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발사업 환경평가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

        신경희외 한국환경연구원 2011 수시연구보고서 Vol.2011 No.-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은 단기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이고 2차적인 변화가 더욱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며, 단일 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만이 아닌 지역단위 혹은 유역단위 등으로 복합적이고 누적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 동안 다수의 유사 개발사업에 적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수준 및 효율성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축적과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평가기법이 적절하게 적용되고 있는지, 어떤 평가기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정보도 거의 없다. 현행 환경영향평가제도에서 개발사업 추진 이후 발생될 수 있는 영향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사후환경영향조사’를 도입 · 시행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단일사업만을 조사대상사업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이고 누적적인 환경영향의 변화를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개별사업들에 대한 사후환경영향조사의 결과물은 평가기법 및 저감기법의 효과 검증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중장기적 환경영향에 대응하고 환경평가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생산 프로그램으로써 ‘중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제도의 한계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중장기적으로 환경영향이 나타난 사례조사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성을 정립하고 도입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규모 사업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 지역환경영향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 평가기법 및 저감대책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1. 대규모 개발사업의 중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서해대교, KTX, 강진만 등 대규모 개발사업은 그 규모가 크고 장기간 이루어지면서 사업이 미치는 영향의 범위가 크고 그 영향 또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며, 청성산, 한탄강댐 등과 같이 환경문제를 이유로 사업이 연기되거나 중단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 후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서 제대로 세밀한 조사와 분석을 하지 않고 있으며, 환경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추측적인 내용을 토대로 찬반측이 대립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사업의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 작성을 통해 향후 사업 추진 시 타당성에 대한 논란과 환경갈등 등으로 인한 혼선의 과정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는 사회적 논란이 컸던 대규모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준공 후 7년 이후 15년 이내에 사업자, 승인기관 또는 환경부가 작성하도록 한다. 모니터링보고서는 계획 수립 시에 의도한 계획(환경분야 포함) 목표 달성의 검증, 환경평가 예측결과의 검증, 중장기적 영향(사회영향 포함) 변화 검토, 환경평가 운영 과정의 평가, 다양한 주체(전문가/주민/사업주 등)의 주요 주장에 대한 검증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2. 지역환경영향의 중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주택 및 상업시설, 골프장, 공장 등 소규모 점적 개발과 단위 개발사업들의 난립 등 국토의 난개발로 인해 지역생태계의 연속성이 단절되고 생활환경의 악화 및 환경 인프라부족 등의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역환경 기준이 없고 지역종합계획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지 않음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지역의 개발 동향 및 환경질의 동향을 조사하여 지역의 환경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다른 계획 수립 시 연계 및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뉴질랜드나 영국의 스코틀랜드에서도 환경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운영하여 정책개발과 정책 결정과정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지역환경영향에 관한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는 지역종합계획 또는 환경보전계획 수립 주기를 고려하여 10년 또는 20년을 작성주기로 작성하도록 한다. 도시기본계획이나 환경보전계획, 유역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다. 모니터링 보고서는 지역 현황과 특성, 과거 30년간의 개발사업 동향, 개발 관련 정부정책 및 지방자치단체 정책의 변화 등 지역 여건의 트렌드 분석과 과거 30년간의 환경 동향분석, 30년 후의 지역환경목표 설정, 환경목표 실천을 위한 로드맵설정, 지역환경목표의 활용방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3. 평가기법 및 저감대책의 중장기 모니터링 환경영향을 조사하고 예측, 평가하는 기법들은 활용되는 것만큼 기법들에 대한 적합성 및 효과성 등이 검증되고 있지 않다. 특히 현재 친환경계획 수립지침의 경우 각 항목별로 제시된 기법의 효과나 모니터링 사례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 없이 저감시설의 유형과 조성위치에 대한 일반적이고 개략적인 설명 위주로 나열하고 있다. 생태통로나 대체서식지 등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부의 지침이 마련되거나 개선되는 예가 있지만, 일부 항목에 대해서만 진행되거나 일회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평가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평가기법에 대한 효율성을 검증하고 사업유형별 친환경계획기법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평가기법과 저감대책에 대한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는 각각 환경영향평가협회 또는 환경부와 승인기관 또는 사업자협회에서 10년 이상의 기간에 대한 자료수집 및 분석을 통해 작성하도록 한다. 보고서는 크게 평가항목별, 사업유형별 등 2가지 형태로 작성한다. 평가항목별은 항목별 조사 · 예측 · 평가기법 및 저감대책에 대한 효율성 검증을 목적으로 적용사례, 관련 학계 연구결과, 국외 사례, 국내외 최근 기법 조사,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작성하고 사업유형별은 사업유형에 따른 우수계획, 사례, 부적정 계획 사례 등을 수집 분석하여 사업별 최적 계획대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s can be both short-term and medium to long-term, and the impact from secondary changes could potentially be even larger. The impacts from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are compounded according to their region and watershed, and their impacts could be cumulative. Nonetheless,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concerning the standard and effectiveness of assessment techniques used for similar projects over a specified is insufficient; thus no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assessment techniques exist. Within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post environmental impact surveys' are used to manage the impacts which materialize after the development project has begun, but the measure is limited because the surveys only investigate individual short-term projects and fail to examine both the cumulative and medium to long term environmental impacts. Moreover, results from post-project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s of individual projects cannot be used as dat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ress and suggest the need for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programs' as information extraction programs which could respond to medium to long-term environmental impacts and enhance environmental assessments. To achieve this,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ystem a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and need to implement such systems are established through case studies of medium to long-term environmental impacts and collection of expert comment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measures for the following are suggested: monitoring large-scale projects for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gional environmental impacts for medium to long-term, and monitoring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for medium to long-term. 1.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Large Scale Projects The scope of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Seohae bridge, KTX, and Gangjinman, are huge, and the impact are shown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 such, increasing number of cases, such as Chungsun mountain and Hantan River Damn, are being delayed or canceled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have they caused. Nonetheless, careful investigations and analysis of post-project environmental impacts have yet to be implemented, and speculative evidences are used for weighing pros and cons because scientific evidences concerning environmental impacts are limi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duce feasibility debates and confusion about environmental conflicts through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of large scale projects.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ports will be filed for large scale projects which have caused social conflicts, and these reports will be written 7 to 15 years after the project has been completed by either the project's entrepeneurs, approval authority, or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ain contents of the monitoring reports will include: verification of intended objectives laid out during the plan's planning process (including environmental goals); verification of environment impact predictions; review of changes in the medium to long-term impact (including societal impact); assessment of how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re conducted; and verification of arguments posed by various stakeholder (experts, citizens, business owners). 2.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Regional Environmental Impact The proliferation of small scale projects,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golf courses, and factories, and environmentally-unfriendly development projects have led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discontinuities in the ecosystem, deterioration of social environments, and lack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s. These outcomes have transpired because objectives for regional environments and monitoring of comprehensive regional planning do not ex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nvironmental objectives through investigations on regional developmental trends and environmental quality trends to link and reflect these objectives when establishing plans. In New Zealand and Scotland, monitoring of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acilitates policy development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utcome of policies.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ports on regional environmental impacts will take into account both comprehensive regional plans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and it will be written within 10 to 20 years. The reports will be written by appropriate regional authorities who are in charge of basic urban plans,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s, and comprehensive watershed plans. The main contents of monitoring reports will include: regional conditions and unique characteristics; trends of development projects over the past 30 years; analysis of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changes concerning development and regional environmental trends over the past 30 years; establishment of regional environmental objectives for the future (30 years from today); establishment of a road map to achieve the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measures to utilize regional environmental objectives. 3.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of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Considering the frequency in which the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rediction are used,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s of these techniques have yet to be verified. In particular, current environmentally-friendly planning guidelines do not verify the effectiveness of used techniques and monitoring of case studies, and given explanations are often brief. Although guidelines are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ased on research results of ecological passageways and/or alternative habitats, singl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specific fields remain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various case studies of environmental impact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ssessment techniques, and link environmentally-friendly techniques which are specific to project types.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ports on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will be written by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sociations, authoritie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r business associations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collected over a period of 10 years. The report will be written in two forms: according to assessment contents or project types. The objectives of reports written according to assessment contents include verifying the effectives of investigation, prediction, and assessment techniques through relevant case studies, relevant research results, and collection of expert opinions. On the other hand, the reports written according to project types collect and analyze both outstanding and insufficient plans and case studies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planning measures for each project type.

      • KCI등재

        황해의 해양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허승,박종수,안경호,이윤,최옥인,임동현,황운기,이승민,김평중,방현우,Heo, Seung,Park, Jong-Soo,An, Kyoung-Ho,Lee, Yoon,Choi, Ok-In,Lim, Dong-Hyun,Hwang, Woon-Ki,Lee, Seung-Min,Kim, Pyoung-Joong,Bang, Hyun-W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3

        황해의 해양환경, 어업자원 및 증양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서 해양생태계 보전의 일환으로 황해의 해양환경에 대한 다양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서해수산연구소가 황해에서 수행 중인 모니터링은 연안정지관측, 서해해양조사, 서해어장환경모니터링,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유해적조모니터링, 한중황해환경모니터링조사 및 해파리모니터링 등이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들은 중요 어족의 어장형성 해역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근해 어업생산성을 제고하고, 기후변동에 따른 향후 수산자원 변동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한반도 주변해역의 체계적인 해양과학자료를 제공하여 수산업, 해양환경보전, 해양레저 등 한반도 주변해역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연안어장의 지속적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어장환경 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The 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which is in charge of research on marine environment, fisheries resources and aquaculture carries out various monitoring projects with an aim of marine ecosystem conservation. The monitoring projects include costal oceanographic observation,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 fishing ground monitoring,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harmful algal bloom monitoring, Korea-China joint monitoring on the Yellow Sea and jellyfish monitoring. The monitoring produces basic data on fishing ground locations of main fishery species to improve fishery productivity. The data are also used to estimate variations in fisheries resourc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o set up the policy for creating economic value from fishery,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marine leisure activities and conserving/controlling the marine environment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in the fishing ground.

      • 개발사업의 소음모니터링 분석과 개선방안

        선효성 ( Hyo-sung Sun ),서보용 ( Bo-yong Se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환경영향의 현실화 여부 및 정도를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사후환경영향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소음항목의 경우 사후환경영향조사를 통해 협의내용 이행 여부 및 조사지점별 소음측정결과 기준 초과 여부 등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사후환경영향조사를 통한 기존 소음모니터링은 소음예측결과 및 소음저감대책 효과 등의 적정성 검토와 환경영향평가의 환류적 기능 수행에 한계점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과 관련한 사후환경영향조사 현황 파악과 소음 모니터링 결과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석산개발사업, 도로개발사업, 택지개발사업의 운영 시를 대상으로 협의내용을 분석한 결과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중요한 평가내용을 포함하여 확인할 수 있는 협의내용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석산개발사업, 도로개발사업, 택지개발사업의 운영 시를 대상으로 소음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영향평가 및 사후환경영향조사의 조사지점 및 소음기준 비교, 사후환경영향조사에 따른 연도별 및 이격거리별 소음분포 변화,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소음예측결과와 사후환경영향조사 단계의 소음측정결과의 검토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점 및 소음기준은 동일성 유지가 필요하되, 불가피하게 변경이 필요할 경우 구체적인 정보 및 근거의 명시가 필요하다. 그리고 연도별 및 이격거리별 소음분포 분석을 통해 사후환경영향조사기간 이후에도 소음 증가 지속성 등을 감안하여 필요할 경우 기간 연장을 고려하고, 사업지구 주변의 현실적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예측기법 적용의 필요성을 암시하였다. 또한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소음예측결과와 사후환경영향조사 단계의 소음측정결과 비교·검토에서는 사후환경영향조사와의 연계를 통해 예측기법 등의 현실적 고려방안 적용에 따른 소음예측결과 신뢰성 향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기존 소음모니터링 현황 파악과 소음모니터링 결과 분석을 통한 사후환경영향조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소음과 관련한 협의내용 실효성 확보를 위한 협의내용 구체화의 방안으로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의 조사내용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조사지점과 소음기준의 불가피한 변경이 필요할 경우 변경내용 및 변경사유 등의 이력사항을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에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운영 시 시간적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소음 증가 양상을 나타내는 개발사업의 경우 사후환경영향조사기간 이후에도 지속적인 소음모니터링 수행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넷째, 환경영향평가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의 조사내용을 활용하여 소음예측기법의 예측인자값 및 소음저감대책의 소음저감효과 등과 관련한 추가적인 데이터 분석을 조사내용에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a stage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designed to determine the probability and extent of environmental impact for rapid response measures in the event of a problem. In the area of noise, whether the consultation results are properly followed up and whether noise measured in each measuring point exceeds noise standards are reviewed during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owever, the existing noise monitoring system of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limitations in reviewing the noise prediction results or the effectiveness of noise reduction measures and in fulfilling EIA`s feedback func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respect to noise and the analysis of noise monitoring results. Analysis of consultation results of quarry development projects, road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s suggested the need for revising the consultation process to enable the incorporation of major evaluation results of EIA. We also analyzed the noise monitoring results of quarry development projects, road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For this, we compared the measuring points and noise standards of EIA and post EIA; changes in noise distribution by year and separation distance; and noise predictions of EIA and noise measurements of post EIA. While the measuring points and the noise standards should not be altered, specific information and reason must be presented in case change is inevitable. Then, we suggest extending the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eriod even after its expiraton through the analysis of noise distribution by year and separation distance by considering the persistence of increase in noise and applying prediction techniques capable of reflecting the realistic situations of the areas around the 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when comparing and reviewing the noise prediction results of EIA and noise measurements of post EIA, the two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and we also suggest the need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noise prediction results by applying realistic considerations and prediction techniques. We propose a plan for improving the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existing noise monitoring system and noise monitoring result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consider using the survey results of the p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 means of making consultation more specific for ensuring the feasibility of consultation results with respect to noise. Second, in case the measuring points and noise standards are changed for inevitable reasons,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history information such as the reason for and details of change in the post EIA results notification. Third, in case a development project when implemented shows a pattern of persistent noise increase over time, continuous noise monitoring is required after the post EIA period. Fourth, as one of th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 can consider using the survey results of post EIA to incorporate additional data analysis related to predictive factor values in noise prediction techniques and noise reduction effect of noise reduction measures in evaluation details.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문난경,전동준,하종식,김순태,서지현,은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KEI는 환경영향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 제고에 부합하기 위하여 환경평가본부의 운영을 통한 환경평가서의 전문적 검토 및 평가기법의 개발·보급에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현재 환경평가(전략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시스템은 개별 사업 또는 계획에 대한 환경 현황 예측 및 분석에 한정되어 있어 주변 환경 요소(자연환경 및 생활환 경)의 시 공간적 변화에 따른 영향, 지역별 환경용량 등의 차이에 따른 고려 사항 등을 반영한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KEI 환경평가본부는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의 검토 업무에 있어 대기, 생태계, 수질, 지형 등 환경 변화의 분석 및 미래 예측을 토대로 대상 계획 및 사업들에 대하여 이를 고려한 개발계획(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는 분석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 전반에 걸친 환경현황을 지역별로 파악하고 향후 개발계획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차 연도에서는 대기질 분야와 생태계 분야를 대상으로 환경평가에 필요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대기질 분야 〉 대기질 분야의 경우 국내 기존 배출원 및 개발계획 배출원에 대한 대기질 영향 분석이 가능한 대기질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발계획에 따른 광역적 대기영향을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여 대기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조정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기질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사업 중 하나인 에너지 사업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운영 중인 화력발전소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추가 운영 예정인 화력발전소의 대기질 영향을 살펴보고 그로 인한 조기사망자 수를 산정하여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화력발전소를 포함한 국내 화력발전소 운영으로 인한 대기 질 영향은 PM2.5의 경우 최대 24.561땅ug/m3(환경기준치의 49%에 해당)로 나타났으며 03의 경우 최대 9426ppb(환경기준치의 157%에 해당)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추가 운영 예정인 화력발전소의 영향으로 강원도 지역에 8시간 평균 03 최대 기여농도가 최대 1174ppb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기환경기준치 인 60ppb의 20%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11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화력발전소를 포함한 국내 화력발전소 운영에 따른 건강 영향평가를 조기사망자 수 예측으로 실시한 결과 2010년 PM2.5 증가로 인한 조기사망자 수는 약 1,144명으로 나타났으며 화력발전소 내구연한을 30년으로 고려할 경우 3만 4,320 명의 조기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은 기상현상과 화학반응으로 바람을 타고 확산되는 광역적인 문제로, 개별 사 업에 대한 영향평가로는 실질적인 대기질 관리가 어렵고 광역평가 없이는 사전예방적 관리가 힘들다. 따라서 지역별 대기질 현황분석을 토대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량을 관리하 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을 차등화하는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음 연도 연구를 통해 권역(지역)별 배출밀도 현황 및 추가 배출허용가능 량을 분석하여 개발 가능성 평가시스템을 완성할 계획이다. 〈 생태계 분야 〉 원격탐사기법은 환경현황에 대한 효율적인 모니터링 기법 중 하나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하천 및 호소의 수환경 모니터링 시, 수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경우 문제원인 및 피해범위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외에서는 호소나 하천에 대한 수질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 연구자들이 수환경 모니터링에 대한 원격탐사기법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하천 또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 나타나는 수환경 문제를 모니터링하는 도구로 위성영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근적외선 영상에서 추출한 정보를 통해 플랑 크톤의 농도 추정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수체의 녹조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생태계 분야에서는 인공위성 자료의 근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수질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4대강살리기사업 이후 광범위한 녹조발생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낙동강 지역을 중심으로 수체 이상 현상을 원격탐사기법으로 확인하였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수질 측정 자료와 위성영상에서 취득된 영상정보를 비교하였으며, 녹조가 나타나는 시기의 현장관측 자료와 위성영상에서 나타나는 추출한 정보값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수질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원격탐사기법의 한계도 확인하여 제시하였다.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has been committed to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rofessional review and evaluation techniqu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roup in order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impartiali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which is one of the missions of the Institute. However, the current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 is limited to the prediction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status of individual project and plan and there is a limit in conducting a scientific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reflecting the considerations of the differences in local environmental capacity and effect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Thus, the KEI Environmental Assessment Group rather than merely collecting data needs to operate a constant analysis system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atmosphere, ecosystem, water quality and topography and future prediction during the review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status across the nation by region and to establish an analysis system to assess the adequacy of future development plans. To that end during the first year, we performed analysis required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ir quality and ecosystem. < Air quality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objective data for policy adjustments that can contribute to effectively improving air quality by operating air quality analysis system for existing and planned sources and in-advance assessment system to evaluate the impact of regional atmospheric effect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plan. In this regard, we examined the air quality impacts of thermal power plants that are currently under operation as well as those scheduled f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6th Basic Plan on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and evaluate the impact on public health by estimating early death toll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energy projects that have one of the greatest impact on air quality. A study on the air quality impact found that the operation of domestic thermal power plants including the ones planned on the 6th Basic Plan on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will result in a maximum of 24.56../.... (accounting for 49% of air quality standards) of PM2.5 and up to 94.269ppb in case of O3 concentration (accounting for 157% of air quality standards). In particular, the 8hr O3 maximum contribution level of Gangwon region showed a maximum of 11.74ppb or about 20% air quality standards due to the impact of thermal power plants planned under the 6th Basic Plan on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which raises the need for counter-measures. As a result of health impact assessments on the operation of thermal power plants including the ones planned on the 6th Basic Plan on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early death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PM2.5 was found to be 1,144 which means 34,320 premature deaths can occur when considering the power plants’ useful life of 30years. As air pollution is a broad-based issue affected by atmospheric conditions and chemical reactions, impact assessment on individual projects cannot ensure practical air quality management and preemptive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amount of generated air pollutants based on regional air quality analysis and to that e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differentiate the air pollutant emission standards by region. Through the next year’s research, the plan is to complete the development feasibility evaluation systems by performing analysis of regional emission densities and additionally permissible emission amounts. < Ecosystem > Remote sensing techniques are being utilized in a wide range of fields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monitoring environment status. The benefit of using satellite images in monitoring the water environment of rivers and lakes is the ability to quickly identify the cause of problem and scale of damage. Satellite imagery has been actively used in other countries and the applicability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water environmental monitoring has been sought by researchers in South Korea. The possibility of using satellite images as a tool for monitoring water environmental problems that occur in river or water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has been confirmed. In the ecology section of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air quality monitoring using near-infrared images of satellite data by assuming that data extracted from near-infrared images can be used to estimate plankton concentration, based on which algae status of water bodies can also be identified. Anomalies were identified by employ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on the Nakdong river area where public’s attention has been brought on by the appearance of algae over a wide range after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We compared the video information obtained from satellite images and water quality measurement data provided by public agencies and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s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s and on-site observations at the time of algae’s manifes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water quality monitoring while the limitations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were also confirmed and presented.

      • 농업생산효율을 위한 생육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심종열 ( Jong Yeal Shim ),문석표 ( Seok Pyo Moon ),김용주 ( Yong-joo Kim ),임성오 ( Seong Oh Lim ),한태호 ( Tae Ho Han ),남규철 ( Kyu Chul Na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작물은 환경 조건에 따라 생육 상태, 병해, 환경장해 등이 발생하며, 이는 수확량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여 급격한 수확량 변동과 작물의 가격불안을 유발한다. 작물의 생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육에 필요한 환경조건의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의 급변으로 인해 기존의 예측방법에 의해 예측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으로 특수한 환경에서의 기상데이터 획득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육환경 센서, 데이터 수집 장치, GPS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육환경 센서는 외기센서, 토양센서, 조도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수집 장치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인 Arduino (ATMEL, Mega 2560, USA)가 사용되어, 데이터 수집 장치에 삽입되는 메모리에 자동 저장되어지게 개발 하였다. 개발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성능평가는 강우 전후의 환경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환경데이터와 오차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측정 주기는 예비시험에서 1시간 내에 대기 온·습도, 토양 온도·수분·전기전도도, 조도의 값이 급격하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1시간 주기로 메모리에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설정하였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험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충남대학교 부속 농장에 설치하였으며, 측정 결과,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과 기상청의 대기온도와 습도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비가 온 날은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생육환경모니터링과 기상청의 측정 위치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대전지방기상청의 대기온도 및 대기습도의 오차는 각각 14%, 10% 으로 낮게 나와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육환경 측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무선통신 등을 활용하여 농민 또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생육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이성현 ( Sunghyoun Lee ),유병기 ( Byeongkee Yu ),이찬중 ( Chanju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돈사 내 사육환경 및 작업자 작업환경 개선을 환경 모니터링

        이성원 ( Seong-won Lee ),서일환 ( Il-hwan Seo ),김곤 ( Gon Kim ),김효철 ( Hyo-cher Ki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축산업에서는 사육두수 증가와 농가의 수 감소로 농장의 규모는 대형화 및 밀집화가 진행되었다. 농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여성화,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로 농업의 노동 약자는 증가하고 있다. 돈사의 대형화와 밀집화는 유해가스와 분진 농도, 온습도 조절 등 사육환경 및 작업환경의 관리 상 어려움을 주고 있다. 돈사 내의 환경 요인이 잘못 조절되는 경우 돼지는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적이 낮아져 질병에 걸리고, 폐사율이 증가되며, 증체량의 감소로 생산량이 낮아진다. 유해가스와 분진 농도의 증가는 노출강도와 노출빈도에 따라서 작업자에게 만성 및 급성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사고 및 재해 피해를 줄 수 있다. 시설 내의 환경 개선과 유지를 위해 현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장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현장실험은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한 모돈 포함 약 15,000두 규모의 상업용 돈사에서 진행하였다. 작업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구획화되어 있는 자돈사와 비육사 돈방 중에서 상대적으로 폐사율이 높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돈방을 실험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돼지의 경우 온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사육환경 분석은 열환경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측정 돈방 내 지역적인 환경의 분포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점측정으로 진행하였다. 축산 내 환경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위하여 센서를 설치 할 때, 내부의 높은 가스 및 분진으로 인하여 센서가 쉽게 망가질 수 있다. 사육환경 및 작업환경에 대한 가스와 분진 농도의 측정을 위해서 작업자가 작업 중 노출된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웨어러블 측정장비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상시 모니터링과 연계하여 환경을 계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기초데이터를 토대로 돈사 내부의 계절별, 기후별, 기상별 열환경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작업자의 이동경로와 주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해 시설의 위치 별, 작업 별 환경 변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토환경 모니터링 지표로서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활용방안

        김은영 ( Eun Young Kim ),전성우 ( Seong Woo Jeon ),송원경 ( Won Kyong Song ),곽재련 ( Jaer Yun Kwak ),이준 ( June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환경정책연구 Vol.11 No.2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종합적인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적 가치를 평가한 지도로서 친환경적인 토지이용 및 관리를 유도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2001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제작되었으며, 국토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매년 지도를 갱신하고 있다. 이처럼 지도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 매년 타당성 연구를 기반으로 평가기준을 변경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으로 국토의 환경성을 평가할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로서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에 사용된 데이터를 현재 평가기준으로 재평가하여 6년 동안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변화 내역을 분석하고, 본 지도가 국토환경 모니터링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국토환경성평가1등급 지역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등급 변화는 10년 단위로 갱신되는 4차 임상도 갱신(2008), 백두대간 보호지역 등 신규 법정 보호지역 반영(2010), 광역생태축 등 환경생태적 평가항목 자료 추가(2009) 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산림지역의 지속적인 관리로 인한 영급 증가, 신규 환경생태적보전지역 추가 지정 등과 같은 개별적인 환경지표를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은 국토환경 및 정책 변화의 통합 모니터링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향후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보다 정확한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평가항목으로 활용되는 환경 주제도의 정확도 확보, 갱신주기 단축이 요구된다. Objective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is to evaluate environmental value used in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order to encourage eco-friendly land use and management. The fir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01 to establish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criteria of the ECVAM, and the first nationwide map was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2003 to 2005. The maps are updated annually to reflect environmental changes of land.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criteria have been modified based on feasibility studie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aps. This study re-evaluated the ECVAMs from 2005 to 2010 with criteria used in current environment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 area of the maps in 6 years. This is also an investigation on the maps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as an index for sustainable environmental monitor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1st grade level of the ECVAM area with the highest conservation value had been expanding since 2005. These changes were analyzed in terms of updating the 4th Forest Map (2008) produced once every 10 years, reflecting the new legal protected areas such as Baekdudaegan Protected Area 2010), and the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items such as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2009). This mean the ECVAM are a monitoring index that integrates individual environmental indexes including the increase of forest age and diameter due to sustainable management of forest areas, and the change of conservation areas. Therefore, ECVAM can be used as a new index integrating national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monitoring changes of national environment and policy. In order to utilize the ECVAM, improving accuracy and reducing renewal cycle time of thematic maps are required.

      • 환경평가 모니터링 사업 세부과제 2 : 국책 송도국제도시 건설사업의 사후환경관리 성과 분석 및 평가

        방상원,조한나,채진호,장태호,조근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쳐서 사후환경관리가 이루어진 대형 국책사업인 송도국제도시건설사업을 시범대상사업으로 삼아, 동 사업의 사후환경관리가 적정하였는지, 조사결과등의 신뢰성과 실효성이 담보되었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후환경관리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사후환경관리 전반과 관련된 주요 사안들을 도출하여, 이를향후 유사 개발사업의 사후환경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사후환경관리의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위해 갯벌 매립으로 인하여 영향을가장 크게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는 조류와 저서동물을 송도지구의 주요 지표생물상으로 삼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서 등(환경영향평가서,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의 조류 및 저서동물의 조사결과,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을 조사·분석하고, 관련 KEI 검토의견 및 환경부 협의의견을 조사하였다. 기존 환경영향평가서 등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송도국제도시와 관련된 타 조사보고서 등을 함께 조사·비교하였다. 송도국제도시 건설사업의 사후환경관리 성과를 분석 및 평가한 결과 첫째, 송도국제도시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의 조사결과는 조류 및 저서동물의 경우 그 신뢰성이 확보된것으로 판단되었다. 조류의 경우, 타 보고서(송도갯벌과 저어새 포럼 자료집(2011, 인천환 경운동연합)과 저어새와 함께한 1년(인천시, 2014)과 비교할 때에 전반적으로 거의 유사한 기간별 도래 개체수가 보고됨으로써,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 상의 조류 조사결과는 그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저서동물의 경우, 과거 문헌자료와 비교 시조사결과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2015년 실시된 현장조사 결과와도 일치하여 자료의 신뢰성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송도국제도시 건설사업의 경우, 당초 예측되었던 조류 및 저서동물에 대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는데, 이는 환경영향평가 등의 일련의 환류체계가 원활하게 작동된 결과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송도갯벌의 매립으로 인하여 이동성 조류(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등)에 지대한 영향이 미칠 것으로 우려했었으나,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그 영향은 당초의 우려보다 그리 높지 않았으며, 최근에는 조류의 도래가 점차 안정화되어 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저서동물의 경우, 4회의 계절조사가 일정한 간격으로 실시되어 군집의 장기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고, 장기간 신뢰성 있는 분석이 실시되었는데, 이는KEI 검토의견과 환경부의 협의의견(지속적인 계절조사 및 소실되는 갯벌에 대한 인공서식처 조성의 필요 등)이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에 반영되어 사후환경관리의 실효성을 입증한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송도국제도시 건설사업의 사후환경영향조사와 관련된 문제점 및 한계점 또한 발견되었다. 조류의 경우, 종합적인 분석과 논의 결여, 지표종에 대한 장기모니터링과 중장기영향의 확인 및 저감방안 효과 분석이 결여, 자료보존기간이 3년밖에 안 되는 문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갯벌 훼손에 대한 보상 및 완화 조치인 대체서식지 조성지역이동 사업의 사업지역인 송도지역으로만 국한되어 있어서 실질적인 대체보상의 효과 및 실효성이 반감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저서동물의 경우, 사업을 전후한 동일한 정점과 조사방법 시행, 일정한 정점당 채집면적, 퇴적물과 저서동물의 동일한 정점 비교, 지역의 소수 지표종 분석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유사 갯벌매립사업 추진 시의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조류의경우, 1) 공사 시 및 운영 시의 조사 지점, 조사 시기 및 조사 방법 등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유지, 2)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 조사 지점과 시기를 선정하여 조사하는 등, 환경 변화에 따른 탄력적인 사후환경영향조사를 실시, 3) 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조류 영향, 도래 변화및 그 원인 등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논의 실시, 4) 사업 시행으로 인하여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표종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5) 누적되는 중장기 영향의 모니터링을 위한 자료보존기간 연장(현재 3년을 10년으로 상향) 등이 필요하다. 저서동물의 경우, 1) 사업을 전후하여 동일한 정점과 동일한 조사방법으로 실시(매립예정지는 사전에 별도의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소실되는 해역의 가치평가 필요) 2) 자료의 호환성을 위해, 저서동물의 채집면적은 현장에서 적용하기 적합한 0.2㎡을 채취하도록하는 개선이 필요, 3) 퇴적물과 저서동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조사정점에서 화학분석 및 입도 분석 등의 조사를 실시, 4) 저서동물 군집의 종 목록, 정점별 개체수 밀도, 생체량을 제시하여 향후 모니터링 자료의 분석과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함, 5)사업지구 주변해역의 생태학적 지표종(indicator species)들을 선정하고 개체군의 장기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군집분석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송도국제도시 건설사업은 1990년 매립이 승인되어, 1994년4공구 공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장기 국책사업이나,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의 단기간 보존기간(현행 3년)으로 인하여, 2005년 이전의 환경 변화 등에 관한 사항들은 파악할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인 송도국제도시 건설사업은 공간적, 시간적 범위가 광범위하여 사후환경관리 분석 및 평가를 동 사업으로 인하여 가장 크게 영향 받을 대표항목(이동성 조류 및 저서동물)에 한해서만 시행하였다. 그 외 갯벌 매립 사업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해양수질 등의 타 항목에 대한 사후환경관리의 분석 및 평가는 실시하지 못하였다. Songdo construction project was to develop an international city with the dimension of 53.4㎢ by reclaiming the shores and wetlands in Incheon, Korea. Proposed in 1988, a lot of controversy over the reclamation has occurred, concerning mainly for the loss of habitat and flyway of migratory birds including CITES endangered species. Subsequently, a seri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counter measures derived from EIA had been efficient enough or poorly predicted, and we looked into any unpredicted impacts arisen. To do so, we investiga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EIA reports, reviews and quarterly environmental monitoring reports from 2005 to 2014. Various kinds of counter measures were proposed and actually employed such as creation of alternative bird habitats, reduction of soil suspended solids, use of low-noise and low-vibration equipments, continuous precise monitoring and etc. The data reprocessed and analyzed in our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migratory birds was decreased gradually and dropped almost a half compared to that of early stage of the reclamation. Whereas the number of bird species was fluctuated throughout the reclamation periods depending on the time and range of reclamation. In case of CITES endangered species such as a spoonbill, its number was drastically dropped during the heavy reclamation periods. But after that, its number was recovered gradually and seemed to reach to a full saturation in terms of habitat capacity. This implies that the project indeed impacted the bird population size but not the species diversity and especially not to the endangered species. In the case of benthic anima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ey compared to the past literatu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field research conducted in 2015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btained. In addition, the four seasons field investigation is carried out at regular intervals could determine the long-term change in the community, it was carried out a long-term reliable analysis. It seems that substantial impacts were reduced thanks to a series of EIA procedures such as EIA reports, reviews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all together. Problems and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monitoring of Songdo construction project were also found. In the case of birds,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discussion about birds effect lacked. Reduction of long-term monitoring and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effect of long-term effects on indicator species was lacking. This issue also needed to improve data retention period, which is only three years. In addition, compensation and mitigation measures for creating an alternative habitat is limited only to the Songdo district. The practical effect and the effectiveness of alternative compensation was halved. In the case of benthic animals, we need to improve on the same vertices and research method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implementation, compared to the same vertices of the regular gathering area, sediment and benthic animals per vertex, and analysis on indicator species of local area.

      • 작물의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김두한 ( Du-han Kim ),이경환 ( Kyeong-hwan Lee ),김철수 ( Cheol-soo Kim ),양광열 ( Gwang-yeol Yang ),최창현 ( Chang-hyun Choi ),최태현 ( Tae-hyun Choi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작물은 급격히 변하는 기후환경에 따라 수확량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며 작물의 가격불안을 유발한다. 따라서 기후의 급변으로 인한 작물의 수확량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특수한 환경에서의 기상데이터 획득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로는 외기 온·습도센서, 토양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GPS센서로 구성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장치는 Arduino(Mega, Italy)를 이용하였다. 실험방법은 노지에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 한 후 환경에 따른 센서의 데이터 값을 얻어서 기상청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통한 비교 분석 방법은 모든 환경과 장소를 통일하여 오전, 오후로 나눠서 각 센서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계측한 값과 기상청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각 센서의 데이터 값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일부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기상청의 측정 지역과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측정지역과의 거리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상청에서 약 3km 거리가 떨어진 충남대학교 부속 농장 노지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장소가 황량한 노지이기 때문에 햇빛에 직접적으로 노출이 많아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농장 관리자에게 유용한 생육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