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생산효율을 위한 생육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심종열 ( Jong Yeal Shim ),문석표 ( Seok Pyo Moon ),김용주 ( Yong-joo Kim ),임성오 ( Seong Oh Lim ),한태호 ( Tae Ho Han ),남규철 ( Kyu Chul Na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작물은 환경 조건에 따라 생육 상태, 병해, 환경장해 등이 발생하며, 이는 수확량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여 급격한 수확량 변동과 작물의 가격불안을 유발한다. 작물의 생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육에 필요한 환경조건의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의 급변으로 인해 기존의 예측방법에 의해 예측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으로 특수한 환경에서의 기상데이터 획득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육환경 센서, 데이터 수집 장치, GPS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육환경 센서는 외기센서, 토양센서, 조도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수집 장치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인 Arduino (ATMEL, Mega 2560, USA)가 사용되어, 데이터 수집 장치에 삽입되는 메모리에 자동 저장되어지게 개발 하였다. 개발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성능평가는 강우 전후의 환경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환경데이터와 오차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측정 주기는 예비시험에서 1시간 내에 대기 온·습도, 토양 온도·수분·전기전도도, 조도의 값이 급격하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1시간 주기로 메모리에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설정하였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험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충남대학교 부속 농장에 설치하였으며, 측정 결과,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과 기상청의 대기온도와 습도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비가 온 날은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생육환경모니터링과 기상청의 측정 위치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대전지방기상청의 대기온도 및 대기습도의 오차는 각각 14%, 10% 으로 낮게 나와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육환경 측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무선통신 등을 활용하여 농민 또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생육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버섯재배사 원격 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개발

        이성현 ( Sunghyoun Lee ),유병기 ( Byeongkee Yu ),이찬중 ( Chanju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오늘날 시장에 유통되는 버섯은 대부분 환경이 조절되는 시설 내부에서 재배된다. 버섯은 다른 식물과 달리 버섯의 종류, 품종 등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이 매우 다르다. 특히 대부분의 버섯은 버섯이 생육되는 공간의 온도, 수분, 이산화탄소, 조도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버섯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버섯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버섯의 생육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유지해 주어야만 한다. 현재 대부분의 버섯재배사에는 이들 환경을 컨트롤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시스템의 환경 설정은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의 상태를 확인 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채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버섯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농업인이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항상 버섯재배사에 머물러야 하고, 재배사의 환경관리 때문에 원거리 또는 장기 출타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람이 버섯재배 현장에서 컨트롤하던 환경관리를 원격에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환경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기팬 및 입기팬의 가동 등 버섯재배 환경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관리 요소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에 접속하여 버섯재배사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환경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버섯배지를 입상 한 후부터 수확시기까지의 관리환경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농민이 버섯배지를 입상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한 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면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읽어 들여 버섯의 생육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환경이 제어되도록 하였다. 또한 농업인이 원격에서 버섯재배사 내부 버섯의 생육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재배사 상부에 CCD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으로 버섯의 생육상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면 버섯재배 경험이 없는 농업인도 경험자와 같은 재배관리가 가능하고 원격에서 재배사 내부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이 재배사에 매여 있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돈사 내 사육환경 및 작업자 작업환경 개선을 환경 모니터링

        이성원 ( Seong-won Lee ),서일환 ( Il-hwan Seo ),김곤 ( Gon Kim ),김효철 ( Hyo-cher Ki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축산업에서는 사육두수 증가와 농가의 수 감소로 농장의 규모는 대형화 및 밀집화가 진행되었다. 농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여성화,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로 농업의 노동 약자는 증가하고 있다. 돈사의 대형화와 밀집화는 유해가스와 분진 농도, 온습도 조절 등 사육환경 및 작업환경의 관리 상 어려움을 주고 있다. 돈사 내의 환경 요인이 잘못 조절되는 경우 돼지는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적이 낮아져 질병에 걸리고, 폐사율이 증가되며, 증체량의 감소로 생산량이 낮아진다. 유해가스와 분진 농도의 증가는 노출강도와 노출빈도에 따라서 작업자에게 만성 및 급성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사고 및 재해 피해를 줄 수 있다. 시설 내의 환경 개선과 유지를 위해 현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장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현장실험은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한 모돈 포함 약 15,000두 규모의 상업용 돈사에서 진행하였다. 작업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구획화되어 있는 자돈사와 비육사 돈방 중에서 상대적으로 폐사율이 높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돈방을 실험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돼지의 경우 온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사육환경 분석은 열환경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측정 돈방 내 지역적인 환경의 분포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점측정으로 진행하였다. 축산 내 환경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위하여 센서를 설치 할 때, 내부의 높은 가스 및 분진으로 인하여 센서가 쉽게 망가질 수 있다. 사육환경 및 작업환경에 대한 가스와 분진 농도의 측정을 위해서 작업자가 작업 중 노출된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웨어러블 측정장비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상시 모니터링과 연계하여 환경을 계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기초데이터를 토대로 돈사 내부의 계절별, 기후별, 기상별 열환경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작업자의 이동경로와 주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해 시설의 위치 별, 작업 별 환경 변화를 제시하였다.

      • 작물의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김두한 ( Du-han Kim ),이경환 ( Kyeong-hwan Lee ),김철수 ( Cheol-soo Kim ),양광열 ( Gwang-yeol Yang ),최창현 ( Chang-hyun Choi ),최태현 ( Tae-hyun Choi ),김용주 ( Yong-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작물은 급격히 변하는 기후환경에 따라 수확량의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며 작물의 가격불안을 유발한다. 따라서 기후의 급변으로 인한 작물의 수확량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특수한 환경에서의 기상데이터 획득에서 오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로는 외기 온·습도센서, 토양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GPS센서로 구성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장치는 Arduino(Mega, Italy)를 이용하였다. 실험방법은 노지에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 한 후 환경에 따른 센서의 데이터 값을 얻어서 기상청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통한 비교 분석 방법은 모든 환경과 장소를 통일하여 오전, 오후로 나눠서 각 센서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계측한 값과 기상청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각 센서의 데이터 값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일부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기상청의 측정 지역과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측정지역과의 거리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상청에서 약 3km 거리가 떨어진 충남대학교 부속 농장 노지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장소가 황량한 노지이기 때문에 햇빛에 직접적으로 노출이 많아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농장 관리자에게 유용한 생육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수출제조기업의 전략적 그린지향성 선행요인과 성과

        조준연(Jun Yeon Jo),김성엽(Sung Reup Kim),주혜영(Hye Young Jo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4 전자무역연구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략적 그린지향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전략적 그린지향성이 우리나라 수출제조기업의 환경성과와 수출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략적 그린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국제환경규제, 사회적 압력, 경쟁자 모니터링, 환경시장창출 등 4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전략적 그린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논문구성/논리: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기술하였고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전략적 그린지향성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를 통해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제3장은 연구의 설계로 연구모형의 설정, 설문의 구성과 측정이 이루어졌다. 제4장에서는 가설의 검정이 이루어졌는데 이를 위해 측정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토되었다. 제5장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결과: 국제환경규제, 사회적 압력, 경쟁자 모니터링 및 환경시장창출 요인은 모두 전략적 그린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전략적 지향성을 통해 공급사슬상에서 친환경협력이 높아지고 환경기술혁신이 높아지고 있었다. 친환경협력은 또한 환경기술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울러, 친환경협력과 환경기술혁신은 기업의 환경성과와 수출성과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략적 그린지향성은 수출성과에는 직접효과가 없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전략적 그린지향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전략적 그린지향성을 가지고 있는 수출기업이 환경성과와 수출성과가 제고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략적 그린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 있을 뿐 아니라 4개의 선행요인과 2개의 매개요인을 함께 상정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실증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관점에서 풍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trategic green orientation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xport performance of the export manufacturing firms. Specifically, the study extracts 4 factors such a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social pressure, competitor monitoring, market driving orientation, and then analyze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strategic green orientation. Composition/Logic: This study started with general background and presented a goal of the study. In chapter 2, we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strategic green orientation and based on this, we drew a research hypothesis. Research design was constructed in chapter 3. First, we was setting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n discussed how to measure.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in chapter 4, and prior to this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ation verification on the scale was made. In conclusion,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as discussed in chapter 5. Findings: Our research findings show tha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social pressure, competitor monitoring, and market driving orientation are all having a positive effect on strategic green orientation. Strategic green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green collaboration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Also,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are affected by green collaboration. Green collaboration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as a mediator variables are both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xport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strategic green orientation on export performance. Originality/Valu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strategic green orientation to explain both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xport performance in korean export manufacturing firms. From a result, we could find effectiveness of the empirical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only verifying the effect of strategic green orient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but also construct more effectively a integrated empirical model including 4 antecedents and 2 mediators.

      • 양돈장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장비개발

        이성원 ( Seong-won Lee ),김종호 ( Jong-ho Kim ),황민희 ( Min-hui Hwang ),박수인 ( Soo-in Park ),서일환 ( Il-hwan Seo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국내 양돈장의 사육밀도가 증가하면서, 돈사 내부는 가스와 분진의 농도가 높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돈사 내의 열악한 환경은 돼지의 증체량을 떨어뜨리고, 양돈장에서 작업하는 축산업 종사자의 질병 및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돈사 내부에서는 순간적으로 유해가스의 농도가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농도의 유해가스에 노출된 작업자에게 질식으로 인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유해가스와 분진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에는 만성 호흡기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양돈장 작업자들이 고령화와 여성화됨에 따라서 열악한 환경에 대한 건강에 대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열악한 환경에 대한 피해 예방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하지만 온도 센서를 제외한 습도, 유해가스, 미세먼지 등과 관한 대부분의 측정 센서는 돈사 내부의 높은 가스 및 미세먼지의 농도에 상시 노출되어 장기간 버티기 어렵다. 또한 고정형 상시 모니터링의 경우 작업자가 노출된 환경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양돈장 내에서 일하는 작업자가 노출된 유해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비를 개발하여 작업안전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남 영광군에 위치한 상업용 양돈장을 대상으로 현장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현장에서의 유해환경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선행자료와 분석된 현장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의 측정범위와 장비의 기본적인 사양을 선정하고 효과적인 작업환경 측정을 위해 웨어러블 기반의 장비를 개발하였다. 장비의 활용성 및 경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치의 크기와 성능을 조절하였으며, 현장의 데이터 통신을 방해하는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제시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작업자의 위치에 따른 작업환경 관리와 작업안전 예경보를 위한 기초데이터 확보에 활용 될 수 있다.

      • KCI등재

        제초제저항성 유전자변형 들잔디의 시험 격리포장 주변환경방출 모니터링

        이범규,박기웅,김창기,강홍규,선현진,권용익,송인자,류태훈,이효연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4

        The cultivation area and use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ave been increased continuously over the world. Seed distribution and transgenes to environmental eco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of GM crop. Safe management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Acton Transboundary Movements of Living Modified Organisms,etc (LMO Act)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tup the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of GM zoysiagrass (event JG21 and JG21-MS). The monitoring was performed in 4 GMO confinedfields, Sungwhan, Ochang, Jeju University and Jeju Namwon. In the result of monitoring, we could not found any gene flowand distribution of GM zoysiagrass in the 3 fields, but one spill of JG21 was found in the Namwon field in 2012. These results suggest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to detect the occurrence of GM zoysiagrass for preventing genetic contamination innatural environment.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GM)작물의 종자 및 꽃가루를 통한 환경 생태계로의 확산은 안전성평가와 안전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국내에서는 LMO법에따라 GM 작물의 개발 및 생산 등에 대한 안전관리와 GM작물의 상업화를 위한 환경모니터링에 대한 방법, 기간, 빈도 등에 대한 계획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초제저항성 들잔디(zoysiagrass)의 야외환경모니터링을 수행을 통한 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기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GM 들잔디는 제초제저항 형질의 JG21과 JG21에 방사능처리로 웅성불임을 유도한 JG21-MS 등 2개의 이벤트를 이용하였다. 환경모니터링은 충남 성환, 충북 오창, 제주대 및 제주 납원읍 등 4개 격리포장 주변에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종자 및 영양번식체에 의한 산포 조사와 화분에 의한 유전자이동에 대해 수행되었다. 모니터링수행 결과 3개 지역에서 유전자이동 및 산포가 발견되지않았으나, 2012년 제주 남원읍 지역 조사에서 격리포장 주변 2 m 부근에서 JG21 들잔디 1개체의 유출이 발견되어 보고 및 안전관리 조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GM 들잔디의 검출 방법과 환경모니터링 기법들은 GM 들잔디 개발을 위한 포장시험 연구와 상업화 후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하광산 내 환경 모니터링과 통신 시스템의 연구 동향 분석 및 고찰

        이승준(Seungjun Lee),박요한(Yohan Park),이학경(Hakkyung Lee),김진(Jin Kim) 한국암반공학회 2018 터널과지하공간 Vol.28 No.3

        지하광산 내 심각한 사고가 전 세계적으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작업자의 생명과 건강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근 갱내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반 환경 모니터링 및 통신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도입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 및 구축 사례가 증가하기 시작했지만 갱내통기를 고려한 환경 모니터링에 대한 국내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갱내 무선센서 네트워크의 구축 및 환경 모니터링에 관련한 해외의 다양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특히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갱내통기와 관련한 7가지 세부 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한 연구의 동향을 통기 네트워크 해석에 활용되는 상용 소프트웨어 별로 정리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광산에 적용하기 위해 추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와 국내에 적용 중인 갱내환경 기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지하광산 내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환경모니터링과 통신 시스템의 구축과 관련한 향후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evere mine disasters have continued to occur around the world. To ensure worker’s health and safety and enhance the productivity,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wireless sensor network (WS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 underground mines. An increase i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se systems has just begun with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o the mining industry in Korea, and yet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that considered the underground mine ventilation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WS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in underground mines, and especially, on 7 subjects in terms of underground mine ventilation. Moreover, studies that especially conducted real-time environmental monitoring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by each commercial software commonly utilized for the ventilation network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in domestic underground mines, further issues were discussed regarding research subjects that may be needed in the future and domestic environmental standards that has been used in the underground mine operatio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WSN-based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for related studie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스마트건강도시를 위한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의 지역계획 현황과 과제

        최동아,송윤정,홍의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4 국토계획 Vol.59 No.5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건강도시를 미래 도시계획모델의 하나로보고, 모든 도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시 서비스로서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의 국내 계획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글로벌 연구에서 발견되는 건강 및 환경모니터링 기술 분야에 기반하여 국내 관련 사업계획의주요 분야를 파악 및 비교·분석하여 국내 모니터링 사업 분야의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현황분석을 위해, 관련 계획서에서 설명되고 있는 사업의 목적, 모니터링의 공간적 범위, 관련 기술, 성과지표 등을 파악하여 사업 목적 및 공간적 맥락에 따른 사업 구체화 특징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의 분야와 내용을 도시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도시 유형에 따라 수요가 많은 모니터링 서비스 분야와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발전 방안을 제안한다. “Smart Healthy Cities” has been proposed as a new urban planning model that leverages technology for population health promotion. This study investigated environmental and health monitoring services crucial to developing Smart Healthy Cities, analyzing their current practices and challenges for Korean citie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26 Smart City Plans and 71 Community Health and Medical Care Plans, we identified nine major categories of environmental and health monitoring services. The monitoring services in the Smart City Plans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category than the services identified in the Community Health and Medical Care Plans. We found that these monitoring services require different spatial scal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monitoring and the needs of the target groups. The key challenges included difficulties in standardizing monitoring technologies and performance metrics, supporting health promotion for smaller cities, and tailoring monitoring services to reflect the daily activities of diverse population groups. This study seeks to expand knowledge on the current practices and challenges while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Smart Healthy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