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의 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에 대한 인식 연구

        박숙경,김소희,오세정,강성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에 대한 인식내용과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함께 참여청소년 및 지도자, 전문가 심층면접 및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는 Q방법론을 통해 참여효과인식 내용 분석과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후 도출된 인식유형을 2010년 국제교류활동에 참여한 청소년 1,6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226부를 SPSS 18.0을 활용 분석하여 일반적 분포와 인식유형별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상의 질적ㆍ양적 조사와 전문가 자문회의 결과를 토대로 국제교류 사업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에 대한 인식내용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참여자들은 ‘국제교류활동’을 통해 낯선 곳에서의 적응력과 용기 배양, 타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깊어졌다는 긍정적 효과를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교류활동 참여 효과에 대한 인식 유형은 3가지 즉, ‘소통과 네트워킹의 기회’, ‘문화에 대한 폭넓은 시각’ 그리고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국제교류활동을 통해 개인의 관심사를 발전시킬 수 있고, 새로운 소통의 기회로서 실용적인 네트워킹을 형성하고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제2유형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시각’으로 타문화에 대한 수용성과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고 인식한다. 제3유형은 다양한 삶의 방식의 경험을 통해 자기성찰과 새로운 진로 모색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고 한다. 두 번째 단계로 국제교류활동 효과에 대한 인식유형별 일반적 분포와 기타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제2유형인 ‘문화에 대한 폭넓은 시각(54.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1유형인 ‘소통과 네트워킹의 기회(25.7%)’, 제3유형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19.9%)’ 순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1유형은 원활한 의사소통 가능자, 해외체류 경험자, 사후활동 참여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 제 2유형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흥미로 인해 국제교류활동에 참여한 초기 참여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제3유형인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은 비교적 어려서부터 국제교류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세 번째로 사업유형별 참여경험과 참여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참여 후 가장 크게 달라진 점, 사전교육 진행, 사후활동 지원에 대한 만족도 이상 3개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참여자 관점에서의 우선 개선과제에 대한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사후활동지원, 프로그램 내용, 홍보 및 모집방법 개선을 시급히 개선할 과제로 제기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제교류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국제교류활동 참여자 관점에서 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를 이해하는 실증자료를 구축하여 정책 수립 과정에 객관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향후 이러한 후속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소년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 인식 유형에 따른 특성별 요구 수준에 따라 프로그램 다양화와 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를 심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국제교류활동 참여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참여기회 확대 및 제도적 장치, 운영측면의 인력과 예산확보가 필요하다.

      • KCI등재

        노년기 생산적 활동 유형과 삶의 만족도

        김도연 한국노인복지학회 2023 노인복지연구 Vol.7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생산적 활동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생산적 활동 참여 정책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20년 8차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4,344명을 연구 대상으로 최종분석 하였다. 생산적 활동 유형은 유급활동/무급활동/자기돌봄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참여 유형 집단별 특성과 삶의 만족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등을 실행하였으며, 참여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절반 이상인 55.5%의 노인은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각 유형별 참여 집단의 특성은 차이가 있었다. 남성 노인의 경우, 유급활동 참여 비율이 64.5%로 높은 반면 여성은 무급활동(80.9%)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였다. 자기 돌봄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다른 활동에 비하여 70대 이상(76.5%)의 고연령, 고등학교 졸업이상(43.1%)의 고학력 노인의 참여 비율이 높았으며, 공적이전소득 평균(725.82만원)과 자산총액 평균(143.83)이 가장 높았다. 둘째, 생산적 활동 유형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위집단보다 높았으며, 참여 유형별로 삶의 만족도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각 유형별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급노동(68.34점), 자기돌봄(64.81점), 유급활동(64.70점), 무위(57.99점) 순이었으며, 이러한 평균 차이는 일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산적 활동 유형인 유급/무급/자기돌봄 활동 유형 참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자기돌봄 유형 참여(β=.062, p<.002)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 노년층을 위한 신노년 정책의 방향성과 ‘노년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ductive activity types in the elderly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policies promoting productive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final analysis on a total of 4,344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using data from ‘the 8th Aging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2020. Productive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paid work, unpaid work, and self-care activiti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group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different participation types,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o verify the impact of participation types on life satisfacti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irstly, more than half of the elderly (55.5%) were engaged in productive activiti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groups among each type. Among male participants, the participation rate in paid work was 64.5%, while females were more actively engaged in unpaid work(80.9%). Those involved in self-care activities had a higher participation rate among older individuals(76.5% for those aged 70 and above), those with higher education(43.1% with high school graduation or above) compared to other activity types, and had the highest average of public transfer income(725.82) and total assets(143.83). Secondly,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groups engaged in productive activity typ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participating group, and varied by participation types. The average life satisfaction scores for each type were as follows: unpaid labor (68.34 points), self-care (64.81 points), paid activities (64.70 points), and non-participation (57.99 points). These averag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ome groups. Lastly, participation in productive activity types such as paid work, unpaid work, and self-care activities was i identified as a positive(+) factor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with self-care activity participation (β=.062, p<.002) exerting the strongest impact.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policies aimed at the elderly population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개념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과 미술 통합 활동 유형 분석

        백은주 ( Eun Joo Bai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과 미술 통합 활동을 융합인재교육(STEAM) 개념에 근거하여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활동 대상 연령, 활동 내용, 활동영역이 어떠하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한 개의 활동에 과학과 미술 관련 ``누리과정 관련요소``를 동시에 담고 있는 98개 과학과 미술 통합 활동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과학과 미술 통합 활동의 유형은 ``미술 활동목표를 위해 과학적·미적 탐색하기를 한 후 미술 표현하기``(유형1: 다학문적ㅡ연계형), ``과학 활동목표를 위해 과학적·미적 탐색하기를 한 후 미술 표현하기``(유형2: 간학문적-통합형), ``미술 활동목표를 위해 과학적·미적 탐색하기와 동시에 미술 표현·감상하기``(유형3: 간학문적-통합형), ``과학 활동목표를 위해 과학적·미적 탐색하기와 동시에 미술 표현·감상하기``(유형4: 탈학문적-융합형)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형별 활동 대상 연령으로는 3-5세 모든 연령대에서 유형1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유형으로는 3세는 유형2, 4-5세는 유형4이었다, 셋째, 유형별 활동 내용으로는 유형1은 미술의 ``표현``, 유형4는 ``물체와 물질``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넷째, 유형별 활동 영역은 모든 유형에서 ``미술활동``영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2012,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adopted the principle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terpreted through Engineering and the Arts program known by it acronym, STEAM, into its k-12curriculum. This study`s purpose is to analyse the unified science and arts activity patterns in the teacher`s manual for the ``three to five-year-old Nuri Course based on STEAM and to look at activity content and the discipline areas of the activities in terms of the targeted age groups. Ninety-eight science and art unified activities in the three to five-years old Nuri Course teacher`s manual for science and art were scrutinized and four science and art unified activity patterns were found: first, ``expressing art after exploring science and art for artistic purposes (pattern 1: multidisciplinary-connection form); second, ``expressing art after exploring science and art for scientific purposes`` (pattern 2: interdisciplinary-unified form); third, ``expressing or appreciating art while exploring science and art for artistic purposes`` (pattern 3: interdisciplinary-unified form); fourth, ``expressing or appreciating art while exploring science and art for scientific purposes`` (pattern 4: transdisciplinary- consilience form). Second, the largest target age groups for each pattern were In pattern 1 for all of the ages in the three to five-year-old groups, then, pattern 2 for 3 year-olds, and pattern 4 for 4 to 5 year-olds. Thirdly, the relatively popular activity contents in each pattern were ``expressing art`` for pattern 1, and ``objects and substance`` for pattern 4.

      • KCI등재

        초등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및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 탐색

        채동현,신정윤,김은애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는 초등 과학 5~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필수 탐구 활동의 유형을 파악하고, 현장 교사들은 실제지도 과정에서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파악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서에 제시된 필수 탐구활동을 실험‧관찰, 조사‧토의 및 발표, 자료 해석, 토의‧ 토론, 모의활동, 표현하기의 6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 교사 108명을 대상으로 탐구 활동에 대한 탐구 활동의 성취기준 달성 적합성, 학생 수준 적합성, 학생 흥미도, 수업 지도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탐구 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제시되는 유형은 실험‧관찰 유형이었고, 다음으로 많은 유형은 모의활동 유형, 자료 해석 유형이었다. 5학년 교과서에는토의‧토론 유형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6학년은 조사·토의 및 발표 유형과 표현하기 유형에 해당되는 탐구 활동이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성취기준 달성 적합성과 학생의 수준의 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결과에서는 5학년이 6 학년에 비해 낮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고, 학생 흥미도와 지도 어려움에서는 비슷한 평균 점수를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이 필요한 탐구 활동을도출한 결과 총 17개의 탐구 활동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을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실험 결과가 교과서에서 의도한대로 잘 나타나지 않을 때, 탐구활동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가 낮을 때, 학생 및 교사들이 관련된 과학 개념에 대해 이해도가 낮을 때 탐구활동 지도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였다. 천문 관련 단원에서 장기간의 꾸준한 관찰이 어렵다거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역학놀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도 지적하였다.

      • KCI등재

        개인의 복합적인 특성에 따른 활동유형 분석

        나성용,이승재,김주영 대한교통학회 2014 대한교통학회지 Vol.32 No.5

        활동기반 모형은 개개인의 다양한 일상 활동을 교통계획의 의사결정단위로 파악하고,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파생된 통행을 분석한다. 즉, 동일한 활동패턴 집단의 유형의 사회경제적, 상황적 특성에 따라 어떤 활동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활동수행주체의 활동시간, 공간의 이동, 교통수단을 선택하는 행위에 대한 예측을 수행한다. 통행은 개인과 다른 사람들이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의사결정 과정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를 통한 활동기반모형은 교통수요 예측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면서 현실에 부합한 수요추정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하루 활동유형을 선택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활동기반 모형의 통행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활동유형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활동유형 선택행태를 분석하였다. 먼저 통행사슬 유형과 활동목적을 검토하여 활동유형을 분류하고, 활동유형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개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변수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활동유형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구축하여, 활동수행주체의 복합적 특성에 따라 선호되는 활동패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활동유형의 선택은 활동수행주체의 복합적인 특성에 의존하며, 장래 활동기반 교통수요 예측에 있어 개인의 복합적인 특성이 활동기반 모형의 활동스케줄 결정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ctivity-based models analyze individuals' various daily activities that are identified as a decision-making unit for transportation planning. In other words, it is the model that determines the types of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ocial, economic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with the same activity patterns and predicts individuals' activity time, distance, spatial movement and transportation mode. The activity-based model is a method of estimating more efficient and realistic demand in transportation forecasting because traffic is regarded as a complex decision-making process that an individual and other people participate in. In this paper, we grasp the factors affecting choice behavior of activity pattern and analyze choice behavior of activity pattern based on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 of each person. First, we classify activity types of reviewing the trip chain and activity purpose. Next, we identified preferable activity types using complicated characteristics of main agent of activity. We concluded that choice behavior of activity pattern is dependent on complex characteristics of each agent, and further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son are affected over the whole decision process of activity schedule.

      • KCI등재

        중국 노인의 사회활동 유형이 기능적 신체건강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잠재계층분석의 적용을 중심으로

        곽사원,이상록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2

        중국에서는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심화되는 노인 건강문제에 대응 방안으로 사회활동에 주목하고 있지만, 정책적 관심 및 학술적 접근은 주로 사회활동의 양적 참여 제고에 국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활동의 참여뿐아니라 참여 유형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 학술적 관심을 환기하고자, 중국의 대표적 조사자료인 ‘중국건강양로조사(CHARLS)’자료를 활용하여 노인 사회활동 유형이 기능적 신체건강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2018년도 ‘중국건강양로조사’에서 만65세이상~74세이하 전기노인 3,50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잠재계층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잠재계층분석결과 중국 노인의 사회활동 유형은 여가활동형, 스포츠-인터넷형, 종합형, 친목중심형, 호혜활동형 등의 5개 유형으로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중국 노인의 사회활동 유형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특히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다중회귀모델들의 분석결과 사회활동의 건강 영향은 유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곧 친목활동형에 비해 여가활동형 및 인터넷-스포츠형이 기능적 신체건강(ADL, IADL)에 긍정적 영향이 큰 반면, 종합형 및 호혜활동형은 영향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우울에는 여가활동형, 종합형 및 호혜활동형이 긍정적 영향을 보였지만, 인터넷-스포츠형은 유의미한영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국 노인에서 사회활동 유형에 따라 건강 영향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는 바로, 노년 건강 대책으로 사회활동이 보다 유익하기 위해서는 참여 제고뿐 아니라 활동 유형의 상이한 건강 영향에도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여 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Ⅰ 및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개방성 및 활동 유형 분석

        정도준 ( Dojun Ju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4 현장과학교육 Vol.18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Ⅰ 및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탐구적 성향을 알아보고, 탐구활동 실행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필수 탐구활동을 탐구활동의 개방성 및 활동 유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Ⅰ 및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탐구적 성향은 대부분 유사하게 나타났다. 탐구활동의 개방성은 탐구 문제 및 탐구 절차가 모두 제시된 유형이 대부분이었으며, 탐구 문제나 탐구 절차를 학생들이 설계해 보는 활동은 드물었다. 탐구활동의 활동 유형은 수공적 활동 유형, 사고 활동 유형, 탐구활동 전 논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탐구활동의 수공적 활동은 주로 탐구를 절차대로 수행하거나 관찰 또는 탐구 후 해당 내용을 표현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사고 유형은 과학적 용어를 사용하여 관찰 사실을 기록하는 형태였다. 탐구활동 전 논의는 주로 탐구와 관련된 개념이나 이론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빈도는 낮았다. 따라서 탐구의 본성을 강조한 과학 학습의 실현을 위해 교사는 교과서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탐구적 성향을 높이기 위한 교과서 재구성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tendencies of the practical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Chemistry(Ⅰ) and Chemisty(Ⅱ) textbook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essential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openness and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s a result, most of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textbooks showed similar patterns. The openness of the inquiry activities was mostly of the type where both inquiry problems and processes were presented, activities requiring the design of inquiry problems and processes were rare.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into the types of hands-on contents, minds-on contents, and argumentation before activities. Hands-on inquiry activities involved conducting inquiry according to procedures or expressing relevant content after observation or investigation. Minds-on contents involved recording observations using scientific terms. It was found that argumentation before inquiry activities mainly discussed concepts, theories, and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but there were not prevalent. Therefore, teachers will need to make efforts to reconstruct textbooks to enahnce the inquiry tendency of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long with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extbook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

        김은정,정숙진,신명경,신영준,이규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inquiry activity for seven national science textbooks, which were recently authorized and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reviewed seven of the abovementioned textbooks, which were introduced to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for 2022 in elementary schools.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inquiry activities, which were frequently emphasized since the third curriculum. A chapter entitled “Stratum and Fossils” was selected to analyze the detailed types of inquiry activity using the framework. First, analysis was conducted on six types of inquiry activity. The result indicated that two out of seven inquiry activities different among the national and authorized textbooks. In other words, the two slightly differed from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national textbooks. It was not reasonable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authorized textbook exerted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autonomy and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hose of national textbooks. Second, science process skills, material, and inquiry process were established as standards for the detailed types of inquiry activity. The study demonstrated a slight difference among textbooks in terms of material and inquiry process, whereas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seven authorized textbooks were the same or similar. This finding indicated t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seven types of inquiry activities. Moreover, the study examined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essential learning contents in detail and found that there were more diverse than types of inquiry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2022학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과학 교과서가 검정교과서 체제로 변경되어 운영됨에따라, 새로 개발된 초등과학 검정교과서 7종과 국정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3차 교육과정부터 꾸준하게 강조해 온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검정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지구과학 영역의 ‘지층과 화석’ 단원을 선정하였고, 탐구활동 유형과 세부 탐구활동 유형 분석을 위하여 분석틀을 마련한 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첫째, 탐구활동의 전체적인 유형 분석을 위하여 6가지 탐구활동 유형(실험 관찰, 모의 활동, 조사 토의 및 발표, 자료 해석, 글쓰기 읽기, 표현하기) 분석 틀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에 제시된 7가지 탐구활동 중 2가지 탐구활동(여러 가지 지층 관찰하기, 과거 생물과 환경 추리하기) 에서만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대체로 국정교과서의 탐구활동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었다. 이로써 탐구활동의 전체적인 유형 측면에서는 국정교과서를 활용할 때와 비교했을 때, 검정교과서의도입을 통하여 교수 학습활동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향상되었다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둘째, 세부 탐구활동 유형 분석을 위하여 탐구 기능, 소재, 탐구과정을 기준으로 선정하고, 중요 학습 요소와관련한 탐구활동(지층의 형성 과정과 특성 알아보기, 퇴적암 생성 알아보기, 화석의 생성 알아보기)을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탐구활동 유형 측면에 비해 더욱 다양성이 드러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7종의 검정교과서의 도입으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탐구활동 유형이지만, 소재, 탐구과정 범주에서 작은 변화들이 생겼고, 현장에서는 7개의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체제가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 검정교과서로의 체제 변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국정교과서의 커다란 틀을 벗어나는 것이쉬는 일이 아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검정교과서 체제 변화로 인하여 기대되는 자율성과 다양성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 자체를 너무 세분화하여 제시하지 않는 등의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정수연,장정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by based on their types, units, and publishers. Moreover, we examined the changes in inquiry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textbook distribution in the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each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contained 23% decreased page-number and approximately 8% decreased inquiry activities. It is due to make a relaxation of learning burden of students, whereas to increase the ability of creative scientific inquiry. The inquiry activities of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have increased the types of SA, IP and EX compared to those of the 2009 revised. The result indicated the consistency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hich pursues a variety of student-centered inquiry. There are 22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Life ScienceⅡ in all textbooks. However, in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LS2㉡~LS2㉤ provide not all the 17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try to restructure their textbooks for enhancing students’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유형별, 단원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고,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와 비교하여 탐구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활동 예시의 교과서 분포 정도와 탐구활동 유형을 조사했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비해 지면 수는 약 23 % 감소되었고, 탐구활동 수는 약 8 % 감소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줄이되 창의적 과학 탐구 능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2009 개정과 마찬가지로 ID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9 개정에 비해 SA, IP, EX 유형이 많아졌다. 이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 것이다. 그러나 ID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이 이전 교육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고 구조화된 탐구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Ⅱ에서 제시하고 있는 탐구활동 예시 22개가 교과서별 탐구활동 유형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2009 개정 생명과학Ⅱ에서는 탐구활동 예시 17개를 모두 제시하지 못한 교과서가 있으며, 이는 LS2㉡~LS2㉤이다.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출판사별로 탐구활동의 빈도,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교사는 탐구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들이 탐구활동 유형을 제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연변지역 중학생의 여가활동 유형에 대한 특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철상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가활동 유형의 특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통해서 여가활동 함양의 중요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여가활동의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초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6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청소년의 일반적특성, 여가활동 유형이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분석결과 모든 주요 변인 간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참여횟수는 4회 이하, 자발적참여, 12시간 미만의 참여시간이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여가활동유형은 공통적으로 스포츠 부분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취미교양 부분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한국 청소년 대상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중국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여가활동 함양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초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