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양반의 혼인연령: 1535-1945 -혼서를 중심으로-

        박희진 ( Hee Jin Park ) 경제사학회 2006 經濟史學 Vol.40 No.-

        이 논문은 이제까지 혼인연령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 적이 없는 혼서를 이용하여 조선후기 및 식민지기 양반들의 혼인연령의 추세와 그 변동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17-19세기 양반의 혼인연령은 15-19세로 다른 나라에 비해 이른 편이만, 그 변동추세는 남녀별로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다. 혼인연령 추세에 있어서 여성이 19세기의 하락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변동을 보이지 않는 반면, 남성은 유의미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20세기의 경우 남성은 1900년 전후, 여성은 1930년 전후를 기점으로 혼인연령의 장기상승 추세를 보인다. 이 시기 이후 혼인연령의 지속적인 상승이 시작되었다. 또한 혼인연령이 사회적 지위나 사망력에 영향을 받는 남성에 비해, 여성은 19세기 후반기를 제외하고는 이들 요인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반면에 초경시기와 유사한 평균연령과 분포를 보이고 있어 여성의 혼인연령은 초경연령에 크게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estimates age at first marriage for privileged class in traditional Korea (yangban) from 1535-1945 using marriage letters (hons?). Yangban's age at first marriage fluctuated from 15-19 years in pre-colonial Korea. While men's age at first marriage trended downwards in traditional Korea, women's age at first marriage did not show a clear trend except for the decline in the nineteenth century. Also, while men's age at marriage is influenced by class and mortality, women's age at first marriage was determined largely by age at menarche. Men's and women's age at first marriage started to rise from around 1900 and 1930, respectively.

      • KCI등재

        혼인동향과 혼인이행 분석

        이상림 ( Lee Sang-l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혼인은 한국의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적 요인이지만, 지금까지 이에 관한 본격 적인 연구와 혼인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 개발은 더디게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최근의 다양한 혼인동향의 변화와, 개인적 차원에서 혼인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한다. 혼인동향에 관한 인구학적 분석은 전반적인 혼인력의 약화와 함께, 혼인연령 규범의 빠른 약화 현상을 보여준다. 이는 혼인이행률의 반등이 없을 경우 국내 출산율이 극도로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혼인이행 차별성 분석 결과에서는 경제적 자원 효과가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고연령 여성들에게서는 학력, 직업 등과 같은 자신의 자원효과는 약화된 반면, 부모의 자원 효과는 높아졌다. 또한 긴 근로시간은 혼인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고연령 남성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부모로부터의 독립은 고연령 남성을 제외 한 모든 집단의 혼인이행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과 독립거주의 영향은 잠재적 파트너를 만날 기회를 높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의 혼인시장의 특성을 보여주고, 혼인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Marri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lowest low fertility in Korea where illegitimate births account for only 2% of total births. Nevertheless, marriage, particularly marriage transition from never married to married has been rarely studied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arriage trends and marriage transition patterns in Korea.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ducts various demographic analyses on current marriage patterns at population level and statistical analyses on marriage transition at individual level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between 2001 and 2008. The results of demographic analyses show the postponed marriages trends and the weakening social norm for marriage age particularly among single females, and the individual analyses reveal economic resource effects different by age and gender, and positive influence of parents` resour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first marriage is likely to be decreased by long working hours and increased by residenti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marriage support policy to encourage marriages at younger ages and outlines future research agenda.

      • KCI우수등재

        혼인적령(婚姻適齡)에 관한 소고

        박복순 ( Bok Soon Park ) 법조협회 2006 法曹 Vol.55 No.6

        현행 민법은 혼인할 수 있는 최저연령에 관하여 남성은 만 18세 이상, 여성은 만 16세 이상으로 남녀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 이는 성별역할분담의식에 기초한 것으로 합리적인 근거가 빈약하다. 혼인이 가족을 형성하고, 그 생활이 사회적·경제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혼인연령에 대하여 사회적 관점으로부터 판단하여야 한다. 헌법과 국제조약의 정신을 존중하고 고교진학 실태 및 성년의제효과도 고려한다면 남녀 모두 만 18세 또는 성년을 혼인연령으로 하여야 한다. 혼인이 당사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기초하여야 한다는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혼인적령과 성년을 일치시키는 방향이 하나의 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혼인연령을 현행 여자 16세에서 18세 또는 성년으로 인상할 경우에 받게 될 불이익을 고려하여, 혼인적령에 이르지 아니한 자의 혼인에 관하여는 특별면제 제도를 두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성년연령 개정과 우리 민법에의 시사점

        이호행(Lee, Hohae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3

        성년연령은 그 당사자의 행위능력뿐만 아니라 책임능력, 유언능력, 혼인적령, 입양능력, 양육, 친권 등 민사상의 많은 제도와 연관된다. 또한, 근로기준법, 아동복지법, 공직선거법 등 연령을 기준으로 하는 다양한 개별특별법에 직·간접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이 2018년에 성년연령을 기존의 20세에서 18세로 낮추는 개정을 하면서 직면하였던 다양한 쟁점들과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을 개관하면서,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가 성년연령을 18세로 낮춘다면,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 그리고 우리의 연령기준은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았다. 특히, 성년연령이 18세로 하향조정되면, 책임능력, 혼인적령 등도 불가피하게 영향을 받게 되는바,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입법정책의 문제이긴 하지만, 저자는 우리의 성년연령도 UN 아동권리협약의 반영, 세계화를 향한 입법, 저출산·고령화 시대와 북한과의 통일 대비라는 점 등에서 18세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다만, 성년연령이 18세로 하향조정될 경우에 발생가능한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청소년의 자립확보, 청소년소비자보호 등의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일본의 입법자들이 개정과정에서 논의한 내용들이 적절한 선례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용어와 연령기준 사용에 있어서 통일된 개념 내지 체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연령계산에 있어서는 세계화의 관점에서, 그리고 국민의 상식에 부합하는 통일된 기준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본다. In 2018, Japan revised its adult age to 18 years. In the process of revision, i)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adult age on other laws(① the issue of whether to keep the laws adopting age standards such as the Juvenile Protection Act, ② the issue of considering the purpose of individual laws, etc.), ii) prepare to eliminate side effects (① Measures to prevent consumer damage from spreading, ② Measures to support the self-reliance of adolescents, ③ To solve problems in student guidance in high school education, ④ To publicize thoroughly to the general public etc), ⅲ)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and worries about the implementation period were preceded. Since the adult age of Korea is based on the age of 19, it needs to be lowered to 18 years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However,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downward adjustment of adult age, and we should refer to the revision process of Japan as a precedent that we can utiliz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various age standards and terminology of our law and the problem of age calc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unification of the legal system.

      • 현대 이슬람 가족법의 혼인연령

        장창민 ( Chang Min Jang ),양하준 ( Ha Jun Yang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5 영산법률논총 Vol.12 No.2

        전세계적으로 혼인은 가장 중요한 사회적, 법률적 관습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그 정의와 이해는 각 나라별로 상이하다. 하지만, 혼인은 각 나라의 문화, 종교, 정치 또는 사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문화권의 국가들 사이에서는 비교적 통일된 혼인의 정의를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동일한 이슬람 문화권의 국가들 사이에서 혼인을 어떻게 정의하고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며, 특별히 몇몇 국가들의 혼인가능연령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세국가(모로코,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의 혼인에 대한 법률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으며 사회적, 정치적인 상황이 미친 영향들을 살펴보았다. In the world, there is no way to define uniformly the meaning of marriage despite marri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and legal traditions. For marriage is closely related to culture, religion, politics and society, countries of the same culture have comparatively uniform definition of the marriag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ovide the comparative perspective on how Islamic countries define and understand the marriage. The main focus is on the minimum age for marriage of some countries. Specifically, it provides the legal development and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that affects marriage customs in three different countries - Morocco, Egypt, Saudi Arabia.

      • KCI등재

        독일민법 제정 당시의 행위능력제도

        백경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서울법학 Vol.24 No.1

        Auch schon im ersten Entwurf des BGB wurde die Volljährigkeit in Deutschland auf 21 Jahre festgelegt. Minderjährige, die das 7. Lebensjahr nicht vollendet haben, sind geschäftsunfähig. Minderjährige vom vollendeten 7. bis zum vollendeten 21. Lebensjahr sind beschränkt geschäftsfähig. Geschäftsunfähig waren auch Personen, die sich in einem Zustand krankhafter Störung der Geistestätigkeit befanden. Beschränkt geschäftsfähig waren auch Personen, welche durch verschwenderische Lebensweise oder verschwenderische Geschäftsführung die Besorgnis rechtfertigten, dass sie sich oder ihre Familie dem Notstande preisgaben. Willenserklärungen geschäftsunfähiger Personen sind nichtig. Die Rechtsgeschäfte, die beschränkt Geschäftsfähige schließen, sind schwebend unwirksam, wenn sie nicht mit Einwilligung des gesetzlichen Vertreters geschlossen werden oder nachträglich genehmigt werden. Außerdem wurde festgelegt, dass Personen, die das 18. Lebensjahr vollendet hatten, die Volljährigkeit zugesprochen werden konnte. Seit dem 1. Januar 1975 wurde der Eintritt der Volljährigkeit vom vollendeten 21. Lebensjahr auf die Vollendung des 18. Lebensjahres herabgesetzt. Mit dem Betreuungsgesetz wurde die frühere „Entmündigung“ abgeschafft. Die anderen Regelung haben sich jedoch nicht geändert. Und schon im ersten Entwurf des BGB wurde der Satz: „Heirat macht mündig“ nicht anerkannt. Der Grund liegt darin, dass für die Einwilligung zur Eheschließung Erwägungen wesentlich anderer Art maßgebend sind, als die Rücksicht darauf, ob die Minderjährige zur selbständigen Bewegung im bürgerlichen Verkehre befähigt sei. Seit 1998 kann Familiengericht einem Verlobten, der das 16. Lebensjahr vollendet hat, Befreiung erteilen, wenn der andere Verlobte bereits volljährig ist. Ohne Antrag darf die Befreiung jedoch nicht erteilt werden. In Deutschland ist also heute noch nicht möglich, dass die Minderjährigen durch Heirat die Geschäftsfähigkeit automatisch erlangen. 1887년에 완성된 독일민법전 초안을 보면, 成年年齡이 남녀 모두 만 21세로 정해져 있었다. 그리고 만 7세 미만의 幼兒와 법원에서 精神疾患者로 宣告된 자는 行爲無能力者, 만 7세 이상의 未成年者와 浪費者로 선고된 자는 制限能力者로 구분되어, 행위무능력자의 법률행위는 同意 또는 追認의 여지없이 無效, 그리고 제한능력자의 법률행위는 법정대리인의 동의 또는 추인이 없는 한 무효로 규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독일민법의 규정은 이후 개정되었다. 그래서 성년연령은 남녀 모두 만 18세로 빨라졌고, 정신질환자와 낭비자에 대한 행위능력의 박탈 또는 제한은 成年後見制度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만 7세 미만의 자를 행위무능력자로 규정한 것, 그리고 행위무능력자의 법률행위를 무효, 제한능력자의 법률행위를 동의 또는 추인이 없는 한 무효로 규정한 것 등은 여전히 그 골격이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독일민법은 1887년에 그 초안이 만들어졌을 당시부터 婚姻에 의한 成年擬制의 제도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입법이유는 법정대리인이 미성년자의 혼인에 대해 동의하는 것과 미성년자의 완전한 행위능력에 대해 동의하는 것은 서로 다르다는 것에 있는데, 이는 상당한 설득력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물론 1975년 이후 독일법상 婚姻適齡과 성년연령이 같아지면서, 성년의제의 필요성이 지금은 매우 줄어든 게 사실이지만, 그래도 미성년자의 혼인이 아직도 독일에서 전혀 없지는 않은 상황에서, 성년의제는 지금도 독일에서 인정되지 않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ㆍ일 사망원인별 사망력 비교

        박경애(Kyung-Ae Park) 한국인구학회 1999 한국인구학 Vol.22 No.1

        한국 사망력의 수준 및 특징을 일본과 비교하고자 양국의 1995년 공식통계를 사용하여 사망원인별로 성ㆍ연령ㆍ혼인상태별 사망률, 연령표준화사망률, 생존기간손실년수 (PYLL 및 동 측정치의 남녀간 비와 한일간 비를 계산하였다. 사망원인 항목은 모든 사인 (총사망), 결핵, 익성 신생물,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간 질환, 교통사고, 자살을 포함한다.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 사망력의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 자살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인에서 한국의 사망률이 일본보다 높은 데, 특히 결핵, 고혈압성 질환, 간 질환 및 교통사고의 경우 한국 생산활동연령층의 사망률이 두드러지게 높다 : (2) 결핵, 간 질환, 교통사고, 암사망이 한국의 소아에게서도 발생한다 : (3) 한국의 생산활동연령층에서 간 질환, 결핵, 교통사고에 의한 성별 사망력 격차가 큰데, 남성의 사망률이 여성의 사망률보다 높기 때문이다 : (4) 자살률이 한국 생산활동연령층 남성의 경우 일본보다 낮고, 10대와 20대 여성의 자살률은 일본보다 높다 : (5) 한국의 45세 미만에서는 사인에 따라 사별이나 이혼상태에서, 45세 이상에서는 모든 사인에 대해 남녀 모두 미혼상태에서 사망력이 가장 높다 : (6) 한국은 사별상태에서, 일본은 이혼상태에서 성별 사망력 격차가 가장 크다. In order to examine cause-specific mortality in Korea by comparing mortality of Japan. various mortality indicators are calculated using 1995 official statistics of two nations. The mortality measures are cause-specific mortality rate by sex, age, and marital status, cause-specific age-standardized death rate and potential years of life lost, and their ratios by sex and nation. Items of major causes of death include all causes (total deaths), tuberculosis, malignant neoplasm, diabetes mellitus, hypertensive diseases, heart diseases, cerebrovascular diseases, liver diseases, transport accidents, and suicide. Major characteristics of mortality in Korea are as follows : (1) Death rates from most causes except suicide are higher in Korea than Japan, and especially death rates from tuberculosis, hypertensive diseases, liver diseases, and transport accidents are higher for economically active Koreans : (2) Death rates from tuberculosis, liver diseases, transport accidents, and malignant neoplasm are salient for Korean children : (3) Sex-differentials in mortality from liver diseases, tuberculosis, and transport accidents are large for economically active Koreans, because male mortality is higher than female mortality : (4) Suicide rates are lower for economically active males, and higher for females aged 10s and 20s in Korea than Japan : (5) Death rates are highest for divorced or widowed under 45 years of age depending on causes, but death rates from all causes are highest for never-married of the age 45 and over in Korea : and (6) Sex-differentials in mortality are greatest for widowed in Korea and for divorced in Japan.

      • KCI등재

        사회적 통합과 자살: 연휴가 자살자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승용(Seungyong Han)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1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사회적 통합이 평소에 비해 강해질 것으로 생각되는 특정 연휴기간에 자살자수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0-2005년 사망원인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연휴인 신정, 구정, 추석, 성탄절 등을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연휴로 설정하고 일별 자살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휴 이전 3일과 연휴 당일에는 자살자수의 감소가, 연휴 이후 3일에는 자살자수의 증가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본가설을 설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혼인상태별, 연령별 자살양상의 차이를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휴기간의 자살자수 감소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양상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고령자 집단에서 연휴기간 자살자수 감소양상이 명확히 나타난다. 단, 성탄절에는 젊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감소가, 높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증가가 나타난다. 넷째, 성탄절 이후의 자살자수 감소는 혼인상태 및 연령과 관계없이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증대된 사회적 통합이 자살을 방지하지만, 사회적 통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세대에 따라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icide pattern during major holidays which are considered to be in high social integration - New Year’s Day, Lunar New Year’s Day, Harvest Festival (Chuseok) and Christmas. To confirm suicide patterns, this study hypothesized firstly, the number of suicides would decrease before and on each holiday, and secondly, the number of suicides would increase after each holiday. In detail, this study postulated different patterns by marital status and age groups. Utilizing “Causes of Death Statistics” from 2000 to 2005, the number of suicides by marital status and age group on each day is calculated and categorized by holiday. There are four major findings. First,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uicides during holiday periods is significant. Second, different suicide patterns by marital status are not found. Third, the difference in suicide patterns by age groups i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re i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uicides of the old during Lunar New Year’s Day and Harvest Festival (Chuseok).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hanges in the number of suicides of the young during the same periods. Fourth,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uicides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and age is found at the end of a year. These results mean that increased social integration is functioned as a “suicide immune system.” However, each generation has its own main factor that increases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2

        초저출산에 관한 논의는 장래 인구추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초저출산추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 첫째, 초저출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 혹은 가까운 장래에 사라질 일시적인 현상인가 하는 질문이다. 둘째, 현재의 초저출산은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는지 혹은 앞으로도 더욱 감소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이다. 셋째, 초저출산 현상은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지 혹은 남부 및 동부 유럽과 같은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들과 연계된 이슈들은 장래의 인구학적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에서 제기한 질문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저출산 추세는 일시적인 추세가 아니라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혼인연령과 출산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역시 초저출산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둘째, 초저출산의 수준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 출산수준이 더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최근 초저출산을 가져온 다양한 요인들이 개선되지 않거나 초저출산 추이를 막기 위한 정책이 미흡하면 현재보다 더 낮은 출산 수준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기 때문이다. 셋째, 유럽의 경우와 다르게 한국, 타이완, 홍콩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초저출산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교육비 부담과 육아부담을 줄이는 정책적 고려 없이 출산율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난망하다는 지적에 주목해야 한다. Low fertility has become quite commonplace worldwide, and Europe has experienced below replacement fertility for several decades. In addition, lowest-low fertility, defined 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has rapidly spread in Europe during the 1990s and is likely to expand further. After the turn of century, lowest-low fertility started spreading in Eastern Asia. Korea's TFR of 1.19 in 2008 is lower than most European countries, although it is higher than the Hongkong(1.02) and Taiwan(1.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In doing so,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s of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labour instability on family formation and fertility. The data includes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 unemployment rate, age at first marriage, and total fertility rate from 1980 to 2008. First, the economic recession hindered young people's economic independence and propensity to marry. Married couples were also depressed with uncertainty toward the future and avoided to have children. Second, the growth i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fertility, under the low level of compatibility between women's work and childrearing. Moreo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rising cost of children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educational costs is thought to be the main reason of the recent low fertility in Korea.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comments on population policies are also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 은진송씨 송준길가를 통해 본 기호사대부의 통혼 양상과 혼례문화

        김연수 ( Kim Yeon Soo ) 한국계보연구회 2020 한국계보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혼례문화 연구의 종합적 고찰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조선왕조 500년 동안 충청도 회덕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이 펼쳐 나갔던 통혼(通婚)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더불어, 주자학적 원리를 수용하면서도 그들만의 차별성이 강조되는 ‘혼례’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장의 핵심 논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송준길가는 세족(世族)과 화벌(華閥)을 중심으로 하는 전략적 혼인을 추구하였다. 15~16세기에는 안동김씨, 광산김씨, 완산이씨 등 당대 권문세가와의 적극적인 연혼(連婚)을 통해 호서중심의 라이센스를 획득하며 중앙권력으로의 진출을 시도하였고, 17세기에는 본격적인 세도가의 반열에 올라 여흥민씨, 우봉이씨, 진주정씨와의 거대 연계망 속에서 핵심 권력으로 역할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정치 사회적 입장차에 의한 세의(世誼)와 단절(斷切)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둘째, 친가·외가·처가를 아우르는 삼향의 공간 분석을 통해 친가인 충청도 회덕을 중심으로, 충청 및 경기(서울) 지역을 포괄하는 기호(畿湖)지방 통혼권(通婚圈)을 시각화할 수 있었다. 또한 송준길가의 조선 후기까지 이어진 외가출생과 처가살이(贅)의 사례는 조선사회에서 종적으로 구성된 친가의 직계혈연 뿐만 아니라 외가와 처가의 방계적 인척 연대 역시 상당히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송준길가 인물 108명의 통계를 통해 초혼(初婚) 평균연령이 남자는 15.8세, 여자는 16.2세로 여성이 연상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엄격한 재가(再嫁) 금지에 따른 남녀 연차(年差)가 극대화되는 현상을 살폈다. 혼서(婚書)의 작성과 교배례(交拜禮)의 실행 문제와 관해서는 주자학적 원리의 수용을 원칙으로 하면서도 사계예학을 적극 적용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먼저 혼서로는 『가례의절』의 납채와 납폐식이 혼합된 유형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이때 전국 51가문 314건의 혼서 유형을 분석한 결과, 기호지역(경기+충청)과 경북지역, 남부지역(경남+전라)의 세 권역으로 구분되었다. 교배례 방식에 있어서는 김장생의 주장에 따라 ‘여2-남1-여2-남1’의 협배(俠拜)방식을 채택하였으며, 당시에 작성된 홀기를 통해 실제로 각 가문마다 다르게 실행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there was a lack of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wedding culture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space, and human analysis, Eun Jin-song's Song Jun-gil's marriage style was focused on the space called Hoedeok in Chungcheong-do for 500 ye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le embracing the principles of self-reliance and creating their own differentiation. First, Song Jun Gil‘s family made a strategic marriage through the choice of a wealth and a .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he sought to obtain a license centered on Hoseo through his active marriage with the reign of aristocracy, such as Andong Kim, Gwangsan Kim, and Wansan Yi. In the 17th century, he joined forces with Yeo Heung-min, Woo Bong-yi, and Jinju-jung. In the process, he experienced a sense of intimacy and disconnection due to political and social differences. Seco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amily, mother-in-law, and the birth of the mother-in-law and the family-in-law, which continu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suggest that not only the direct blood relationship of relatives but also the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are important. Third, the statistics of 108 Song Joon-gil's figures showed that the average age of first marriage was 15.8 years for men and 16.2 years for women, and that the annual gap between men and women was maximized due to the strict ban on women. Starting with this study, if other households in Bojosam are analyzed in the same way, if further research is conducted in other areas such as Yeongnam, Honam, and Gangwon, a large genealogy of the Joseon Dynasty will be c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