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환경정보공개제도와 정보공개심의위원회의 개선방안

        김남욱,성봉근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3

        Without sufficient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environmental policies cannot be effectively realized. In the big flow of the environmental chain, all participants will have a shared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 To this end, the provisions of Article 27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for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must be interpreted and applied,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must be made practical and effective through improvement of related legislation. In order to guarantee the people's pleasant environmental right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of the environmen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 the method that has been managing the environment for each medium such as air, water quality, soil, waste, etc. has been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ACT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POLLUTANT-DISCHARGING FACILITIES. We have been granting permission and change permission for facilities in stages.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permission, the deliberation committee for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has decided on disclosure, non-disclosure, alternative disclosure, and partial disclosure by reviewing disclosure of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at law. However, the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on committee under the current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is increasing administrative costs due to the lack of legal restraint on the deliberation standards and the complexity of the deliberation procedure, there is a risk of infringement of business secrets of the company, and the agenda for deliberation on information disclosure explodes. In prepara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asonably improve and operate the system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for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First, businesses who have applied for integrated permission to the deliberation committee for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have to prepare and operate an integra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manual because most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echnical information of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are not disclosed because of infringement of trade secrets. Second, the fairness of the committee deliberation must be ensured. Third, the basic matter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on standard must be stipulated in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and other matters may be determined by the President or the Ministry of Justice, thereby implementing the principle of legal reten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law. Fourth, Korean courts and foreign legislative and precedents, as well as the deliberation cases of this committee, should be analyz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recognition of national security information, order maintenance, or significant impediment to public welfare, and to improve the deliberation method. do. Fifth, in order for this Committee to recognize the requirements for trade secrets, the criteria for deliberation are non-publicity, economic feasibility, confidentiality management, and usefulness, but the requirements of trade secrets are reviewed based on confidentiality, non-publicity, and economic usefulness. If the manageability is not satisfied, the procedure for recognizing the business secret of the enterprise should be rationalized so that the examination of non-publicity and economic usefulness is also omitted. Sixth, under this Law, the deliberation procedure of this Committee should be rationalized. Lastly, the operation of this Committee has been accumulated for about 3 years, but the hearing procedure must be continuously improved in the future. 충분한 환경정보의 공개 없이는 그린뉴딜(Green New Deal)을 비롯한 환경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없다. 환경체인의 큰 흐름 속에서 참여자 모두가 환경에 대한 공동의 책임을 지게 된다. 이를 위해서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의 규정을 해석하고 적용하며 관련 입법의 개선을 통하여 환경정보공개가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등 매체별 환경관리를 해오던 방식을 국민의 쾌적한 환경권 보장과, 환경의 사전예방원칙과, 지속가능발전원칙 등을 구현하기 위하여 통합환경관리법에 의하여 환경오염시설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허가 및 변경허가를 하여 오고 있다. 이러한 통합허가 과정에서 환경부의 정보공개심의위원회는 통합환경관리법령에 의하여 정보공개를 심사하여 공개, 비공개, 대체공개, 부분공개를 결정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현행 통합환경관리법령에 의한 정보공개심의위원회는 심의기준의 법적구속력 미흡과 심의절차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행정비용이 증가하고 있고, 기업의 영업비밀이 침해될 우려가 있고, 정보공개심의 안건의 폭증으로 대비하여 정보공개심의위원회의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정보공개심의위원회에 통합허가신청한 사업자들은 통합환경관리의 경영정보와 기술정보에 대하여 대부분 영업비밀침해를 이유로 비공개 신청을 하고 있으므로 통합환경 정보공개 매뉴얼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위원회 심의의 공정성이 담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정보공개심의기준의 기본적 사항은 환경통합관리법에 규정하고 그 밖의 사항은 대통령이나 부령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법률유보원칙과 법치행정을 구현하여야 한다. 넷째, 우리나라 법원과 외국의 입법례 및 판례와 정보공개심의위원회의 심의 사례을 분석하여 국가안정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의 현저한 저해성, 기업의 영업비밀성에 대한 인정 기준을 마련하고 심의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다섯째. 정보공개심의위원회에서 영업비밀의 요건을 인정을 하기 위해 심의의 기준이 비공지성, 경제성, 비밀관리성, 유용성을 판단하고 있으나 비밀관리성, 비공지성, 경제적 유용성으로 영업비밀의 요건을 심사하되 비밀관리성이 충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비공지성, 경제적유용성의 심사도 생략되도록 기업의 영업비밀의 인정절차를 합리화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통합환경관리법상 정보공개심의위원회의 심의절차를 합리화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통합환경관리 정보공개심의위원회의 운영이 3년 정도 축적이 되었지만 앞으로 지속적으로 심리절차를 개선하여 나가야 한다.

      • KCI등재후보

        원전사고와 환경정보공개에 관한 고찰

        김재광(Kim, Jae-Kwang) 한국행정법학회 2012 행정법학 Vol.2 No.1

        오늘날 선진국에서는 환경정보를 포함한 국가 보유의 정보의 공개를 법제화하고 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공개법이 제정되어 정보공개청구권이 인정되고 있으나, 특히 그 자체가 환경보전에 직결되는 의의를 가지는 환경정보의 공개에 대해 서는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상 환경정보공개제도가 2011년 4월 28일 도입되어 환경정보공개제도 운영규정 을 제정 고시함으로써 환경정보공개제도 정착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를 하고 있으나, 동법률에서는 매우 복잡하고 중요한 의미를 담 고 있는 “환경정보”에 대한 개념정의도 흠결되어 있는 등 적지 않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선진국, 특히 유럽의 경우 환경정보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계기가 1986년에 발생한 체르노빌원전사고(Chernobyl disaster)였다. 이를 계기로 입법화가 이루어졌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원전사고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우 리나라의 경우에도 남의 일보듯 할 수 없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정확한 정보제공은 신뢰와 직결된다. 일례로 프랑스는 원자력사고에 대해 ‘모든것을 잘 말하되 잘 설명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하여 원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정보 공개법과 별도로 선진국들이 환경정보공개법을 제정하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현행 정보공개법과 법적 규율면에서의 비교를 위해 외국의 환경정보공개 입법례와 우리나라의 현행 환경정보 관련법령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환경정보공개법의 제정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Developed countries, especially Europe, have been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since the Chernobyl disaster in 1986. It is worth noticing that legislation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introduced in response to the disaster because Korea has been in the similar situation after the Fukushima disaster.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is an effective way to build trust. For example, France adopts principles be a good speaker and provide full explanation in terms of nuclear accidents. Therefore, citizens trust with regard to nuclear power plants is quite high. In this context, it is understandable the reason legislation on public ass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passed separately from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In Korea,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is established.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prescribes that public institutions shall provide information positively as well as their provision of information upon request.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uch characteristics in Korean environmental statutes. Paradoxically, this fac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laws relat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o adjust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thereto. This paper researches and analyzes legislation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other counties and environmental statutes in Korea in oder to compare with the current Freedom of Information Act in Korea with regard to making regulations

      • KCI등재

        환경정보공개제도의 법률상 및 운영상의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강하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3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one of the critical rising issue in Korea. It is because we already experienc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on the environmental issues relating to source of pollution, that it is har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a way of central controling method, and thus informing accurate information to the local residents regarding risk informa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eople of all social stratum, always admitting the access to the information and an effective process for delivering such information to the person who needs it became very important. In such a series of process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was enacted in 1996 and has been enforced since 1998. Since we have adopted generalized form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e do not have intensified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special areas so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disclosed based on each individual environmental laws. This paper is trying to identify each operational and legal issues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in Korean legal system after analyzing how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operated under gener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Korea and draws improvements in the conclusion.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Korea was discussed in terms of comparing American system which is highly evaluated as having successful cases for leading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the area of risk communication. The United States is a country where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carried out most thoroughl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isk communication since the mid-1995. They provided the information in the user stand, and it has firmly established ris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tructed the ease of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data consolidation and strictly limited the closed information, which brought the country as the most successful country in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the level of our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identified as staying in the initial step in providing information. We should realize the necessity of applying elements of risk communication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bring about available tasks that can be carried out in each level of risk communication throug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환경 문제가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안으로 등장하는 가운데 환경 정보 공개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국가나 공공기관이 중앙에서 통제하는 방식만으로는 근본적으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스스로 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사회의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바탕으로 위해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민들에게 알리고 언제라도 그러한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필요로 하는 이해당사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환경정보공개제도이다. 우리나라는 1996년 12월에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199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인 정보공개제도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특수 분야에 한하여 강화된 형태의 환경정보공개제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다만 개별 환경 법률에서 환경정보공개 규정에 근거하여 환경정보가 공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행정 정보공개제도 바탕 위에 환경정보공개제도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먼저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분석한 후에 법률상⋅운영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해 보고 그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환경정보공개에 대한 평가는 성공적 사례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제도와 비교⋅분석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우리나라 환경정보공개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부분들을 개선방안에서 논하였다. 우리나라 환경정보공개제도상 지적되는 문제로는 비공개 사유의 불명확성, 정보제공 방식의 문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의 미흡, 위해정보 관리체계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미국은 1995년 중반부터 모든 위해성 관리정책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도입하여 가장 철저히 수행하고 있는 국가로 수용자 입장에서 작성된 정보의 제공하고 있으며, 위해정보 관리체계가 확립되어 있고, 데이터 통합화를 통한 정보 접근의 편의성을 구축하는 한편 비공개 정보의 엄격한 제한을 통해 가장 성공적으로 환경정보공개제도를 운영하는 나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의 위해정보전달 수준은 정보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초기 단계로 파악된다. 우리나라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도입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단계별로 우리가 추진 가능한 과제들을 도출하고 향후 정책에 반영하고 위해성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기반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환경정보공개에 관한 공법적 검토 ― 환경정보에 대한 상시적 접근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구지선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1 No.3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plays a role in improving environment protection through the public participation. Most of countries like Germany, England, and U.S. have independent laws and regulation which provide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But in Korea,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regulat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The environmental procedural rights, which contain access to information in environmental matters. So, access means which any person may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any time and anywhere.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법제도적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그 성격이 명령ㆍ규제적인지 또는 유인적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정보에 대한 접근은 전제되어야 한다. 환경정보공개는 환경행정의 투명성과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자, 간접적인 환경관리수단으로서 사업자의 자발적인 환경개선 노력을 유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환경문제와 관련된 정보의 공개를 청구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고,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제16조의8에서도 정보공개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정보공개법을 별도로 마련하고 있는 독일이나, 지역사회 알 권리법을 통해 인근 주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와 비교한다면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더욱이 환경정보는 법인ㆍ단체 또는 개인의 경영상ㆍ영업상 비밀이라거나 정보의 부존재를 이유로 공개가 거부되는 경우가 많다. 정보공개법에 비공개대상정보의 예외를 정하고 있지만, 불확정법개념이 사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조항을 적용하여 공개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 현재는 사실상 사문화되었다. 최근에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비공개대상정보의 경우 제공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환경정보공개는 헌법상 표현의 자유에서 비롯된 알 권리를 근거로 하고, 누구든지 자연인 및 법인이 보유하는 환경에 관한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하고 이를 이용할 권리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환경오염이나 환경훼손으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는 장기적이면서 광범위하며, 나아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행정정보보다 공개의 필요성이 강하게 요청된다. 또한 환경권에 실체적 환경권뿐만 아니라 환경정보액세스권을 내용으로 하는 절차적 환경권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면, 모든 국민에게는 종래의 환경정보공개청구권 외에도 환경정보의 ‘청구 없는 제공’을 받을 권리가 도출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환경법상 일반원칙인 사전배려의 원칙과 협력의 원칙에서도 정당화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 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 기회를 보장하는 것은 사전배려를 위한 전제이자 환경정책의 형성 및 실현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있는 인근 주민들의 의미 있는 참여를 보장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환경정보에 대해 ‘청구 없는 제공’을 받을 권리의 보장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환경정보수집의무가 전제되어야 한다. 행정기관은 오염유발시설의 허가 등 소관사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환경정보를 취득하여 보유하게 되는데, 환경정보의 경우 현재보다 보존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경정보액세스권의 본질로서 접근의 의미는 주체, 시기 및 방법,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의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우선 환경정보에 대한 접근은 당사자나 이해관계인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국민에게 인정된다. 모든 국민은 언제 어디서든 환경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별도의 청구나 선별 없이 접근 가능한 형태로 놓여있어, 이용 가능한 상태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즉 환경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을 통한 접근방식이 유용하며, 이는 곧 언제 어디서나 청구 없이도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른바 환경정보에 대한 상시적인 접근을 의미 ...

      • KCI등재

        통합환경관리법상의 정보공개와 제한에 관한 법적 고찰 ― 독일 환경정보법과 영업비밀을 중심으로 ―

        길준규 한국환경법학회 2024 環境法 硏究 Vol.46 No.1

        우리나라는 그동안 오염원 중심으로 환경법령을 제정하다가 2015년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률 제6조에서는 배출시설등을 설치 운영하는 사업자는 통합허가 등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환경관리사업장에 대한 통합허가를 신청하면서, 사업자가 해당 배출시설 등에 대한 올바른 환경(배출)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려고 하므로 이 부분에서 환경보호 등의 공익과 사업자의 사익을 위한 비공개사유가 충돌하여 법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환경정보, 나아가 환경오염정보와 관련하여 유럽연합, 독일 등의 환경정보 및 환경오염(배출)정보에 관한 법령, 법리, 판례 등을 고찰하여, 법상 공개대상 정보가 ‘환경오염(배출)정보’것을 밝혔다. 법상 정보 비공개사유에 대하여는 국내외 법령 및 이론, 실무를 소개하였고, 특히 영업비밀은 일반 사법의 법령이나 법리를 그대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독일처럼 행정법 및 정보공개법의 법리에 맞는 올바른 판단기준을 정립하여야 하며, 이익형량에서도 일반 정보공개법보다 고양된 공익의 관점에서 비공개사유를 검토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법리적으로 문제가 되는 사항에는 입법개정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기후·환경정보 공개에 관한 법적 과제

        구지선 ( Ku Ji Sun ),최봉석 ( Choi Bong Seok )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2

        이제 기후변화는 추상적인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정부, 기업, 일반 국민 모두가 함께 극복해야 하는 현실이 되었다. 기업은 사회로부터 이윤을 창출하는 조직이자 온실가스와 오염물질의 배출 주체이므로, 기후 및 환경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더욱이 기후변화가 경영상 리스크이자 재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각됨에 따라 기업의 입장에서도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기업이 경영활동과 관련하여 기후·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는 것은 투자자는 물론 일반 국민에 대한 사업자의 책무로 볼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을 투자기준 및 방향으로 삼으려는 움직임이 점점 확산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대비와 기후·환경정보 공개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과제이다. 금융안정위원회가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무정보 공개에 대한 태스크포스 권고안(Recommendations of 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을 발표한 이후 유럽연합, 영국, 미국 등의 주요국은 기후변화 관련정보의 공개를 강화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의 기후·환경정보 공개가 기업의 자발적이면서 도덕적인 책임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고, 아직까지 제도화도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인 환경법학에서 다뤄온 환경정보 공개에서 논의의 범위를 보다 확대하여 기후변화 관련 정보의 공개를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기후·환경정보 공개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향으로 기업의 기후·환경정보 공개 책임의 명확화, 정보 공개의 대상 및 항목 확대, 기업의 사업보고서 내 기후·환경정보 기재 의무화를 제시하였다. Climate change is not an abstract future problem, but a reality that the government, businesses and the general public all have to overcome together. Businesses should actively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crisis, as they are the organizations that generate profits from society and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and pollutants. As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a management risk and a factor affecting finance, companies need to respond strategically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business operator to minimize climate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disclose relevant information in relation to its management activities to investors and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as global asset managers are increasingly preparing for climate change and sustainability as investment standards and directions, the disclosure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a task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companies. Since the Financial Stability Board announced its Recommendations of 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major economies such as the European Unio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en stepping up disclosure of climate change-related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disclosure of corporate climat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tends to be perceived as a voluntary and moral responsibility of the company, and the system has yet to be established. Therefore, this paper has expanded the scope of discussion rather than the relea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that has been dealt with in traditional environmental law, thus making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In order to promote the disclosure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t was proposed to clarify the responsibility for disclosure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nterprises, to expand the scope and items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to make it mandatory for companies to record climat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ir business reports. 주

      • KCI등재

        환경정보의 공개 및 전파에 대한 법적 고찰

        강현호 ( Kang Hyun Ho ) 한국환경법학회 2016 環境法 硏究 Vol.38 No.3

        환경과 관련하여 우리 인간들은 언제나 겸손하여야 하며, 아는 것이 대단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긍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환경무지의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위험을 모른다는 이유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국가의 안전보호의무를 강화하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과소금지의 원칙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환경으로 인한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강구되는 것이 환경정보의 공개 및 전파이다. 기존의 논의는 국민의 신청에 따라서 환경정보보유자가 보유하는 환경정보를 공개하는 것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이제는 논의를 진행하여 환경정보에 대한 수집이 충분히 되어 있어야 할 필요성을 논증하기에 이르렀다. 나아가 환경정보에 대한 전파의무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제기된다. 우리나라의 환경정보와 관련된 법제에서는 아직까지 환경정보에 대한 개념정의가 부족하여 어떠한 환경정보에 대해서 수집의무를 부담하는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가 어려운 바 유럽의 환경정보공개지침이나 오르후스협약 그리고 독일의 환경정보법을 참조로 하여 환경정보에 대한 개념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환경정보의 전파의무를 근거지우는 국내외적인 법적 근거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바, 오르후스협약과 유럽지침 그리고 독일의 환경정보법에서도 전파의무를 규율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환경정보를 규율하는 법률에 근거하여서도 이러한 전파의무를 긍정할 수 있다. 전파의무를 긍정하는 경우에도 이를 합리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는 환경정보를 크게 보통, 중요 그리고 매우 중요의 3단계의 범주화가 필요하다. 국민의 생명, 신체 그리고 재산과 관련하여 대단히 중요한 매우 중요한 환경정보에 대해서는 전파의무를 긍정하고, 이러한 정보에 대한 전파의 해태로 인한 경우에는 국가배상법상의 손해배상이나 거부처분에 대한 취소소송이나 의무이행소송과 같은 행정소송법적인 구제를 긍정할 필요가 있다. Bezuglich der Umwelt sollten die Menschen immer demutig sein und annehmen, daß wir in einem begrenzten Maße Kenntnis haben. In dieser Unwissenheit gegenuber der Umwelt ist es stark geboten, daß die Schutzpflicht des Staates fur den Burger nach dem Grundsatz des Untermaßverbotes befolgt werden, anstatt dem Zufall wegen der Unwissenheit zu uberlassen. Als eine wichtige Methode fur den Schutz der Burger ist der Zugang zur Umweltinformation und deren Verbreitung zu rechnen. Bis jetzt ist die Diskussion darauf konzentriert, daß der Informationspflichtige aufgrund des Antrages der Burger die angeforderte Information offenlegt, aber die Diskussion geht ein Schritt weiter, daß die Sammlung der Umweltinformation vorausgesetzt werden sollte, um den Zugang zur Umweltinformation zu sichern. Hiermit wird neulich die Pflicht des Informationspflichtigen fur die Verbreitung der Umweltinformation begonnen. In Bezug auf die koreanischen Gesetze gibt es noch nicht den Begriff der Umweltinformation. Darum ist es schwierig anzufangen, welche Umweltinformation gesammelt werden soll. Darum ist es notwendig, den Begriff der Umweltinformation anhand EU Richtlinie 2003/4/EG, Aarhus Konvention und Deutsches UIG darzustellen. Es ist zu untersuchen, auf welchem rechtlichen Grund die Verbreitungspflicht der Umweltinformation anzunehmen ist. EU Richtlinie 2003/4/EG, Aarhus Konvention, Deutsches UIG und auch die koreanischen Gesetze bezuglich Umweltinformation schreiben die Verbreitungspflicht der Umweltinformation vor. Wenn man die Verbreitungspflicht der Umweltinformation annimmt, dann braucht man eine Sotierung der Umweltinformation nach dem Grad der Wichtigkeit in drei Stufe, namlich Stufe I(Allgemein), Stufe II(Wichtig) und Stufe III(Sehr Wichtig). Fur die Umweltinformation Stufe III ist zunachst die Verbreitungspflicht der Umweltinformation anzuerkennen, denn sie tangiert Leben, Korper und Eigentum der Burger in tiefem Maße. Wenn es eine Unterlassung der Verbreitung der Umweltinformation Stufe III gibt, dann ist es Schadensersatz oder verwaltungsgerichtliche Rechtsbehelfe zu gestatten.

      • KCI등재

        환경법상 협동원칙의 실현요소로서 환경보호단체의 참여권과 환경정보접근권

        김봉철(KIM, Bong-Cheol)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16 No.1

        환경법상 협동의 원칙은 환경보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와 시민사회가 상호협력 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의미한다. 환경법상 협동의 원칙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협력과 참여를 필요로 한다. 국가의 환경정책형성에 있어서의 개별적인 시민들의 참여가 가장 이상적인 환경법상 참여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개의 시민이 환경에 관한 동일한 인식과 보호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고, 환경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여 조직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칫하면 환경정책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의 비효율성,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부족, 더 나아가 환경과 개발 사이에서의 사회전반적인 갈등과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정한 수준의 전문적인 환경지식을 가지고, 일반 시민들에게 그 가입이 개방되어 보다 더 객관적인 입장에서 환경문제에 관한 개별 시민들의 의사를 조직화할 수 있는 환경보호단체의 참여가 요구된다. 독일연방자연보호법과 환경관련 개별법들은 환경보호단체에게 의견표명권, 문서열람권, 이의제기권 및 관련 논의절차참여권을 부여하여 연방 또는 주의 개별적인 환경정책 형성과정에 참여시키고 있다. 환경법상 참여의 한 형태로서의 환경보호단체의 참여는 환경보호에 있어서의 협동의 원칙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실현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환경영역에서의 참여민주주의를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환경법상 협동의 원칙은 환경정책의 형성과정에서의 환경보호단체의 참여를 보장하는 것을 넘어, 이들에게 환경정보로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고 확대할 것을 요청하는 원리이다. 국가 등 행정주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환경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 및 수집이 가능한 경우에만 환경보호단체는 환경정책의 형성과정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독일 환경정보공개법은 환경보호단체에게 환경정보접근권을 명문으로 부여하고 있고, 더 나아가 국가 등 행정주체의 환경정보보급의무도 규정하고 있다. 우리의 환경법제에서 환경법상의 협동원칙을 효과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행정절차법 및 환경영향평가법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이해관계인의 의견제출권과 의견진술권을 공익적 환경보호단체에게도 확대하고, 관련법령에도 환경보호단체의 개별적인 참여권을 규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독일처럼 독립된 형태의 환경정보공개법을 제정하여 공개대상이 되는 환경정보의 범위를 확대하고, 국가 등 행정주체의 환경정보보급의무를 명확하게 규정하여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참여의 영향요인 분석 : 제도주의 조직론을 중심으로

        한명성,김평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2 GRI 연구논총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sons why companies voluntarily disclose environmental information. Private companies are also beginning to participate in the role of fulfill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creating public value. For this reason, more and more companies are disclosing their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the publication of a sustainability report or company website. However, voluntary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not compulsory by law, and the collection, processing, and disclosure of information requires the company’s human resource and cost.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investors or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ill negatively evaluat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ed by the company. Nevertheless,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voluntarily disclos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increasing. Therefore, the factors that driv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ompanies in the carbon information disclosure project promoted by a non-profit organization called ‘CDP’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rough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theory and stakeholder perspective. Event history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the ‘event’ of project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data from 2012 to 2017, the empowered actorhood of the company and coercive press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ompany’s voluntary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stakeholder’s pressure had an inverted U-shaped effect.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imetic pressure had no effect. Through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as stakeholder pressure may not be linear that multiple factors act in the process of companies voluntarily disclosing their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addition, factors that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the survival of a company induce companies to participate in the CDP, suggests company’s voluntary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is also an extension of the company’s choice for survival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환경정보를 공개하는 이유를 탐색하는 데 있다.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공공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에 민간 기업들 또한 참여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위한 전략의 하나로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 혹은 회사 홈페이지 공시 등을 통해 자신들의 환경정보를 외부에 알리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환경정보공개는 법적인 강제성이 없으며, 정보의 수집·가공·공시 등에는 자체적인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기업이 공개한 환경정보를투자자나 환경단체가 부정적으로 평가할 위험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환경정보를 공개하는 기업이 점점 늘어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CDP라는 비영리단체가 추진하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에 기업이 참여하는 요인을 제도주의 조직론및 이해관계자 관점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참여라는 사건(event)을 경험하게 될 확률을 확인할 수 있는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을 사용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업의 환경정보공개에는 역능적 행위자성, 강압적 압력이 유의미한 정(+) 방향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해관계자의 압력은 역 U자 형태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모방적 압력은 그 영향이 없었다. 해당 결과를 통해 이해관계자의 압력이 선형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업이 자신들의 환경정보를 공개하는 과정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다는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생존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기업으로 하여금 CDP에 참여하도록 유인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기업의 환경정보공개 또한 기업의 생존을 위한 선택의 연장선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