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항 혼잡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 관한 연구

        김용희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4

        Crowding, which refers to the physical and social capacity of resources, has been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tourism field since it influences customers of a certain place. As the competition among airports is getting intensifying, each airport is also needed to focus on improving users’ perception of crowding and satisfaction to gain a competitive ed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scapes, perceived crowding, and satisfaction. This research designed the physical servicescape which is a situational factor that can be actively improved to provide a better service environment of the airport as an antecedent of perceived crowding, and the satisfaction of users as a result variable. Accordingly, each factor of the servicescape and crowding were classified and established hypotheses leading to satisfaction. For the empirical study, a total of 551 effective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customer survey at the site of Jeju International Airport.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3.0 conducting a frequency and reliability test,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by using AMOS 23.0. The results are below. First, user conven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human crowding, whereas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human crowding. Second, cleanliness and ambient condi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spatial crowding, but electronic equipment did not affect spatial crowding. Finally, human crow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hereas spatial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자원의 물리적․사회적 수용능력을 의미하는 혼잡은 특정 장소의 이용객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광 분야의 중요한 연구문제가 되어 왔으며, 공항 간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만큼 공항 연구에있어서도 이용객의 혼잡지각에 대한 개선을 통해 공항의 서비스 경쟁력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연구는 그동안 실증연구가 부족했던 공항의 혼잡지각과 선행변수로써 공항의 더 나은 서비스 환경제공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선이 가능한 상황요인인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 결과변수로써 이용객의 만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비스스케이프의 각 차원과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 혼잡지각을 각각 변수로 상정하고 결과변수인 만족에 이르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서비스스케이프와 혼잡지각은 주로 단일차원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단편적인 이해만 가능했으나 본 연구는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차원적 접근 및 혼잡지각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아우르는 보다 전체적인 관점을 취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제주국제공항에서 내국인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551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주요 분석 방법은 통계패키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내적일관성 파악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적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3.0을 이용하여 타당성 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성은 인적 혼잡지각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심미성은 인적 혼잡지각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청결성과 공조환경은 공간적 혼잡지각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전자장비는 공간적 혼잡지각과 영향관계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인적 혼잡지각은 만족을 높이고 공간적 혼잡지각은 만족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우수등재

        전시회 서비스스케이프가 참관객의 혼잡지각과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한국국제관광전에서의 방문동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진석,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exhibition servicescape, perceived crowding, coping behavi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ased on extended crowing model of Manning(1999).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moderating role of visi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servicescape and subsequent perceived crowding. To prov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307 attendees who had visited the Korean World Travel Fai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exhibition servicescape, perceived crowding, coping behavi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t was found that knowledge-seeking and experience among the factors of visit motivation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servicescape and perceived crowd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Manning(1999)의 확장된 혼잡지각 모형을 바탕으로 전시회 서비스스케이프가 전시회 참관객의 혼잡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참관객의 혼잡지각인식이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전시회장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참관객의 혼잡지각이 방문동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한민국 관광산업을 대표하는 전시회인 ‘한국국제 관광전’을 경험한 참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07부가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시회장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참관객의 혼잡지각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참관객의 혼잡지각인식은 대응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대응행동은 참관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동기에 따른 차이분석은 전시회장의 서비스스케이프요인 중 편의성 부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론적 시사점은 Manning의 혼잡지각 모형을 전시회에 적용하여 검증함으로서 ‘혼잡지각’의 연구 분야를 전시회 및 MICE 산업 분야로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서비스스케이프를 선행변수로, 방문의도를 조절변수로 사용함으로서 혼잡지각 이론의 확장에 기여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전시회를 개최하는 전시주최자에게 참관객들의 혼잡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제시해 주었으며, 혼잡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전시회장 서비스스케이프의 집중적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이다.

      • KCI등재

        면세점 서비스 품질과 혼잡지각이 지각된 가치와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이난 출도(이도)면세점(离岛免税店, Offshore Island duty-free Shop)을 중심으로

        원택홍 ( Yuan Zehong ),박상수 ( Park Sang Soo ),왕서혜 ( Wang Shuhui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국제지역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중국 출도면세점(离岛免税, Offshore Island duty-free Shop)을 이용한 하이난(海南島) 도내 주민과 외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 유형성(점포 환경, 상품 다양성) 과 무형성(인적 서비스, 부가 서비스), 혼잡지각(인적 혼잡지각, 공간 혼잡지각)과 품질신뢰 등이 지각된 가치 및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하이난 도내 주민과 외지인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품질 유형성인 점포 환경 및 서비스 품질, 무형성인 인적 서비스, 부가 서비스 모두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면세점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재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품질 무형성인 인적 서비스, 부가 서비스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다중집단 비교분석 결과에서는 주민의 경우 점포 환경, 부가 서비스, 공간 혼잡지각, 변수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적 서비스, 인적 혼잡지각이 재 구매의도에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지인의 경우 점포 환경, 인적 서비스, 부가 서비스가 지각된가치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적 서비스에서만 재 구매의도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각된 가치의 경우 도내 주민과 외지인 집단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도내 주민 vs 외지인)간 경로계수 값에 대한 차이 검증(등가제약 모형)결과에서는‘인적 서비스→지각된 가치’, ‘부가 서비스→지각된 가치’, ‘공간 혼잡지각→지각된 가치’, ‘인적 혼잡지각→재 구매의도’ 등 4개 경로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 서비스→지각된 가치’ 경로에서는 외지인 집단에서만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부가 서비스→지각된 가치’ 경로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도내 주민의 경로계수 값이 외지인의 경로계수 값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crowding on perceived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Hainan outlying island(离岛) duty free. For achieving the aim of the study, total 465 data was collected from outlying island duty free shop’s customers in Hainan and analysed using SPSS and AMO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store environment, which is a tangible type of service quality, and human service, which is an intangible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value of duty free shops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Second,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human service and supplementary service, which are intangible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in the results of multi-group comparative analysis, store environment, supplementary services, perceived spatial crowd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erceived value of residents, and human service and human congestion perception were significant in repurchase intention of residents. In the case of tourists, it was confirmed that store environment, human service, and supplementary services were significant in perceived value, and only the human servi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repurchase intention. In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 values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ourists were much larger than residents in the 'human service →perceived value' path. On the other hand, in the 'supplementary services→perceived value' path, residents were found to be larger than tourists. In addition, only resid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aths of 'perceived spatial crowding→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human crowding→repurchase intention'.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硏究論文) : 카지노 종사원의 혼잡지각, 직무탈진 및 고객지향성의 관계

        염정민 ( Jung Min Yeum ),차길수 ( Gil Soo Cha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1

        그간 서비스 환경에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서비스스케이프 모델에 의거 물리적 요소들이 소비자 및 종사원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서비스 환경에 관련된 연구들에 의하면 물질적 요소 이외에 사회적 요소를 포함시키는 이른바 확대된 서비스스케이프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확대된 서비스스케이프 관점의 연구로서 사회적 요소에서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혼잡지각에 관련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그간 상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혼잡지각의 일선 서비스 종사원 관점의 연구로서 혼잡지각과 직무탈진 그리고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국내 내국인 카지노 종사원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예측한 가설들은 모두 지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종사원의 혼잡지각과 질무탈진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종사원의 직무탈진은 고객지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셋째, 종사원의 혼잡지각은 고객지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사원의 직무탈진은 종사원의 혼잡지각과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종사원의 혼잡지각이 종사원의 직무탈진 및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본 연구는 그간 탐색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혼잡지각의 종사원 관점 연구들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서비스기업 경영자들에게도 혼잡이 단순히 소비자에게 한정되는 현상이 아니라 일선 서비스 종사원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현상으로서 혼잡에 관련된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revious studies on service environment have largely focused on the effects of physical elements on consumer and employee within the servicscape model, while recent studies have proposed an expanded servicescape model, which includes social elements as well as physical element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perceived crowd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elements of servicescap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crowding, job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of service employees. 237 casino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crowding positively influenced job burnout of employees. Second, job burnout negatively influenced customer orientation. Third, perceived crowding negatively influenced customer orientation. Finally, job burnout of employe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rowding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to perceived crowding since it demonstrates that perceived crowding affected job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Also, this study indicates that new strategies related to crowding should be developed in the service industry since the negative effects of crowding is not only limited to customers but to employees.

      • KCI등재

        관광객의 혼잡지각이 목적지 매력성과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선희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의 혼잡지각이 목적지 매력성과 회피행동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광객 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실무적으로는 관광목적지 혼잡지각 관리의 세부 지침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에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관광객 혼잡지각은 인적 혼잡과 공간적 혼잡의 두 개의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인적 혼잡은 목적지 매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간적 혼잡은 목적지 매력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적지 매력성은 회피행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목적지 매력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회피행동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적 혼잡과 공간적 혼잡 모두 회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잡지각이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인적 혼잡보다 공간적 혼잡이 더 높게 나타나 관광지 관리자는 공간적 혼잡 관리에 대해 중요하게인식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어온 목적지 매력성과 회피행동과의 관계 연구를 진행하여 혼잡지각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crowding perception on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avoidance behavio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uman crowding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the destination attractiveness while spatial crow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destination attractiveness. Second, tourists’ destination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voidance behavior, showing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ourist destination attractiveness, the lower the avoidance behavior. Lastly, both human crowding and spatial crow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voidance behavior. The influence of crowding perception on avoidance behavior is higher in spatial crowding, so it is believed that tourist destination managers need thorough management focusing on spatial crowding when managing crowding percep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research on perception of crowding by conducti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avoidance behavior, which has been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a tourist destination.

      • KCI등재

        테마파크의 혼잡지각에 따른 방문객의 행동의도 연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조은숙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2

        최근 다양한 사회경제적인 변화로 여가에도 새로운 트렌드가 형성되었다. 이 중 테마파크는 여가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 중 하나이다. 이런 테마파크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방문객의 재방문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지만, 테마파크는 방문객들이 제한된 공간에 집중되는 공간 집약적이고 혼잡한 레저활동의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혼잡이 방문객들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계획행동이론(TPB)을 바탕으로 설명력을 더 높이기 위해 혼잡지각의 새로운 변수를 추가했다. 특히 본 연구에서의 혼잡지각은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 두 가지 요소로 구성했다.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에버랜드를 방문한 성인 313명을 대상으로 구글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본 연구 결과 인적 혼잡지각은 TPB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간 혼잡지각은 TPB의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PB의 세 가지 요인은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순서대로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도가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공간적 혼잡이 고객의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이는 곧 행동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테마파크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혼잡지각이 방문객의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실질적으로 테마파크 관리의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관광연구에 기여하고자 했다.

      • KCI등재

        테마파크 방문객의 혼잡지각이 감정,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위험지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명재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6

        본 연구는 테마파크 방문객의 혼잡지각(인적 혼잡지각, 공간적 혼잡지각)이 감정(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을 통해 만족으로 연계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연구이다. 특히, 연구에서는 조절변수로 위험지각요인을 활용하여, COVID-19 이후 변화된 관광시장의 효과적인 관광목적지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부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테마파크 방문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58부의 설문을 조사하여, 256부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인적 혼잡지각은 긍정적인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혼잡지각은 부정적인 감정과 긍정적인 감정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잡지각은 긍정적 감정을 통해 관광객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지각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위험지각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테마파크가 방문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방문객의 혼잡지각과 감정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COVID-19 이후 방문객 수용력 관리의 중요성이 검토되었으나, 세부적인 테마파크 운영 전략을 제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visitor perceived crowding(perceived human crowding/perceived spatial crowding) on emotion(positive emotion/negative emotion) and satisfaction in theme parks. In the study, visitors' risk perception was set as a moderator variable. In addition,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level on perceived crowding was investigated in theme parks. The respondents sampled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using theme parks. The 256 out of 25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human crowd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perceived spatial crowd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motions of theme park visi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level of risk percep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visito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theme park that perceived crowding and emotion.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visitor capacity management after COVID-19 was reviewed. However, it was found that a follow-up study was needed to suggest the operation strategy of the theme park.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골프리조트 방문객들의 혼잡지각과 위험지각이 방문객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기범 한국골프학회 2022 골프연구 Vol.16 No.3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와 같은 특수한 전염병 전파의 위기 상황 속에서도 골프 산업이 호황일 수 있었던 이유 그리고 사회적 거리 두기, 집합금지와 같은 코로나 19 관련 방역은 골프리조트 운영에서의 치명적 제약요소를 극복할 수 있었던 방법 등을 학문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방법] 주요 연구방법으로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골프리조트에 대한 혼잡지각, 위험지각 그리고 방문객 태도에 대한 개념도출 및 영향관계를 연구의 모형과 연구가설로 수립하였다. 골프리조트 방문객의 혼잡지각을 인적혼잡과 공간혼잡 요인으로 각각 4문항과 3문항, 위험지각은 경제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 신체적 요인, 인간관계의 4개 요인으로 각각 3문항 그리고 방문객 대응행동은 단인요인으로 4문항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가설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결과 가설 1에서는 세부경로 2개, 가설 2에서는 세부경로 1개가 기각되긴 하였지만, 종합적으로는 연구가설 1과 연구가설 2는 채택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가설 1과 2를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면, 골프리조트 측의 혼잡지각을 최소화하여 방문객의 위험지각을 조절하려는 다양한 노력과 하기 위한 노력과 골프운동 특성 상 소수의 인원이 탁 트인 야외에서 활동을 하기 때문에 참여자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판단 하에 골프리조트 방문객 스스로 혼잡지각과 위험지각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행동의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혼잡지각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방향 제언: 국내 관광분야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남희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24 여가관광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관광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혼잡지각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2023년도까지 관광학 분야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총 52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게재시기, 연구대상지, 조사대상, 연구방법론 및 연구주제 등 5개의 분석유목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관광분야에서는 혼잡지각에 대한 연구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24년간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편수는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해외에서는 혼잡지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혼잡지각에 대한 연구는 타 주제에 비해 학문적 관심을 크게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연구대상지, 조사대상, 연구방법론 및 연구주제 측면에서도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혼잡지각 연구의 특성과 한계점을 도출하고 혼잡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위해 향후 관광분야에서 어떠한 혼잡지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지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in perception of crowding as published in Korean tourism journals. A total of 52 articles, published by 2023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tourism, were selected for analysi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ive categories: date of publication, research setting, unit of analysi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opics. The analysis revealed that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crowding in the domestic tourism sector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from 2000 to 2023, spanning 24 years. However,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crowding is more active overseas than in Korea. Furthermore, compared to other topics, research on perceived crowding in Korea is not receiving much academic attention. Additionally, there was found to be a lack of diversity in research settings, units of analysis, research methodologies, and research top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on perceived crowding were derived and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regarding the types of perceived crowding research that should be conducted in the tourism field to address the crowding problem.

      • KCI우수등재

        주의회복이론의 타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일상 생활권의 인지부하 수준과 방문지 혼잡도의 조절효과 검증

        김선아,김민주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7

        회복환경지각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회복환경지각의 효과에만 관심을 집중해 왔으며,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는 배경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평소 생활의 인지부하 수준과 방문지의 혼잡지각 수준이 회복환경지각과 심리적 효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주의회복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회복환경지각의 항목을 구성하고,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와 본 조사는 장흥군 편백 숲 우드 랜드 관광을 마치고 귀가하는 관광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8년 9월 25일(화)부터 9월 26일(수)까지의 총 2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회복환경지각이 단기적 심리 회복의 경우 회복환경지각이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환경지각의 구성요인 중 '휴식과 보편적 매력'이 심리적 회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의회복이론 가설의 타당성은 이 연구에서 검증되지 않았지만, 일상생활의 인지부하가 적정 수준 이하이면 이 가설이 타당할 수 있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자연 환경에서의 혼잡 지각은 회복환경지각과 단기적 심리적 회복 사이의 인과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주의회복이론의 논지가 타당하더라도 관광지의 혼잡도와 방문자의 일상생활에서의 인지부하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recovery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effect.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level of cognitive load in everyday lif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congestion at the place of visit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Items to measure the variables were organized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two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ourists returning home after visiting Jangheung-gun Cypress Forest Woodl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 to September 26, 2018, and a total of 250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covery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recovery in the case of short-term psychological recove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est and universal attra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erception of recovery environmen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recovery. Although the validity of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hypothesis was not tested in this study, evidence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ypothesis could be valid if the cognitive load of daily life was below an appropriate level. Also,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ngestion perception in the natura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environment perception and short-term psychological re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