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계기준의 변경이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정보효과에 미치는 영향

        안숙찬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와 회계저널 Vol.11 No.2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회계투명성과 국제적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1998년 말에 기업회계기준을 전면 개정하였으며, 2003년 이후에는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서들을 제정하여 시행하였다. 이러한 회계기준의 변경으로 인하여 외환위기 이전에 유지되었던 회계기준과 세법의 높은 일치성은 낮아지고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정보효과에도 변화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외환위기 이후 국제적 정합성 제고를 위하여 이루어진 1998년 말의 회계기준 변경과 2003년 이후 이루어진 회계기준의 변경이 회계이익 및 과세소득의 개별적 및 증분 정보효과에 미친 영향을 이익측정치와 주식수익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의 2,712 기업-연을 대상으로 2003년 이후의 회계기준 변경이 회계이익 및 과세소득의 정보효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계기준의 변경으로 회계이익의 개별 정보효과는 증가한 반면 증분 정보효과는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과세소득의 경우에는 회계기준 변경으로 개별 정보효과 및 증분 정보효과 모두 증가하였다. 과세소득의 정보효과가 증가한 것은 투자자들이 회계이익을 평가할 때 회계기준의 변경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과세소득을 벤치마크로서 더 많이 활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손실발생기업을 제외한 경우나 통제변수를 도입한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익조정수준을 통제하는 경우 과세소득의 개별적 및 증분 정보효과의 변화는 이익조정기업에서 주로 나타났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의 2,340 기업-연을 대상으로 1998년 말의 회계기준 변경이 회계이익 및 과세소득의 정보효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계기준이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회계이익의 개별 및 증분정보효과와 과세소득의 증분 정보효과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998년 말의 회계기준 변경 이후 과세소득의 개별 정보효과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효과는 손실발생기업을 제외하거나 통제변수를 도입한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익조정수준을 통제하는 경우 이익조정기업에서 과세소득의 개별 정보효과 및 증분 정보효과 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투자자 및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회계이익 및 과세소득의 정보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회계기준 변경의 효익을 검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2011년부터 모든 상장회사에 적용하기로 결정한 IFRS의 도입이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Korean GAAP has been greatly changed twice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harmonize with global standards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GAAP changes lowered the high conformity of GAAP and tax law, and might change the informativeness of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AAP changes of the end of 1998 and after 2003 on the informativeness of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focusing on the association of performance measures and stock retur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2,712 firm-year from 2000 to 2005, GAAP changes after 2003 increased the separative informativeness of book income, but did not increase incremental informativeness of book income. However, GAAP changes increased separative and incremental informativeness of taxable income. The increased informativeness of taxable income implied that investors consider taxable income as a benchmark when they evaluate book income. These results are robust about excluding loss firms or introducing control variables, and the informativeness of taxable income increases with earnings management fir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2,340 firm-year from 1996 to 2000, GAAP changes of the end of 1998 did not increase separative and incremental informativeness of book income and incremental informativeness of taxable income. However, separative informativeness of taxable income decreased after the GAAP changes, but it disappeared when loss firms were excluded or control variables were considered. Earnings management being controlled, separative and incremental informativeness of taxable income decreased with earnings management firms. This study examined the benefit of GAAP changes analyzing the informativeness of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in the stock market, and the results may be useful to review the effect of the adoption of IFRS, which will start from 2011, on the investors and stock market.

      • KCI우수등재

        경영자(經營者)의 전략적(戰略的) 회계선택(會計選擇): 회계변경과 재량적발생액의 선택을 중심으로

        송인만,최신재 한국회계학회 2001 會計學硏究 Vol.26 No.1

        많은 기존의 연구들은 이익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을 때 경영자는 회계항목, 특히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이익관리의 수단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회계항목 중에서 외부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쉽게 관찰되는 부분(회계변경)과 그렇지 않은 부분(재량적발생액)으로 나누어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이익관리의 수단을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눔으로써 경영자들이 이익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을 때 회계변경과 이를 제외한 재량적발생액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이용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회계변경을 선택한 기업은 회계변경연도에 충분한 재량적발생액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회계변경을 선택하고 있으며, 재량적발생액을 사용할 수는 있더라도 당해 연도에 필요한 이익관리규모가 큰 경우에 회계변경을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주가검증에서도 회계변경이 재량적발생액에 비하여 더 크고 유의한 陽(+)의 회귀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반기재무제표에 회계변경을 공시한 기업은 연차재무제표에 공시한 기업에 비하여 반기이익변동이 더 크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경영자들은 이익관리의 수단으로 회계변경보다는 쉽게 관측되지 않는 재량적발생액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증권시장도 보다 쉽게 관측되지 않는 재량적발생액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반응을 보이고 있음이 관측되었다. 본 연구는 이익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을 때 이익관리의 도구로써 활용되는 다양한 재량적발생액 중에서 경영자들이 전략적으로 선호하고 있는 항목을 이해하고 주식시장에서 이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는데 필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회계변경의 자의성과 시장반응 - 코스닥기업을 중심으로 -

        김문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market differentially responds to the causes of o accounting change. The causes include the dichotomy, voluntary and non-voluntary, of accounting changes, the impact of accounting changes on reported income, the frequency of accounting changes, firm size. The study period ranges from 2002 to 2005 and the sample used consists of 189 changes made by KOSDAQ- listed firm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bnormal stock returns are more negative for non-voluntary accounting changes than for voluntary changes. In addition, when reported earnings increase by accounting changes, abnormal stock returns are negative. Th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when reported earnings increase by accounting changes, it is considered as earnings management by stock market. And non-voluntary accounting changes after accounting principles’ change transfer the negative information to the stock market. It means that accounting change itself is accepted as a signal by stock market. So, non-voluntary accounting changes by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could be considered as a signal on the low quality of the previous accounting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2002년~2005년 사이 기업회계기준서 제정에 따른 강제적 회계변경이 집중된 시기를 대상으로 자발적 회계변경을 한 기업들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을 검증하였다. 표본은 코스닥상장 기업의 189개 회계변경이었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회계변경으로 인해 이익이 증가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누적초과수익률은 유의적인 음(-)이었다. 둘째, 자발적으로 회계변경을 한 경우에 비해 기준서 제정에 따라 강제적으로 회계변경을 한 경우 상대적으로 누적초과수익률은 유의적인 음(-)이었다. 그러나 회계변경 전기의 손실보고 여부, 회계변경으로 인한 보고이익의 증가유무, 회계변경의 횟수, 중소기업 유무 등은 누적초과수익률에 대한 유의적인 설명변수가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식시장이 회계변경으로 인한 보고이익의 증가와 이익조정의 크기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반응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업회계기준서 제정에 의한 강제적 회계변경은 변경 이전 회계정보의 신뢰수준에 대해 부정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주식시장은 회계변경을 통한 이익효과 뿐만 아니라 회계변경이라는 사건 자체에 대해서도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국제회계기준(IFRS)이 도입될 경우 이에 따른 강제적 회계변경에 대해 시장이 부정적으로 반응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기업은 앞서 점차 회계를 국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예측과 다른 회계법인 선택 효과

        박연희 ( Park Yeon Hee ),송인만 ( Song In Man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기업이 예측모형에 의해 예측된 감사인과 다른 유형의 회계법인을 선택하는 이유가 프리미엄과 이익조정 때문인지를 검증한다. 기업의 재무구조 및 규모에 따라서 선임되어야 할 감사인으로 예측모형에서 Big4 회계법인으로 예측되고 있는 기업이 있는 반면, Non-Big4 회계법인으로 예측되고 있는 기업이 있다. 그러나 기업은 감사인을 교체할 때 그들의 상황에 맞지 않는 즉, 예측모형과 맞지 않는 다른 유형의 회계법인을 선택할수 있다. 기업의 특성 상 예측되는 회계법인이 Non-Big4이지만, 실제로 Non-Big4 회계법인을 선임할 수 있고, Big4 회계법인을 선임할 수도 있으며, 예측 회계법인이 Big4일경우, 실제로 Big4 회계법인을 선임하거나 Non-Big4 회계법인을 선임할 수 있다. 예측 회계법인과 실제로 선임한 회계법인이 동일한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예측회계법인이 Non-Big4인데 Big4 회계법인을 선임했다면 높은 감사보수를 부담하더라도 Big4 회계법인을 선임한 이유가 Big4 회계법인에 의한 주식프리미엄을 얻기 위한 전략일수 있다. 반면 예측 회계법인이 Big4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감사품질이 낮다고 인식되고 있는 Non-Big4 회계법인을 선임했다면 이익조정 등의 동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측과 다른 회계법인을 선임/변경하는 이유가 프리미엄이나 이익조정등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동기 때문인지 검증한다. 이를 위해 예측과 다른 감사인 유형을 선임/변경한 기업과 예측과 동일한 감사인 유형을 선임/변경한 기업을 비교하고, 추가로 예측 회계법인 유형은 다르지만 선임/변경된 감사인 유형이 동일한 기업들을 비교한다. 분석결과, 예측 회계법인이 Non-Big4이었으나 Big4 회계법인을 선임한 경우, 주식시장에 서는 감사인을 선임하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기업의 재무적 특성이 다를 때는 선임한 감사인이 동일한 감사인 유형이라도 주식시장의 프리미엄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본시장에서는 예측 감사인 유형과 선임된 감사인 유형에 대해 그렇게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예측회계법인이 Big4이었으나 Non-Big4 감사인을 선임한 경우, 예측된 회계법인 유형이 같지만 선임된 감사인 유형이 다를 때 이익조정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선임된 감사인 유형이 같더라도 재무적 특성을 고려하여 예측된 예측감사인 유형이 다를 때 이익조정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주식시장에서 Big4 감사인이라는 시그널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프리미엄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Big4 감사인으로 예측되는 기업이 Non-Big4 감사인을 선택하는 경우가 Big4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보다 이익조정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예측 회계법인과 실제로 선임한 회계법인이 다를 때, 특히 예측 회계법인이 Big4이지만 실제로 Non-Big4 회계법인을 선임한 기업들은 이익조정의 유인이 존재할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기업 특성에 적합하지 않은 낮은 품질의 회계법인을 선택한 기업들에 대해서는 특별한 주의를 요해야 한다는 근거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Prior researches have examined the effect of auditor rotation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using a logistic model we estimate an expected auditor fitting to firms`` financial conditions and analyze the effect of appointing and/or rotating auditors who is not expected auditors. It could be easily assumed that there exists an appropriate auditor considering firms financial conditions. However, some firms may appoint a Big4 auditor although it’s financial conditions is not so appropriate to appoint a Big4 auditor, or vice versa. There may be some reasons to appoint auditors who are not fitting well to their financial conditions. Specifically, first, if some firms choose higher quality auditors than an expected auditor, they might want to provide a more favorable signal to capital markets. It is because they could expect market premiums from the higher quality external audit. On the other hand, if some firms appoint an auditor of a lower quality than an expected auditor, this may be because these firms may want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 of their poor financial conditions. This may be done by managing earnings somehow upwards under lower quality external auditors(Bell and Tabor 1991, Park 1999). In other words, these firms may have an incentive to choose a lower quality auditor for the purpose of alleviate stern external auditing(Dhaliwal et al 199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firms could achieve their intended purpose(market premium) by appointing higher quality auditors(Big4) who are different from an expected auditor(Non-Big4) and whether capital market penetrate firms`` intention of choosing auditors different from an expected auditor. Also, this study tests whether firms which appoint lower quality auditors(Non-Big4) than an expected auditor(Big4) may have more incentives for earnings management in comparison with those firms which appointed auditors having same quality as the expected. In summary, firms may have incentives to appoint auditors different from an expected based on their financial conditions for premiums or earnings management. Especially, if the appointment of auditors different from the expected is for increasing earnings or purchasing audit opinions, it will be critical problems we have to pay closer attention. This study is clearly different from existing literatures which have analyzed the effect of simply rotating auditors downward or upward. In order to achieve our purpose, this study performs two sequential steps. In the first stage, we estimate an expected auditor considering firms`` financial conditions. It is performed using a logistic model where a dependent variable is a dummy variable that equals to 1 if Big4 is, 0 otherwise. We estimates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apply those coefficients to estimate an expected auditor for each firm. If the estimated dependent variable is greater than 0.5, we assume that those firms is fitting to Big4, and vise versa. In the second stage, we set the research hypotheses and test to examine the effect of appointing auditors different from an expected one. Ou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stock market, this study can’t find that market premium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appointed auditors even when firms appoint higher quality auditors(Big4) than an expected auditor(EN_AB vs. EN_AN).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appointed auditor is same as an expected one, market premium weakly exists when firm’s financial condition is better(EN_AB vs. EB_AB).<Table 4-5, Panel 1> In other words, in capital market, firms could not achieve additional market premium by just choosing higher quality auditors when their financial conditions is not well fitting to choose that auditor.<Table 4-5, Panel 2> That is, our hypothesis is not supported. This may be because Korean Big4 have not built up their reputation to the point creating premium in the capital market. Second, if firms appoint and/or rotate to lower quality auditors(Non-Big4) than an expected auditor(Big4), earnings management is higher (EB_AN vs. EB_AB).<Table 4-6> That is, our hypothesis is supported. Overall, our results will provide a reasonable evidence that information users should take special precautions when appointed auditors differs to an expected auditor, especially when firms appoint and/or rotate to lower quality auditors than an expected one.

      • KCI우수등재

        중단영업손익의 구성항목을 이용한 이익조정

        원중식 ( Joong Sik Won ),이용규 ( Yong Gyu Lee ),신영직 ( Young Zik Shin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6

        본 연구는 경영자들이 재량적으로 영업관련 비용을 중단영업에 속하는 비용으로 분류변경하거나 중단영업부문에 속하는 수익을 계속영업부문 수익으로 분류변경하여 계속영업이익과 같은 단계별 이익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 현상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2006~2013년의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McVay(2006), Barua et al.(2010) 및 이세철 등(2008)에서 사용한 기대이익률 추정모형에 의해 측정된 비기대 영업이익률은 이익을 감소시키는 중단영업손익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그리고 중단영업손익과 차기 비기대 영업이익률 변동간에는 음(-)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기업의 경영자들이 일시적인 이익조정을 목적으로 중단영업손익 항목을 이용한 분류변경을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단영업손익을 중단영업에 속하는 수익, 영업비용, 기타비용 및 법인세비용의 4가지 항목으로 세분화한 모형에서 중단영업에 속하는 영업비용은 비기대 영업이익률과 유의한양(+)의 관계를 보였고, 차기 비기대 영업이익률 변동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중단영업에 속하는 수익은 비기대 영업이익률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고, 차기비기대 영업이익률의 변동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경영자들이 영업비용을 중단영업에 속하는 영업비용으로 분류변경하거나 중단영업부문의 수익을 계속영업부문의 수익으로 분류변경함을 의미한다. 셋째, 목표이익 달성을 위한 분류변경과 관련하여, 중단영업손익을 이용한 분류변경이 양(+)의 계속영업이익 달성을 위해 사용됨과 전기 계속영업이익의 초과달성을 위해 사용됨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K-IFRS 도입 이후 중단영업손익을 이용한 분류변경이 감소하였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중단영업손익을 이용하여 분류변경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중단영업에 속하는 영업비용과 수익이 이러한 이익조정에 이용되고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향후 분류변경에 관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K-IFRS 도입 이후 중단영업손익을 이용한 분류변경이 감소한 것을 보임으로써 회계정책기관 등의 정보이용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nagers engage in classification shifting within an income statement when reporting discontinued operations. Using a methodology similar to McVay(2006), Barua et al.(2010), and Lee et al.(2008) as well as data of Korean firms which provide components of discontinued operations, we find evidence suggesting that managers inflate recurring income subtotals, such as operating income and income from continuing operations, by engaging in classification shifting using discontinued operations. Specifically, our findings indicate that managers shift (1) operating expenses from continuing operations to those from discontinued operations and (2) revenues from discontinued operations to those from continuing operations. We also find evidence suggesting that managers use various components of discontinued operations in order to avoid reporting losses in continuing operations as well as a decline in income from continuing operations from the previous year. Finally, we find that, since the adoption of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the magnitude of classification shifting using discontinued operations has decreased. Overall, our findings can help standard setters and other users of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better understand firms` business practices and reporting behaviors.

      • KCI등재

        사모펀드가 인수한 기업의 이익조정에 관한 사례연구: MBK 파트너스가 소유한 코웨이의 리스계약 변경

        구정은 ( Jeong Eun Koo ),심해린 ( Haerin Shim ),최기호 ( Kiho Choi )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2

        코웨이는 정수기와 매트리스 등을 렌탈하는, 우리나라 렌탈산업을 대표하는 상장기업이다. 사모펀드 MBK 파트너스는 2013년 코웨이를 인수한 후 2015년 3분기부터 기존의 운용리스를 금융리스로 변경하였다. 이러한 회계변경으로 매각 직전 연도인 2018년 코웨이의 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EBITDA)은 최소 360억 원 정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회계 변경사례를 통해 사모펀드가 어떤 방식으로 포트폴리오 회사의 수익성을 개선시키는지 살펴보았다. MBK 파트너스는 코웨이를 인수한 후 1조원이 넘는 투자차익을 남겼는데 이중 리스 회계변경 효과는 최소 9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웨이는 동일 렌탈 제품에 대해 의무보유기간을 늘려서 회계기준상 금융리스 조건을 충족했지만, 현금흐름에 영향이 없고 별다른 경제적 동기가 없다는 점에서 이런 회계변경은 대주주인 MBK 파트너스의 매각차익을 높이기 위한 이익조정일 가능성이 크다. 회계변경으로 2015년 3분기 코웨이의 실적은 시장의 예상보다 높게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재무분석가와 주식시장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금융리스 변경 후 발표된 10개 증권사 분석가 보고서들은 대부분 코웨이 회계변경 효과를 언급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주가 반응을 보면 최초 실적 공표일 후 3일간 1.3∼1.7% 사이의 초과수익률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2019년 코웨이 매각대금 대비 회계이익 비율이 유사 매각 사례보다 낮지 않아서 코웨이 매수자인 웅진 그룹도 회계변경 효과를 감안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사례는 자본시장의 이해관계자들은 기업가치 평가에서 코웨이의 회계변경 효과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이 사모펀드의 이익조정 동기를 강화시켜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Coway is a leading company in the rental market that introduced the rental concept to water purifie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ince then, Coway has expanded its rental business to mattresses and air purifiers, and is now a listed company that has grown into the largest one among rental companies in Korea. MBK, a PEF (private equity fund), took over Coway in 2013. After that, Coway changed the contract terms for mattress products and changed the accounting method from operating lease to financial lease. We discuss whether Coway’s accounting changes are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MBK, and examine whether financial analysts and investors reflect these accounting changes in firm value. After acquiring Coway from Woongjin Group in 2013, MBK made more than ₩1.5 trillion in capital gains until 2019. We analyzed that more than half of MBK’s capital gains were due to Coway’s profit increase during the holding period by using the EBITDA Multiple method, which is often used in practice to estimate firm value. We believe that the change in accounting for mattress rental in July 2015 contributed the most to Coway’s profit growth. Coway changed the accounting treatment of mattress rentals, which were provided as operating leases, to financial leases by matching the lease period and economic useful life of the mattress. We estimate that this change in accounting allowed Coway to increase its accounting profit (EBITDA) by ₩36.5 billion, resulting in an additional increase in capital gains by ₩90.6 billion. According to accounting standards, financial lease and operating leas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lease contract. The change to Coway’s financial lease is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ntractual lease term, which is in line with the accounting standards. Therefore, this is not a change in accounting policy, but merely a change in accounting treatment to match the substance of the contract. However, considering that MBK was trying to sell Coway at the time of the change and changed the useful life of an existing product to a finance lease abruptly without any clear economic motive, the Coway’s accounting change can be viewed as an opportunistic intervention into financial reporting process and earnings management. Coway’s 3Q 2015 financial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his financial lease change. Specifically, Coway’s sales in the third quarter increased by ₩18.2 billion compared to the second quarter of 2015, of which ₩14.8 billion was financial lease sales. Therefore, if Coway had not changed the accounting treatment for finance lease, Coway’s 3Q 2015 performance would not have been much different from 2Q 2015.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Coway’s accounting change is regarded as an earnings management, Coway’s accounting change has nothing to do with firm value in that it did not affect cash flow.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stakeholders could see through it. From this point of view, we looked at the reactions of stakeholders to the change in Coway lease accounting. First, we checked the response of financial analysts analyzing Coway, a listed company, after the announcement of earnings in the third quarter of 2015, when the accounting change occurred. Of the total 10 financial analyst reports, only 4 reports separately stated the sales effect of accounting changes, and only 1 out of 4 reports stated that the accounting changes did not affect cash flow. Second, the stock market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Coway’s earnings announcement in the third quarter of 2005, so similar to the response of financial analys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accounting change was not properly understood. Finally, we looked at the response of the Woongjin Group, which purchased Coway from MBK in January 2019. Woongjin Group also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effect of the financial lease change as it could not find evidence that the purchase price was discounted by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mprovement in profitability due to the accounting change. In conclusion, Coway was able to increase its earnings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changing its accounting method without affecting cash flow. In addition, stakeholders in the capital market, such as financial analysts, stock investors, and buyers, reflected the earnings surprise without cash flow in the firm value. In this process, MBK, which owns Coway, succeeded in maximizing their compensation by raising Coway’s selling price. As such,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financial accounting research related PEFs by showing the specific earnings management methods used by PEFs and the capital market’s response to their accounting effects. In addition, our study contributes to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by showing the importance of lease accounting from a lessor’s point of view in a situation where many companies participate in rental business in Korea.

      • KCI등재

        재량적발생, 전기오류수정과 회계변경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선택

        김문현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how accounting accruals,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or accounting changes were used as a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The expectation i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current accruals and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or accounting changes. Test period is from 2004 to 2007. Samples were 111 firms and 735 other firms were selected for a comparison from public, manufacturing firms.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current accruals and effect of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or accounting changes . Also,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current accruals in time=0 and those of time=±1;time=0 is when firms reported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or accounting changes. Th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the firms which tend to manage earnings are likely to use accounting accruals,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or accounting changes in order. If there are not enough accounting accruals, the next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will be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or accounting changes. 본 연구에서는 전기오류수정 또는 회계변경에 앞서 회계발생이 이익조정에 사용되는지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회계발생이 이익조정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기오류수정 또는 회계변경을 통해 이익조정을 시도하리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기간은 2004년-2007년이며, 상장 제조기업으로 회계변경 또는 전기오류수정을 보고한 111개 표본과 735개 대응표본이 비교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오류수정손익 또는 회계변경누적액의보고와 동 시점의 재량적 유동발생액 사이에는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오류수정손익 또는 회계변경누적액의 보고 시점의 재량적 유동발생액과 그 전 후 시점의 재량적유동발생액 사이에는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전기오류수정손익이 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익조정의 개연성이 큰 전기오류수정이나회계변경을 보고한 경우에는 전 후 시점에 비해 동 시점의 재량적 유동발생액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이익조정의 의도를 지닌 기업은 회계발생을 상대적으로 선호하며, 회계발생이 이익조정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이익잉여금 조정 항목인 전기오류수정이나 회계변경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계발생, 전기오류수정 또는 회계변경이 이익조정에 대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과 횡령 및 배임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손호철 ( Ho Cheol Son ),박성규(교신저자) ( Seong Kyu Park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3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코스닥 시장에서 연중 2회 이상 최대주주가 변경되고 횡령 및 배임이 발생한 기업의 경영자가 이익을 조정하여 회계투명성에 부정적인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최대주주의 변경과 횡령 및 배임 자료는 한국거래소의 상장공시시스템(KIND)에 공시된 투자유의사항과 수시공시 자료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표본의 재무자료는 NICE평가정보(주)의 Kis-Value에서 수집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한 표본은 6,229개(기업-연도)이다. 이익조정은 우선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 측정방법으로 Dechow et al.,(1995)의 수정 Jones 모형과 Kothari et al.,(2005)이 수정 Jones 모형에 성과변수를 반영하여 개발한 성과대응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제이익조정의 측정방법은 Roychowdhury(2006)가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여 실제이익조정의 대용치(proxy)로 사용하였으며, 실제이익조정의 종합측정치는 Cohen and Zarowin (2008)과 Cohen and Zarowin(2010)에 따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주주가 자주 변경된 기업은 재량적 발생액을 통해 이익을 하향조정하며 그 조정액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대주주가 자주 변경된 기업은 실물활동을 통해 이익을 상향조정하며 그 조정액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횡령 및 배임을 공시한 기업은 재량적 발생액을 통해 이익을 상향 조정하며 조정액도 큰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의 증거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최대주주가 자주 변경되고 횡령 및 배임이 발생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함으로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frequent change of the largest shareholder, embezzlement and misappropriation on earnings management.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f Korea distributed the report of the investor alerts three times in the year of 2012.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was concerned about the fraudulent accounting and the violation of accounting standard in order to protect the investors in the stock market in that year.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reported the companies that should be given close scrutiny. They included the companies that had the significant weakness in the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s and that did not submit the operating report of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s. They also included the companies that are suspicious of embezzlement and misappropriation. The companies that reported the change of the largest shareholder more than two times a year were also included in the report for the investor alert. The companies that reported fines and penalties were also included in the investor alert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f Korea. Kim JeongAea’s(2010) study reported that the earning’s management decreased in the year of the largest shareholder change because the new largest shareholder strengthen the monitoring function as well as the effective accounting control systems. She also reported that the earning’s management decreased a year after the largest shareholder change due to the same reason. However, this study used only accrual earning’s management.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companies that changed the largest shareholder only one time a year. Kim YooChan’s(2011)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ort of the current year’s embezzlement and the previous year’s earning’s management. The positive relationship was more consistent in the KOSDAQ compared to KOSPI. The frequent change of the largest shareholder means changing the largest shareholder more than two times a year for this study. The data on the change of the largest shareholder, embezzlement and misappropriation were selected from the investor alerts and interim disclosures reported in the KIND of the Korean Stock Exchange during the year of 2005 through 2011. The sample financial data were gathered from the KIS-Value of NICE credit valuation company. The final research samples for this study were 6,229 (firms-years). We used the Dechow et al.’s(1995) revised Jones model and the Kotarie et al’s(2005)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model to measure the discretionary accrual. We also used the Roychowdhury(2006)’s model to measure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Cohen and Zarowin(2008 and 2010) method was used to get the comprehensive measure of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research findings support our hypothesis generally. Firstly the companies reporting frequent change of the largest shareholder were found to decreas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The magnitude of the earnings managem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arge. The companies reporting frequent change of the largest shareholder were found to increase earnings using real activities. The magnitude of the earnings management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large. Secondly the companies reporting embezzlement and misappropriation were found to increas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The magnitude of the earnings managem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arge. However, we could not find the evidence of earnings management using real activities in this case. Our findings suggests that stake holders including investors and government agencies should be careful with the companies that report the frequent change of the largest shareholder, embezzlement and misappropriation.

      • KCI등재

        회계부정과 장기시장반응 : 감리지적 기업을 중심으로

        이은철 韓國公認會計士會 200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감리지적기업에 대한 장기시장반응을 분기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감리지적 후 분기별 시장반응이 이익의 과대계상 여부, 회사명 변경 여부, 대표이사 변경 여부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감리지적사실이 공표된 기업을 대상으로 감리지적 후 4개의 분기 동안의 이익공시에 대한 ERC(이익반응계수)를 감리지적 전 2개 분기 동안의 ERC와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감리지적 후 ERC는 감리지적 전 ERC에 비해 감리지적 후 2개 분기까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다가 3개 분기 이후부터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당기순이익 과대계상과 관련된 감리지적인 경우 부정적인 시장반응이 더 오래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감리지적 후 2분기가 경과한 후(3분기 이후) 사명을 변경한 경우 ERC가 더 빨리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리지적 후 대표이사를 변경한 경우에는 차별적인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투자자들이 회계정보의 왜곡을 심각하게 생각하고 이후의 회계정보에 대해 정보할인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들에게는 자본시장에서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시장에서 감독당국에 의해 수행되는 감리제도를 매우 유용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리에서 지적받은 기업이 사명을 변경하는 경우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바와 같이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라기보다 단순히 과거의 오명을 씻기 위한 ‘분칠’에 지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감리지적 후 사명을 변경한 경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감리지적 기업들에 대해 이후 상당기간 동안 추가적인 감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arket reactions of firms identified by the FSS(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as fraudulently manipulating their financial statements. Prior studies focused on the short period market reactions.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s long-term market reactions to the FSS's enforcement actions released. My main research objective is to examine long-term decrease in the information content of earnings following FSS's enforcement actions released. Also I examine whether firm-level actions(especially company name change and CEO turnover) to restore investor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process affect the duration of the decline in the information contents of earnings. I measure the ERC(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over several quarters to examine whether accounting fraud result in a long-term decline in information content of earnings. I also examine cross-sectional variation in the duration of the decline in the information content of earnings across characteristics after FSS's enforcement actions released. I test for differential impacts for firms caused by income overstate. And I also test for differential impacts for firms which change company name or CEO after FSS's enforcement actions released. I use a sample of 113 firms identified by the FSS(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as fraudulently manipulating their financial statements between 2002 to 2008. I measure CAR(Cumulative Abnormal Return) surrounding the earnings announcement for firms measured over a five-day window, where the abnormal return is the firm's return less the value-weighted index return (or equally weighted index return). I measure quarterly UE(unexpected earnings) for each announcement date, scaled by price as of the end of the quarter for which earnings are announced. The empirical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RC is lower for several periods than pre-fraud released quarter. However, the ERC return to pre-fraud released quarter after average third quart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decline in the information content of earnings following fraud released is not long-lasting. Second, the ERC is more decline for firms that related income overstated fraud. Third, the duration of the decline in the information content of quarterly earnings is shorter for firms that change their name. Fourth, CEO turnover doesn't affect to the duration of the decline in the information contents of earnings. I believe that this empirical evidence signifies a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 For example, fraud firms can not change their corporate names for a certain period for investor pro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