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살면서 배우는 생활공간: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

        윤선영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0 발도르프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 문제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 환경 구성의 기본 원리, 구체적인 환경 구성 특성과 의미, 그리고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탐구하되, 여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인적 환경인 교사의 요인도 다루었다. 기본원리로는 어린이를 보호하는 환경, 어린이가 스스로를 만들어가는 환경, 질서와 조화, 자유로운 놀잇감, 자연과 계절에 어우러지는 삶의 공간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물리적 환경의 특성은 감각적 경험을 고려한 환경, 가짜가 아닌 진짜의 환경, 상상력을 키우는 환경, 조화롭고 미학적인환경, 자연·계절의 변화와 어우러진 환경, 삶을 위한 환경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은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 원리를 모두 충족할 수 있으며, 자유의 개념이 강조되고, 생활에 의한 공간, 교사 개인의 인격과 삶이 살아 있는 만남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가 자신을 스스로 발달시키며 삶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에 나타난 환경구성의 변천

        임지연(Lim, Ji-Y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일본의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가이드라인인 유치원교육요령에 나타난 환경구성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도출한 것이다. 일본의 유치원교육요령은 환경구성의 방식에 따라 세 시기로 구분되었다. 제1기 ’56년판과’64년판 유치원교육요령에서는 주제와 단원에 따라 선정·배열된 ‘바람직한 활동’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구성에 주력하였다. 제2기 ’89년판 유치원교육요령에서는 유아가 주체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환경의 중요성을 제창한 ‘환경을 통한 교육’의 이념이 도입되면서 유아의 생활의 맥락을 따르는 환경구성에 주력하게 되었다. 제3기 ’98년판과 현행 ’08년판 유치원교육요령에서는 환경구성에 대한 교사의 주체적 역할이 강조되었고, 유치원을 거점으로 교사, 부모,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유아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환경구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은 첫째, 유아가 자발적, 주체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고, 둘째, 유아의 주체성을 강조한 환경구성은 생활의 맥락을 중심에 둔 교육과정체계를 토대로 구현되고 있으며, 셋째, 풍부한 관계성을 확보한 환경을 중시하며, 넷째, 환경구성자로서의 유아교사의 전문적 역량에 의존하는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 in the Japanes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guidelines, Course of Study for Kindergarten(CSK). The study reveals that the transition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 in CSK has gone through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based on the 1956 and 1964 edition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organized according to desirable activity selected and arranged by theme. The second phase, based on the 1989 edition, promoted the idea that children should subjectively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 organized according to children’s life-context. The 1998 and 2008 editions emphasized on the teacher’s role as manager of environment. In addition, the organized environment focused on constructing the cooperative network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Three implicit points were found. Firstly, the two important keys for organizing environment are providing abundant relationships and securing children’s autonomy to interact. Secondly, structure of curriculum is a main factor in determining the feature of organized environment. Thirdly, the capability to organize environment subjectively is a crucial par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contemporary society.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적 관계: 조절 초점과 자율성지지 환경의 조절효과

        정예슬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factor (regulatory focu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factor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LMX would have a curvilinea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ch a relationship would vary across the type of regulatory focus and the level of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To test the hypotheses,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using a sample of 209 Korean employees,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was nonsignificant. Regulatory focus was found to moder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for employees with a prevention focus, psychological well-being decreased as LMX increased; this trend was attenuated when the level of LMX was moderate to high. In Study 2, a two-wave study was conducted among 292 Korean employees over a 2-month tim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was nonsignificant.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was low than high.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d to enhanc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right and dark side effects of LMX on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by exploring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effective behavioral guideline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 that strengthen and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LMX on employees’ outcomes.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개인적 요인(조절 초점) 및 조직 환경적 요인(자율성지지 환경)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리더-구성원교환 관계는 심리적 안녕감과 비선형적 관계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개인의 조절 초점 유형과 조직의 자율성지지환경 수준에 따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적 관계가 달라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두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직장인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 1을 수행한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직무관련 정서적 안녕감)의 비선형적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초점은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예방 초점일 때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높아질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감소하다가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중간수준 이상이 되면 이 경향성이 점차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직장인 292명을 대상으로 양 시점 자료를수집하여 단기 종단 설문 연구(연구 2)를 수행한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삶 만족)의 비선형적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지지 환경은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비선형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율성지지 환경 수준이 높을 때 보다 낮을 때 리더-구성원교환 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역 U자형 비선형 관계가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와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 간 비선형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리더-구성원교환 관계가 가지는 양면적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로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강화 또는 완화하는 개인 특성 및 조직 환경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조직 관리에유효한 행동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Self-Management of Stress Us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Mee Hyang Koo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9 Crisisonomy Vol.1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 스트레스 관리기법으로서 가상현실 환경구성의 유용성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스트레스로 인해 공황장애 초기 증상을 보이는 중년 여성이다. 연구도구로 코스페 이스메이커와 에듀(CoSpaces Maker, Edu)를 사용하였다. 1년 8개월 동안 연구대상이 구성한 총 34개 의 가상환경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환경구성 요소, 스토리텔링, 환경구성 전후 내담자의 상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질적 분석을 위해 NVivo 12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환경구성 요소를 분석 한 결과, 환경구성에 평균 11분이 소요되었고 가상환경의 배경은 기본 배경, 시간대는 낮 시간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환경구성을 위해 연구대상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상징물은 나무였다. 다음으로 스토리텔링을 분석한 결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고단한 삶’, ‘기다림’, ‘쉼을 위한 여정’, ‘추억과 현실의 공존’이라는 네 개의 주제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상현실 환경구성 전과 비교하여 환경구 성 후 내담자의 상태는 ‘불안’에서 ‘편안함’으로 변화하였고, 부정적 단어 사용빈도가 80%에서 28% 로 감소하였다.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가상현실기반 심리치료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usefulness of VRE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as a self-help stress management techniqu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middle-aged woman who had the early symptoms of panic disorder due to stress. CoSpaces Maker and Edu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o analyze a total of 34 VE (Virtual Environment) configured by the subject during 1 year and 8 months. The NVivo12 program was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An analysis of the VE components showed that the subject used an average of 11 minutes to configure VE and the basic background and the day time was selected most frequently. The most common symbol used by the subject to configure VE was a tree. Next, an analysis of storytelling revealed four themes such as ‘harsh life’, ‘waiting’, ‘journey for rest’, and ‘entanglement of memories and reality’ which emerged over time. Lastly, after VE configuration, the subject’s psychological state changed from ‘anxiety’ to ‘comfort’ and the frequency of using negative words decreased from 80% to 28%. The usefulness of VR-based psychotherapy to improve mental health was discussed.

      • KCI등재

        환경보건재난의 사회적 구성: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중심으로

        강연실(Yeonsil Kang),김지원(Jiwon Kim),박진영(Jinyoung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2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5 No.2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은 많은 피해자를 발생시킨 대표적인 환경보건문제이자 사회적 설명과 정치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으로 이해된다. 이 논문은 재난을 물질적 결과를 갖는 담론적, 정치적 구성물로 바라보고,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이 환경보건재난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참사가 어떤 재난으로 구성되고, 이해되며, 해결되는 지 분석하는 것은 한 사회의 안전을 둘러싼 책임 관계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재난의 사회적 조사 및 해결이라는 실제적인 문제에 함의를 제공한다. 논문은 특히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을 환경보건문제로 정의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피해자관리 및 보상 주체로서 국가책임이 강조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먼저 환경보건정책이 처음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환경성질환이 법적, 제도적으로 규정된 과정을 살펴본다. 이어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이 각각 어떤 과정과 논란을 거쳐 환경보건재난으로 구성되고 그에 따른 정책적 대응 방안이 마련되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관련법/계획을 수립하는 정책적 과정과 실제 사건들을 해결하는 사회적 과정 속에서 환경보건재난이 구성되었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두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환경보건문제의 부상이 한국 사회에 갖는 의의를 생각해본다.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ar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with a large number of victims that demand social explanations and political interventions. Understanding disasters as discursive and political constructs with material consequences, this paper analyzes how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were constructed as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Examining how disasters are characterized, understood, and resolved can reveal social and political responsibilities around safety within a societ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investigating and settling disasters. This paper highlights that the state responsibilities were particularly emphasized by characterizing the two cases as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First, the paper traces how the first comprehensive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were made and how environmental disasters were legally and institutionally defined. Then it analyzes processes by which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were characterized as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and policy measures established as consequences. Lastly, by comparing the two cases, this paper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the increasing presence of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in Korean society.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illustrate that characterizing the incidents as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was decisive in demanding governmental intervention and defining the scope of state responsibility.

      • 11. 기본연구보고서 2015-11 : 지중 환경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1)

        황상일,현윤정,양지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기본연구보고서 Vol.2015 No.-

        본 연구는 지중 환경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위하여 법적으로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지중 환경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정립하였으며 각 구성요소의 가치를 평가할수 있는 기법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중 환경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연적, 인위적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지중 환경이 변함에 따라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중 환경 관련 현행법을 분석하였으며 그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중 환경이란 “자연으로부터 기원한 지표면 아래에 존재하는 지중 자연환경과 인위적으로 개발 및 활용 중인 지중 생활환경”으로 정의한다. 이 중 지중 자연환경은 “지표면 아래에 존재하는 생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 포함한 자연의 상태(생태계, 자연경관, 자연적으로 발생한 지하 공간 포함)”으로 정의하며 그 구성요소는 토양, 지하수, 생태계, 자연경관, 지하공간(자연적으로 발생된 것)으로 한다. 또한 지중 생활환경은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유하는 인위적 지하 공간 및 시설”로 정의하며 기반시설, 생활시설, 사업시설로 구성된다. 지중 자연환경의 가치는 토양, 지하수, 생태계가 가지고 있거나 인간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기반으로 그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연경관은 그 심미적 가치를 기준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지하 공간과 지중 생활환경은 감정평가 분야의 전문가 원고를 기반으로 현재 부동산 가치를 이용한 평가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중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진, 화산 활동, 홍수와 같은 자연적 요인과 시설, 활동과 같은 인위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지중 환경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안전 측면(지반 침하, 지하수위 저하), 건강 측면(질병유발, 중독 현상), 생태 측면(생태계서비스 중지, 종다양성 감소)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지중 환경과 관련된 법제를 분석한 결과, 지상 환경 위주의 법제 추진과 수익의 극대화를 위한 지중 환경 개발 계획 추진 등이 도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시설물의 안전을 위한 설계 규정은 마련되어 있으나 실내 환경과 관련된 규제가 매우 부족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국내 법제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하여 해외의 사례를 참조한 결과, 지상과 지하의 기능이 상생할 수 있는 법제 마련, 건강과 생태를 고려한 법제 마련, 충분한 사회적 공론화를 거친 보상 관련 법제 마련 등이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총 2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지중 환경의 개념과 구성요소 정립, 가치 평가 기법 분석, 법제 관련 기초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2차년도 연구에서는 당해 연구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내 적용이 가능한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 지중 환경 관련 제도의 변천 과정, 향후 법제 발전방향 도출, 다부처간 혼재되는 용어 및 법률의 정리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추후 국가차원의 지중 환경 중장기 관리 및 발전 전략 수립과 지중 환경 관리 기술 개발 사업의 도출, 지중 환경 가치 평가 기법 및 관련 정책 도출과 같은 영역에 적극적으로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stablished a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subsurface environment which is not clearly defined by current law, and analyzed evaluating methods of each components. In addition, we analyzed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which could affect subsurface environment components, and we examined a potential impact to human and ecosystem following subsurface environment change. Finally, we analyzed the subsurface environment related current laws and derived implications from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surface environment is defined as ``subsurface natural environment (which originated from nature and being under surface)`` and ``subsurface living environment(which developing and using by artificially)``. The subsurface natural environment is defined as ``nature of the state, including those around them and abiotic organisms that are below ground level(including ecosystem, landscapes, naturally occurring underground space)``. And components of subsurface natural environment are soil, groundwater, ecosystem, landscapes, underground space(occurring naturally). The subsurface living environment is defined as ``artificial underground space and facilities to live a human life``. And that consist of infrastructure, living facilities and business facilities. The value of subsurfac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soil, groundwater and ecology was analyzed based on function which possessing own or providing to human. In addition, we found that landscapes was evaluated based on its aesthetic value. The result of referring manuscript of expert, naturally occurring underground space and subsurface living environmen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property values used for assessment. Factors affecting the subsurface environment were divided into natural factors such as earthquakes, volcanic activity, floods and anthropogenic factors such as facilities, activities. In the event of a change in the subsurface environment, potential impact on humans and ecosystems was classified as safety aspects(subsidence and groundwater level decreasing), health aspects (disease-causing and addiction) and ecological aspects(ecosystem services stop, biodiversity loss). Final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ubsurface environment related legislation in Korea, we confirmed that the surface environment oriented legislation propel and subsurface environment development plan for maximization of profi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urban environment. And design regulations for the safety of each facilities was well prepared, however indoor environment related regulation was very lack. The results of referring to the case of abroad for improving the shortcomings of legislation system in Korea, the urgent needs were that a legislation establishment about mutual growth of surface and subsurface function, considering the health and ecology, compensation laws with adequate social publicize.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two years. The first year study was performed about a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subsurface environment, and evaluation method analysis, legislation related basic research. In the second year of study, we will deduce a domestic applicable system improvement using the first year results actively. In particular, we will focus on analysis of a transition of subsurface environment related legislation in Korea, a direction of legislation development and a organization of mixed terms and laws that using at interagency. We look forward to that results of this study will reflect to establish the subsurface environment long-term management/development strategy and to derivate the new subsurface environment management technology R&D projects and to make up subsurface environment evaluation technique and related policy.

      • KCI등재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의 실현

        최대희(Choi. Dae-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관형화 구성에 실현되는 ‘-오-’의 분포 환경을 확인하고,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관형화 구성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관형화 구성은 명사구내포문의 하위 유형으로 하위문과 내포문 명사가 함께 명사구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기저에서 하위문 안의 어떤 명사구와 내포문 명사사이에 동일 지시가 이루어지면 관계화 구성이고, 동일지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보문화 구성이다. 다음으로 ‘-오-’의 실현 환경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몇 가지 예외처럼 보이는 구문을 설명하였다. 먼저 ‘-오-’가 실현되지 않을 것 같은 환경인데 ‘-오-’가 실현되는 환경이다. 여기에서는 주어(주체)가 표면상 나타나지 않는 예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오-’가 실현되는 환경인 ‘절’을 이루는 것처럼 보이지만 ‘절’을 이루지 못해 ‘-오-’가 실현되지 않는 환경이다. 여기에서는 격 조사가 생략된 경우, 이중 주어를 가진 경우, 협주문인 경우 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관형화 구성을 관계화 구성과 보문화 구성으로 나눈 후, 일반명사 구문과 의존명사 구문에서 ‘-오-’의 실현을 양상을 살펴보았다. 관계화 구성과 보문화 구성에서 주어-서술어 관계의 관형절을 형성하는 자립명사 구문과 의존명사 구문에서는 ‘-오-’가 거의 예외 없이 실현되지만, 주어-서술어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여 관형구를 이루게 되거나, 보문화 구성에서 명사적 특성이 약한 의존명사 구문에서도 ‘-오-’의 실현이 불규칙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a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appearance aspect of ‘-o-’ in the adnominal composition shown in the 15th century. The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firmed the concept of adnominal composition. The adnominal composition is a subtype of NP-embedding sentence. and it means to construct a sub-sentence combine with embedding noun. The adnominal composition can be divided into relativisation composition and complementation composition. Second, verified the appearance environment of ‘-o-’. In this part, verified the necessary case in connection with appearance of ‘-o-’. It was as follows, a case of subject missing, a case of subject case particle missing, a case of double subject, a case of inserted notes, and a case of apposition composition. As a result, the ‘-o-’ appeared only in case of forming a clause and not appeared in case of forming a phrase. third, confirmed a appearance aspect of ‘-o-’. If the subject-predicate is established, the ‘-o-’ appeared in the free noun construction and dependent noun construction. But If the subject-predicate is not established, the ‘-o-’ not appered.

      • 가상현실 환경구성 치료

        구미향(Koo, Meehyang)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6 장애아동인권연구 Vol.7 No.2

        기존의 심리치료가 갖는 시․공간적 제한과 매체 활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내담자의 자유로운 상상과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심리치료적 접근으로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환경구성 치료를 고안하였다. 가상현실 환경구성 치료의 목적은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심리적 욕구와 갈등, 무의식적 소망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고, 가상현 실에서 구현된 환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치유의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환경구성 치료의 치유적 의미를 고찰하고, 가상현실 환경구성 치료의 실제로서 치료의 대상, 범위, 방법, 과정, 분석, 결과 활용과 관련한 세부 내용을 기술하였다. 가상현실 환경구성 치료는 다양한 심리장애로 고통 받는 아동과 성인의 심리치료 접근 가능성을 높이고, 과학적인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치료수행 과정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치료자의 역할을 보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내담자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 have devised an environment configuration therapy using virtual reality as a new psychotherapeutic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of existing psychotherapy and limitations of media utilization and reflect the free imagination and desire of the client. The purpose of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therapy is to utilize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lient can freely express his/her psychological needs, conflicts, unconscious desires, and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implemented in the virtual reality, So as to have the effect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ealing im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therapy and to describe details of the object, scope, process, analysis, and results of the treatment of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therapy.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therapy improves the accessibility of psychological treatment to children and adults suffering from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assists the role of therapist to organize and analyze the process of the treatment using scientific technology and big data. And ultimately,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mental health.

      • KCI등재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정영란,김시온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여 학습자 특성 별 차이를 분석하고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4학급의 115명과 고등학교 1학년 4학급의 123명으로 총 238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수준은 비교적 높았으나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은 성별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해 더 긍정적이었다. 학교급별 차이를 살펴보면,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고등학생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중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상관을(r=.691) 보였으며, 그다음이 메타인지와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r=.479), 자기효능감과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r=.344)이었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의 특성과 이들간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useful data for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in scienc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38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115 middle school students and 123 high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were relatively high, but their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were relatively low. Student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ut in the middle school, the mal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students. With respect to age, the high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were high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was low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tudents'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The highest level of correlation was betwee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and the lowest level of correlation was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이사회 구성원의 특성과 성과측정시스템 이용의 관계

        최현정(Hyunjeong Choi),김기환(Keehwan Kim),김순기(Soonkee Kim) 한국관리회계학회 2014 관리회계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이사회 구성원의 개인적인 특성에 속하는 재직기간이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 방식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사회 평균 재직기간에 따른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표본 기업의 이사회 구성원의 평균 재직기간을 TS2000 DB를 활용하여 측정하였고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 환경불확실성, 그리고 조직성과 변수는 설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방식은 Simons(1995)의 ‘levers of control’ 개념에 의한 진단적 이용과 상호작용적 이용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사회 구성원의 평균 재직기간에 따라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 방식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사회 구성원의 평균 재직기간은 성과측정시스템의 상호작용적 이용과 부(-)의 효과를 미치고 있다. 그리고 이사회 구성원의 평균 재직기간과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방식의 관계는 환경불확실성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즉, 환경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이사회 구성원의 재직기간에 따른 성과측정시스템의 상호작용적 이용의 감소가 완화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성과측정시스템 이용과 성과간의 관계는, 성과측정시스템의 상호작용적 이용이 증가하면 재무 성과와 비재무 성과가 모두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두 가지로 들 수 있다. 첫째, 이사회 구성원의 재직기간이 성과측정시스템의 활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의사결정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관리통제시스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는데 공헌점이 있다. 둘째, 최고 경영진의 특성과 리더십에 대한 연구에서 환경불확실성의 조절역할을 강조한 것과 같이, 본 연구는 이사회 구성원의 특성과 성과측정시스템의 관계에서 환경불확실성의 조절역할에 대한 실증결과를 보임으로써 경영자 특성과 관리통제시스템의 연구를 보다 확장하였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the board of directors us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tenure of board of dire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board of directors differ in their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which in turn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average tenure of board of directors was measured from TS2000 DB and the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the survey. Using a combination of archival and survey data collected from 77 companies, we find evidence supporting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enure and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hat is moderated by the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We find this negative effect of tenure on interactive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s mitigated when environmental uncertainty increases. When interactive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creases, both non-finan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s are increased. The contribution of the paper is then two-fold. First, This study show that tenure of the board of directors affects to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this result help extend research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ecisionmakers influences on management control systems. Second, this study extends top management team research related to management control systems considering a contextual factor(e.g. environmental uncertainty) such as in many top management teamand leadership research investigate themoderation effect of the firm’s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