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에 관한 언론 담론 분석

        유채원(Chaewon Yoo),구도완(Dowan Ku)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0 No.1

        이글은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에 관한 언론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개발과 환경/생태,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를 둘러싼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환경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5개 중앙 일간지를 분석대상으로 프레임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언론 담론을 분석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진보지들은 생태와 생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부실하게 진행된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실시하라는 담론을 통해 고속철도 공단과 정부를 비판하고 지율 등 반대운동세력을 지지했다. 반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수지들은 지율 등을 환경근본주의라고 비판하면서 사회경제적 손실을 강조하고 법적 절차, 국책사업의 일관성과 국가 권위 등의 담론을 통해 지율 등은 물론 정부의 무능을 비판했다. 둘째, 보수지들은 시민들의 참여를 배제하는 권위주의적 방식으로 개발과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개발 권위주의 담론구성체를 형성했다. 반면 진보지들은 자연 생태계와 개별 생명의 가치를 경제성장이나 개발의 가치보다 도덕적으로 우위에 두면서 형식적 법적 절차의 수행이 아니라 비판적 전문가와 시민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과정을 강조하면서 생태 민주주의와 생명지상주의 담론을 생산했다. 셋째, 이 운동의 정치사회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첫째, 권위적 개발주의 담론구성체는 경제, 법, 제도, 절차적, 경제적 합리성 등과 같은 지배적인 가치관들과 접합하며 반대운동 세력을 근본주의자들로 낙인찍어 고립시키는데 성공한 반면, 생태 민주주의와 생명지상주의 담론구성체는 생명과 자연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도덕적 당위성 담론을 주로 생산했기 때문에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지율과 그의 지지자들(도롱뇽의 친구들 등)은 기존의 환경운동세력과 달리 개별 생명에 대한 근본적(radical) 담론을 급진적으로 실행했기 때문에 한편으로 급진적 운동의 지지자를 확산시킨 반면 현실적인 운동의 지지자들로부터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셋째, 지율의 담론은 숙의와 소통에 바탕을 둔 생태적 합리성으로 성숙되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the discourse terrain of environmental issues since 2000 by analyzing media reports on the movement against Cheonseongsan Tunnel Construction. We analyzed the media report discours by using frame analysis method. We can conclude as follows. Progressive newspapers such as The Hankyoreh, The Kyunghyang Shinmun urged that government and constructor should preserve ecosystem and lives in the Cheonseongsan and re-implement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hich was not evaluated correctly. On the contrary, conservative newspapers such as Chosun Ilbo, Korea Joongang Daily, Donga Ilbo labelled movement activists as environmental fundamentalists and emphasized socio-economic costs of delayed construction, authority of the government and consistency of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Conservative newspapers constituted developmental authoritarian discursive formations which argue the priority of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ith authoritarian process. On the contrary, progressive newspapers constituted ecological democracy and life fundamentalism discursive formations which emphasize the participatory and democratic policy process and the ecological value and intrinsic value of non-human beings rather than economic value. We can interpret the socio-political meaning of this case as follows. Firstly, developmental authoritarian discursive formations were successful to label environmentalists as stubborn fundamentalists and isolated them from the mass by articulating their discourses to the dominant value system such as economy, law, institution, legitimate process, and economic rationality. On the contrary, ecological democracy and life fundamentalism discursive formations were not so successful to mobilize the support of the public consistently, because they relied on the normative discourse on the intrinsic values of life and nature. Secondly, though Jiyul and Friends of Salamanders could proliferated radical nature preservation values, they isolated themselves from realist environmentalists, because they practiced radical and fundamental discourses with no compromise. Thirdly, the discourse of Jiyul is not the discourse of ecological rationality which is based on delibera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한 · 일 환경담론에서 로컬리티의 재현과 의미

        신진숙(Shin, Jin-S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9

        이 글은 한일 환경담론에서 환경인식과 실천의 출발점으로서 ‘로컬리티’가 구성되는 방식을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했다. 특히, 환경문제가 집중된 환동해지역을 배경으로 발생하는 환경 운동과 환경 문제를 기록한 한일 환경 다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는 생태적 문제의식과 로컬리티의 문화적 구성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기 위함이다. 1990년대 이후 발표된 다큐멘터리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과 일본이 구성하는 환경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드러내고자 했다. 이는 로컬리티를 토대로 한 저항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인 분석내용은, 한국은 사회적으로 환경운동 성공 사례로 회자되는 동강 영월댐 건설 반대운동을, 일본은 일본 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인 환경문제였던 공해병에 주목했다. 이 시기 환경다큐는 특정 로컬 장소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환경운동주체 구성이 중심을 이룬다. 2000년대 다큐를 통해서는, 일본에서 후쿠시마 이후를 기점으로 로컬 단위를 넘어 글로벌 시민사회와의 연대 가능성이 강화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이 시기 한국과 일본에서의 탈원전 이슈 부각 및 글로벌 시민사회와의 연계 가능성을 강조됐다. 밀양 송전탑 다큐에서와 같이, 환경적 문제 장소들에서 저항적 연대가 형성되는 것에 주목했다. 한일 환경담론을 통해 환경운동이 로컬에서 시작하지만, 장소, 국가, 글로벌 스케일이 중첩되는 다중적 장소성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documentaries produced by Korea and Japan since 1990s, which stems from environmentalism and ecologism. Particularly, it is focused on the documentaries relevant to the contemporary complicated problems such as ecological devastation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ose works render the local as the place in that diverse agencies interplay and local-national-global scales are superimposed, which shows a changing socio-cultural structure closely related with the environmental action and process in local. In the same vein, the documentaries imaging and representing the local as a beginning place for the sake of the realiza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enable their recipients to conceive a sustainable future society based on ecological relation with others. One important change of their environmental documentary narratives is embodied by movements consolidating resistance solidarity between places and locals after 3.11. For example, in the documentaries imaginary connectedness between locals such as Minamata(past) and Fukushima(presence), Milyang(Korea) and Fukushima(Japan), emerged implicitly and explicitly, transgressing over boundaries of locals.

      • KCI등재

        개발동맹과 녹색연대

        구도완(Do-Wan Ku) 한국환경사회학회 2004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7 No.-

        이 글은 정부, 기업, 환경(생명)운동조직들의 담론을 통시적·공시적으로 비교·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개발동맹과 녹색연대라는 세력연합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서로 다른 담론구성체 속에서 말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담론분석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1960년 이후 모든 한국정부는 경제성장이라는 개발국가의 목표를 공유한다. 둘째, 1987년 이후 개발-반공동맹은 급속히 해체되었지만 개발담론은 여전히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셋째, 1980년대 이후 반공해, 환경, 지속가능한 발전, 생명담론 등이 형성되면서 녹색담론구성체가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넷째,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담론을 둘러싸고 개발담론구성체와 녹색담론구성체의 투쟁이 지속돼왔다. This article analyse the discourses of governments, capital, and environmental NGOs in Korea. I could find that 'development coalition' and 'green solidarity' have their own discourse and ideology in different discursive formations. We can call them 'development discursive formation' and 'green discursive formation'.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every administrations in Korea gave first priority to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Secondly, while development-anti-communism coalition was weakened since 1987, development discursive formation is still influential. Thirdly, green discursive formation was proliferated as discourse of anti-pollution,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life and so on were communicated in civil society since the 1990s. Fourthly, discursive conflict concern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made between green and development discursive formations.

      • KCI등재후보

        미디어에 나타난 의류 재활용 관련 담론과 사회적 논의 방식

        조희진(Cho Hee-Jin) 실천민속학회 2010 실천민속학연구 Vol.16 No.-

        이 연구는 산업사회의 상품 생산 및 소비문화 확대로부터 파생되는 환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의류 재활용이 확산ㆍ실천되는 상황에 주목했으며, 그러한 활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 담론의 구성 방식과 역할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의류 재활용은 개인적 차원에서의 실천과 사회적 차원에서의 운동, 그러고 기업 시스템의 도입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은 다시 사회적 선행 담론, 슬로 패션(slow fashion) 담론, 환경 친화적 패션 담론, 전통적 미덕 계승 담론 등 독자적인 논의의 틀과 만나 사회적 가치와 당위성을 부여 받는다. 이들 담론은 환경오염 문제에 관한 인식과 현명한 소비 주체로서의 자세를 요청하고 재활용 상품이 갖는 패션상품으로서의 가능성, 근검절약과 같은 전통적 미덕과 가치를 되살리자는 운동으로서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의류 재활용을 둘러 싼 각각의 담론은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과 방법론적 지향점을 제공하며 이러한 담론 구성 과정에서 과거 전통사회의 미풍양속 개념과 현대사회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이 오버랩되는 특성을 보인다. 특히 이 연구에서 주목한 미디어는 다양한 사회 담론을 전달하고 확산시키며 담론 형성 과정에서 생산되는 논의를 공유하는 장(場)의 역할을 한다. 개인은 미디어를 통해 생산ㆍ공유되는 의류 재활용 담론을 통해 현명한 소비, 절약, 절제와 같은 전통적인 관념의 재구조화를 경험하고 환경 문제와 같은 거대 쟁점을 일상의 차원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결국 의류 재활용과 관련된 사회 담론은 그러한 행위와 실천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뒷받침하는 논거이자 미풍양속적 속성을 담보한 행위규범모형(norm-activation model)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ituation in which clothing is increasingly reused in order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derived from industrial production of commodities and expansion of a consuming culture. The study is intended to find ways of constructing social discourses that affect clothing reuses, and to catch the roles of those discourses. Clothing reuses ate divided into three types : individual practice, social campaign, and industrial system introduction, Each type forms its own frame of discourses such as precedented social discourses, slow fashion discourses, environment-friendly discourses, and discourses inheriting traditional virtues. Each is granted social values and justified. These discourses require the public to percei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be main agents of sensible consumption, These discourses also include the possibilities of reused items' being fashionable, and campaigns to revive the traditional virtues and values like diligence and thrifty. Each discourse about reusing clothing provides various alternatives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direction to which methods should be oriented. In the course of discourse construc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notions of the traditional morals and customs do not run counter to mechods of solving the problems the modern society faces. In particular, the media on which this study focuses, delivers and spreads various social discourses, and enables the public to share the discussion about clothing reuses produced in the course of forming discourses. The discourses about clothing reuses produced by the media are shared, which gets the public to reconstruct traditional ideas such as wise consumption, thrifty, and temperance. It also gets the public to practice an important modern issue like environmental matters in daily lives. In conclusion, social discourses related to clothing reuses work as convincing argument bases on which to account for the justification in practicing the issues, and also as norm-activation model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raditional morals and customs.

      • KCI등재

        4대강사업을 둘러싼 개신교 내부의 입장 차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김신영(Shin-Young Kim),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2

        4대강사업에 대해 개신교계는 소수의 진보 진영을 제외하고는 거의 침묵으로 일관하거나 입장 표명을 보류하였고, 일부 보수 개신교 단체는 적극적인 성명까지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개신교계가 보인 이러한 입장 차이에 주목하여 개신교계 내부에서 나타난 입장 차이가 어디에서 유래하였는지, 특히 그러한 입장 차이의 주요 요인인 보수 기독교계의 침묵과 동조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페어클러프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적용하여 담론을 텍스트적 실천, 담론적 실천, 사회적 실천의 세 단계로 분석하였다. 텍스트적 실천분석 단계에서는 4대강사업이 진행된 2009년 4월부터 2011년 10월 사이 개신교에서 발표한 성명서를 분석하여 사업에 찬성하는 보수적인 개신교계가 성서적이고 교리적인 내용에 기초하지 않고 국제기구의 보고서에 기대거나 일반적인 주장에 기초하여 담론을 구성하는 데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개신교측과 유일하게 교단 차원에서 성명서를 발표한 기장은 성서와 교리, 창조신앙에 근거를 두고 사업을 반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론적 실천분석 단계에서는 보수진영을 대표하는 한기총과 진보진영을 대표하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개신교의 대표적인 담론생산자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두 조직은 역사관과 대북관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가 4대강사업에 대한 태도에도 반복적으로 재현됨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실천분석에서는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바탕을 구성하고 있는 근본주의 신학의 유입, 한국 개신교의 정교유착과 권력화 과정을 통해 한국 개신교계의 지배적 다수가 보수적 성향을 띠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담론분석을 통해 4대강 사업에 대한 보수 개신교계의 침묵 내지는 찬성은 한국 보수 개신교가 뿌리내린 역사적, 신학적 맥락에 기인하며 개신교의 4대강에 대한 담론이 정치적,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 하면서 형성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With respect to the Four Rivers project, most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with the exception of a few minor progressive churches, remained silent or postponed expressing their positions while some conservative Protestant groups announced aggressive statements. Focusing on the different positions expressed by the Protestant churches and throug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differences in opinion within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and the reason why the majority of them kept silent or supported the Four Rivers project.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Protestant churches’ discourses on the Four Rivers project in three stages which are textual practice, discursiv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extual practice analysis on the statements announced by the Protestant groups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11, the time the ceremony fo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was held, found that statements from conservative Protestant churches supported the project relying on the UNEP’s report and general terms without using vocabulary with Christian terms or religious metaphors, while progressive Protestant churches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opposed the project based on the Bible and creation theology. In discursive practice analysis, this study targeted two Protestant churches as representative discourse producers,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 (CCK) representing a conservative position and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NCCK) representing a progressive position and found that the two groups show big differences in regards to history and North Korea, and this gap was reproduced in different attitudes regarding the Four Rivers project. Analysis of social practice found that the majority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demonstrated a conservative inclination through an inflow of fundamentalist theology which composes the theological basis of Korean Protestant, political-business collusion and power-gaining process. Discourse analysis shows that the conservative Protestant churches’ silence or approval of the Four Rivers project stem from their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exts and that the discourse over the project has been created by interaction with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 KCI등재

        담론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환경오염 관련 재난발생 경로와 특성: 익산 장점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배보람,이태화 한국환경사회학회 202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7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llective health damage of residents due to chronic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a fertilizer factory located in Hamra-myeon, Iksan, Jeollabuk-do as a disaster and derive its path and characteristics. To this end, discourse institutionalism and chronic technological disaster were theoretically adop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acts were identified. First, through the case of Jangjeom Village, it found that competitions and transformations of social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f alternatives, so called discourses, through the conflicts among actors in the path of disaster caused by chronic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ion led to offer spaces for creating opportunities for policy change as a social composition. The process of occurring a disaster originated from chronic impact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was socially understood through practices of actors’ active participation of generating discourses that visually revealed non-visibl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ts damage. Second, it confirmed that the scope of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was considered to be institutionally harmless with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by the way of combining community vulnerabil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overwhelmed the harmfulness experienced by residents. As this process continued the limitations of policy and communication were increased resulting in the loss of opportunities to reflect on limitations of institutions including policy customs and laws. Third, in the case of Jangjeom Village, progress has been made to relatively improve the existing institutional limitations through public- private consulting councils and resident health impact surveys. But this progress has led to reoccur new discourse due to new tensions among residents of neighboring villages. It confirmed that the scalability of non-visibl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chronic technological disasters and its uncertainty, which led to continuously restructure actors’ understandings were always working easily to form ongoing conflicts. 이 연구는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에 위치한 비료공장이 야기한 환경오염에 장기간 노출됨으로써 발생한 주민들의 집단 건강피해를 ‘재난’으로 이해하고, 그 경로와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 및 도구로서 담론적 제도주의와 만성 기술재난 개념을 적용했고, 방법론으로서 사례 연구를 택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다음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장점마을 사례를 통해, 환경오염에 만성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피해의 의제화 과정에서 사회적 이해와 대안의 논의가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즉 행위자들의 갈등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구성물인 담론간의 경쟁 및 변형은 재난의 경로를 구성하고 때때로 정책 변화의 기회로 작용했다. 환경오염의 만성적 영향으로 인한 재난발생 과정은 비가시적인 환경오염 피해를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행위자들의 담론실천에 의해 비로소 사회적으로 이해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둘째, 공동체의 취약성과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환경오염 개념은 제도적으로 무해한 것으로 인지되곤 하는데, 이 같은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발생한 환경오염 개념이 주민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유해성을 압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이 지속될수록 정책 및 소통의 제한성이 가중돼ᅠ정책 관습과 법규를 포함한 제도의한계를 성찰할 기회를 상실했다. 셋째, 장점마을의 경우 민관 협의회와 주민건강영향조사를 통해 환경오염과 집단 암 발병 간의 관련성을 인정하여 구제책을 마련하는 제도적 진전이 이뤄졌다. 한편 이 진전은 장점마을 주민을 비롯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재구성하는 재담론화를 불러왔다. 이는 만성기술재난을 불러오는 비가시적인 환경오염의 확장성과 이것이 만들어내는 불확실성이 언제나 진행형인 갈등을 형성하는 데 용이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논문 : 한국 환경법의 역사와 과제

        이계수 ( Kye Soo Yi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3 민주법학 Vol.0 No.51

        이 글은 최초의 ``환경법``인 공해방지법이 제정된 지 50년을 맞이하는 2013년 시점에서 한국 환경법의 역사와 과제를 점검해 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제1장에서는 주로 환경입법과 조직, 환경법 운영의 실태 등을 중심으로 한국 환경법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요약하였다. 제2장에서는 성장의 한계 담론에 힘입어 자원관리법으로서 자본주의 환경법이 등장하는 맥락을 설명하였다. 자원관리법으로서 한국 환경법은 시기적·내용적으로 다소 후진적인 면이 있으나, 큰 틀에서 보아 산업화된 자본주의 국가의 환경법과 그 맥을 같이한다는 사실도 논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자원관리법으로서 환경법이 재판과 입법의 실무에서 이익형량론·수인한도론으로, 경제와 환경의 조화론으로 현실화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제4장에서는 환경과 경제의 조화에 기초한 환경법을 법률적 언어로 포장하고 재생산하는 법학의 담론에 대해 비판하였고, 한국 환경법학의 사유태도의 특징을 성장주의에 조응한 기능주의로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 환경법의 과제를 다각도로 검토하면서 장기적이며 본원적인 과제로서 소유권론과 자유론의 재구성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장주의·자유지상주의의 자유 개념과 이기주의적·배타적 소유권의 주술에 포박된 자유주의 환경법에 대한 근본적 문제 제기와 도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Die Geschichte des koreanischen Umweltrechts wird gewohnlich in drei Phasen eingeteilt, und zwar in die Zeit des Gesetzes zur Vermeidung und Verminderung der Umweltverschumutzung (1963-1977), des Umweltschutzgesetzes(1977-1990) und des Umweltpolitikrahmengesetzes(1990-Jetzt). 50 Jahre sind vergangen seit der Gesetzgebung des Gesetzes zur Vermeidung und Verminderung der Umweltverschumutzung. In diesem Aufsatz habe ich die 50 Jahre Gesichte des koreanischen Umweltrechts kritisch zusammengefasst. Ausgangspunkt der Kritik war eine kurze Bestandnahme des bisherigen Umweltrechts. Bei der Geschichtebewertung spielt das Hauptanliegen(=das die Grenze des Wachtums langfristig bewaltigende Umweltmanagement) des koreanischen Umweltrechts die wichtigste Rolle. Das Konzept zur Versohnung von Okonomie und Umwelt, das jenes Hauptanliegen konkretisert und das die Umwelt als Ressource begreifende Okonomismus ohne weiteres aufnimmt, hat sich auch in den Gerichtsentscheidungen geaussert. Bedauerlicherweise hat die koreanische Umweltrechtswissenschaft sich ohnmachtig jener herrschenden-wirtschaftbevorzugenden Meinung der Zeit angeschlossen. Jetzt sollten wir eine neue Ordnung schaffen. Wohin sollen wir gehen? Ein schon vorbereiter aber noch nicht verwirklichter Weg zu Modell eines okologischen Rechtsstaates! Das Modell versucht einen individual-egoistischen Eigentumsbegriff und einen libertaren Freiheitsbegriff ganz neu zu rekonstruieren. Der langfristige Erfolg jener Herausforderungen hangt davon ab, wie ernsthaft wir vom Natur- und Menschenausbeutenden Produktionssystem Abschied nehmen konnten.

      • KCI등재후보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구조와 특징

        박순열(Park SoonYawl) 한국환경사회학회 200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1 No.1

        이 글은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특징을 갈등구조와 지역발전 담론의 변화를 통하여 살펴본다. 새만금 개발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특징은 먼저, 지역토건복합체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가 새만금 개발 경과의 핵심적인 요인이었고, 그것은 지역공론장의 사유화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은폐되고 또 실현되었다. 또한 지역 토건복합체는 반대세력에 의해 제기되었던 환경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문제해결 담론으로 변형시켰다. 그럼에도 환경운동의 측면에서 보자면 개발반대세력의 재판투쟁과 녹색근본주의적 환경이념이 사회적으로 일부 수용됨으로써 운동 레퍼토리의 확장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우리 사회가 새만금 개발과 같은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환경적 요인이 중첩적 작용하는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와 생태주의의 확장이 동시에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ocial conflict structure and change of local development discourses around Saemanguem Reclamation Project and explores implication of them. The local construction complex has strong political, economic interest in the project, which has moved the project forward despite of the oppositions and has been effectively realized by privatization on local public sphere. And the local construction complex transformed radical environmental issues raised by anti-development coalition to moderate forms, that is, solving problem discourse. But antidevelopment movement expanded movement repertories by litigating against the project and raising green radicalism's agenda. This article suggests that deepening democracy and expanding ecological thought are essential to manage environmental conflict like as Saemanguem Reclamation Project ecologically sound and socially justice.

      • KCI등재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 : 베드로후서 3:10-13을 중심으로

        송영목(Young Mog So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환경 상태가 급격하게 악화일로에 처해 있다. 이렇게 악화되는 현상은 성령론적 생태신학, 종말론적 생태신학, 생태여성신학, 그리고 생태정의와 같은 생태신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촉진시켜 왔다. 그런데 연구자의 종말론은 본인의 연구의 방법과 결론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 사실을 염두에 둔 채, 본 연구자는 종말론과 그리스도인의 환경 책무의 관련성을 베드로후서 3:10-13을 주해함으로써 탐구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단계를 따라 진행된다. (1) 여섯 개의 이문들을 분석함으로써 베드로후서 3:10의 본문비평을 시도한다. (2) 베드로후서 3장의 담론분석을 시도한다. (3) 지구 소멸과 지구 재창조 사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하여 베드로후서 3:10-13을 자세히 주해한다. 그리고 (4) 베드로후서의 기록 목적과 세상 갱신설의 빛 하에서,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가 무엇인지 탐구한다. 크리스천은 세상 갱신을 추진 중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동역자가 되기 위하여 하나님의 신성한 성품에 마땅히 참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베드로후서의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를 연결하여 종합함으로써, 지역 교회는 물론 개별 크리스천이 환경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며 어떻게 실천해야 할 것인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The environmental condition has rapidly been worsening. This phenomenon has resulted in diverse researches on eco-theology including pneumatological eco-theology, eschatological eco-theology, eco-feminism, and eco-justice. The eschatology of the investigator affects the way and result of the research. Keeping this in mind the present researcher delv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schatology and Christians’ eco-responsibility by interpreting 2 Peter 3:10-13. To this end, the following four steps are utilized: (1) textual criticism of 2 Peter 3:10 by analyzing six textual variants; (2) discourse analysis of 2 Peter 3, (3) exegesis of 2 Peter 3:10-13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annihilation and world re-creation, and (4) understanding the eco-responsibility of Christians who are waiting for the second coming of Christ in terms of the purpose of 2 Peter and of the re-creation of the world. Christians have to be coworkers of the renewing work of Christ by participating in the divine characteristics. By integrating the eschatology of 2 Peter and Christians’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s into what individual Christians as well as local churches should stand and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