of Gobongbeopjang, but in opinion of this paper, this don't mean Hyobong's receiving of the dharma of Gobongbeopjang, but a action showing that he takes Bojojinul's the spirit of buddhist practice society as an idea for modern korea buddhism reform. So, in opinion of this paper, the reason why Hyobong raised Jinul's idea and supported the theory of Bojo dharma tradition comes from his spirit of the age, not from a political problem of which buddhist dharma tradition is authenticity . In addition, this paper considers shortly zen masters who have not been known well untill now in the line of Hyobong dharma tradition in the process of proving in the opinion of this paper. 본 논문은 효봉선사의 법통관을 고찰하여 태고문손임을 자임함에도 보조법통설을 주장하는 듯한 선사의 이중적 태도가 실제로는 전혀 모순이 없음을 주장하였다. 효봉선사는 스스로가 태고법통을 이어받은 청허계 편양파 중에서도 해원문파의 사람임을 자임하는 철저한 간화선사이다. 그런 선사가 몽중법문을 통해 송광사 제16국사인 고봉원묘의 법문을 듣고 이전의 법호와 법명을 바꾸었는데, 이것은 고봉의 법을 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당대의 한국불교를 개혁할 가장 적합한 정신으로 보조지눌의 정혜결사의 정신을 선택했다는 자신의 의지를 천명한 행위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효봉은 태고의 법통을 계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지눌의 정신을 선양하고자 했다. 이런 점에서 보조법통설을 지원했던 효봉의 의지는 당대불교를 바라보는 그의 시대정신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야만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주장을 논증하는 과정에서 아울러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효봉선사의 법계에 나타난 인물들의 사상과 법맥을 고찰하여 효봉의 근본정신이 어디에 있는가를 분석했다.

      • KCI등재

        Hyobong Sŭnim and “Studying Chinul” (Hangnul 學訥) : The Centrality of Chinul’s Excerpts (Chŏryo 節要) to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Robert E. Buswell. Jr.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서 기념하고자 하는 효봉스님(曉峰, 1888-1966)은 지눌(知訥, 1158-1210)과 지눌이 선도했던 수행접근법을 매우 존중했던 분이다. 효봉스님은 ‘지눌을 공부함’이라는 뜻을 담은 ‘학눌(學訥)’을 법호로 삼았을 만큼, 송광사 선맥의 선진자였던 지눌을 향한 존경심이 대단히 깊었다. 최근에 완성된 저자의『절요』에 관한 책은 지눌의『절요』가 한국불교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저작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절요』에 밝혀져 있는 지눌의 해탈을 위한 독특한 돈오점수론(頓悟漸修論)은 실제로 한국불교역사에 있어 유일하게 주류 수행접근법으로 여겨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지눌을 공부할 것’을 권장했던 효봉스님을 본보기삼아 왜 지눌의『절요』가 한국불교의 핵심의 위치에 재정립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Hyobong Sŭnim, whom we are commemorating at this conference, had great respect for Chinul 知訥 (1158-1210) and the approach to practice that he pioneered; in fact, Hyobong Sŭnim’s sobriquet Hangnul 學訥, “Studying Chinul,” indicates how profound was his respect for his predecessor in the Songgwangsa 松廣寺 monastic lineage. I have recently completed a new book on Chinul’s Excerpts (Chŏryo 節要), which I believe demonstrates conclusively that it is the single most influential work ever written by a Korean Buddhist author. I am similarly convinced that Chinul’s distinctive soteriological approach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ono chŏmsu 頓悟漸修) as recounted in his Excerpts constituted the mainstream-really, the only stream- of Korean Buddhism throughout virtually all of history. In this brief paper, I seek to emulate Hyobong Sŭnim’s own encouragement to “Study Chinul” (Hangnul 學訥) and outline in very broad swath why I believe Chinul’s Excerpts deserves to be restored to its rightful place at the very center of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 청담대종사의 선사상과 선풍 - 효봉 및 성철 선사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

        김방룡 ( Kim Bang-ryong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10 마음思想 Vol.8 No.0

        청담의 사상은 마음 · 정화 · 인욕 · 호국 · 교육 · 포교 · 선사상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청담의 삶은 한국 근현대불교의 역사와 함께 했다. 근현대 한국불교계의 고뇌와 질곡과 오욕 그리고 정화와 변혁과 희망이 청담의 삶속엔 고스란히 담겨 있다. 청담의 선사상에 대한 연구는 위에 열거한 여러 가지 사상 중 상대적으로 미약했다. 본고에서는 청담의 선사상과 청담의 선풍(禪風) 및 청담의 선풍에 대한 특징을 조망함으로서 청담선(靑潭禪)을 학술적으로 조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청담 선사상과 선풍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근현대 대표적인 선사(禪師)인 효봉과 성철의 선사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청담의 선풍을 밝히고자 하였다. 청담 선의 기초는 ‘마음’에 있다. 청담은 선을 실상선과 방편선으로 구별하고 있으며, 실상선을 추구하면서도 방편선을 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청담이 제시한 선수행법은 간화선으로, 이는 근현대 선승들의 입장과 동일하다. 청담의 선풍은 크게 유심(唯心)의 선풍, 무위(無爲)의 선풍, 원융의 선풍, 대승보살도의 선풍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효봉이 보조선을 계승하고 성철이 돈오돈수를 주창하였다면 청담선의 특징은 ‘대승보살선’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근현대 선승들이 모두 간화선을 주창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청담선이 가진 독자성과 그 현대적 의의를 음미해 보았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A master Cheongdam's thoughts are summarized by concepts of the mind, purification, endurance, defence of country, education, missionary work and Zen thought. He had lived with the Buddhist history of modern Korea. In his life there are totally filled with sufferings, fetters, disgrace, purification, reformation and hope of the modern Korean world of Buddhism. Especially, the study on Cheongdam's Zen thought is weaker than any other of his thought as I said before. What I wish to show in this paper is to consider his Zen thought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Zen trend academically. First, I will look into Zen trend of his Zen thought. Second, I will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Zen trend compared with the Zen thoughts of Seongcheol, a modern representative Zen master. The basic of Cheongdam's Zen thought is in mind. He had differentiated between the real Zen and the instrumental Zen. Pursuing the real Zen, he embraced the instrumental Zen. He suggested Kanhwa-Zen as a way of Zen practice like other modern Zen masters. His Zen trend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he trend of spiritualism, inaction and comprehension and the practice of doctrines of Mahayana-bodhisatva. The master Hyobong succeeded the Bojo-Zen and the master Seongcheol advocat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dam's Zen thought is prescribed as the Zen of Mahayana-bodhisatva in contrast to other Zen thoughts. Though every modern Zen master advocated Kanhwa-Zen, I studied on the originality and the modern significance of Cheongdam's Zen thought among modern Zen mas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