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방암 방사선치료시 조직등가보상체와의 비교를 통한 Brass mesh bolus의 유용성 평가

        봉주연,김경태,전미진,하진숙,신동봉,김세준,김종대,Bong, Juyeon,Kim, Kyungtae,jeon, Mijin,Ha, Jinsook,Shin, Dongbong,Kim, Seijoon,Kim, Jongda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1

        목 적: 유방암 방사선 치료에서 조직등가보상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황동그물망보상체(Brass mesh bolus)가 최근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황동그물망보상체의 안정성을 조사하고, 표면선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등가보상체 5 mm와 가장 비슷한 황동그물망보상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 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6 MV 선형가속기와 광자극형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를 사용하였다. 흉곽팬텀을 이용한 2문 대항접선조사를 황동그물망보상체와 조직등가보상체의 비교를 통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결 과: 표면선량 측정을 기반으로 조직등가보상체 5 mm와 가장 유사한 두께는 황동그물망보상체를 두 겹에 해당되는 3 mm였고, 평균 상대오차율은 0.38 %였다. 흉곽팬텀을 사용한 황동그물망보상체의 표면선량은 조직등가보상체에 비해 약 1.069배 증가하였다. 결 론: 본 실험에서 황동그물망보상체는 기존 조직등가보상체 선량균등도가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을 바탕으로 황동그물망보상체가 기본 조직등가보상체를 대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다양한 임상적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n breast cancer radiotherapy, brass mesh bolus has been recently studied to overcome disadvantage of conventional bol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first introduced the brass mesh in the country, and evaluate the skin surface dose of that. Materials and Methods: The measurement of skin surface dose was evaluated to verify similar thickness of the Brass mesh bolus that compared conformal tissue equivalent bolus with 5 mm thickness. We used 6 MV photons on an ELEKTA VERSA linear accelerator and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 In addition, two opposed beam using IMRT phantom was applied to comparative study of brass mesh bolus between tissue equivalent bolu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imilar thickness of the Brass mesh bolus was 3 mm compared with 5 mm tissue equivalent bolus by measuring the skin surface dose of solid phantom. The surface dose for IMRT thorax phantom using 3 mm brass mesh bolus was about 1.069 times greater than that using tissue equivalent bolu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brass mesh bolus improved better reduction of skin sparing effect and dose uniformity than tissue equivalent bolus. However evaluation for various clinic cases should be investigated.

      • 황동광 간접침출기술의 연구동향

        유경근,이재천,정진기,손정수,김수경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08 한국지구시스템 공학회지 Vol.45 No.2

        황동광은 황화계동광 중 가장 풍부하여 구리 확보를 위한 주요한 해외자원개발대상이다. 황동광은 건식제련법에 의하여 처리되어왔으나, SO<SUB>2</SUB> 가스 발생 등의 문제가 있어 습식제련법이 연구되어왔다. 이 글에서는 황동광 습식제련법 중 중간생성물을 이용하는 황동광 침출법을 금속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방법, 산화환원전위를 조절하는 방법, 배소법, SO<SUB>2</SUB>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관련 연구결과들을 정리하였다.

      • 염산용액에서의 황동광 침출에 대한 산화환원전위의 영향

        유경근,이재천,정진기,손정수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08 한국지구시스템 공학회지 Vol.45 No.1

        침출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황동광 침출의 산화환원전위 의존성이 연구되었고, 상대적으로 낮은 산화환원전위대에서 높은 침출속도를 나타내는 최적전위가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제로서 Fe<SUP>3+</SUP> 이온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을 사용하여 50℃와 80℃에서 각각 침출실험을 진행하고 염산용액에서 황동광 침출의 산화환원전위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구리의 농도는 침출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80℃ 실험에서는 20분 후에, 50℃ 실험에서는 7시간 후에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황동광 침출이 진행됨에 따라서 Fe<SUP>2+</SUP> 이온농도가 증가하여 산화환원전위는 감소하였다. 침출속도는 50℃ 침출실험에 비하여 80℃ 침출실험에서 빠르게 나타났으며, 440 mV(Ag/AgCl)에서 침출속도가 가장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염산용액에서도 황동광의 침출은 산화환원전위 의존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 KCI등재

        서태평양 지판소멸대의 해저열수분출구에서 관찰되는 황동위원소 조성변화: 열수 생성의 다양성과 마그마의 역할

        김종욱,문재운,이경용,이인성,Kim, Jong-Uk,Moon, Jai-Woon,Lee, Kyeong-Yong,Lee, In-S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2

        해저열수시스템은 중앙해령이나 후열도확장대와 같은 해저화산대를 따라 생성된다. 해저열수시스템은 지각-맨틀과 해양의 에너지와 물질이 교환되는 장으로 이를 통해 지각과 해수의 조성이 변화하며, 해저면에 열수분출구를 침전시켜 열수생태계를 형성하고 금속광상이 만들어진다. 상대적으로 단순한 중앙해령과 달리 지판소멸지역의 해저열수시스템은 섭입되는 물질의 재순환과정에서 다양한 특성이 나타난다. 황동위원소 조성은 이러한 열수시스템의 다양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이 논문에서는 서태평양의 지판소멸대에서 발견된 열수분출 지역에서 채취된 열수분출구 시료의 황동위원소 조성변화를 살펴보고 이들 환경에서 열수생성의 다양성을 일으키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지판소멸대의 열수분출구는 황화광물과 황산염광물 모두 낮은 황동위원소 조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마그마로부터 공급된 $SO_2$ 기체의 유입으로 해석된다. 황동위원소 조성 변화를 포함한 열수시스템의 다양성은 열수시스템 생성과정에서 마그마의 적극적인 역할을 지시한다. Seafloor hydrothermal system occurs along the volcanic mid-ocean ridge, back-arc spreading center, and other submarine volcanic regions. The hydrothermal system is one of the fundamental processes controlling the transfer of energy and matter between crust/mantle and ocean; it forms hydrothermal vents where various deepsea biological communities are inhabited and precipitates metal sulfide deposits. Hydrothermal systems at convergence plate boundaries show diverse geochemical properties due to recycle of subducted material compared to simple systems at mid-ocean ridges. Sulfur isotopes can be used to evaluate such diversity in generation and evolution of hydrothermal system. In this paper, we review the sulfur isotope composition and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precipitates sampled from several hydrothermal vents in the divergent plate boundarie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Both sulfide and sulfate minerals of the hydrothermal vents in the arc and backarc tectonic settings commonly show low sulfur isotope compositions, which can be attributed to input of magmatic $SO_2$ gas. Diversity in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system suggests an active role of magma in the formation of seafloor hydrothermal system.

      • KCI등재

        고온.산소가압하(高溫.酸素加壓下)에서의 황동광(黃銅鑛)의 황산침출 거동 고찰

        엄형춘,윤호성,유경근,손정수,Eom, Hyoung-Choon,Yoon, Ho-Sung,Yoo, Kyoung-Keun,Sohn, Jeong-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7 資源 리싸이클링 Vol.16 No.3

        본 연구는 고온 산소가압 하에서의 황동광(칠레산 에스콘디다광석) 황산침출에 관한 연구로 침출시간, 침출온도, 산소압력에 따른 Cu 침출율 및 침출거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침출온도가 Cu의 침출율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켰으며, 산소압력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침출온도 $200^{\circ}C$, 산소압력 10 atm인 조건으로 2시간 침출하여 87.1%의 Cu를 침출하였으며, 이 때 함께 침출된 Fe는 대부분 hematite($Fe_2O_3$) 형태로 재침전이 일어났다. 산소가압 하에 고온($150^{\circ}C$ 이상) 침출조건에서 황동광 침출반응은 주로 산소의 산화작용에 의한 분해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황은 대부분 황산염 형태로 산화되어 단체황 생성으로 인한 passivating 현상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present work, the high temperature oxygen pressure leaching behavior of chalcopyrite was studied in sulfuric acid solution. The influence of leaching time, temperature and oxygen partial pressure on leaching process were examined. Leaching rate of copper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aching temperature. Copper recovery reached 87.1% within 2 hours at $200^{\circ}C$ and 10 atm oxygen pressure, while most of the solubilized iron readily re-precipitates as hematite($Fe_2O_3$). It was confirmed that e main leach reaction of chalcopyrite occurred through oxidation with oxygen under oxygen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above $150^{\circ}C$). Because sulfur was oxidized entirely to sulfate, passivating elemental sulfur layer was not formed.

      • KCI등재

        보물 제930호 이경석 지팡이에 사용된 장석의 제작기법 고찰

        이재성,전익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5 보존과학회지 Vol.31 No.3

        조선의 18대 왕인 현종이 당시의 원로대신 이경석에게 의자와 함께 하사한 지팡이는 국가에서 관장하는 제작기법과 양식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공예품이다. 지팡이의 장석을 분석한 결과, 지팡이 몸통에 살포가 연결된 금속제끝 장식은 먼저 철판을 둥글게 말아 원기둥 형태를 만들고 황동으로 도금하였다. 도금된 부분은 살포와 연결된 금속제끝 장식에만 국한되고 있으며, 동일한 철 소재로 제작된 살포에는 도금되지 않았다. 칼장식에는 20% 내외의 아연이포함된 황동이 그대로 사용된 반면 살포 연결부는 철판 위에 황동도금을 했다. 이는 제작당시에 칼장식과 살포 연결부의표면 색조가 동일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능적인 측면에서 바탕소재를 달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외견상의조화를 추구한 결과로 추정된다. 여기에 적용된 도금법으로 수은아말감, 구리박도금, 구리분말도포, 포목상감, 용융금속 침적 등 다양한 도금법을 고려할 수 있으며, 분석된 결과는 용융 금속을 이용한 도금법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황동으로 제작된 칼코는 주석납땜으로 접합하였다. 칼날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리벳은 강도와 유연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소재로 순철이 사용되었다 The staff given with chair to Yi Gyeong-seok, senior official over 70 years old by King Hyeonjong of Joseon Dynasty is representative handcraft of Joseon Dynasty. Results of analysis on the metallic decoration show that the metallic ornament of the end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spade was made by rolling of iron plate and brass plating. The plated part is limited to the ornament of the end part connected to the spade and the plating was not applied to the spade. Brass including 20% zinc was used for the connecting part of guard while brass gilded iron was used for the spade. This suggests that the tone of the connecting part of the guard and the spade was not different for reason of visual harmonization. Potential applied plating method can be amalgam, dippping in molten brass, and brushing but the analysis result suggests that dipping in molten brass method is the most likely accepted method. The brass guard of knife was joined by tin-lead solder. Rivet used to fix the blade was made by pure iron as an optimum material which satisfies flexibility and strength.

      • KCI등재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한창탄광 부근 지하수의 오염과 자연정화처리시설 효율에 관한 연구

        지상우,김선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 지하수토양환경 Vol.8 No.2

        폐탄광에 의한 주변 지하수의 오염원과 오염 경로의 파악을 위해 강원도 평창군 소재 한창탄광을 대상으로 계절 변화에 따라 SAPS(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를 이용한 자연정화 처리시설 공정의 각 단계와 폐석침출수, 탄광부근 샘물시료가 채수 및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의 오염원 규명과 SAPS조에서의 황산염 환원 발생여부를 확인하고자 황동위원소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지역의 지하수에서 계절적인 변화와 관계없이 높은 수소이온농도와 금속농도가 나타나는 것은 산성광산배수가 계절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처리시설은 산도(acidity) 제거량이 평균 18.17 g/$\textrm{m}^2$/day이고 가장 오염부하량이 많았던 9월에는 59.02 g/$\textrm{m}^2$/day 이며, 금속제거능은 거의 100%에 이르러 다른 지역의 처리시설에 비해 높은 정화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처리시설의 각 공정 단계별로는 황 함량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고 황동위원소 조성의 변화도 거의 없었는데 이는 황산염환원박테리아에 의한 황산염환원 작용은 매우 미약하거나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화학조성과 황동위원소 조성을 통해 샘물은 폐석침출수에 의해, 처리시설내 석축침출수는 폐석침출수와 갱구유출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지역은 갱구유출수에 대한 처리시설이 가동중에 있으나 폐석침출수에 대한 대책은 없는데 이는 다른 폐광지역에서도 유사한 상황이므로 폐석침출수에 대한 오염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Sampling of waters from each stage of treatment system (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 SAPS), tailings seepage, and spring near the Hanchang coal mine of Kangwon Province were carried out seasonally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source and possible path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acid mine drainage (AM). Sulfur isotope compositions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origi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s and the sulfate reduction processes in the SAPS. Low pH and high metal concentration of spring water indicates possibility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AMD. Removal efficiency of acidity of the SAPS was 18.17 g/$\textrm{m}^2$/day on an average and the metal removal efficiency was almost 100%,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 systems. However, no appreciable decrease of sulfur content and almost similar sulfur isotope compositions of water from each stage of the treatment system may suggest incomplete or very poor sulfate reduction by sulfate reducing bacteria. Chemical and sulfur isotope compositions showed that spring water was contaminated by seepage from mine tailings. And seepage of stonewall, a part of treatment system was affected by both tailings seepage and mine adit drainage. In this study site, the treatment system was constructed for the only AMD from mine adit not for tailings seepages, which resulted in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from tailing seepages. Similar situation is expected in other abandoned coal mine areas.

      • KCI등재

        괴산 성도 연-아연 광상의 산출광물과 생성환경

        안성열,신동복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 No.

        The Seongdo Pb-Zn deposit,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consists of skarn ore replacing limestone within the Hwajeonri Formation of Ogcheon Group and hydrothermal vein ore filling the fracture of host rock. Skarn minerals comprise mostly hedenbergitic pyroxene, garnet displaying oscillatory zonal texture composed of grossular and andradite, and a small amount of wollastonite, tremolite, and epidote, indicating reducing condition of formation. Ore minerals of skarn ore include sphalerite and galena with a small amount of pyrite, pyrrhotite, and chalcopyrite. In hydrothermal vein ore, arsenopyrite, sphalerite, chalcopyrite, and pyrite occur with a small amount of galena, native Bi, and stannite. Chemical compositions of sphalerite vary from 17.4 mole% FeS in average for dark grey sphalerite, 3.6 mole% for reddish brown sphalerite in skarn ore, and to 10.3 mole% FeS in hydrothermal vein ore. In comparison with representative metallic deposits in South Korea on the FeS-MnSCdS diagram, skarn and hydrothermal vein ore plot close to the field of Pb-Zn deposits and Au-Ag deposits, respectively. Arsenic contents of arsenopyrite in hydrothermal vein ore decrease from 31.93~33.00 at.% in early stage to 29.58~30.21 at.% in middle stage, and their corresponding mineralizing temperature and sulfur fugacity are 441~490oC, 10-6~10-4.5 atm. and 330~364oC, <10-8 atm. respectively. Phase equilibrium temperatures calculated from Fe and Zn contents for coexisting sphalerite and stannite in hydrothermal vein are 236~254oC. Sulfur isotope compositions are 5.4~7.2‰ for skarn ore and 5.4~8.4‰ for hydrothermal vein ore, being similar or slightly higher to magmatic sulfur, suggesting that ore sulfur was mostly of magmatic origin with partial derivation from host rocks. However, much higher sulfur isotope equilibrium temperatures of 549oC 와 487oC, respectively for skarn ore and hydrothermal ore, than those estimated from phase equilibria imply that isotopic equilibrium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성도 연-아연광상은 옥천층군 화전리층의 석회암을 교대한 스카른광체와 모암내 열극을 충진한 열수맥상광체로 구분된다. 스카른광물은 헤덴버자이트(hedenbergite) 계열의 휘석이 대부분이며, 그로슐라(grossular)와 안드라다이트(andradite)가 진동누대구조를 보이는 석류석, 그리고 소량의 규회석, 투각섬석, 녹염석 등이 산출되어 환원환경에서 정출된 것으로 보인다. 스카른광체에서는 섬아연석 및 방연석이 우세하고 황철석, 자류철석, 황동석이 소량 수반되며, 열수맥상광체에서는 유비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및 황철석과 더불어 방연석, 자연비스무스 및 황석석(stannite)이 소량수반된다. 스카른광체에서 암회색 섬아연석의 FeS 함량은 평균 17.4 mole%, 적갈색 섬아연석은 3.6 mole%이고, 열수맥상광체에서는 10.3 mole%를 나타낸다. 이들을 국내 주요 금속광상의 FeS-MnS-CdS 함량비와 비교한 결과 스카른광체는 연-아연, 열수맥상광체는 금-은 광상 영역에 도시된다. 열수맥상광체에서 산출되는 유비철석의 As 함량은 초기 31.93~33.00 at.%에서 중기 29.58~30.21 at.%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며, 이에 따른 광화온도와 황분압은 초기441~490oC, 10-6~10-4.5 atm.와 중기 330~364oC, <10-8 atm.에 해당한다. 섬아연석과 공생하는 황석석의 Fe와 Zn 조성비를 이용한 광물상 평형온도는 236~254oC의 범위를 보인다. 스카른광체 황화광물의 황동위원소 조성은5.4~7.2‰, 열수맥상광체는 5.4~8.4‰로서 화성기원과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어 광상을 형성시킨 황이대체로 마그마에서 유래되었으나 일부 모암의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스카른광체와 열수맥상광체에서의황동위원소평형온도가 각각 549oC와 487oC로서 상평형온도 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이들이 동위원소적으로 충분한 평형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황산용액에 의한 황동광으로부터 구리 침출 시 첨가제(과산화수소와 에틸렌글리콜) 및 온도의 영향

        김소현,안종관,신선명,정경우,Kim, So-Hyun,Ahn, Jong-Gwan,Shin, Shun-Myung,Chung, Kyeong-W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5

        본 연구는 황동광의 황산침출에 관한 연구로 황산 농도, 침출온도, 첨가제로 과산화수소 및 에틸렌글리콜 첨가에 따른 구리 침출거동을 조사하였다. 침출용액에 과산화수소 및 황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구리 침출률이 증가하였다. 침출온도에 따른 구리 침출률은 $30 -60^{\circ}C$에서 상승하였으나, $70 -80^{\circ}C$에서는 감소하였다. 침출된 구리의 양이 감소하는 결과는 $7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용액 중에 함유된 과산화수소의 분해에 의한 것이었다. $80^{\circ}C$에서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였을 경우 과산화수소의 분해가 억제되어 구리 침출률이 증가하였다. 침출 잔사의 SEM 분석 결과,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할 경우 침출 잔사가 다공성의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에틸렌글리콜 첨가 시 $60^{\circ}C$ 이하에서도 구리 침출률이 증가하였다. The leaching behaviors of copper from chalcopyrite were investigated by sulfuric acid. The leaching of copper was examined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sulfuric acid, leaching temperature and addi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ethylene glycol. The concentrations sulfu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in the leaching solution were increased, the leaching efficiencies of Cu were increased. At $30 -60^{\circ}C$, the leaching efficiency of Cu was increased but it was decreased at $70 - 80^{\circ}C$. The results were due to the increasing of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in the solution above $70^{\circ}C$. In the case of ethylene glycol added at $80^{\circ}C$, the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decreased and the leaching efficiency was increased. As a result of SEM analysis of leaching residue after leaching, the residue was found to porous form in the case of the ethylene glycol added and then the leaching efficiency of Cu was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surface area under $60^{\circ}C$ with ethylene glycol.

      • KCI등재

        전라남도 보성-장흥지역의 중열수 금광화작용

        허철호,윤성택,소칠섭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 자원환경지질 Vol.35 No.5

        한반도의 보성-장흥지역에는, 5개의 열수 금(-은)광상이 부존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여준다: 에렉트럼의 비교적 금이 풍부한 특성; 은-안티모니(끼소)황염광물의 부재; 괴상이며 단순한 광물조성을 지닌 석영맥. 이러한 성질들은 본 지역의 금광화작용이 한반도의 주라기내지 초기 백악기의 중열수형 금광상과 대비가 됨을 지시한다. 유체포유물 연구에 의하면, 본 지역의 광화 1기 석영내 포유물은 0.0~l3.8 wt. % NaCl를 지니고 200~46$0^{\circ}C$의 넓은 온도에서 균질화하며, 광화 2기 방해석내 유체포유물은 1.2~7.9wt. % NaCl를 지니고 15$0^{\circ}C$~254$^{\circ}C$의 온도에서 균질화한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수활동이 쇠퇴하면서 열수유체가 냉각되었음을 지시한다. $CO_2$불혼화를 포함한 비등증거는 본 지역의 함금유체의 포획시 압력이 최대 770bar에 해당됨을 지시하고 있다. 본 지역 함금유체의 계산된 황동위원소 조성(${\delta}^34S$_{{\Sigma}S}$=0.2~3.3$\textperthousand$)은 열수유체내 황의 화성기원을 지시하고 있다. 소백산육괴내에는 두 개의 대표적인 중열수형 광화대(영동지역 및 보성-장흥지역)가 부존한다. 영동지역의 황화물의 $\delta$$^{34}S$ 값은 -6.6~2.3$\textperthousand$(평균 -1.4$\textperthousand$, 분석수 66개)이며, 보성-장흥지역의 황화물의 (${\delta}^{34}S값은 -0.7~3.6$\textperthousand$(평균 1.6$\textperthousand$, 분석수 39개)이다. 두 지역의 $\delta$$^{34}$ S값은 대부분의 한반도 금속광상(3~7$\textperthousand$)의 ${\delta}^{34}S값보다 낮다. 그리고, 소백산 육괴내에서는 영동지역의${/delta}^{34}S값이 보성-장흥지역의 ${\delta}^{34}S값보다 낮다. 소백산 육괴내에서(${\delta}^{34}/S값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 반응기작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1) 두 지역의 주라기 중열수형 금광상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근원지(두개 모두 화성기원이며, -6$\textperthousand$ 미만 및 2$\pm$2$\textperthousand$의 $\delta$$^{34}$ S값)가 존재, 2) 마그마의 생성 및 상승중 $^{32}S$가 풍부한 황(선캠브리아기의 이토질 긴저암내 황)의 혼합(동화)차이; (3)광화지역까지 상승중 H$_2$S가 풍부한 마그마에서 유래된 황원(${\delta}^{34}/S=2$\pm$2$\textperthousand$)의 산화차이. 두 지역 중열수형광상의 석영내 유체포 유물과 광석광물(특히, 철을 함유한 광석광물)의 상이성을 고려하여, 영동지역의 자류철석이 풍부한 중열수형 광상이 보성-장흥지역의 황철석(-유비철석)이 풍부한 중열수형 광상보다 더욱 높은 온도와 더욱 환원된 유체로부터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두 지역에서 산출되는 선캠브리아 편마암과 고생대 퇴적암의 (${\delta}^{34}S값을 알지 못하므로 두 지역 황동위원소 값의 차이에 대한 원인으로 세 번째 반응기작이 가장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앞으로는, 광석황의 근원을 더욱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소백산육괴를 포함한 한반도의 기저부를 이루는 선캠브리아 변성암과 고생대 퇴적암의 ${\delta}^{34}S값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Within the Boseong-Jangheung area of Korea, five hydrothermal gold (-silver) quartz vein deposits occur.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s follows: the relatively gold-rich nature of e1ectrurns; the absence of Ag-Sb( -As) sulfosalt mineral; the massive and simple mineralogy of veins. They suggest that gold mineralization in this area is correlated with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mesothermal-type gold deposits in Korea. Fluid inclusion data show that fluid inclusions in stage I quartz of the mine area homogenize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of 200$^{\circ}$ to 460$^{\circ}$C with salinities of 0.0 to 13.8 equiv. wt. % NaCI. The homogenization temperature of fluid inclusions in stage II calcite of the mine area ranges from 150$^{\circ}$ to 254$^{\circ}$C with salinities of 1.2 to 7.9 equiv. wt. % NaCI. This indicates a cooling of the hydrothermal fluid with time towards the waning of hydrothermal activity. Evidence of fluid boiling including CO2 effervescence indicates that pressures during entrapment of auriferous fluids in this area range up to 770 bars. Calculated sulfur isotope composition of auriferous fluids in this mine area (${\delta}^34S$_{{\Sigma}S}$</TEX=0.2~3.3$\textperthousand$) indicates an igneous source of sulfur in auriferous hydrothermal fluids. Within the Sobaegsan Massif, two representative mesothermal-type gold mine areas (Youngdong and Boseong-Jangheung areas) occur. The ${\delta}^34S values of sulfide minerals from Youngdong area range from -6.6 to 2.3$\textperthousand$ (average=-1.4$\textperthousand$, N=66), and those from BoseongJangheung area range from -0.7 to 3.6$\textperthousand$ (average=1.6$\textperthousand$, N=39). These i)34S values of both areas are comparatively lower than those of most Korean metallic ore deposits (3 to 7$\textperthousand$). And, within the Sobaegsan Massif, the ${\delta}^34S values of Youngdong area are lower than those of Boseong-Jangheung area. It is inferred that the difference of ${\delta}^34S values within the Sobaegsan Massif can be caused by either of the following mechanisms: (1) the presence of at least two distinct reservoirs (both igneous, with ${\delta}^34S values of < -6 $\textperthousand$ and 2$\pm$2 %0) for Jurassic mesothermal-type gold deposits in both areas; (2) different degrees of the mixing (assimilation) of 32S-enriched sulfur (possibly sulfur in Precambrian pelitic basement rocks) during the generation and/or subsequent ascent of magma; and/or (3) different degrees of the oxidation of an H2S-rich, magmatically derived sulfur source ${\delta}^34S = 2$\pm$2$\textperthousand$) during the ascent to mineralization sites. According to the observed differences in ore mineralogy (especially, iron-bearing ore minerals) and fluid inclusions of quartz from the mesothermal-type deposits in both areas, we conclude that pyrrhotite-rich, mesothermal-type deposits in the Youngdong area formed from higher temperatures and more reducing fluids than did pyrite(-arsenopyrite)-rich mesothermal-type deposits in the Boseong-Jangheung area. Therefore, we prefer the third mechanism than others because the ${\delta}^34S values of the Precambrian gneisses and Paleozoic sedimentary rocks occurring in both areas were not known to the present. In future, in order to elucidate the provenance of ore sulfur more systematically, we need to determine ${\delta}^34S values of the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nd Paleozoic sedimentary rocks consisting the basemen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Sobaegsan Massi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