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후과잉확신편향에 관한 연구 -2008 미국 대선을 중심으로
이양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본 연구는 2008년 미국대선결과를 알려준 후에 피험자들의 확증편향과 사후과잉확신편향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책임감여부가 확증편향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확증편향의 감소가 사후과잉확신편향을 감소시키는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여기에서 확증편향이란 현재의 신념(의사결정포함)을 반대하는 정보보다는 지지하는 정보를 주로 탐색하는 경향을 말하며 사후과잉확신편향이란 결과를 알고 있는 경우에 결과를 몰랐던 과거에도 이러한 결과를 알고 있었다고 지속적으로 과장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확증편향과 사후과잉확신편향은 매우 강력하게 작용하고 의사결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편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책임감을 도입하였다. 피험자는 학부학생들로 모두 15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고 이 중 13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험결과 책임감집단과 비책임감집단의 모두에서 확증편향이 나타났으나 책임감집단의 확증편향이 비책임감집단의 확증편향보다 적게 나타났다. 또한 비책임감집단의 사후과잉확신편향은 책임감집단의 그것보다 크게 나타났다. 중요한 결론으로는 회귀분석결과 책임감의 부여여부가 사후과잉확신편향에 미치는 영향에 확증편향이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의 연구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개변수인 책임감 이외의 다른 매개변수의 개발에 관하여 연구를 하면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nfirmation bias and hindsight bias of participants existed after participants were heard of the result of 2008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it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in which accountability reduced confirmation bias which in turn reduced hindsight bias. Confirmation bias is the tendency to search for the informations supporting than contradicting the current belief. Hindsight bias is the inclination that people consistently exaggerate they had known it all along from the past once they had known the result. Developing debiasing mechanism to reduce the confirmation and hindsight bia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so strong and may distort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decision making. This paper introiduced accountability to debias two biases. Participants are 133 undergraduat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onfirmation bias existed in both accountability and non-accountability groups but confirmation bias of non-accountability group is greater than that of accountability group. Also hindsight bias of non-accountability group is greater than that of accountability group. Most important, in regression analysis confirmation bias mediated the effect of accountability on hindsight bias.
미디어를 통한 정치 정보 습득의 부작용: 확증편향과 비확증편향을 중심으로
하상응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the media usage affects voters’ political behavior in the context of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The study tests several mutually related hypotheses: (1) whether the media usage fosters confirmation and disconfirmation bias; (2) whether exposure to political information via the media lowers voters’ tolerance toward those whose political positions are at odds with their own; (3) whether the media usage facilitates SNS-based political activities; and (4) whether confirmation and disconfirmation bias generate higher levels of in-group favoritism and right-wing authoritarianism. Results from data analysis suggest that political information gathering via the media tends to lead individuals to become ‘rationalizing voters’, who are, unlike ‘rational voters’, hard to be persuaded by getting more informed of political affairs. 이 연구는 제19대 대통령 선거 맥락에서 유권자들의 미디어 활용이 그들의 정치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활용이 유권자들의 확증편향 및 비확증편향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맺는지, 자신과 상반되는 정치 견해에 대한 관용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SNS를 통한 정치 활동을 촉진시키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미디어 활용에 의해 활성화된다고 판단되는 확증편향과 비확증편향이 정당과 후보를 기준으로 한 내집단 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도 밝힌다. 분석의 결과, 미디어를 통한 정치관련 정보의 습득이 가져오는 (1) 확증편향과 비확증편향의 강화 경향, (2) 상대방 진영에 대한 낮은 수준의 관용, (3) SNS34상에서의 활발한 정치 활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 증폭된 확증편향과 비확증편향은 정당 및 후보 중심의 내집단 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성향을 강화하는 경향과 상관관계를 맺는다는 단서도 얻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한국의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를 통한 정치 뉴스에의 노출이 ‘합리적 유권자’보다는 ‘합리화하는 유권자’의 재생산을 돕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그리고 미디어를 통한 정치 정보의 취득 행위는 궁극적으로 내집단 중심주의와 권위주의 성향을 강화시켜서 사회 내 상충하는 갈등을 해소하는 방향보다는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유권자들을 유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사후과잉확신편향에 관한 연구 : 2008 미국 대선을 중심으로
이양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2008년 미국대선결과를 알려준 후에 피험자들의 확증편향과 사후과잉확신편향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책임감여부가 확증편향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확증편향의 감소가 사후과잉확신편향을 감소시키는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여기에서 확증편향이란 현재의 신념(의사결정포함)을 반대하는 정보보다는 지지하는 정보를 주로 탐색하는 경향을 말하며 사후과잉확신편향이란 결과를 알고 있는 경우에 결과를 몰랐던 과거에도 이러한 결과를 알고 있었다고 지속적으로 과장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확증편향과 사후과잉확신편향은 매우 강력하게 작용하고 의사결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편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책임감을 도입하였다. 피험자는 학부학생들로 모두 15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고 이 중 13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험결과 책임감집단과 비책임감집단의 모두에서 확증편향이 나타났으나 책임감집단의 확증편향이 비책임감집단의 확증편향보다 적게 나타났다. 또한 비책임감집단의 사후과잉확신편향은 책임감집단의 그것보다 크게 나타났다. 중요한 결론으로는 회귀분석결과 책임감의 부여여부가 사후과잉확신편향에 미치는 영향에 확증편향이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의 연구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개변수인 책임감 이외의 다른 매개변수의 개발에 관하여 연구를 하면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nfirmation bias and hindsight bias of participants existed after participants were heard of the result of 2008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it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in which accountability reduced confirmation bias which in turn reduced hindsight bias. Confirmation bias is the tendency to search for the informations supporting than contradicting the current belief. Hindsight bias is the inclination that people consistently exaggerate they had known it all along from the past once they had known the result. Developing debiasing mechanism to reduce the confirmation and hindsight bia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so strong and may distort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decision making. This paper introiduced accountability to debias two biases. Participants are 133 undergraduat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onfirmation bias existed in both accountability and non-accountability groups but confirmation bias of non-accountability group is greater than that of accountability group. Also hindsight bias of non-accountability group is greater than that of accountability group. Most important, in regression analysis confirmation bias mediated the effect of accountability on hindsight bias.
확증편향 극복을 위한 비판적 사고 중심 교육의 원리 탐구
이예경(Lee, Ye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문제해결을 위해 주어진 정보의 타당성을 공정하게 판단하는 능력을 비판적 사고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비판적 사고를 저해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확증편향을 극복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확증편향이란 가설의 진위를 가리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만을 취하고 상반되는 정보는 무시하는 무의식적 사고 성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고의 이중처리구조 관점에서 확증편향을 무의식적이고 자동화된 1유형 사고로 보고, 이와 같은 관점에서 확증편향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그 원인과 극복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 내에서 확증편향을 억제하면서 비판적 사고력을 촉진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의 원리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ostulates that fair and objective evaluation of evidence is an essential aspect of critical thinking, and suggests confirmation bias as its main barrier. Confirmation bias is the unconscious tendency to acquire evidence consistent with one"s beliefs while ignoring opposing evidence. This study takes the perspective of the dual-processing system of cognition, and considers confirmation bias to be Type 1 (unconscious, automatic) thinking. Causes and factors influencing confirmation bias were discuss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Lastly, principles for reducing confirmation bias when designing learning for 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suggested.
이종엽(Lee, Jong Youp) 사법정책연구원 2020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20 No.-
재판은 불명확한 증거를 종합하여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판단’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1970년대 이후 카너먼 등에 의해 촉발된 판단과 의사결정 연구는 인간이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에서 합리적 이성이 아니라 일종의 어림법과 체계적 편향인 휴리스틱을 사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판사들은 법적 판단에 관한 전문가로서 풍부한 경험과 법적 훈련을 통해 체화된 스키마를 갖고 있지만, 인간으로서 이러한 휴리스틱과 편향에 따른 인지적 오류에 취약하다는 것이 실증적 연구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인지적 오류는 법관이 취하는 판단전략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직관적 사고보다는 숙고적 사고가, 임상적 판단보다는 통계적 판단이, 연역적 사고보다는 귀납적 사고가 오류를 줄이는 데 유리하지만, 어떤 전략이 더 나은지는 문제되는 과제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법관은 (1) 사건의 이해와 쟁점의 인식 (2) 증거의 관련성과 타당도 판단 (3) 책임 판단 (4) 정보의 처리와 판단 (5) 분쟁의 화해적 해결의 시도의 각 단계에서, 프레이밍, 손실회피, 확률판단, 상관성 착각, 기저율 무시, 결합확률에 대한 낙관오류, 대표성 휴리스틱, 결합오류, 후견편향, 앵커링, 귀인오류, 역추정 오류, 가용성 휴리스틱, 확증편향, 과신, 스토리 모델, 자기중심적 편향 등 다양한 휴리스틱과 인지적 오류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판단 오류는 흔히 논리법칙과 확률이론 등의 규범적 기준과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확인되는데, 확률이론에 대한 둔감성, 특히 기저율의 무시와 무선성에 대한 오해는, 직접적으로 잘못된 증거평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재판은 원고와 피고, 인용과 기각, 유죄와 무죄의 근원적인 2원적 성격을 갖기 때문에 판단 대상의 유사성 또는 대표성에 따라 그 범주를 판단하는 대표성 휴리스틱의 영향을 받기 쉽다. 또한 재판 과정에서 제시되는 청구금액이나 구형과 같은 수치적 정보들은 법관의 판단에 앵커링으로 작용한다. 이는 앵커에 합치되는 정보에 대한 편향적 접근의 결과가 낳은 결과로서 판단자는 앵커로부터 합리적 목푯값으로 조정을 시도하지만 이러한 조정은 언제나 불충분하다. 또한 재판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정연한 논리의 주장은 가용성 휴리스틱에 따라 더 그럴듯하게 보이나, 이는 증거의 타당도와 무관한 것일 수 있다. 법원은 일상적으로 사후에 사건에 관한 책임을 판단하기 때문에 후견편향에 특히 취약하다. 후견편향은 인간의 본질적인 인지적 성향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직관적, 종합적 판단보다 그 과거 시점에서의 객관적인 행위기준을 판단의 준거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역추정 오류에 의해, 형사판결에서 유죄의 증거가 있을 때 피고인이 유죄일 확률과 피고인이 유죄라는 전제에서 그러한 증거가 존재할 확률은 쉽게 혼동된다. 이는 확률의 표현상의 오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판단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확증편향은 가설을 반증하는 증거보다는 확증하는 증거만을 선별적으로 탐색하는 인간의 인지적 성향을 말하는데, 이러한 확증편향에 따라 판단자는 모순되는 증거를 예외로 취급하고, 설명에서 배제하거나, 그것에만 유독 엄격한 심사를 가하는 차별적 평가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지적 오류로부터 탈편향하는 것은 재판의 신뢰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실증적 연구들은 인지적 편향의 가능성을 인식하거나 경고하는 것만으로는 인지적 오류와 편향의 감소에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오류 없는 판단에 관한 동기나 휴리스틱과 편향에 대한 심리학적 지식은 판단자로 하여금 언제 휴리스틱을 사용하면 안 되는지 알게 해 주고, 그러한 인식이 있어야 비로소 탈편향 전략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과 훈련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탈편향 방법 중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중요한 전략은 ‘반대로 생각하기’와 ‘선형모델의 사용’, ‘외부 관점의 채택’을 들 수 있다. 특히 몇몇 휴리스틱들은, 반대로 생각하기를 통해 원래 가설과 연관이 없는 반대되는 대안들까지 판단가능성을 확장함으로써 편향적 사고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재판은 본래적으로 편향을 줄이기 위해 디자인되어 있으므로, 대립 당사자주의나 교호신문제도, 공소장 일본주의, 성격증거의 배제, 사후적 상황의 고려 금지원칙, 포렌식 증거에 대한 제한적 증거능력의 인정 등은 이러한 탈편향 전략이 제도적으로 수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법관이 정확한 판단을 위해 인지적 오류의 내용을 숙지하고 사고와 추론과정을 객관화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은 하나의 당위적 의무이다.... Trials require that judges render judgments under uncertainty because they are asked to reconstruct historical facts using often ambiguous evidence. A study o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conducted by Kahneman et al. in the early 1970s found that humans commit systematic errors depending on heuristics under such uncertainty. Judges, as experts in legal judgments, have embodied schema through legal training and experience, but empirical research has shown that they are vulnerable to cognitive errors due to heuristics and human biases. Therefore, it is critical for judges to adopt strategies to reduce cognitive bias. To this end, it is desirable for judges to have a bottom-up strategy that examines intuitive and deliberate judgments carefully and closely, as well as the evidence, rather than a hypothetical top-down strategy. Furthermore, multiple experiments suggest that, contrary to popular belief, actuarial judgments yield better results than holistic judgments. Judges are affected by various heuristics and cognitive errors, such as framing, loss aversion, probability judgment, illusory correlation, base rate neglect, conjunction fallacy, representative heuristic, hindsight bias, anchoring, attribution error, inverse fallacy, availability heuristic, confirmation bias, overconfidence, story model, and egocentric bias, at each stage of case. These stages include: (1) understanding of the facts and recognition of the issues; (2) judgment of the relevance and validity of evidence; (3) judgment of the defendant’s responsibility; (4) information process and judgment; and (5) attempts to resolve a dispute with a settlement. Such judgment errors are normally confirmed by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laws of logic and normative standards for probability theory, etc. In particular, in sensitivity to probability theory, specifically, mis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base rate neglect and false intuition about randomness may directly lead to the false evaluation of evidence. Also, because a trial has the underlying binary nature of plaintiff-defendant, acceptance-rejection, and guilt-innocence, trials are subject to representative heuristics that judge a category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r representativeness of the object being judged. Numerical information, such as a claim amount or the demand of a sentence suggested during a trial, also serves as an anchoring for the judgments of judges. This is a result caused by biased access to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anchor and, therefore, judges try to adjust from the anchor to a reasonable target value, but this adjustment is always insufficient. An orderly, logical argument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in a trial appears plausible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heuristic, which might be irrelevant to the validity of the evidence. Court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hindsight bias because they ordinarily determine responsibility for incidents after the fact. Since the hindsight bias reflects a human s intrinsic cognitive disposition, the bias can be minimized by an objective behavioral criteria as a reference point of judgment rather than intuitive judgment based on the past point of view. In a criminal judgment, the probability that the accused is guilty when there is evidence of guilt and the probability that such evidence exists on the premise that the accused is guilty are easily confused, which i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inverse fallacy. However, since there are so many examples where the probability values of P(H|D) and P(D|H) are extremely different, this not only yields a representational probabilistic error, but also has a great impact on the quality of actual judgment. The confirmation bias refers to the tendency to selectively seek only evidence corroborating the hypothesis rather than disproving it....
유튜브 알고리즘 추천의 유용성 인식에 따른 유튜브에 대한 미디어 신뢰도 : 지각된 유해성, 확증편향, 프라이버시 염려의 매개 효과
김미경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4
유튜브 알고리즘 추천은 인간의 편견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한다는 유용 성을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유용성 인식은 유튜브 미디어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 나 알고리즘의 결함과 위험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알고리즘 추천의 유용성 인식과 미디어 신뢰 간에 지각된 유해성, 확증편향, 프라이버시 염려가 미치는 매개효 과를 살펴보았다. 각 변수 간 경로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알고리즘 추천의 유용성 인식 이 미디어 신뢰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확증편향과 프라이버시 염려에도 정적 (+) 영향을 미쳤다. 확증편향은 유튜브에 대한 미디어 신뢰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 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알고리즘 추천의 유용성 인식과 유튜브에 대한 미디어 신뢰 간 관계에서 확증편향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알고리즘 추천에 대한 유용성 인식에 더해 개인의 심리적인 기제인 확증편향이 유튜브 미디어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는 사실을 통해 정보안심의 소비습관과 뉴스관여도의 영향력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안심의 소비습관을 방지하기 위해 노출의 다양성을 촉진할 추천 알고리즘의 정교 화가 필요하다. Youtube Media trust is formed under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that YouTube algorithm recommendation excludes human biases and delivers objective information. However, amid widespread concerns about algorithm defects and risks, this paper looks at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harmfulness, confirmation bias, and privacy concerns between the usefulness of algorithm recommendations and media tru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ach path among variables,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algorithm recommend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media trust. It also has a positive (+) effect on confirmation bias and privacy concerns. Confirmation bias has a positive (+) effect on media trust.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confirmation bias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algorithm recommendation and media trust. The fact that confirmation bias,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mechanism, mediates between the usefulness of algorithm recommendation and media trust can be understood as strengthening media trust by protecting and stabilizing individual beliefs. In order to weaken this tendency of passive information acquisition,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in pract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users to improve their experiences for active information acquisition.
왜 대중은 반지성주의에 매료되는가?: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반지성주의
강준만 한국정치정보학회 2019 정치정보연구 Vol.22 No.1
Recently the term ‘anti-intellectualism’ is widely used, but it is very opaque to the great confusion. This essay proposes to use it both as a value-neutral concept applying regardless of the ideological left or right and as a microscopic concept applying for specific words and actions. With those two premises, this essay defines anti-intellectualism as “mental condition or attitude that does not accept rational and reasonable communications” whose three elements are religious conviction, failure ro reflect, and hostile expression. This paper maintains that the social background of anti-intellectualism is egalitarianism, materialism, and intellectual’s self-alienation, and on the individual level the five cognitive biases cause and facilitate anti-intellectualism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five cognitive biases are 1) action bias, 2) availability bias, 3) confirmation bias, 4) negativity bias, 5) story bias. The quest for those cognitive biases not only illuminates that anti-intellectualism is formed by cultur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condition, but also explains why anti-intellectualism enjoys the public’s wide support. The reason is that a considerable portion of those cognitive biases is shared by the audience. In that sense, anti-intellectualism can be a litmus paper test that reveals the society-wide quality of communication. 최근 ‘반지성주의(anti-intellectualism)’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지만, 이 개념의 정체는 매우 불투명해 적잖은 혼란을 낳고 있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를 이념의 좌우를 막론하고 적용하는 가치중립적 개념이자 특정 언행에 적용하는 미시적 개념으로 쓸 것을 제안한다. 그런 두가지 전제와 더불어 반지성주의를 지성의 유무나 정도가 아니라 지성의 작용방식을 기준으로 “이성적‧합리적 소통을 수용하지 않는 정신상태나 태도”로 정의하면서 그 3대 요소로 신앙적 확신, 성찰 불능, 적대적 표현을 제시한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의 사회적 배경으로 평등주의, 물질주의, 지성의 자기소외를 지적하는 동시에 개인의 차원에서 다섯가지의 인지적 편향이 소통의 과정에서 반지성주의를 유발하거나 촉진한다고 주장한다. 그 다섯가지 인지적 편향은 1) 행동 편향, 2) 가용성 편향, 3) 확증 편향, 4) 부정성 편향, 5) 이야기 편향이다. 이런 인지적 편향에 대한 탐구는 반지성주의가 문화적 환경과 소통의 조건에 의해 형성되기도 한다는 것을 밝혀줄 뿐만 아니라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이 편향들은 수용자들도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반지성주의는 사회 전반의 소통의 질을 보여주는 리트머스 시험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메시아 관점에서 예수를 바라본 유대민족 지도자들의 확증편향에 관한 고찰
최성욱(Choi Sung-Wook) 삼육대학교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2021 융합학문과 기독교 Vol.2 No.1
본 연구는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할 수 없었던 유대민족 지도자들의 확증편향에 관한 고찰을 다루고 있다. 당시 시대적 관점에서는 확증편향이라는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확증편향 이론을 기준으로 당시 상황을 고찰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본 연구 주제에 관한 확증편향의 접목 방향성은 정보탐색 측면과 정보해석 측면으로 설정되었다. 정보탐색 측면에서는 유대민족 지도자들이 오랜 시간 동안 구약의 예언서를 통하여 메시아를 연구해 왔지만, 예수가 출현했을 때 왜 메시아로 인정할 수 없었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정보해석 측면에서는 예수가 공생애 기간에 보여준 다양한 활동들을 지켜보면서 예수가 메시아라는 정보해석에 성공한 사람들도 나타났지만, 왜 대부분의 유대민족 지도자들은 예수가 메시아라는 정보해석에 실패했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증편향은 당시 시대적 상황의 사회적 증거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handles the confirmation bias of Jewish people leaders who could not accept Jesus as the Messiah. As the theory of confirmation bias was not established in the viewpoint of the times, the study was conducted by the method to consider the situation of the times based on current theory of confirmation bias. Drafting direction of confirmation bias i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et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interpretation.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search, considerations were focused in why Jewish people leaders could not accept Jesus as Messiah when he appeared although they had studied about Messiah through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for a long time.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interpretation, considerations were focused in why most of Jewish people leaders failed in information interpretation that Jesus was Messiah although some people succeeded in information interpretation that Jesus was Messiah looking at his various activities during his public life. The study showed indicated that confirmation bias may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al evidences of then-current temporal situations.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뉴스 소비자의 확증편향과 관여도 매개효과: 진짜뉴스와 가짜뉴스 비교
이은지,김미경,성동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examines how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clicking ‘like’, posting and sharing is influenced through the confirmation bias and involvement(value relevant involvement and issue relevant involvement) focusing on comparing between real news and fake news. Firstly, all readers who read real news and fake news have confirmation bias. The readers who read real news are little stronger than fake news. Secondly, real news showed that value-relevant involvement is higher than fake news. Issue-relevant involvement influenced consuming news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real news and fake news. Thirdly, the consumer of real news played more social endorsement such as ‘like’ and ‘share’ than fake news. Fourthly the confirmation bias, value-relevant involvement and issue-relevant involvement play important role of mediated effect to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on the real news and fake news. The higher confirmation bias and value-relevant involvement is, the higher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like’ and ‘share’ is. The higher issue-relevant involvement is, the higher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post’ and ‘share’ is. 본 연구는 진짜뉴스와 가짜뉴스를 본 수용자가 확증편향과 관여도(가치관여와 이슈관여)를 통해 어떻게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하였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소셜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자신의 선호정보를 알리는 ‘좋아요’, 적극적인 의견행동인 ‘댓글달기’, 확신정보를 공유하는 ‘공유하기’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진짜뉴스든 가짜뉴스든 뉴스 수용자는 확증편향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진짜뉴스 수용자가 좀 더 확증편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가짜뉴스 보다 진짜뉴스에 대해 가치관련 관여가 높게 나타났다. 이슈관련 관여는 뉴스수용에 영향을 미쳤지만 진짜뉴스와 가짜뉴스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짜뉴스보다 진짜뉴스에 대해 소셜 지지가 많이 이루어졌다. ‘좋아요’와 ‘공유하기’를 통해 소셜 지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진짜뉴스와 가짜뉴스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좋아요’, ‘댓글달기’, ‘공유하기’)에 대해 확증편향, 가치관여, 이슈관여는 중요한 매개작용을 하였다. 확증편향과 가치관여가 클수록 ‘좋아요’와 ‘공유’등의 행동에 대해 매개효과가 컸으며 이슈에 대한 관심도가 클수록 ‘댓글과 공유행동에 대해 매개효과가 컸다.
디지털 가짜뉴스에 대한 청소년의 확증 편향 연구 : 경북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안태준 한국지역언론학회 2020 언론과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onfirmation bias of adolescents exposed to fake news. In other words, it examined whether the adolescents who had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those who had a strong positive perception had changed to strengthen their own views after being exposed to fake news about Nor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s only a limited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Second, the confirmation bias of a group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had no effect on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with negative content. Rather, perception shif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confirmation bias. Previous studies have argued that those exposed to fake news have a confirmatory biased news consumption pattern. That is, news consumers accept fake news that enhances their existing perception and ignore fake news that is not. This meant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ould be limited.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a study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ose with unstable recognition tools could not ignore fake news that weakened their existing perception, but rather changed their existing perception under the influence of fake new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dolescents have found that the impact of fake news can be much stronger than that of adults. 본 연구에서는 가짜뉴스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태도를 분석했다. 즉,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던 청소년들과 긍정적인 인식이 강했던청소년들이 북한에 대한 가짜뉴스에 노출된 뒤에 기존의 자기 견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제한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의 확증 편향은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오히려 확증 편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식 변화가 일어났다. 선행 연구들은 가짜뉴스에 노출된 성인들은 확증 편향적 뉴스 소비 형태를 띤다고주장했다. 즉, 뉴스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강화하는 가짜뉴스는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가짜뉴스는 무시한다는 것이다. 가짜뉴스의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본 연구에 따르면, 확고한 인식 도구가 성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약화시키는 가짜뉴스를 무시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가짜뉴스의 영향으로 자신들의 기존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경우 가짜뉴스의 영향이 성인들에 비해 훨씬더 강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