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적 화자의 위치에 대한 연구 - 이중섭과 그의 그림을 소재로 한 시를 중심으로

        조수윤(Cho Suyun),이승하(Lee Seung-ha)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이중섭과 그의 그림을 소재로 한 시에서 화자는 시인이 이중섭과 그의 그림에서 얻은 영감을 재연하는 효과적인 도구가 된다. 시에 드러난 각각의 화자들은 이중섭 일생의 단면을 보여줌으로써 이중섭의 인간상, 그림의 특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회화를 문자화해서 보여주고, 그림을 통해서는 쉽게 느낄 수 없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본고는 화자의 유형을 화자가 시인일 경우, 이중섭일 경우, 드러나지 않는 경우, 회화작품 속 등장인물인 경우의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시인 자신이 화자가 될 경우, 시인의 그림 감상이나 이중섭의 생애를 이해한 것이 화자에게 투영되었고, 시인이 겪은 감정은 화자를 통해 대상을 대하는 태도가 됨으로써 대상에 대한 시인의 주관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화자가 이중섭인 경우, 화자는 시인과 동일인물인 ‘나’라는 화자가 가질 수 없는 어조로 발화하며, 사전정보로 화자가 처한 상황 속에서 시인이 말하려는 주제를 전달한다. 따라서 이중섭처럼 극적인 인물을 화자로 삼을 경우 시인이 표현하려는 메시지에 어울리는 색다른 어조를 갖고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전달이 이루어졌다. 화자가 시 속에 드러나지 않는 경우, 회화에 근거한 객관적 사실만을 썼기 때문에 시행이 간략한데 감상보다 그림의 형태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그림 자체에 대한 감상자의 해석을 입증하는 것이며, 언어로 그림을 형상화하는 효과를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림 속 화자가 진술하는 경우, 시는 화자의 독백에 의해서 전개되는데 화가의 의도, 특정한 형태로 명시할 수 없는 관념적인 메시지, 관념적인 주제를 진술함으로써 독자를 깨우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독백은 독자로 하여금 화자의 목소리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데 가시적인 것을 전달하기보다 가청적인 것을 전달할 때 효과적이었다. 시적 화자는 대상과의 거리를 통해서 시에 그림의 의미를 드러낸다. 시인은 그림과 감상자 사이에서 화자를 통해 1차 비평을 제시하고, 정제된 메시지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인은 언어로 미술과 대중의 연결고리가 되어줌과 동시에 시가 비평적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문학 영역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In a poem about Lee Jung-seob and his paintings, the speaker becomes an effective tool for the poet to reenact the inspiration from Lee Jung-seob and his paintings. Each narrator in the poem represented Lee Jung-seob’s image of the ideal human being by showing one aspect of his life, expressed paintings through literation, and conveyed messages that were not easily felt through the paintings. This paper analyzed the types of narrators in four categories: i) when the narrator is a poet, ii) when the narrator is Lee Jung-seob, iii) not revealed, and iv) when the narrator is a character in the painting. When the narrator is the poet himself/herself, opinions of the paintings or understandings of Lee Jung-seob"s life are projected to the narrator, and the feelings poet experienced shows the poet"s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intensively through the narrator’s attitude. When the narrator is Lee Jung-seob, the narrator speaks in a tone that “I”, meaning the poet, cannot have and delivers the topic that the poet is trying to say through prior information. Thus, when a dramatic person like Lee Jung-seob was used as a , the message is delivered more effectively because it has a different tone to match the message the poet was trying to express. When the narrator is not revealed in the poem, the implementation is brief since he can only write objective facts based on the painting. This is because the elements of the painting"s shape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ppreciating it. This proves the viewer"s interpretation of the painting itself and can be seen as having the effect of shaping the picture through language. When the narrator is a character in the painting, the poem is developed by the narrator’s monologue, which serves to enlighten the reader by stating the artist"s intention, ideological messages that cannot be specified in a particular form, and ideological topics. The monologue is also effective when delivering what is audible rather than tangible, allowing the reader to focus on the narrator"s voice. The poetic narrator reveals the meaning of the painting in the poem through distance from the subject. The poet presented the first criticism between the painting and the viewer through the narrator, allowing them to appreciate it with a refined message. By using language, the poet becomes a link between art and the public while allowing poetry to play a critical role, and seeks to expand the literary realm.

      • KCI등재

        화자식별 시스템의 계산량 감소를 위한 화자 프루닝 방법

        김민정,오세진,정호열,정현열 한국음향학회 2003 韓國音響學會誌 Vol.22 No.6

        본 논문에서는 GMM (Gaussian Mixture Model)에 기반한 문맥독립 화자식별 시스템의 식별성능 향상과 실시간 처리를 위한 계산량 감소를 위하여 화자 프루닝 (Speaker Pruning)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화자식별 방법인 최대유사도(Maximum Likelihood) 방법과 가중모델순위 (Weighting Model Rank) 방법, 수정된 가중모델순위 (Modified WMR) 방법 등은 입력 음성 전체와 모든 화자모델들과의 유사도를 프레임 단위로 계산하여 가장 큰 누적 유사도를 가지는 화자를 식별화자로 결정하는 방법으로써, 입력 프레임 및 등록 화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계산량 및 식별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방법은 입력음성 프레임의 일부분만을 이용하여 화자모델들과의 프레임 유사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등록화자의 상위 일부분의 화자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자들에서만 유사도 계산을 수행함으로서 계산량 및 식별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또한, 화자 프루닝을 적용할 경우 화자수가 가변 되더라도 수정된 가중모델 순위방법을 적용할 수 있어 식별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식별실험결과, 제안방법을 적용한 경우 기존의 최대 유사도 방법이나 가중모델순위 방법보다 최대 65%의 계산량 및 식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약 2%의 향상된 식별결과를 나타내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eaker pruning method for real-time process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of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GMM(Gaussian Mixture Model). Conventional speaker identification methods, such as ML (Maximum Likelihood), WMR(weighting Model Rank), and MWMR(Modified WMR) we that frame likelihoods are calculated using the whole frames of each input speech and all of the speaker models and then a speaker having the biggest accumulated likelihood is selected. However, in these methods, calculation cost and processing time become larger as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input frames and speakers.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oposed method, only a part of speaker models that have higher likelihood are selected using only a part of input frames, and identified speaker is decided from evaluating the selected speaker models. In this method, fm can be applied for improving the identification performance in speaker identification even the number of speakers is changed. In several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showed a reduction of 65% on calculation cost and an increase of 2% on identification rate than conventional methods. These results mean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effectively for a real-time processing and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 speaker identification.

      • KCI등재

        Eigenvoice 기반 화자가중치 거리측정 방식을 이용한 화자 분할 시스템

        최무열,김형순,Choi, Mu-Yeol,Kim, Hyung-Soon 한국음향학회 2012 韓國音響學會誌 Vol.31 No.4

        화자 분할 기술은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자동적으로 화자 경계 구간을 검출하는 것이다. 화자 분할 방식은 화자에 대한 선행 지식 사용 여부에 따라 거리기반 방식과 모델기반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eigenvoice 기반의 화자가중치 거리를 이용한 화자 분할 방식을 도입하고, 이 방식을 대표적인 거리 기반 방식들과 비교한다. 또한, 화자가중치의 거리 측정 함수로 유클리드 거리와 cosine 유사도를 사용하여 화자 분할 성능을 비교하고, eigenvoice 방식에 의해 화자 적응된 모델들 사이의 직접적인 거리를 이용한 화자 분할 방식과의 비교를 통해 화자가중치 거리를 이용한 방식이 계산량면에서 효율적인 점을 검증한다. Speaker segmentation is a process of automatically detecting the speaker boundary points in the audio data. Speaker segmentation method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epending on whether they use a prior knowledge or not: One is the model-based segmentation and the other is the metric-based segment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eigenvoice-based speaker weight distance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representative metric-based methods. Also, we employ and compare the Euclidean and cosine similarity functions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speaker weight vectors. And we verify that the speaker weight distance method is computationally very efficient compared with the method directl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adapted models constructed by the eigenvoice technique.

      • KCI등재후보

        GMM-UBM 기반 KL 거리를 활용한 화자변화 검증에 대한 연구

        조준범,이지은,이경록 중소기업융합학회 2016 융합정보논문지 Vol.6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기반 화자변화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GMM-UBM(Gaussian Mixture Model-Universal Background Model) 기반 KL(Kullback Leibler) 거리를 활용한 화 자변화 검증을 제안하였다. 정보량의 차이에 민감한 기존의 BIC 기반 화자변화검출 알고리즘을 상대적으로 정보량 차이에 견인한 KL 거리 알고리즘으로 검증하였고, 정보량의 비대칭을 보상하기 위해서 GMM-UBM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BIC 기반 화자변화 검출은 1단계로 비유사도 d가 양수인 구간의 국소 최댓값인 지점을 화자변화 후보지점으 로 검출하였고, 2단계로 검출된 화자변화 후보지점 중 ΔBIC가 양수인 지점을 화자변화지점으로 결정하였다. 본 논 문에서는 BIC 기반 화자변화 검출에 의해 결정된 화자변화지점에 대하여 GMM-UBM 기반 KL 거리 D가 문턱치 (threshold)보다 높은 지점을 최종 화자변화 지점으로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MDR(Missed Detection Rate)이 0인 조건에서 문턱치 0.028일 때 FAR(False Alarm Rate) 60.4%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erification of speaker change utilizing the KL distance based on GMM-UB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BIC based Speaker Change Detection(SCD). We have verified Conventional BIC-based SCD using KL-distance based SCD which is robust against difference of information volume than BIC-based SCD. And we have applied GMM-UBM to compensate asymmetric information volume. Conventional BIC-based SCD was composed of two steps. Step 1, to detect the Speaker Change Candidate Point(SCCP). SCCP is positive local maximum point of dissimilarity d. Step 2, to determine the Speaker Change Point(SCP). If ΔBIC of SCCP is positive, it decides to SCP. We examined verification of SCP using GMM-UBM based KL distance D. If the value of D on each SCP is higher than threshold, we accepted that point to the final SCP.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MDR(Missed Detection Rate) is 0, FAR(False Alarm Rate) when the threshold value of 0.028 has been improved to 60.7%.

      • KCI등재

        박목월 시에 나타난 시적 화자 연구

        유지현 ( Yu Ji-hyun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박목월 시가 드러내는 화자의 발화 양식은 시세계의 확장과 깊이를 확보하려는 노력과 궤를 함께 한다. 시인은 다양하고 정교한 시적 화자를 통해 시의 깊이를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시적 화자의 시점, 어조, 태도 등이 결합되어 다양한 시세계를 드러낸 박목월 시의 화자의 특성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형적 시선의 화자는 묘사 대상을 선택하고 구성하여 조형적으로 드러내는 미적 인식에 의하여 시선의 중개자로서 기능한다. 시선의 중개자로서의 화자는 객관적인 목소리를 통해 절제된 어감을 드러내며 대상과의 미적 거리를 통해 대상과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에 주력한다. 두 번째 극화된 화자는 특정한 인물과 상황을 드러낸다. 여기서 화자는 연극의 배우처럼 특정한 상황 속에 배치되며 상황에 주어진 역할에 해당하는 목소리를 보인다. 이러한 시에서 등장하는 시적 화자는 공동체적 삶의 양상, 타인에 대한 연민과 공감을 그려낸다. 세 번째는 그림자적 자아를 포착하는 고백적 화자이다. 고백적 화자는 내면의 고뇌를 보다 깊이 그려내기에 적합한 화자이다. 그림자적 자아를 관찰하는 시적 화자는 삶의 중층성을 묘사함으로써 쓸쓸하고 고통스러운 어조를 지니지만 성찰적 시의식을 표출한다. The utterance style of persona in Park Mok-Wal’s poetry goes along with an effort to secure poem’s width and depth. The poet reveals the depth of the poem through various and exquisite poetic personae. The features of Park ’ s poetic personae, which tend to show diverse poem worlds combined with the poetic personae ’ s perspectives, tones, and attitudes can be organized in such: First, persona with plastic eyes functions as a mediator standpoint that chooses and composes the object to be described and reveals it plasticly through an aesthetic standpoint. The persona as a mediator of gaze reveals restrained nuance through objective voice and mainly focuses on dep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through aesthetic distance. Second, dramatized persona shows specific character and situation, Here the persona is placed in a specific situation as an actor and reveals a voice that corresponds to the situation. The persona in these poems portrays aspects of communal life and sympathy and pity towards others to pursue diversity and width. Third is confessing persona that seizes the shadowy self. The confessing is appropriate to more deeply illustrate the anguish of inner side. The poetic persona that observes the ideal self and shadowy self describes the layers of life to covey tones of solitude and agony but expresses introspective senses upon poetry.

      • KCI등재

        〈훈민가〉의 말하기 방식과 그 의의

        조태흠(Cho, Tae-Heu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6 No.-

        본고에서는 〈훈민가〉의 화자와 청자의 유형을 나누어, 각 유형별로 화자와 청자의 성격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훈민가〉에 나타난 말하기 방식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훈민가〉의 화자는 1인칭 화자와 함축적 화자의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1인칭 화자의 경우에는 주로 화자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고, 함축적 화자는 청자를 향한 명령, 금지 또는 청유를 나타내는 것이 주를 이루어 서로 대조를 보이고 있었다. 1인칭 화자와 함축적 청자가 나타나는 작품의 말하기 방식은 모두 1인칭 화자 자신이 청자인 내적 독백이며, 1인칭 화자와 현상적 청자가 나타나는 작품의 경우도 표면적으로는 화자와 청자의 대화로 보이지만, 이 대화 역시 화자의 의도를 드러내기 위한 ‘수사적 방편’으로, 이 또한 대화의 형식을 빌린 독백임을 밝혔다. 1인칭 화자의 독백은 백성들에게 직접 명령하고 권고하고 훈계하며 ‘가르침’을 주는 방식이 아니라, 백성들로 하여금 화자와 동일시하도록 하여, 화자의 입장에 공감한 백성들 스스로 ‘깨우침’을 얻게 하려는 방식이다. 이런 점에서 〈훈민가〉의 독백은 훈민시조의 일반적인 말하기 방식과는 구별되는〈훈민가〉만의 독특한 말하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함축적 화자가 나타나는 작품의 경우, 화자는 청자보다 도덕적 · 사회적으로 우위에 있고, 청자는 작품의 표면에 나타나든 나타나지 않든, 독특한 개성을 지닌 특정한 사람이 아닌, 일반 백성들이다. 함축적 화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도적적 당위이기 때문에 보편성과 객관성을 획득하게 되고, 이를 전하는 화자의 발화는 공적인 목소리를 띠게 되어, 함축적 화자는 ‘세계화된 존재’로 공인의 입장을 취하게 된다. 함축적 화자의 말하기 방식은 화자가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공적인 목소리로 무엇을 명령하거나 요청하고 훈계하며 직접 ‘가르침’을 주는 방식이다. 이 때 독자들은 함축적 화자를 시인과 동일시하고 함축적 청자를 실제 청자인 자신들과 동일시하여 화자의 ‘가르침’을 더 직접적이고 강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In studying the modes of poetic statement in “Hoon-min-ga,” my research identifies the different types of authors and readers. Based on each type’s characteristics, this paper attempts to draw the meanings and significance of “Hoon-min-ga.” “Hoon-min-ga” features two types of author: first-person author and implied author. The two types contrast with each other in that first-person author often expresses the author’s own intention, whereas implied author tends to directly address the readers, commanding, prohibiting, or requesting. In the works that feature first-person author and implied reader, the mode of poetic statement in most cases is internal monologue where the first-person author is his own reader. In case of the works that have both first-person author and expressed author, despite its formal appearance as two-way conversation between an author and readers, the conversation is a rhetorical device to deliver internal monologues in which the author’s intention is revealed. First-person author’s monologue is a mode of realization where common people are encourage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author in order to enlighten themselves, as opposed to a mode of teaching where people are preached and advised by the author. This marks the unique mode of poetic statement of “Hoon-min-ga,” which distinguishes it from other poetic statement of Hoon-min-si-jo. In the works of implied author, the author assumes a higher moral-social status than those of the readers who are understood as common people devoid of unique individual personalities whether it is explicitly expressed so in the works or not. The messages from an implied author, therefore, carry moral justice, which confers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upon the author. The author’s speech assumes the voice of the public, expressing the public’s perspective as a universalized being. The speech mode of implied author is the mode of teaching in which the author, through the public voice, directly commands, requests from, and preaches to common people. In this mode, readers identify the implied author with the poet, and the implied readers with actual readers themselves, which results in their stronger and more direct response to the teaching.

      • KCI등재

        감상주의 화자를 찾아서: 카람진의 “가엾은 리자” 연구

        윤새라(Yoon Sae R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3

        1792년에 발표된 단편 소설인 카람진의 “가엾은 리자”는 러시아 '감상주의'의 대표작으로 18세기를 지배했던 고전주의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의 감수성을 추구했다. 그러나 “가엾은 리자”를 논할 때 감상주의의 대표작이라는 문학사적 의의에 눌려 작품 자체에 대한 내재적 연구는 미진한 감이 없지 않다. 이 글에서는 일견 진부하기 짝이 없어 보이는 소설 줄거리의 외피를 걷어내고 그 안에 담겨 있는 화자의 정체를 탐구한다. 얼핏 보기에 제목부터 줄거리까지 여주인공인 리자가 소설의 중심에 위치한 것 같지만 세밀하게 소설을 분석하면 실상 이 소설이 구축하는 감상성의 핵심 인물은 바로 화자라는 것을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 글의 분석을 통해 “가엾은 리자”의 화자가 ‘마음의 필요성’에 의해 즐거움을 찾지만 그것은 단순한 쾌락이 아니며 더군다나 이성을 완전히 배제한 것도 아님을 밝힌다. 카람진의 화자는 감성과 이성, 그리고 사람의 역사/이야기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다. 이러한 점은 화자가 에라스트의 허물을 다룰 때 더욱 뚜렷이 드러난다. 여러 면에서 화자와 비슷한 배경을 가진 에라스트가 리자를 버리는 이유는 그저 사랑의 정점을 지난 후 감정이 식어서가 아니라 독서를 통해 얻은 목가적 자연에 대한 동경이 현실에 부딪쳐 깨진 것을 감당하지 못 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하면 화자는 에라스트처럼 목가적 세계를 지향하면서도 현실감도 잃지 않는 조화로운 균형감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화자의 특징은 화자가 리자를 그려낼 때도 여실히 드러난다. 그녀와 에라스트를 모두 포용하며 따뜻하게 서술하는 화자는 바로 감성을 이성보다 중시하지만 결코 이성도 배제하지 않는 감상주의의 본질을 잘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카람진이 “가엾은 리자”를 통해 구현한 이상적인 감상주의 원칙이 그가 평소에 가지고 있던 작가론, 그리고 창작론에 입각한 것임을 그가 쓴 비평문을 고찰함으로써 밝힌다. The significance of Karamzin's “Poor Liza” lies, first and foremost, in its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as it closed the age of stiff, old Classicism and ushered in a new age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tale's intrinsic quality, however, seems to have been neglected in our scholarshi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esthetic identity of the narrator, in an attempt to flesh ou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Sentimentalism. To this end, I first analyze the narrative techniques, with which the narrator presents himself and the world around him in the beginning of the story. Having looked into the opening part replete with highly informative descriptions regarding the narrator and the story to follow, I proceed to discuss the narrator's treatment of the two main characters: Erast and Liza. While Liza appears to occupy the center of the story, I argue that it is in fact the narrator who should be given due respect for being the quintessentially Sentimenal hero. Not only Liza and Erast are seen from the viewpoint of the narrator, Karamzin's narrator serves as the ideal Sentimentalist in maintaining the harmony between sensitivity and mind. His warm heart and sentimental sensitivity do not eclipse the sense of reality, the lack of which is acutely felt in Erast's life. This point stands out in the background that the narrator and Erast belong to the same class and they share aspirations for idyllic and pastoral arcadia. In the end, Erast serves as a foil of the narrator. The narrator's quest for “pleasure”, supported by sophisticated mind appreciating nature as well as history, is indicative of the features of ideal Sentimentalism. It is also notable that Karamzin's critical essay “What does a writer need?” spells out all the essential elements of “Bednaia Liza.”

      • KCI등재

        현대시 화자 이해와 교육 방향

        박성근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4 국어교육연구 Vol.- No.8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poetic discussions on ‘speakers’ in modern poetry and explore the direction for education on speakers in modern poetry through that. The traditional view of understanding speakers as the poets was discarded before the aesthetics and autonomy of poetic text, and a fictional speaker separated from the poet appeared as the origin and substance of voices revealed in poetic text. It can be said that it is inevitable to establish a fictional speaker because it is possible to have imaginative and post-subjective experience through the fictional speaker and communicate and share emotions with various readers based on that. Meanwhile, today, in modern poetry, a single poetic text with multilayered voices inside continues to appear, exposing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it only with the fictional speaker of a single voice. This led to the birth of a speaker with a divided and multiplying voice that exists inside the poetic text. With the emergence of that new speaker, the theory of speakers is also being modified. It is necessary to reignite the discussion of the speaker, viewpoint, and tone continuously in that the components of poetics can be renewed with the literature of ‘here, now’ only when it is descriptive rather than normative. Furthermore, these discussions in the space of literature need to be transferred to that of education. Until now, education on speakers had the problem of not reflecting the contemporaneity of literature and readers sufficiently as it used poetic texts putting forth the speaker with a single voice while the concept of speakers was missing. For the complete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poetic texts,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existence of a fictional speaker and intertextually utilize the poetry texts of ‘here, now’ which contain not just a single subjective voice but also other voices that are present complexly.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allow learners’ literary experience to be transferred to literary skills soundly and lead future adult readers’ active literary activities. 이 연구는 현대시 ‘화자’에 관한 시학적 논의들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현대시 화자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화자를 시인과 동일하게 이해하는 전통적인 관점은 시 텍스트의 심미성과 자율성 앞에서 폐기되었고, 시 텍스트에 드러나는 목소리들의 진원이자 실체로서 시인과 분리된 허구적 화자가 출현하게 되었다. 허구적 화자를 통해 상상적이고 탈주체적인 체험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다양한 독자들과 소통하고 정서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허구적 화자의 정립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오늘날 하나의 시 텍스트 내부에 다층적인 목소리를 가진 현대시가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단일한 목소리의 허구적 화자만으로는 해명하기 힘든 문제를 노출시켰다. 이는 시 텍스트 내부에 존재하는 분열되고 증식되는 목소리를 가진 화자의 탄생을 예비했다. 새로운 화자의 등장과 더불어 화자에 관한 이론도 함께 수정되고 있다. 시학의 구성 요소들은 규범적이라기보다는 기술적(記述的)일 때 비로소 ‘지금, 이곳’의 문학과 함께 갱신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자와 시점, 어조에 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재점화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문학공간에서의 이러한 논의들이 교육공간으로 전이될 필요가 있다. 그간의 화자 교육은 화자 개념이 부재한 가운데 단일한 목소리를 가진 화자를 내세운 시 텍스트들을 주로 활용함으로써 문학과 독자의 동시대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시 텍스트의 온전한 수용과 생산을 위해서는 허구적 화자의 존재를 정립하고 단일한 주체적 목소리뿐 아니라 타자적 목소리들이 혼재한 ‘지금, 이곳’의 시 텍스트들을 상호텍스트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문학 경험이 문학 능력으로 온전히 전이되어 미래 성인 독자의 능동적인 문학 활동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香 문화로 본 <滿殿春 別詞> 연구

        이정선(Lee, Jeong-se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2 No.2

        이 논문은 <만전춘 별사> 노랫말에 등장하는 '사향 각시'를 주목하여, 사향을 포함한 고려 시대의 香 문화와 관련하여 이 노래를 해석하였다. 특히, 이 노래는 내용적 일관성을 지닌 1인의 화자에 의한 것과 복수화자가 등장하고 시점이 이동하는 경우 등으로 나뉘는 이유가 4연의 '비오리', '연못', '여울'이 남성과 여성을 상징하고 있다고 보는 데서 비롯한다. 이와 같은 화자의 문제는 5연의 사향 각시와 관련하여 그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자는 어떤 부류의 사람이고,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가를 찾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1연에서 죽음을 불사하겠다는 극단적인 언사에서 화자의 예사롭지 않은 처지를 알 수 있었다. 3연에서 죽어서도 함께 가자고 다짐했던 주체가 화자 자신이었다. 이를 통해 화자가 처하고 있는 심적 상태를 모색해볼 수 있었다. 이런 마음을 가진 화자 앞에 여울을 두고 연못으로 오는 비오리의 모습에서 화자는 여울과 같은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이때 화자가 취할 방법이 상상 속의 환경에서 임을 기다리며 향 주머니를 안는 것이다. 최음제인 사향을 자신의 가슴으로 품었다는 것은 임을 유인하고자 하는 화자의 욕망을 반영한다. 임과 떨어져 지내며 받았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은 임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이다. 약든 가슴이란 자신을 치유할 수 있는 임의 가슴을 지칭하며, 그런 임과 영원히 함께하고자 소망한다는 것이 화자의 바람이다. 이처럼 <만전춘 별사>는 현재 상황은 이별해 있지만 임에 대한 화자의 태도만큼은 이별이 아니라 화합을 위한 기다림의 정서 속에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런 정서 때문에 이 노래는 '임'과 '나'가 '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치환되어 영원히 함께하기를 소망하는 노래로 인식하여 전승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Sahyang-kaksi 'musk maiden' on the lyric of Manjeonchun-byeolsa in terms of incense culture of Koryo Dynasty. The song is sung by a single narrator in disguise of a plurality of multiple personas, along with a shift of view points. The apparent multiple persona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merganser, So 'pond,' and Yeohul 'stream' in the fourth stanza symbolize both man and woman. Manjeonchun-byeolsa shows that the narrator's attitude about her lover symbolizes harmony, not parting, although she is away from her lover at the moment. The romantic relationship between her lover and the narrator is eventually transformed into the one between the king and the vassal. The song represents the narrator's sincere wish to serve the king forever.

      • KCI등재

        김영랑 시의 화자 연구

        심재휘 ( Jae Hui Shim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5

        본고는 1930년대 순수시를 대표하는 시인 김영랑의 시세계를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화자의 유형과 기능을 살펴 그의 시를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서정시에서 화자와 청자의 존재는 텍스트에 간섭하는 강도 및 존재감의 유무에 따라 텍스트 표면에 직접 나타나는 경우, 존재감은 있으나 텍스트 표면에 직접 나타나지 않는 경우, 존재감도 없는 경우 등으로 나뉜다. 이 기준에 따라 영랑의 시에 나타나는 화자 및 청자의 유형은 아홉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아홉 가지의 의사전달체계는 다음과 같다. ⓛ<현상적 화자→현상적 청자>, ②<현상적 화자→준현상적 청자>, ③<현상적 화자→숨은 청자>, ④<준현상적 화자→현상적 청자>, ⑤<준현상적 화자→준현상적 청자>, ⑥<준현상적 화자→숨은 청자>, ⑦<숨은 화자→현상적 청자>, ⑧<숨은 화자→준현상적 청자>, ⑨<숨은 화자→숨은 청자>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영랑의 시에 적용되는 화자 및 청자 유형은 ③<현상적 화자→숨은 청자>, ⑥<준현상적 화자→숨은 청자>가 압도적이다. 이는 시인이 내면의 순수와 애련에 지극히 몰입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그는 역사의식의 부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지사적인 삶을 살았던 그가 오직 시를 통해서만 시대상황으로부터 도피하기를 원했는지는 의문으로 남는다. 결론적으로 그는 당대 현실로부터 엄청난 단절감을 경험했고 그로 인해 개인의 내면 속으로 칩거하는 시의 형태를 선택했다. 이처럼 화자가 부각되는 데에 비해 청자가 드문 것은 세계의 상실로부터 유발된 슬픔의 또 다른 모습이기도 하다. 한편, 그는 4행의 단형시를 고집하는 편이기도 했는데 이 단형시의 특징으로는 준현상적 화자가 많다는 것이다. 화자가 표면에 드러나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에 비해 준현상적 화자는 텍스트의 표면과 이면을 드나드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독자에게 좀 더 전지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짧은 시에서 정서의 밀도를 높이고 목소리를 집약하는 효과는 준현상적 화자의 태도로부터 유발되는 단형시의 묘미라고 하겠다. 준현상적 청자는 영랑의 시에서 많이 등장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유형에도 특별한 시적 효과가 있다. 표면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어조를 통해 존재감이 느껴지는 청자, 즉 준현상적 청자는 화자와 독자 사이에서 내밀한 정서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그의 대표시들이 널리 애송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Kim, yeong-rang`s poetry. Especially, this study give attention to the condition of speakers on his poetr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ypes are devide into nine case based on speaker-listener relation. Because of being concentrated upon purity and sorrow of speaker`s mind, speaker types on his poetry centered a few special types. So, the portion of phenomenological speaker and semi phenomenological speaker are very high. Those types, phenomenological speaker-implied listener, phenomenological speaker-implied listener appears so many times on his poetry. The question is why he adhere to those types and what is effect oh those types. As a result of study, I am thinking this phenomena implies the poet yeong-rang`s literary will. Being oriented to speaker and to pure emotion means not evasion of historical condition but poet`s special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poet knew that nobody listen his shout about the trouble world. It is another expression of sense of extinction. so, the poet made up his mind to go into purity and sorrow on his mind, to cut the connection with outside world. that is the reason why Kim, yeong-rang`s poems are. As a result, this study has a chance to review and reconsider yeong-rang`s poetry. His voice expressed on his poems are not naive only. It was another expression to the historical situation. So, I hope his status on history of literary get sense of ren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