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관생도의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김민수,이민수,강원석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회복탄력성의 여러 요인과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지지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었다. 그리고 문헌 연구를 통 해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심리적 안녕감이 매개하고 사회 적 지지가 조절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변수들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한 회 귀분석을 통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사관생도 약 2개 중대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93명으 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 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두 기준 값을 충족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설 검정한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관생도의 회복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관생도의 심리적 안녕감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관생도의 회복탄력성은 모두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관생도의 심리적 안녕감은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다섯째, 사관생도의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 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직결되며, 두 변수간의 관계를 심리적 안녕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더 이상 회복탄력성을 개인적 요인으로만 파악할 것이 아니라 사관생 도의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켜주어야 한다. 구체 적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인 낙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겨울학기 리더십개발교육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긍 정적인 태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비중을 높이고, 현재 야전에서 실시되고 있는 ‘1일 5감사 운동’을 활발히 실시하는 것이 방안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4개 학년 중 가장 회복탄력성이 낮게 나타난 4학년 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4학년들에게 일일교사와 같은 대외 활동을 정례적으로 실시하게 하여 하위요인인 자기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동기생들과 이야기를 나눌 시간을 부여하여 커뮤니케이션 능력 과 공감능력 등 사회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성과와도 직결되는 사관생도의 조직몰입을 향상시 키기 위해 나가야 할 방향을 회복탄력성의 여러 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을 통해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회복탄력성 연구 동향과 과제 : 회복탄력성 개념과 척도를 중심으로

        기경희,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기존 회복탄력성 척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먼저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성격적 특성과 역동적 과정으로 구분한 연구자들의 입장을 정리하고, 역동적 과정으로서의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맞춰 회복탄력성의 개념을‘역경에 대한 해석’과‘긍정적 적응의 수준’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그리고 국내 연구에 활용되는 회복탄력성 척도들이 연구자가 밝힌 회복탄력성 개념에 맞게 개발되고 있는지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연구자가 회복탄력성 개념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척도를 개발하거나, 척도 개발에서 밝힌 회복탄력성 개념과 실제로 측정한 값이 동일하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회복탄력성의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각자의 연구목적에 맞는 회복탄력성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개념 정립을 기초로 회복탄력성의 역동적 과정을 측정하는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학교 중심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Resilience was theoretically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school counseling was discuss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ed resilience scale. First, we summarized the position of researchers who classify the concept of resilience as a personality trait and a dynamic process, The concept of resilience as a dynamic process was understood in terms of 'interpretation of adversity' and 'level of positive adaptation'. In addition, we compared the resilience measures used for domestic research to the concept of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esearchers developed a scale without reveal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the concept of resili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was not the same as the actual measured value. The research direction and task of resilience afterward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need to conceptualize the resilience of research.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ilience measure that measures the dynamic process based on the concept of resilience. Third, school-based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that promotes resilience is needed.

      • KCI등재

        아동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간의 관계

        강남욱,김장회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2 교류분석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아동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 동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경남 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중 무선으로 표집된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아동이 지각한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 아동의 회복탄력성, 부모의 회복탄력성, 스트레 스 지각도 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회복탄력성과 지각된 부모회복탄력성 간에 높은 정적상관이 관측되었다. 더불어, 아동회복탄력성과 부모회복탄력성 모두 스트레스 지각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아동회복탄력성이 부모회복탄력성보다 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아동회복탄력성과 부모회복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상관성 분석에서 아동회복탄 력성과 부모회복탄력성 모두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부모회복탄력성이 아동회복탄력성보다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스트레스 예방 과 극복에서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아동 및 부모 대상의 체계 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현문정(Hyun Mun J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출소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출소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1에서는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개념을 정의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출소자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검토하여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개념 및 요인들을 구성하였으며,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요인이 구성되었다. 따라서 연구 1에서는 출소자의 특성을 반영한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3개의 중범주로 긍정사고 ․ 정서통제 ․ 사회관계로 구성하였다. 긍정사고의 하위요인은 자존감 · 생활만족도 · 자기낙인이고, 정서통제의 하위요인은 원인분석력 · 긍정적 분노대응 · 부정적 분노대응이며, 사회관계의 하위요인은 소통능력 · 공감능력 · 사회적 지지로 구성되었다. 연구 2에서는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해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조를 구성하였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14단계의 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 후, 총 4차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출소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자문, 그리고 14단계의 체계적인 개발모형을 적용하여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11월까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연구용역사업으로 수집된 ‘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Ⅱ)’의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목적에 맞게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출소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 개발이 출소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이론적 · 실증적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Ex-prisoners’ resilience,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their resilience, and evaluated the program s effectiveness after implementation. In Study 1, the concept of Ex-prisoners’ resilience was defined. The protection and risk factors of the Ex-prisoners were identified, and the concept and factors of the Ex-prisoners’ resilience were compo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dditionally, to determine the components adequacy of the Ex-prisoners’ resilience and to secure its validity, the factors of Ex-prisoners’ resilience consisted through expert advice.` In Study 2, a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Ex-prisoners’ resilience. The program s structur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indings, and a 14-step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used to ensure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reover, after composing the program s contents, the program s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via a fourth expert consultation. As a result, a program aimed at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the Ex-prisoners was develop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Ex-prisoners to society.

      •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김용희,서성기,이동명 한국항공경영학회 2020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20 No.-

        본 연구는 구성원의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이 객실승무원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서노동은 직무수행에 있어 조직이 원하는 표현규칙에 맞게 개인의 정서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정서노동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서능력이 필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조직이 요구하는 ‘표현규칙’에 집중하여 통제이론관점에서 정서노동을 분석한 연구가 많았지만, 본 연구는 정서능력이 개인이 가진 자원이라는 관점에서 자원보존이론을 확장시키고 정서노동의 선행변수로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을 독립변수로 상정하였다. 특히 독립변수들이 정서노동의 선행변수가 되는 지를 표면행동과 심화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보다 세부적으로 실증하고, 기존 매개·조절변수로 드물게 연구되었던 회복탄력성을 독립변수로 상정하여 표면행동과 심화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회복탄력성이 정서노동에 선행변수가 되는 지 여부를 분석한 데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국내 K항공 승무원을 대상으로 총 333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가설 검증에 이용하였다. 가설검증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서지능은 표면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1과 회복탄력성이 표면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3은 기각 되었으나, 이를 통해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이 높을 수록 표면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승무원들은 직무수행에 있어 ‘항상 미소로 친절하게’와 같은 조직의 표현규칙이 있기 때문에 표면행동이 필요한 상황은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이 요구하는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겉으로 드러내는 행동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은 이러한 표면행동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정서 능력(자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정서지능이 심화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설2와 회복탄력성이 심화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4는 지지되었다. 따라서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은 자신의 정서를 변화시켜 조직이 요구하는 정서와 일치시키는 심화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면,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은 표면행동 및 심화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통해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그것을 조절하여 활용하는 능력인 정서지능과 부정적 상황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서노동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보유한 정서능력인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고찰

        권수현(Kwon Su Hy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유아교사가 가진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향상 방안을 밝히고자 하였다. 유아교사 회복탄력성은 교직 수행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내적요인과 외적보호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써, 개인적?전문적 만족을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 보호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적요인은 회복탄력적인 개인적 특성을 의미하고 외적 보호요인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으로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내적요인으로는 심리적 요인, 행동적 요인, 전문성 요인, 사회적 능력 요인이 있으며, 외적보호요인은 가족이나 친구 관계와 같은 개인적 환경요인과 동료교사, 기관장, 학생과의 관계적 환경요인, 행정이나 정책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조직적 환경요인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복합적인 능력이므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측면, 기관적 측면, 국가적 측면에서의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 학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복합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교사의 회복탄력성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유아교사 회복탄력성을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구분되는 교사로서의 회복탄력성 관련요인, 즉 교사로서의 효능감, 목표의식, 소명감, 교수 능력 등 내적요인과 동료 및 기관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조직문화 등 외적 보호요인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회복탄력성과 각 구성요인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This literature review is intended to define the concept and the component factors of resilienc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nd to present ways to improve their resil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is the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ractic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it means a capability to maintain personal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Internal factors describ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represent factors which preserve and reinforce teachers’ resilience. Internal factors include psychological, behavioral,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include personal environmental, relational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Thus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is a complex ability. Various efforts by personal, institutional, and national dimensions are essential to improve the 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fining the concept of teacher resilience, reflecting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currently presented in the literature. It lays the foundation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including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as a teacher, which is distinguished from resilience of the general public. These are internal factors such as efficacy, the sense of purpose, the sense of calling, and teaching skill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such as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the director of the center, parents of children,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in-depth stud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the compounding factors.

      • 법무보호대상자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현문정,공정식,노혜선,권준성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0 법무보호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silience program for ex-offend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the discussion that resilience is a major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ex-offenders. In order to develop a reliable resilience program, i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resilienc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x-offenders by differentiating them from the general public. In this study, resilience was constructed as factors tha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o the ex-offenders in previous studies. The category of resili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ositive thinking,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hip, and each category was composed to include three components. Based on these factors, the program was propos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in 8 sessions, and the activities were selected to treat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in each session. As a result,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and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level of resilience within the group of the participants,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e subjec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did not change. These result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ilience program, and the program can be used for the social adaptation. 본 연구는 법무보호대상자의 심리요인 중 회복탄력성이 이들의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에 주목하여, 법무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법무보호 대상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법무보호대상자 집단 의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일반인과 차별화하여 재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법무 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법무보호대상자에게 유의하다고 밝혀진 요인들로 회복탄력성을 구성하였다. 회복탄력성 중범주는 긍정사고, 정서통제, 사회관계로 총 세 범주로 분류되고 각 중범주에는 세 가지의 하위요인이 포함되도록 구성하 였다. 긍정사고에는 자존감, 생활만족도, 자기낙인이 구성되어 있고 정서통제에는 원인분석력, 긍정적 분노대응, 부정적 분노대응이, 사회관계는 소통능력, 공감능 력, 사회적 지지가 구성요인으로 포함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구성안을 제안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 단계를 거쳐 타당성이 검증된 법무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각 회기마다 목표한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다루도록 활동내용을 선정하였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의 남성 법무보호대상자 중 14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제 운영하였고 중도탈락 자를 제외한 10인의 법무보호대상자를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마찬가지로 경 기지부의 남성 법무보호대상자 중 11인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 로 구성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법무보호대상자의 전체 회복탄력성 수준이 참여 하지 않은 법무보호대상자에 비해 증가하였고 정서통제와 사회관계 수준도 유의 하게 증진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의 회복탄력성 변화를 파악한 결과 에서도 프로그램 수료 이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수료 이후 전체 회복탄력성 수준 과 정서통제 및 사회관계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법무보호대상자들의 회복탄력성 수준은 모두 변화하 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법무보호대상자의 회복탄 력성 향상에 효과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추후 공단에서 본 프로그램을 법 무보호대상자의 사회적응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 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김동일(Dongil Kim),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박알뜨리(Altteuri Park),오지원(Jiwon O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chool violence exposure types including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dual experience. The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the third year (2012)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1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6 who reported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lf-regression coefficien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exposed to school violence at 3 time points (2012, 2014, and 2016), it was found for all types of violence that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the previous time point showed a signig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me variable at the next time point. Second, in the cas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effect of previous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t the next time poi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victimization group, but not for the bullying or dual experience groups. Third, considering the opposite path from resilience to social support, resilience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support at the next time point for both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groups. This result is new and can b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tudies so far using a longitudina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ullying and victimized students who are relatively more resilient are less likely to perceiv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are not resilient. Finally, we discus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소피아앤,최광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 연구 주제: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심리적 안녕감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이 관계가 보다 강화됨을 규명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대해서도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 연구 배경: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지만, 이들 사이의 정확한 인과관계와 그 영향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이해함으로써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깊으며, 회복탄력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면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만 검증하는 것이 아니며,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중점을 두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통제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탐구하였다. 실증분석시, 자기효능감을 자기조절감, 자신감, 도전감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삶의 만족감, 긍정적 정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실무적으로 상담자에게 자기효능감을 심어주는 것이 회복탄력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심리적 안녕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면 회복탄력성 향상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기통제가 필요함에 대해서도 본 논문의 결과는 의미있는 정보를 제시한다. ·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통계 분석에는 IBM 버전 29.0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측정 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효과 검정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자기조절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1과 “자신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2, 그리고 “과업도전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 Research topics: This paper verifies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clarifies that this relationship is strengthened through the paramet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presen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 Research background: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e exa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their influence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and by understanding thi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various areas of mental health and stress managemen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s expected to be 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a mediating role. In addition, self-control is deep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can affect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self-control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First, whi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is pape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other word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id not on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but also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Second, this paper explored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self-efficacy,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trol. In the empirical analysis, self-efficacy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confidence, and challen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and each analysis was performed. Thir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whether instilling a sense of self-efficacy in counseling in counseling practically helps improve resilience. At this time, if psychological well-being plays a mediating role, it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resilience, and the results of this paper also suggest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need for self-control. ·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online and offline surveys on 250 adults over the age of 20, and IBM version 29.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In addition, a mediating effect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a moderating effect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 Research results: Research Hypothesis 1-1 of "Self-regula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Confidenc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research Hypothesis 1-2 of "Overwork challeng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Research Hypothesis 1-3 of "Self-effica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was adopted. Therefore, research hypothesis 1 of "Self-effica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was adopted. Research hypothesis 2-1 of "Satisfaction with life wil...

      •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윤애란(Yoon, Ae-ra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in school adjustment. The questions raised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① Does the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third graders differ according to gender? ② Does the student s resilience affect school adjustment? ③ Does the resilience of the 3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school adjustment,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peer relatio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chool life, and learn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116 of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measurement of the resilience is YKRQ-27 developed by Shin Woo-Yeol, Kim Min-gyu, and Kim Joo-hwan (2009), and the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the scale of school adjustment developed by Lee Gyu-mi (2005).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by using SPSS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mean value of male students was high at the insignificant level of the majority of the variables, but the average value of the female students was higher in positivity as a sub-factor of resilience, in learning activity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s means that students with a high resilience can adjust well to school life. Third, the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s, teacher - student relationship, school life, and learning activities. This means that students with a high resilience index have good peer relation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can do well in school life and learning activities. Fourth, among control, positivity and sociality as sub-factor categories of resilience, positivity and sociality except contro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school adjustment. Positiveness refers to gratitude,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In conclusion, it is empirically proved that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affects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limitation in research subjects’ participation may not be able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study. However, a variety of studies to improve the resilience index may be useful for enhancing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middle school 3rd graders.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있는가? ②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③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과 하위변인인 또래관계, 교사․학생관계, 학내생활,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생 11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로 회복탄력성은 신우열․김민규․김주환(2009)이 개발한 YKRQ-27를, 학교생활적응은 이규미(2005)가 개발한 중학생의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통계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남․녀 학생)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다수의 변인이 유의하지 않은 수준에서 남학생의 평균값이 높았으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습활동에서는 여학생의 평균값이 높았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는 회복탄력성의 지수가 높은 학생이 학교생활도 잘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또래관계, 교사와 학생관계, 학내생활, 학습활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는 회복탄력성의 지수가 높은 학생이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도 좋고 학내생활과 학습활동도 잘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의 범주에서 통제성을 제외한 긍정성과 사회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긍정성은 감사하기, 생활만족도, 낙관성을 말한다. 사회성은 관계성, 커뮤니케이션, 공감능력이다. 긍정성과 사회성이 올라가면 학교생활적응능력도 향상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하지만 연구대상의 제한적인 참여는 본 연구의 일반화에 무리가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밝혀진 회복탄력성의 지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성을 높이는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자는 본 연구가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상담지도와 다양한 교육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