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공간을 고려한 환경생태적 우수지역과 환경성질환의 상관성 분석 연구 : 환경·국토계획 통합 계획에서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김근한 ( Geunhan Kim ),강선아,윤정호,최희선,송영명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국토의 환경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과 건강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토환경성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가 1등급 지역인 환경생태적 우수 지역을 대상으로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인후두염, 환경성 질환 중 일부 대표 질환들을 선정하여 국토환경성 우수지역과 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국토환경성 우수지역의 경우 사람들이 거주하고 활동하는 시가지로부터 거리별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가지로부터 300m, 500m, 1km, 3km, 5km 내의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을 추출하여 상관분석 하였다. 이러한 상관분석에는 Quasi-Poisson Regression을 활용하였고, 오염변인(confounding variables)으로 시군구의 평균소득수준, 전국 측정망으로부터 획득한 평균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값을 전국단위로 보간법을 적용하여 전국단위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확보하고, 시군구별 평균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계산하여 평가에 반영하였다. 분석은 전국의 시군구 단위로 각 질환별 진료건수를 활용하였으며, 이때 시군구별 인구로 나누어 원단위로 통일시킨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환경생태적 평가 결과 또한 각 시군구별 면적으로 나누어 면적 비율로 원단위 변환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험에 활용하고자 선정된 21개 질환 중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의 면적 비율과 질환별 치료건수 비율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호흡기결핵, COPD, 폐렴,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허혈성심질환, 비염, 아토피피부염, 천식과 같이 11개 질환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해당 질환 중 고혈압, COPD, 폐렴, 심근경색, 허혈성심질환, 천식은 사람들이 거주 및 생활하는 시가지로부터 300m, 500m, 1km, 3km, 5km와 같이 일정거리 내의 환경생태적 평가 1등급 면적 비율과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11개 질환의 경우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의 면적비율이 높을수록 질환별 치료건수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중 6개 질환은 거리까지 고려하였을 때 거주 또는 활동하는 시가화지역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이 많이 분포할수록 질환별 치료건수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더 강한 음의상관관계를 보여준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렇게 도출된 6개 질환에 대해 어떠한 평가 항목이 중요 인자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의사결정트리와 랜덤포레스트를 수행한 결과 시군구의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의 면적 또한 건강과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군구의 대기질 또한 건강과의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NO<sub>2</sub>, O<sub>3</sub>, CO, PM10 등은 높은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가적인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또한 환경생태적 평가 결과와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국민의 건강과 국토의 환경성과의 상관성 관련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에서의 활용을 검토할 수 있으며, 특히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 제5차 국가종합계획 등 다양한 계획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등 도시지역의 보전과 개발을 고려한 공간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계획단계에서 시가화지역 인근에 분포한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을 보호해야 하며, 이러한 사람들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지역 중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이 근처에 없는 도시지역들은 향후 도시재생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이러한 녹지공간이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grade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which comprehensively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national land, and health. It selected representative diseases among cardiovascular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pharyngitis, and environmental diseases in the areas with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grade 1 by the ECVAM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ly excellent region and the health. It extracted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outstanding areas within 300 m, 500 m 1 km, 3 km, and 5 km from the downtown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outstanding areas by distance from the downtown, where people live and work, on the health. The correlation analysis used the Quasi-Poisson regression with the average income level of municipalities and the municipality-level averag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calculated from the national-level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which interpolated the averag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 obtained from the national measurement network to the national level, as the confounding variables. The analysis used the number of treatments for each disease in the municipality level divided by the population of the municipality to unify the basic unit.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nalysis results were also divided by the area of each municipality to convert it to the area ratio as the basic unit. The analysis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The correlation of 21 diseases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 ratio of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outstanding region and the treatment ratio of each diseas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leven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tuberculosis, COPD, pneumonia, hypertension,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angina pectoris, ischemic heart disease, rhinitis,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were negatively correlated. Of these diseases, hypertension, COPD, pneumonia, myocardial infarction, ischemic heart disease, and asthm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rea ratio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grade 1 within a certain distance, such as 300 m, 500 m, 1 km, 3 km, and 5 km from the downtown. Such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ratio of each of 11 diseases was low as the area ratio of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outstanding region as high. Moreover, regarding the distance from the downtown, the treatment ratio of the six diseases was lower when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outstanding regions were larger within the shorter distance from the downtown,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stronger in that case. Additionally, we conducted the decision-making tree and random forest regression to identify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additionally extracted six diseases. The results showed that residential region, commercial region, and industrial region in the municipalities were also correlated to the health, and the atmospheric quality of the municipality was also highly correlated to the health. NO2, O3, CO, and PM10, in particular,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the additional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valuation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s health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land can be utilized by the integrated land-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such as the Fifth National Environmental Master Plan and the Fifth National Master Plan. The spatial plans, such as basic urban plan and urban management plan that consider both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urban areas, must include measures to protect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outstanding regions near the downtown area. Urban areas that do not have nearby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outstanding regions should secure green space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urban regeneration and manage them to transform them into excellent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xcellent region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청소년 복지시설로서의 환경성질환센터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연성,최윤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9 No.-

        최근 들어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환경성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아토피질환의 발생 혹은 악화에 관여하는 환경적 요인은 생물학적 요인, 화학적 요인, 물리적 요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청소년 및 노인층을 중심으로 꾸준히 발생에 대한 예방관리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 복지시설로서의 환경성질환센터 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유아기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정규 교육과정 이 외에 가장 가깝게 접하는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에 환경성 질환에 관한 예방 및 생활교육으로서의 시설 제안을 통하여 환 경적, 물리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환경성 질환을 청소년기에 예방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복지시 설로서의 환경성질환센터에 관한 공간디자인 관점에서 적절한 단위공간규모 및 공간 간의 동선계획 및 관계성을 공간구성 도로 만들어 지자체나 정부기관에서 예방적 차원의 시설을 계획할 때 각론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 두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In particular,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occurrence or aggravation of atopic disease can be classified into biological factors, chemical factors and physical factors.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preventive management of incidences occurring steadily in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 with weak immunity.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lan on environmental disease centers functioning as youth welf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vent environmental diseases occurring in adolescent period due to environmental and physical factors by proposing the facilities designed to promot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diseases and daily life education thereon in connection with community youth training facilities easily accessible to adolescents, apart from regular education courses, throughout the period from early childhood to adolescence. This study, thus, was intended to create spatial configuration diagrams related to inter-spatial traffic line planning and relationship and scale of proper unit space from the standpoint of spatial design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disease centers functioning as youth welfare facilities and to propose the itemized criteria when local governments or governmental organizations map out plans on facilities dedicated to prevention of environmental diseases.

      • KCI등재

        상수도 사용량과 환경성 질환의 지역적 분포

        임동표(Lim Dong-pyo),정환영(Jeong Hwan-ye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상수도 사용량과 환경성 질환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환경성 질환(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이 공간적 특성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 째, 가정용 물 사용량이 많을수록 아토피 피부염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폐수 발생량이 많을수록 알레르기 비염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천식 환자 수는 가정용 물 사용량, 산업용 물 사용량, 폐 수 발생량 중 어떤 변수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물 사용량이 환경성 질환, 그 중에서도 아 토피 피부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밝혔으며, 이 결과는 향후 환경성 질환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of tap water usage and the prevalence of environmental diseases and thus derive a conclusion that environmental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are subject to spatia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re the household consumes more tap water the higher the instance of atopic dermatitis; second, the number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increases as the volume of wastewater rises in an area; and finally, the number of asthma patients is not influenced by any of the variables including household water usage volume, industrial water usage volume, and wastewater output volume. This study has proven statistically that water usage volume is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diseases, in particular, to atopic dermatitis, which the authors believe will be used as important basis.

      • KCI등재

        대기오염물질이 환경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지역의 자치구 및 시군을 중심으로

        서형준,이형석 서울연구원 2019 서울도시연구 Vol.20 No.3

        Because of particular matter hazard, the environmental issue has recently risen among policy agenda in Korea. Especially, the air pollution which is likely to be exposed to unspecific people could widely more influence human than other pollutions. The air pollutants cause environmental disease like a respiratory disease. In this study, it aims to reveal the effect of air pollutant on environmental disease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that are Seoul metropolitan areas. By using panel data, it examined whether the concentration of five air pollutants which include SO2, NO2, O3, CO and PM10 affected the number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and the number of asthma patients with the size of greenfield and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 as control variables between 2012 and 2016. As a result, O3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SO2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asthma patients. Among air pollutants, PM10 occasionally exceeded annual air quality standards, so especially the emission of PM10 should be reduced PM2.5. 최근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으로 인해, 환경이슈가 주요 정책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은 불특정다수에게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오염에 비해 광범위 하다고 할 수 있다. 대기오염은 호흡기질환과 같은 환경성질환을 야기하는바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의 자치구 및 시, 군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환경성질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6년간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오존, 일산화탄소, 미세먼지(PM10) 등 5가지 오염물질의 농도가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수와 천식 환자의 수에 미치는 효과를통제변수인 녹지면적, 의료기관의 수와 함께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알레르기 비염환자에 대해서는 오존과 미세먼지가 유의미한 정의 인 영향을 끼쳤고, 천식환자에 대해서는 이산화황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끼쳤다. 한편 오염물질 중에서 미세먼지는 인천과 경기에서 간혹 연간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어서 특히 배출량 감소가 요구된다.

      • KCI등재

        초미세먼지(PM2.5) 장기노출이 고령자의 환경성질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황인창 한국환경정책학회 2023 環境政策 Vol.31 No.3

        고령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킨다. 이 논문은 환경보건 정책 분야에서 고령화의 영향을 살펴본다. 그 중에서도 고령화에 따른 PM2.5 건강영향을 분석하고 전망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PM2.5에 대한 장기노출이 고령자(만 65세 이상)의 환경성질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고령화 추세를 반영해 2030년까지 조기사망자 수 변화를 전망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서는 콕스(Cox) 비례위험모형을 구축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DB와 서울시 자치구별 PM2.5 농도를 이용해 PM2.5 농도와 고령자의 환경성질환 사망률 사이의 관계를 추정한다. 주요 결과로서 연평균 PM2.5 농도가 10㎍/㎥ 증가하면 고령자가 환경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은 13.9% 높아진다. 서울에서 2015년에 PM2.5로 인한 고령자의 조기사망자 수는 1,162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PM2.5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고령화 추세로 인해 PM2.5로 인한 서울의 고령자 조기사망자 수는 2030년에는 2,13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로 인해 PM2.5 건강 영향이 악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에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별 미세먼지 상세정보 시스템 구축, 미세먼지 관련 정보전달 체계 정비 등 관련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PM2.5 is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hazards responsible for deaths and illnesses worldwide. It is well known that older adults are most vulnerable to the adverse impacts of PM2.5 and, therefore, an aging population makes the issue more problematic.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ng-term effect of PM2.5 on the risk of death from environmental diseases among older adults (65 years and older) in Seoul. Apply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o the cohort datab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7-2015), the level of PM2.5 exposure and the mortality rate from environmental diseases among older adults are associated. One of the main findings is that the total number of premature deaths among older adults in Seoul due to PM2.5 was 1,162 in 2015 and is projected to increase to 2,130 in 2030 unless more stringent policy measures are taken to address air pollution. Policy sugges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환경보건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백명헌,김규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고려법학 Vol.0 No.95

        Health problem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or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have special features as follows. Firstly, the symptom doesn't show up immediately but appears after a long time of accumulation. Secondly, the damage can appear very broadly since a lot of people are indirectly exposed to the sources. Lastly, after the disease reveals it’s symptoms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cover your health perfectly. These are the reasons why the 'principle of prevention' i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is field. In this context, punitive damages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Article 19, Paragraph 2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since June 13, 2019. If hazardous factors produced during business processes cause environmental disease and it is done intentionally or by gross negligence, they should be liable for punitive damages within three times the amount of real damages. However if there is difficulty in using this system or if it does not have a great effec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ystem will fall into a shameful one. Therefore, continuous improve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maintain the purpose of punitive damages system. In that sense, I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punitive damages system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Health Act and suggested some future tasks. Firstly,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environmental health secto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raising the limit of compensation. The problem of excess relief for victims can be solved through the formation of public funds. Secondly, legislation that presumes causality only with probability is necessary because it is unable for the victim to prove the individual causality between harmful factors and environmental diseases under the case law that classifies disease into 'specific disease' and 'non-specific disease'. In this way, the court can make an attempt to allevi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ly harmful factors and environmental diseases. 환경오염 또는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는 그 증상이 장기간 누적되어 나타나고(누적성), 유해물질에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주변인들에게도 광범위한 피해를 유발하며(광역성), 이미 증상이 발현되어 건강상 피해가 발생한 이후에는 완전히 회복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비가역성) 특징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어느 영역보다도 환경법의 이념인 사전예방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고, 실제로 사업자의 주의의무를 높여 악의적인 가해행위를 억제 및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2019. 6. 13.부터 환경보건법 제19조 제2항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시행 중에 있다. 사업과정에서 생긴 ‘환경유해인자’로 인하여 다른 사람에게 ‘환경성질환’을 발생하게 하였고, 이러한 피해가 ‘고의·중과실’에 의한 경우 피해액의 3배 이내에서 손해배상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특별한 정책적 목적을 가지고 도입된 제도의 경우, 이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막대한 효과가 없다면 허울뿐인 제도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그렇기 때문에 그 취지가 몰각되지 않도록 활용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정비가 필요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행 환경보건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한계를 지적한 뒤 향후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첫째, 환경보건 영역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배상한도 상향조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피해자에 대한 과잉구제의 문제는 공적기금의 편성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질환을 ‘특이성 질환’과 ‘비특이성 질환’으로 구분하는 판례 법리상 인과관계에 대한 증명책임을 완화하지 않는 경우 구제를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게 되므로, 개연성만으로 인과관계를 추정하는 규정을 입법화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법원이 환경유해인자와 환경성질환 사이의 개별적 인과관계를 완화하여 판단하도록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환경보건재난의 사회적 구성: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중심으로

        강연실(Yeonsil Kang),김지원(Jiwon Kim),박진영(Jinyoung Park) 한국환경사회학회 202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5 No.2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은 많은 피해자를 발생시킨 대표적인 환경보건문제이자 사회적 설명과 정치적 개입이 필요한 재난으로 이해된다. 이 논문은 재난을 물질적 결과를 갖는 담론적, 정치적 구성물로 바라보고,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이 환경보건재난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참사가 어떤 재난으로 구성되고, 이해되며, 해결되는 지 분석하는 것은 한 사회의 안전을 둘러싼 책임 관계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재난의 사회적 조사 및 해결이라는 실제적인 문제에 함의를 제공한다. 논문은 특히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을 환경보건문제로 정의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피해자관리 및 보상 주체로서 국가책임이 강조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먼저 환경보건정책이 처음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환경성질환이 법적, 제도적으로 규정된 과정을 살펴본다. 이어 석면과 가습기살균제 사건이 각각 어떤 과정과 논란을 거쳐 환경보건재난으로 구성되고 그에 따른 정책적 대응 방안이 마련되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관련법/계획을 수립하는 정책적 과정과 실제 사건들을 해결하는 사회적 과정 속에서 환경보건재난이 구성되었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두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환경보건문제의 부상이 한국 사회에 갖는 의의를 생각해본다.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ar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with a large number of victims that demand social explanations and political interventions. Understanding disasters as discursive and political constructs with material consequences, this paper analyzes how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were constructed as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Examining how disasters are characterized, understood, and resolved can reveal social and political responsibilities around safety within a societ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investigating and settling disasters. This paper highlights that the state responsibilities were particularly emphasized by characterizing the two cases as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First, the paper traces how the first comprehensive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were made and how environmental disasters were legally and institutionally defined. Then it analyzes processes by which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were characterized as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and policy measures established as consequences. Lastly, by comparing the two cases, this paper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the increasing presence of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in Korean society. Asbestos and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illustrate that characterizing the incidents as environmental health disasters was decisive in demanding governmental intervention and defining the scope of state responsi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아토피 피부염 환자 발병률의 지역적 특성 분석

        임동표(Lim, Dong Pyo),정환영(Jeong, Hwan Ye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3

        산업화 이후 환경성 질환의 증가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들의 지역적 차이와 특성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여 환경성 질환의 지역분포와 지역적 특성을 알아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 질환 중 아토피 피부염을 대상으로 국지모란지수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자 의 지역별 군집성 정도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토피 피부염 환 자의 분포는 지역적으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일반적 예상과 달리 서울시가 비교적 청정한 지역으로 분류되었 다. 둘째, 수도권 지역 중 인천 서구 등 42곳은 아토피 피부염의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 중 단양군 등 39곳은 아토피 피부염의 콜드스팟이 도출되었고, 환경과의 연관성을 추론할 근거가 나타났다. 넷째, 제주시와 서귀포 시가 독특하게 아토피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지역분포 특성에 대한 분석을 바 탕으로 차후 보건지리학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As the increase of an environmental disease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fter industrialization, academic interest in a spatial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s of an environmental disease is on 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 environmental disease using the data provid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n 2009.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atopic dermatitis among a variety of environmental diseases and shows the map that atopic dermatitis patients are distributed. Also, The Local Moran"s I show how spatial autocorrelation of atopic dermatitis patients are distributed. First, the distribution of atopic dermatitis patients show the spatial difference. Second, 42 places including the western part of Incheon are hot spots of atopic dermatitis. Third, 39 places including Danyang are cold spot of atopic dermatitis. Forth, Jeju-si and Seogwipo-si are unusually hot spot of atopic dermatitis.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further research need to be done in public health geography.

      • KCI등재

        대기오염물질 농도에 따른 천식 응급환자 수 예측 연구

        이한주,지민규,김원일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3 서비스연구 Vol.13 No.1

        산업이 발전하면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졌다. 대기오염물질은 환경오염, 지구 온난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그 중 환경성 질환은 대기오염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분야 중 하나이다. 대기오염물질은 분자의 크기가 작아 인체의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대기오염물질과 환경성 질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됐다. 환경성 질환의 일환인 천식은 증상이 심해져 천식발작을 일으킬 경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고 성인 천식의 경우 한번 발병을 하면 완치가 어렵다. 천식을 악화시키는 요인에는 황사, 대기오염이 포함된다. 전 세계적으로 천식은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이 천식 환자의 응급실 입원 건수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연구하고 상관관계가 높은 대기오염물질을 이용하여 미래의 천식 환자 수를 예측했다. 대기오염물질은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오존, 이산화질소와 미세먼지, 5가지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이용하고 환경성 질환은 천식 환자의 응급실 입원 건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대기오염물질과 천식의 응급환자 수에 대한 데이터는 2013년 1월1일 부터 2017년 12월 31일 까지 총 5년 치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모델은 Informer와 LTSF-Linear의 두 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을 진행하였고 모델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MAE, MAPE, RMSE 의 성능지표를 이용했다. 천식의 응급환자 수 예측은 응급환자 수를 포함하여 예측을 진행한 경우와 포함하지 않고 진행한 두 가지 경우 모두 진행하여 결과를 비교했다. 본 논문은 Informer와 LTSF-Linear 모델을 이용한 천식 응급환자 수의 예측에 모델의 성능을 향상 시키는 대기 오염물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