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看話禪(간화선)과 華嚴敎(화엄교)의 비교 연구

        전호련(Hor Yeon J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본고는 간화선과 화엄교의 사상과 수행법을 비교하여, 양자가 서로 차별적 우위를 논한 갈등양상을 보여 왔으나 상통성 또한 없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특히 양자의 특징적인 수행법인 화두참구와 보현관행 역시 깨달음에 이르고 중생교화하는 방편임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화두참구에 있어서 선지식의 수많은 해탈법문이 공안이라면, 화엄행자의 구체적인 보현관행은 활구화두가 된다고 하겠다. 공안에서 화두를 간택하지만 간화행자에게 공안이 다 활구화두는 아닌 반면, 보현관행이 화엄행자에 따라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지름길이 된다. 화두삼요가 대신심·대분심·대의단이라면, 신해심·행원력·지혜심(현전지견)은 관행삼요라 할 수 있다. 이 지혜심은 여래성기구덕심의 일체지를 발현시키는 문수대지이다. 활구화두로 견성한 것이 불성을 드러낸 현성이듯이, 여래성 일심을 관조하여 여래지를 발현시킨 것이 성기이다. 화엄교의 보현관행은 중생계가 다하도록 이어지는 동체대비의 오후수이며, 간화선은 대혜도 늘 강조하듯이 일용득력을 중시한다. 보현행을 여의지 않는 화두참구와 내증과 외화가 둘이 아닌 보현관행은 불일불이로서 무애자재함을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revealed to conflicts aspects about differential discussed between them but they have intercommunication after comparing the thought and practice of Ganhwa Seon and Hwaeom Thought. Especially, this paper were investigated with a focus of expedient method that their characteristic methods of practice of a seek topic and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If numerous Dharma`s Liberation is the Gongan as a seek topic, the specific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of Hwaeom practitioner may be a living topic.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becomes a shortcut way according Hwaeom practitioner. If three elements of a topic can be a great devout disposition, a great inflexible resolve and a great doubt resolution, faith and interpretation determination, action and vow`s mind and wisdom mind can be three elements of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This wisdom mind is Manjusri who generates all wisdom of fully spreading mind of Buddha`s virtue. Like enlightenment by a living topic is as real appearance, arising of buddha`s wisdom to seek a mind of buddha`s nature is arising from the primal nature.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of Hwaeom Thought is enlightenment after practice of feeling and compassion as the same nature as oneself until sentient beings world disappears and Ganhwa Seon as always emphasized great mercy think to important to the usual realization. A seek topic that is not over rely on and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that is not two between inward enlightenment and outward enlightenment are not separate can see non impeding untrammeled freedom as neither the same as nor different from.

      • KCI등재

        화엄교의 역행 선지식 고찰

        박보람(Park, Bo-Ra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3

        글쓴이는 『화엄경』「입법계품」 중 방편명 바라문과 만족왕 선지식과 바수밀다 여인 등이 등장하는 구절을 보고 “왜 바라문이 불교의 선지식이 되는가?”라는 물음이 생겼다. 이것이 이 글의 시작으로서 『화엄경』과 동아시아 화엄교학 중 지엄과 법장의 이른바 역행(逆⾏) 선지식 이해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이 물음에 답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화엄경』「입법계품」에 보이는 선지식을 체상용의 틀을 통해 분석한 결과 선지식의 용(用)은 보살행의 근본으로 작용하는 것이고 상(相)은 그 어느 경전보다 다양해서 다른 종교인, 폭군 등도 선지식으로 등장한다. 이 글은「입법계품」 전체의 맥락에서 선지식의 체(體)를 보리심으로 추정하였다.「입법계품」에서 역행 선지식으로 생각할 만한 총 6명의 후보를 추릴 수 있으며 그 중 3명은 선지식임에 대해서 의심을 나타낸 경우이고 나머지 3명은 다른 종교인이어서 후보로 뽑은 경우이다. 동아시아 화엄교학에서 지엄(智儼)은 의심의 대상이 된 선지식을 탐진치로 이해하여 처음으로 이들의 행을 ‘반도행(反道⾏)’이라 이름 붙였다. 그러나 이 선지식들을 탐진치와 연결시킨 것은 지엄 이전에 지의(智顗)에게도 보이지만 이 때 지의가 이를 역설, 즉 일종의 반어법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지의와 지엄은 다른 입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도행’의 의미에 대해서 진일보한 설명을 하는 이는 법장(法藏)이다. 법장은 그 의미를 네 가지로 나눈다. ㉮ 공(空)이기 때문에 ㉯ 교화방편이어서 ㉰ 수행방편이어서 반도행이 불법(佛法)이라는 입장과 ㉱ 반도행 그대로 불법이라는 입장 중에서 법장은 ㉱를 화엄교의 이해라고 단언한다. 글쓴이는 이러한 법장의 주장을 법계연기로 재해석했다. ㉮, ㉯, ㉰는 어떠한 원리, 이유[理法]에 바탕하여 삼독[事法]이 불법임을 이해하는 삼승(三乘)의 연기라면 ㉱의 “삼독이 바로 그대로 불법이다.”라는 주장은 삼승의 이해를 부정하고 일승원교의 법계연기를 드러내는 것이다. 법계연기는 여래성기의 세계로 연결되어 삼독은 그대로 여래의 출현이 된다. 이를 보리심이 선지식이라는 논의를 통해 이해하면 보리심을 일으킨 이에게 세계 모든 현상은 다 보리심 상의 선지식이다. 그렇다면 화엄교학의 입장에서, 법계연기와 여래출현의 관점에서 “왜 바라문이 불교의 선지식이 되는가?”라는 물음은 애초에 잘못된 물음이 된다. 그것은 결국 바라문이 선지식이 될 수 있는 이유, 원리를 찾는 삼승의 물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왜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바라문이 불교의 선지식이 되는가?”라고 물어서 선재동자처럼 지금 이 자리에서 보리심을 일으켜 그 보리심 상의, 법계의 모든 연기법을 선지식으로 삼는 것이 화엄교학이 추구하는 여래출현의 입장에 부합하는 역행 선지식 이해라고 생각한다. I happened to have the question, “Why can a brahmin also be a spiritual mentor(善知識) of Buddhism?” after reading the passages of “Jayoṣmāyatana-brāhmaṇa” in the Buddhāvataṃsūtra. This is the motive of this article, of which the purpose is to answer the question by investigating related parts of the Buddhāvataṃsūtra and the East Asian Huayan school’s understanding of the passages. Based on a review of the Gaṇḍavyūhasūtra, the function (用) of a spiritual mentor is the basis of the practice of the bodhisattva (菩薩⾏), which has more varied characteristics (相) than other sūtras. I inferred that the essence (體) is bodhicitta (菩提心). In the Huayan school of East Asia, Jiyan (智儼) was the first to name Jayoṣmāyatanabrāhmaṇa, Anala-rājan, and Vasumitrā-bhāgavatī, represented as the three poisons (三毒), as retrogressive spiritual mentors. Fazang (法藏) explained the meaning of “retrogressive practice” (反道⾏) by dividing it into four aspects: because 1) it is of sunyata; 2) it is a skillful means for teaching (敎化方便); 3) it is a skillful means of practice (修⾏方便); and, 4) for no specific reason, it is righteous buddhadharma, which Fazang insisted was Huyan’s perspective. I reinterpreted Fazang’s theory with the theory of dependence arising in the Dharma realm (法界緣起). Points 1 to 3 are of the perspective that there is no obstruction between principles and phenomena (理事無礙) because they are based on an understanding that the three poisons are righteous buddhadharma because of “something.” However, the three poisons are righteous buddhadharma for no specific reason in point 4.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question, “Why can a brahmin also be a spiritual mentor of Buddhism?” should be changed to “How can a brahmin also be a spiritual mentor of Buddhism?” because, in the dharma realm, it is not why but how that arouses bodhicitta.

      • KCI등재

        石窟庵 造營 배경과 본존불상 도상의 화엄교의적 해석

        서지민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The Buddha statue group in Seokguram in Tohamsan(mountain) in Gyeongju is an outstanding cultural heritage that represents the status of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of Korea to the extent that it is referred to as the best masterpiece in East Asian Buddhist art. In this paper, while reviewing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eokguram such as the period of construction, the main construct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and those Buddhist monks who lived there, for which previous scholars could not come to a consensus in the process of multilateral discussions about the Seokguram Buddha statue group thus f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idea of Uisang's View of Hwaeom School, which was leading the the Buddhist circle at the time, had a great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Seokguram. There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Buddha statue that constitutes the core of the Seokguram Buddha statue group and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image, the Manjusri Bodhisattva image, and the Samantabhadra Bodhisattva image that form a special image system with the primary Buddha statue and the arrangements of the foregoing were interpreted with the viewpoint of the doctrinal of Hwaeom and grasped in the trend and context of Buddhist history with a view to newly understanding the religious meaning and nature of the foregoing.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okguram primary Buddha statue is a Dharmakaya Buddha image that completely combines all the natures of the Shakyamuni Buddha image, the Amitabdha Buddha images, and the Vairocana Buddha image. The belief in the dignity of the One Vehicle Thoughts of Hwaeom as a master is surrounding countries in the same period of time.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Seokguram can be reconfirmed. 경주 토함산 석굴암 불상군은 동아시아 불교미술에서도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힐 만큼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의 위상을 대변하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그 동안 선학들이 석굴암 불상군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합의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석굴암 조영 기간, 주체, 목적, 주석한 인물 등의 역사적인 배경에 대한 몇 가지 쟁점들을 재검토하고, 더 나아가 당시 불교계를 주도하던 의상계 화엄종의 사상이 석굴암을 조영하는데 있어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파악하였다. 다음 석굴암 불상군의 핵심을 이루는 본존불상, 그리고 본존불상과 삼위일체의 도상체계를 이루고 있는 십일면관음보살상, 문수보살상, 보현보살상 간의 관계와 배치를 의상계 화엄종의 화엄불신론에 입각하여 화엄교의적인 관점으로 해석하고 불교사적인 추이와 맥락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그 신앙적 의미와 성격에 대해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석굴암 본존불상은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비로자나불의 성격을 모두 圓融하고 있는 화엄법신불임을 밝혔다. 이러한 華嚴一乘의 존격을 主尊으로 신앙하는 것은 신라 의상계 화엄종의 독자적인 교의체 계에 따른 것으로서 같은 시기 주변 국가들에서 신앙된 화엄법신불과는 도상과 성격 면에서 차별된다는 사실은 특기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석굴 암의 중요성과 위상을 재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과 경도학파(京都學派)의 이론적 후원

        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1930년대의 일본사회는 軍部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화되며 대외침략이 한층 격화되는 軍國主義時代였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생한 다음 해인 1938년 11월 일본 고노에(近衛) 수상은 東亞의 안정을 위해 東亞新秩序수립을 선언했다. 이후 일본사회에서는 東亞聯盟體論과 東亞協同體論등과 같은 아시아주의가 활발히 논의되었다. 특히 동아협동체론은 고노에 수상의 동아신질서 선언을 쇼와연구회(昭和硏究會)가 이론화 한 것으로서 미키 키요시(三木淸)가 주도하였다. 일본, 만주, 중국의협동체를 구성하여 아시아의 解放을 지향한 이론이었지만 일본의 침략정책을 인정하고, 패권을 합리화하는 모순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1940년대의 大東亞共榮圈論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40년 7월 고노에 수상이 大東亞新秩序를 선언하자 大東亞共榮圈이 국책으로 확정되고, 1940년대의 대표적인 이념으로 제창되었다. 대동아공영권은 그 범위를 확대해 가면서 서구 제국주의 침략으로부터 아시아의 해방과 共榮을 내세웠지만, 본질은 일본의 아시아침략 논리였다. 이러한 대동아공영권과 태평양전쟁을 사회적으로 담론화 하여 이론적으로 후원한 대표적인 부류가 니시다 기타로(西田幾多郞)를 필두로 한 교토학파(京都學派)였다. 니시다는 東亞民族의 世界史的使命과 대동아공영권과 같은 특수한 세계를 강조하였고, 동아민족의 共榮은 태평양전쟁을 통해서 이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萬世一系의 일본 皇室이 주도하는 세계사를 구상하였다. 니시다의 제자인 고야마 이와오(高山岩南)는 일본의 침략전쟁을 세계사적 意義가 있는 사건들로 간주하고, 대동아전쟁을 통해 새로운 세계질서를 수립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고야마는 대동아전쟁과 대동아공영권을 近代世界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던 것이다. 그런가 하면 니시다와 고야마는 화엄교학에서 보이는 一多의 논리를 적용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본래 華嚴經에 근거하여 圓融思想을 설하는 一卽多의 논리가 교토학파에 의해 대동아공영권을 설명하고 天皇制體制를 옹호하는 데 이용되었던 것이다. The Japanese society in the 1930s was the times of imperialism which came under the political influence of military authorities, and intensified overseas invasion. Japanese Prime minister Konoe(近衛) proclaimed the establishment of the East Asian new order for East Asia`s stability in Nov., 1938 just after Sino Japanese War had begun in 1937. Since then, East Asian Confederativism and East Asian Cooperativism out of various Asianisms were dominant discourses. Especially, East Asian Cooperativism which was theorized by Syouwa(昭和) Institute was the discourse led by Miki Kiyoshi(三木淸) belonged to that. Though being headed for the East Asian freedom from the Western powers, it had a discrepancy of recognizing the invasion policy and rationalizing supremacy in Japan. These problems had a great effect on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ism in the 1940s. When Prime minister Konoe proclaimed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er East Asian new order in Jul., 1940,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s a national policy was decided and it became the typical ideology in the 1940s. In spite of expressing the freedom from Western powers` imperialistic invasion and the East Asian co prosperity with extending the category, it was essentially the logic for Japan intending to invade Asian countries. This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the Pacific War was discoursed socially, then theorized prominently by Kyoto(京都) School from Nishida Kitaro(西田幾多郞) down. Nishida emphasized the East Asian peoples` mission in the world history and the unique world such as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mentioned the East Asian peoples` co prosperity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acific War. Besides, he envisioned the world controlled by Japanese royal family transmitted to all ages. Kouyama Iwao(高山岩南) who was Nishida`s pupil regarded aggressive wars of Japan as the meaningful incidents in the world history, and insisted that East Asian peoples should establish the new world order. He suggested that the East Asia should overcome the modern world through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the Pacific War. Moreover, Nishida and Kouyama interpreted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with the concept, the one contains the multitude and yet the multitude is as one, which was shown in the Hwaom doctrine. This concept interpreting all encompassing harmony on the basis of Avatamsaka sutra was used by Kyoto School to interpret the Greater East Asian Co prosperity Sphere and advocate the Japanese empero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