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통혼례식의 존재방식과 현재적 의미

        양미경(Yang, Mi-Kyo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5

        본고는 한국인의 혼인의례 전통이 현대사회에 어떻게 지속되고 변용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1960~70년대 이후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1982년에 ‘전통혼례’라는 이름으로 다시 등장한 전통혼례식에 주목하였다. 구식혼례를 표방하고 있지만, 전통혼례식은 전근대시기에 행해졌던 구식혼례와는 다른 맥락에 놓여있다. 첫째, 전통혼례식은 혼례 전 과정에서 혼례식 당일에 치러지는 대례를 따로 분리하여 현대혼례식에 접목하였다. 둘째, 전통혼례식을 행하는 혼례식장은 다른 곳과의 차별화를 통해 자신들만의 특별한 의례구조를 생산해낸다. 셋째, 시간적 · 공간적 제약을 받다 보니 전통혼례식의 의례절차는 간소화·규격화 되고 상품화 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처럼 전통혼례식은 현대사회에 맞게 ‘재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전통혼례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이를 전통이라 여기고 또 향유한다는 점에서 현재적 의미가 존재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at how the korean’s wedding traditions have been lasted and changed. To accomplish this, I paid attention to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which almost disappeared in the early 70’s and reemerged in 1982. Though it claims to stand for old way of wedding ceremony,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is different from the old one that was performed in pre-modern times. First, it separates only Daerye, a ceremony for the very day from me whole process of wedding ceremony. And it combines Daerye with the wedding ceremony of modern style. Second, each of wedding hall perform;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is made distinct from other place by improving its own ritual structure. Third, It has become a commodity, as the ritual process being simplified and standardized because of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Like this,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has been restructured to suit our modern society. But a lot of participants consider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as real tradition and enjoy it. I think that contemporary meaning of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exists on this point right here.

      • KCI등재

        러시아 혼례시가에 나타난 유희-의례의 기호학적 통합형

        이명자(Lee Myoung J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러시아 민속 혼례 시가 텍스트는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따라 진행되는 전통 혼례의 모습을 보여준다. 텍스트에서 찾아지는 유희나 의례는 각각 단순한 행동을 칭하는 것이 아니라 유희적 행동틀, 의례적 행동틀이 되는 논리형들이다. 고대로부터 러시아 민중들의 혼례 풍습은 유희적 측면과 의례1)적 측면을 모두 지니고 있다. 두 가족에 의해 수행되는 예식은 화려한 의례와 풍요로운 먹을거리, 노래와 춤, 계속되는 축연 등으로 잔치꾼들에게 유희의 기쁨과 만족을 제공하고, 신랑?;신부 당사자와 그 가족들에게는 유희적 행동을 어느 정도 제약하면서 유희의 자율성을 눈감아주는 메타 유희적인 의례 행동을 요구한다. 따라서 민속에서 혼례 시가에는 예식 주체들의 심리와 행동을 비롯하여 상징으로 나타나는 미학적 층위가 모두 들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전통 혼례를 의례적 성격과 유희적 성격을 함께 갖는 민속의 기호로 설정하고 축가, 애가, 서정적 노래 등 다양한 혼례 시가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Greimas(1987)의 이론과 김경용(2001)의 설명을 방법론으로 이용하여 유희-의례의 기호학적 통합형을 제안하였다. 러시아 혼례 드라마는 중매와 정혼부터 예식 후 신랑 집에서의 축연까지 테마별로 장소와 시간이 이동하며 혼례의 능동적 참여자들인 신부와 신랑, 양쪽 부모, 친척, 대부와 대모, 중매쟁이들, 주례, 들러리들이 복잡한 심리 속에서 전통적이고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별도로 분리될 수 있는 애가에는 더한층 심리적인 감정 표현이 절절한데 무엇보다도 시집을 가는 아가씨의 심정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 과정에 참여하는 각각의 인물들의 심리층위와 행동층위를 살펴봄으로써 유희의 단계에서 의례의 단계로 넘어가는 논리형의 연결고리를 찾아보았다. 흥분된 심리의 동요와 감정의 절정을 기저로 한 유희는 곧 규범화된 의례 행위로 변한다. 혼례의 정점이 되는 축연에서는 의례 단계가 다시 유희 단계로 넘어간다. 노래하고 춤추고 축복을 받고 술을 마시는 모든 유희 행위의 기층이 되는 참여자들의 심리에는 제각각이 자리한다. 심리 층위와 행동 층위를 살펴보는 가운데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혼례 민속텍스트에 나타난 상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래 러시아 민속에서 상징은 큰 위치를 차지하며, 민속 장르들의 창작 수단으로 기능하는 상징에는 특히 자연물 대상이나 그와 연관된 상태, 행위, 기능까지도 동원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혼례시가에 들어있는 상징 기호들을 통해 유희와 의례의 경계와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 모형에 따르면, 네 모서리를 차지하는 유희, 의례, 비유희, 비의례의 네 가지 논리형들이 조직적으로 연결고리를 이루어야 하고 이런 연결고리의 가능태들이 프로토콜인데, 본 연구에서 제시했듯이 러시아 전통 혼례 시가에 나타난 유희와 의례의 논리형 단계는 항상 일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고리 모양을 형성하며 진행하고, 이 같은 것은 불안이나 권태를 수반한 비유희와 비의례로도 향후 진행할 수 있음을 암시하며 기호학적 사각형 형태와 연관된다.

      • KCI등재후보

        혼례에서 남녀위치의 변천

        노영미(Noh, Young-Mi)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8 民俗硏究 Vol.0 No.37

        이 글은 전근대기부터 근대기까지의 혼례식 남녀위치의 변천을 살펴본 것이다. 혼인서약과 성혼기념 사진촬영 시의 남녀위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예에 근간을 둔 혼례식의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인 `신랑과 신부의 위치`가 어떻게 규범화되었는지와 어떠한 질서유지의 장치로 기능하였는지 알 수 있었다. 전근대기 혼례식의 남녀위치는 `서동부서(壻東婦西)`와 `서서부동(壻西婦東)`으로 나뉘었다. `서동부서`는 주자가례의 친영에 따라 혼례식을 신랑집에서 행할 경우의 남녀위치라 할 수 있으며, `서서부동`은 혼례식을 신부의 집에서 행할 경우의 남녀위치라 할 수 있다. `서동부서`는 신랑이 동쪽에 신부는 서쪽에 위치하는 `왼쪽 우선` 및 `남성 우선`의 남녀위치이며, `서서부동`은 신랑은 손님이므로 서쪽에 신부는 주인이므로 동쪽에 위치하는 `주동객서`의 남녀위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신부의 집에서 혼례식을 행한 전근대기에 `서동부서`와 `서서부동`이 혼재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근대기 신식혼례식의 남녀위치는 주례의 시선으로 오른쪽에는 신랑이 왼쪽에는 신부가 위치했다. 이는 서양 기독교문화의 `오른쪽 우선`이 유교의 `남녀유별사상`과 만나 토착화되면서 출현한 한국만의 독특한 개신교적 남녀위치에서 출발하였다. 즉, 근대에 등장한 상업적인 전문 예식장의 혼례식이 당대 개신교 혼례식 형태를 따르면서 개신교적 남녀위치도 함께 근대기 신식혼례식의 대표적인 남녀위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또한 혼례사진 촬영 시의 남녀위치도 사진 수용 초기부터 `왼쪽 우선`의 전통적 남녀위치를 따르지 않고, `오른쪽 우선` 관념의 서양문화를 따랐다. 인물을 기준으로 위계가 높은 사람을 상대적으로 위계가 낮은 사람의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며, 여성의 오른쪽에 남성이 위치하도록 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와 같이 전근대기부터 근대기까지 혼례식 남녀위치의 규범화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가부장적인 `남성 우선`의 관념이 시대를 초월하여 관통했다고 볼 수 있다. 곧, 혼례식의 남녀위치가 남성중심적 사회 질서를 구현하는 데 기여하는 요소로 작용했던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itional shift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at the wedding ceremony, especially focused on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when they exchange wedding vows and take commemorative photograp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standard rules of the wedding ceremony based on the courtesy, has become the norm, and how it functions as the mechanism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In the pre-modern times,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at the wedding ceremony can be divided into two: One is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east and the bride in the west, the other is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west and the bride in the east. The former is according to the custom called `Chinyoung`, one of the Confucian ritualism, meaning that the groom himself goes to the house of the bride to greet the bride, when the wedding is held at the groom`s house. The latter is when the wedding is held at the bride`s house. In the fashion that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east and the groom in the west, the left and the male take priorities. On the other hand, in the fashion that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west and the bride in the east follows the rule of the host standing in the east and the guest in the west. In other words, the groom, who is treated as a guest, stands in the west, and the bride, who is seen as the host, stands in the east. In pre-modern times, however, the wedding is generally held in the bride`s house, so it is supposed that the both practices mentioned above were held equally. In modern times, the bridegroom stands in the east and the bride in the west from the officiant`s at the new mode of the wedding. This is the combination of the two religious beliefs: Christian idea, the right-first and Confucian idea,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In belongs to Christian position of the man and the woman, which is very unique in Korea. The wedding ceremony in the modern business wedding hall observes the contemporary Christian wedding custom. Consequently, Christian position of the man and the woman take roots in the modern wedding ceremony as the typical position. When the newly-weds take the commemorative photos, the position of the couple doesn`t follow the traditional position of the man and the woman but complies with the western idea of the right-first. At the very beginning, when taking wedding photos, those in higher hierarchy stand in the east of those in the relatively lower hierarchy, the man tends to stand in the right of the woman. To sum up, from the pre-modern times to the modern times,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has been standardized, which helps the patriarchal concept transcend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sition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has played a role in developing male-oriented social order to some extent.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의 찬안상(饌案床)과 향좌아(香佐兒)

        김미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4 한국문화연구 Vol.46 No.-

        《회혼례도첩》(덕수 6375)이 주목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22년 조선시대 사가 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박정혜 외, 2022)의 출간과 국립대구박물관 학술심포지움(2022) 등을 통해서이다. 화첩은 기록화로서 18세기~19세기경 조선의 사가(私家) 혼례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한 자료라는 점에서, 사료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은 《회혼례도첩》에서 ‘혼례 재현 장면에 등장하는 가구’에 초점을 맞추어, 사가의 ‘혼례 의례용 가구’를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왕실 혼례에 관해서는 국가 의례서와 의궤를 중심으로 혼례 절차와 변천, 혼례 기물 등 다양한 각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반면에 사가 혼례 특히 혼례에 쓰인 가구(家具)에 관해서는, 당시 형태와 명칭 등 상세한 기록은 없이 유물만 일부 전할 뿐이어서, 혼례 가구의 진설(陳設) 방법과 종류 등 그 실체 파악이 어려웠다. 화첩의 혼례 장면에 등장하는 의례용 가구는 ‘찬안상’과 ‘향좌아’ 2건이다. 사가에서 당시 사용했던 혼례용 가구의 형태, 용도, 배설 위치가 확인되는 중요한 장면이다. 이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은, 이 2건의 가구가 등장하는 장면의 혼례 내용, 그리고 그 안에 진설된 가구의 쓰임과 명칭, 형태의 특징이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 의궤, 등록 등 왕실 혼례기록과 이익, 정약용, 안정복이 기록한 사가의 혼례기록을 참고하였다. 먼저 혼인 60주년을 기념한 그림으로 혼례를 재현하는 모습이 담긴 《회혼례도첩》의 혼례 장면이 어떠한 절차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그 장면 안에 등장하는 ‘찬안상’과 ‘향좌아’의 쓰임과 형태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의궤 등을 통해 왕실 혼례용 가구의 종류와 배설(排設)‧ 제작 형태를 확인하고, 왕실 사용 혼례 가구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는 《회혼례도첩》의 사가 혼례의 가구를 시각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가 혼례용 가구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논문을 통해 《회혼례도첩》에 등장하는 혼례 재현 장면은 ‘전안’, ‘교배‧동뢰’에 해당 된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회혼례도첩》의 각 혼례 장면을 명명한다면, 이러한 점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찬안상’과 ‘향좌아’는 왕실과 사가에서 모두 사용한 혼례 가구로서 주목되는데, 그 형태도 왕실용과 사가용이 매우 흡사했고 같은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즉 《회혼례도첩》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혼례 가구인 ‘찬안상’과 ‘향좌아’는 왕실 혼례 가구를 그대로 차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만 사가 혼례에서는 가구의 종류나 수량을 간소화하거나 생략했는데, 《회혼례도첩》을 통해 당시 시속(時俗)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th Anniversary Painting Book(回婚禮圖牒)> began to draw attention through Park Jung-hye's book published in 2022 and the National Daegu Museum Academic Symposium(2022). Painting Book is highly regarded as a historical document in that it is a detailed visualization of ‘Joseon's wedding ceremony of a general family’ betwee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is paper examines the ‘wedding ritual furniture of the general family’, focusing on ‘furniture appearing in the wedding scene’ in <60th Anniversary Painting Book> Until now, studies on wedding procedures, changes, and wedding objects have been conducted on royal weddings, focusing on national ceremonies and Uigwe(A record of the royal family's ceremonies) .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Joseon's wedding ceremony of a general family[Saga(私家)], especially wedding furniture, was limited to relics that were delivered. So This is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the substance, such as the name and timing of production. ‘Wedding ritual furniture of the general family’ in <60th Anniversary Painting Book> is Table such as ‘Wedding Table for food(饌案床) and Furniture where the scent is located(香佐兒)’. What we want to understand in this study is the name and shap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furniture in the wedding the scene. To this end, based on the wedding records recorded by Uigwe , Deungrok(謄錄) , Yi Ik(李瀷:1681~1763), Jeong Yak-yong(丁若鏞: 1762년~1836), and Ahn Jung-bok(,安鼎福: 1712~1791). We first looked at what procedure the wedding scene of <60th Anniversary Painting Book>. Subsequently, the forms of ‘Chan An-sang(饌案床)’ and ‘Hyang-Jwa(香佐兒)’ were found and confirmed in the record, and through historical analysis of wedding furniture of the royal family and <60th Anniversary Painting Book>, the use and specific forms of ‘Chan An-sang’ and ‘Hyang-Jwa’ as ‘households for the general family’ were investigated.

      • KCI등재

        혼례물목류(婚禮物目類) 고문헌 자료를 활용한 민간 전통혼례 문화 연구

        김정녀 ( Jeong Nyeo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본고는 일군의 ``혼례물목류(婚禮物目類)`` 고문헌 자료의 양식적 특성과 자료적 실태를 파악하고, 고문헌 자료를 활용해 ``민간 전통혼례`` 문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혼례물록``이란 과거 혼례 때 소용되었거나 주고받은 일체의 ``물품 목록``을 말하는데, 이 혼례물목류 고문헌은 우리나라 전통혼례 풍습과 민간의 생활상을 실증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자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혼례물목류 고문헌 자료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학계의 관심 영역을 넓히는 한편 민간 전통혼례에 대한 실증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우선, 혼례 관련 물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현전하는 자료는 어느 정도나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혼례물목류 고문헌 자료들을 전통혼례의 절차, 내용적 특징, 그리고 자료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혼구물목, 우귀물목, 납폐물목, 부조록, 혼구·우귀물목 유형의 자료가 지닌 각각의 양식적 특성을 살피고 연구에 활용 가능한 자료의 종류와 그 가치를 밝혀 혼례물목류 고문헌 자료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다음, 혼례물목류 고문헌 자료 중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우귀물목``을 중심으로 혼수·예물의 종류와 규모 등을 살펴보았다. 총 48종의 자료를 살펴본 결과, 우귀물목은 그 내용과 형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형태를 보인다. (1) 신부가 시집에서 사용할 혼수용 세간 품목과 시댁에 보내는 예물에 대한 구분 없이 물목만을 적은 경우와 (2) 시부모를 비롯한 시댁 친지들에게 보내는 예물을 그것을 받을 사람에 따라 적은 경우이다. 대개의 우귀물목은 (1)에 해당하며 (2)의 고문헌 자료들은 1950년대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보아 (2)보다는 (1)이 전통적인 물목 형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우귀물목 고문헌 자료에 보이는 혼수·예물의 종류와 규모 등은 일정하지 않은데, 적게는 20여 종의 물품에서부터 많게는 200여 종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신부 집안의 경제력 등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이들 자료들을 두루 살펴보았을 때 신부의 필수 혼수 품목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가구류, 의복류, 옷감류, 바느질 용구, 화장품, 장신구 등이고, 요강, 대야 등도 필수 품목으로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빈번하게 보인다. 한편 물목에 올라와 있는 물품의 품명, 화폐 단위나 액수 등을 토대로 물목이 산출된 시대를 짐작할 수 있는데, 1950년대에 나온 자료들과 이전 자료를 비교해 보았을 때 예물을 마련해야 하는 친척의 범위가 후대로 갈수록 넓어지고, 예단으로 보내는 물품도 현금과 물건의 혼용 양상을 보인다고 하겠다. 이 외에 ``혼구물목``, ``납폐물목``, ``부조록`` 등의 고문헌 자료는 현재 남아 있는 가짓수가 많지 않지만 역시 당시의 혼례 풍습과 문화를 보다 가까이서 조명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들이다. 관련 자료가 좀 더 모아지면 우리나라 전통혼례 문화의 실상을 실증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이 요청된다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yle properties and the real condition of the data in the old documentary records, ``the wedding catalogs of goods`` and researches concretely the culture of ``folk wedding ceremony`` using the old documentary records. As the wedding catalogs of goods are the whole catalog of goods given or taken in traditional wedding. The old documentary records of the wedding catalogs of goods is the data to be able to empirically examine the Korean traditional wedding custom and Korean people`s life conditions. Nevertheless, an empirical study about folk traditional wedding by surveying old documentary records is very rare. This study try to contribute to expand the interest domain in academy fields and promote empirical understanding on folk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by surveying the mass data in the old documentary records. First, I survey what kinds of the wedding catalogs of goods is and find what are in exis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classified traditional wedding catalog of goods by 5 types considering wedding ceremony procedure, the properties of contents and the form of the data. The catalog of goods of wedding outfits, catalog of what bride took when coming in newly the husband`s home, catalog of wedding presents of silk, record of congratulatory money or goods to aid in a marriage and catalog wedding outfits & what bride took when coming in newly the husband`s house are 5 type of wedding catalogs of goods. I try to survey these kinds of catalogs of goods, clarify the useful data and then arise the interest in the data of the old documentary records, ``the wedding catalogs of goods`` Second, I survey the type and the scale of wedding expenses and wedding jewelry on the focus of the catalogs of what bride took when coming in newly the husband`s home that is in existence most a lot. As a result of researching 48 data, the catalog of goods classified as two kinds of form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form. (1) data which were recorded together the furnishings that bride would use in the husband`s home and the jewelry that bride`s parent give to the parents - in - law. (2) data which were recorded separately as people taking the goods. Most catalogs of goods are (1). As (2) were written after 1950`s, (1) is more traditional form. The type and scale of marriage expenses and jewelry in the records of goods are very various from 20 types goods and 200 types goods. This difference cause in financial means of bride`s parents and periods. Through these records, bride`s essential goods are furnishes, clothes, fabric, sewing, cosmetic, jewelry and so on, and a bedpan and a basin are often appeared. On the ground of the name of goods, monetary unit or price in the documentary I can guess the period. Comparing the data in 1950`s and before 1950`s, the range of the relatives to whom goods were prepared, broadened and the mix aspects on cash and goods appeared as later generations. Above these catalogs of goods, catalogs of wedding outfits, catalog of wedding presents of silk and the records of congratulatory money or goods to aid in a marriage are valuable data for surveying the wedding ceremony custom and culture, in spite of being in existence more rare. If more data are collected, I will be able to survey Korean traditional wedding culture more concretely. So continuous interests are needed.

      • 우크라이나의 혼례에 나타난 질서(Cosmos) 와 혼돈(Chaos)

        홍석우(Hong, Sogu)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혼례는 수많은 상징성의 총체로서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염원을 상징과 의례를 통해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풍요와 다산, 악귀의 퇴치 등의 주술적 표현뿐만 아니라, 종교적 표현이 총동원되는 혼례는 현대에 와서 상업주의 및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그 의미와 구조, 기능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혼례의 많은 측면 중 혼례가 갖는 질서와 혼돈의 ‘전복’이라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려 한다. 일상적, 세속적인 삶 에서 벗어나 성스러운 영역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의례가 세속의 원칙을 전복시켜 혼돈의 세계를 이끈 후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내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에 주목할 것이다. 우크라이나인들의 혼례에서도 기존의 질서를 뒤집어 혼돈과 새 질서를 이끌어 내는의례 - ‘집시 축연’(tsyhanshchyna)과 ‘모의 혼례’(mock wedding) - 가 존재해왔으며, 이 논문은 이러한 의례를 통해 우크라이나인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바가 무엇이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려 한다.‘집시 축연’은 우크라이나 중부지역에서 혼례 후 신랑, 신부의 부모에게 행하던 의례로서 혼례 전 자식에 대한 부모의 절대적 권한이 사라지게 됨을 확인하는 의례였다. 평상시에 있을 수 없는 부모에 대한 학대 등의 의례를 수행함으로써, 신랑, 신부의 새로운 사회적 위치를 재확인했다. ‘모의 혼례’는 캐나다로 이주한 우크라이나인들의 후손들에 의해 행해지는 의례로서, 혼례 후 신랑, 신부들의 친구, 친지들에 의해 풍자적으로 혼례를 재현하는 것이다. 여성과 남성 역할의 교체, 교권과 부모의 권한에 대한 풍자적 표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의 혼례’는 ‘집시 축연’을 계승, 발전시킨 새로운 형태의 의례로 해석되는데, 본 논문은 이 두 의례를 비교하면서, 질서(cosmos)와 혼돈(chaos)을 통해 우크라이나인들이 추구하려 했던 것들은 무엇이었으며, 시간과 공간의 변화 속에서 전통을 어떻게 계승, 발전 시켰는지를 연구하려 한다. ‘Tsyhanshchyna’ and ‘mock wedding’ are Ukrainian wedding rituals that take place in the post-wedding phase, respectively in Ukraine and Canada. A period of frivolity called tsyhanshcnyna (gypsy fest) followed the solemn part of the wedding mainly in Central Ukraine. During tsyhanshchyna, guests steal chickens and other small food stuffs from any house in the village, bring them to the groom's house, and prepare and consume them. Also the parents of a married couple as well as wedding guests who want to return to normal life are often attacked and abused. ‘Mock wedding,’ which have been maintained among Ukrainian Canadians primarily in the province of Saskatchewan, Canada, is the ritual of revelry and chaotic entertainment by the bridal party and/or friends and family of the young couple. This ritual function as a parody of the actual wedding from the previous day. The performers often play characters of the opposite gender. Specific incidents that occur in the actual wedding are dramatized and parodied as part of the mock wedding. In this study, while comparing these two rituals, I will emphasize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syhanshchyna’ and ‘mock wedding,’ which is to “turn the world upside-down” and provide those guests gathered with raucous improvised entertainment.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왕실 혼례 음식의 제례적 성격과 혼례의 의미 고찰

        김해인 ( Kim Hai-yin ) 한국여성사학회 2016 여성과 역사 Vol.0 No.25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왕실 혼례의 특징과 의미를 드러내는 한 방법으로 혼례 음식에 나타난 제례적 성격에 집중하여 혼례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이 전범으로 삼은 중국 의례서를 검토하였다. 중국의례서의 동뢰 절차에 사용되는 음식으로는 채소 절임, 젓갈, 말린 물고기, 국, 곡식, 희생 등이 제시되는데, 이것은 희생, 해저(?菹), 포과(脯果), 곡식, 고기국의 다섯 가지로 구성되는 제례 음식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교배례에서 부부가 세 번 술을 마시고 안주를 먹는 과정이 제례의 삼헌(三獻) 절차에 비교될 수 있고, 매 술잔의 술을 마실 때마다 좨주(祭酒)하는 절차가 있다는 점과 음식을 담는 그릇도 제기(祭器)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혼례의 절차와 음식은 제례와 공통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혼례가두 남녀의 결합일 뿐 아니라 조상을 섬기고 대를 잇는다는 의미에서 제례와 의미가 상통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보인다. 그런데 조선 왕실의 혼례 음식을 살펴보면 중국 의례서에 제시된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 조선의 혼례 음식은 유밀과나 실과 등이 올라간 다과상과 지짐이나 탕 등이 포함된 식사 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국 의례서와의 차이는 조선왕실의 혼례 음식은 고려 이래의 전통 방식을 따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상차림 또한 조선의 왕실 제사인 속제 상차림과 유사점을 보이며, 교배례에서 세 번 술을 마시거나 좨주(祭酒)하는 형식은 같으므로, 제례의 형식을 벗어난 것이 아니라 조선의 제사 전통이 반영된 것으로 읽어볼 수 있다. 요컨대 조선시대 왕실 혼례는 원칙적으로 의례서에 규정된 절차와 형식을 따르되 그 음식에 있어서는 조선식의 변용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여전히 중국의 예서에서처럼 음식에 제례의 특징이 남아있다. 따라서 전통시대의 혼례는 제례와 유의미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ood in royal wedding ceremonies during the Joseon(Choson) Dynasty by comparing wedding ceremony food with sacrificial ritual food. Because Chinese old ritual classics had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in East Asian ritual history, the first section starts with a review of Chinese old classics. From the many steps in traditional weddings, the procedure called Dongnoe meaning `sharing the sacrifice` is when the bride and groom greet each other and share wine and food,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main `wedding ceremony` from today. Because the sacrifice was considered a crucial medium to connect humans to heaven, sacrifice had been used for ritual from ancient times. From an analysis of the food used in Dongnoe, two feature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dding ceremony and sacrificial ritual. First, the food in wedding ceremony was similar to sacrificial ritual. Second, the same utensils were used both in wedding and sacrificial ceremonies. However, wedding ceremony food during the Joseon(Choson) Dynast y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hinese rituals. Although both forms of ritual contained an element of sacrifice, the Korean wedding ceremony share d common vernacular ritual food from the Joseon(Choson) Dynasty. As a result, food in royal weddings had certain similarities with sacrificial ritual food. This relation comes from ancient thought that a wedding is not only a meeting of spouses, but also the connection of the past and the future,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the bride in providing a successor to the family.

      • KCI등재후보

        혼인 습속의 고유성과 무(巫)의식의 사회문화적 의미

        이영배(Lee youngbae)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0 No.-

        이 글은 먼저 우리 혼례문화를 사적으로 간략하게 검토하여, 구식혼례의 전형이 창출된 배경과 그 근저에 작동한 혼례문화 전승 주체의 이념적 바탕을 논의하였다. 그 과정에서 우리 혼례문화의 기본 특징이 함께 논의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의 전통혼례에서 행해졌던 무의식(巫儀式)의 대표적인 유형을 논의한 뒤, 현재까지도 간간히 전승되고 있는 무당굿 속 혼례의 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혼례와 무당굿이 구조적으로 어떻게 연관되어 작동하는지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무의식(巫儀式)이, 혼례에 비중이 적은 혹은 이상적인 예법의 구현 과정에서 파생된 잔존문화라는 인식을 재고하고, 혼례의 무의식이 단지 주술적인 메커니즘의 한 요소로만 작동한다는 인식을 지양하여, 그 종교적인 차원과 함께 사회 속에서 기능하고 의미화된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무당굿은 사람의 일생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혼인의 사건’ 속에서 다중적인 방식으로 관계하여 그 의미를 창출한다. 혼례가 사회 속에서 상징적인 방식으로 죽음과 삶을 경험하여 새로운 존재-되기를 구현해 갈 때, 단골의 무의식은 시간?공간?존재의 차원에서 이러한 존재-되기를 여러 방식으로 강화해간다. ‘손비비기’와 ‘덕물림’은 시간의 두 차원을 생성한다. ‘손비비기’는 과거의 시간을 소멸시키고 미래의 시간을 ‘무의식(巫儀式)의 현재’ 속에서 생성한다. 이러한 두 계열의 시간은 마을 안에서 창출된 신성한 공간이 경계를 넘어 마을 밖 공간으로 새로운 길을 내고, 신부가 사는 마을과 집의 공간에 연결되는 동안 공존하면서, 미래의 시간이 흐르는 공간을 확장한다. ‘덕물림’은 이러한 시공과 존재들의 관계망 속에서 ‘무의식의 현재’를 통해 미래의 시간을 현재화하면서 즉 미래의 시간을 소멸시키면서 신성한 공간을 일상화하여 그 속의 분리된 존재들로서 신랑?신부와, 가족?친족?주민들을 통합시킨다. ‘영혼혼사굿’은 현실 세계의 혼례와는 다른 방식으로 시공과 존재들의 새로운 차원을 연다. 죽음의 세계와 망자들을 현실 속에서 상징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고 재생시킨다. 이 세계에서 망자들은 또 한 번의 죽음을 경험하고 이전의 존재와는 다른 새로운 존재로 화한다. 이렇게 무당굿은 혼례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관계되면서, 혼례의 의례적인 성격을 강화하고 삶과 죽음의 세계를 연결하여 통합하고 다시 분리시킴으로써, 좀 더 나은 존재들의 세계를 구현하여 사회의 통합력을 강화해갔던 의례였다고 하겠다. Our recognition of traditional marriage is passive, inactive, and negative. Specially, The recognition of shamanic elements in traditional conjugal rite is very negative, even grotesque. These aspects were caused by acceptance without condition Western culture. Above all, we unqualifiedly accept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Western culture. Therefore, we ignored our own culture, thus were negative it. This paper explored the traces of our traditional marrige culture. secondly, it analyzed shamanic elements of traditional conjugal ceremony. thirdly, discussed the marriage of the soul. Specially, This study described and analyzed the central characteristics of this marriage. Finally, discussed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traditional marriage and mudanggut, and made the positive meaning and value of it.

      • KCI등재

        혼례의 양상과 절차 고찰

        윤병화(Byung-Hwa Yun) 국제차문화학회 2018 차문화ㆍ산업학 Vol.42 No.-

        남녀가 예를 갖추어 부부가 되어 평생을 함께 살아가는 것은 일생의례 중 가장 중요한 절차이다. 이 혼례는 예의와 범절을 덕목으로 여기는 중요한 통과의례이다. 이미 삼국시대부터 혼례가 있었지만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혼례의 근간은 조선시대 『주자가례(朱子家禮)』를 수용하면서 지배층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이런 유교식 혼례는 조선시대 말기 일반서민층까지 널리 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개화기 이후 사회적 변화 속에 혼례 풍속도 많이 변화하였다. 서구의 혼례형식이 도입되면서 전통적인 유교식 혼례와 서구식 혼례가 공존하게 된 것이다. 서구 혼례의 형식인 웨딩드레스 착용, 웨딩사진 촬영, 신혼여행 등을 진행하면서도 전통적인 혼례 절차인 상견례, 함보내기, 폐백 등을 여전히 진행하고 있다. 혼례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혼례의 양상을 기원과 의혼(議婚), 납채(納采), 연길(涓吉), 납폐(納幣), 대례(大禮), 우귀(于歸) 등의 절차 그리고 혼례의 변화와 양상을 통해 광범위하게 혼례의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혼례의 혼합된 형태는 많은 사회적 문제를 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과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혼례예절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기관이 많아지길 기대한다. 본 연구가 전통적인 혼례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혼례예절에 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지식을 축적하는데 밀알의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Regarding a male and a female living together for the whole life by possessing the manners and by becoming a married couple, it is the most important procedure among the lifetime ceremonies. The wedding is an important rite of passage which considers the manners and the etiquettes as the virtues. Although, already, there had been the wedding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basis of the wedding we know today had been formed by being centered on the ruling class while accepting the Jujagary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such a Confucian wedding had been widely carried out by even the ordinary people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after the time of the enlightenment, within the social changes, the wedding custom, too, had been changed a lo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form of the wedding of the West, the traditional, Confucian wedding and the Western-style wedding got around to co-existing. While proceeding with the wearing of the wedding dress, the taking of the wedding photographs, the honeymoon, etc., which are the forms of the wedding of the West, the traditional wedding procedures of the formal bows between a bride and a bridegroom, sending a ham (box) to the bride, the pyebaek (traditional ceremony to pay respect to the (bride)groom s family by the newly-wedded couple right after their wedding), etc. have been proceeded with. Because the wedding is the most important departure point in life, in this research, regarding the aspects of the wedding, it is intended to look back at the meaning of the wedding wide-rangingly through the procedures of the origin, the uihon, the napchae, the yeongil, the nappye, the daerye, the wugwi, etc. and the changes and the aspects of the wedding. The mixed forms of the weddings which have been proceeded with in our country at present have been causing a lot of the social problems. As a result,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there will be a social system that can solve such problems and that there will be a lot of the organizations that can proceed with the realistic and effective, wedding manners education. I wish that this research will become a material that is a grain of wheat in looking back at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wedding and in accumulating the knowledge that can improve the awareness regarding the wedding manners.

      • KCI등재

        충청지방 혼례복식 연구

        정복희 ( Jung Bok-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본 연구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 발전시켜 나가기 위하여 충청지역에서 관습적으로 행해졌던 전통혼례의 혼례복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 형태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충청도지역의 박물관, 향토민속자료관 등에 소장된 유물 그리고 개인소장자를 방문하여 면담조사 하였다. 조사 자료는 조선 말기부터 1960년대에 걸쳐 사용되어온 민간혼례복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동안의 연구과정에서, 혼례복 관련 문헌에 언급되고 있지 않은 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혼례복이란 혼례 시 입는 겉옷을 일컬으며, 계절과 무관하고, 여자에게 있어 혼례복은 초혼복을 말한다는 점이다. 충청지방의 혼례복은 동네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마을공용과 일가·친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가문에서 마련해 두고 사용하는 집안공용 혼례복이 있었다. 혼례복의 특징은 첫째, 맞춤옷이 아니고 기성복이며, 일반 옷보다 치수가 크고 넉넉하였다. 그러므로 사람의 키나 몸집에 관계없이 크거나 적어도 그냥 입었다. 둘째, 신랑 옷은 서민의 경우, 빈부에 관계없이 입었고, 신부의 경우는 빈부에 따라 옷과 장신구가 달랐다. 혼례복의 그 형태적 유형은 크게 신랑복식과 신부복식으로 나누어지고 다시 의복과 장신구로 나눌 수 있다. 신랑복식의 의복은 사모 관복 목화가 있으며, 장신구로는 각대가 있다. 신부복식의 의복은 화관, 족두리, 활옷, 원삼, 꽃신이 있고, 장신구로 비녀, 댕기, 대대가 있다. 충청지방 혼례복식의 형태는 왕실 혼례복에 준하여 유사하거나 덜 화려하였다. 이는 혼례 자체가 규범이고 혼례복은 국정혼례복으로서 전국이 정형화 되어 있기 때문이며, 충청지방은 서울 경기의 영향권이었으므로 더욱 그러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과정에서 발견된 특이점은 혼례복 속에 입는 모시 적삼이 `시원하게 시집살이가 잘 풀리라`는 의미가 있다는 것이 일률적이나, 이는 혼례 일의 긴장과 낯선 환경에서 예상되는 체온 상승에 따른 대처방안일 가능성이 더 크다는 점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idea of aiming at succeeding to and developing our own national tradition by classifying systematically the traditional wedding clothes dressed in ChungCheong province, and finding out their characteristics. There are two kinds of wedding dress; one is used for family and the other is for villager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dding dress is a ready-made one whose size is larger and baggier than the ordinary one. The dress bridegroom`s dress is to be worn regardless of their status, and bride`s dress and ornaments according to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process of study, the fact that traditional wedding had been standardized was found. As wedding costumes are nationally-designated one, and are in the same category across the nation, it is meaningless in itself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pattern in a certain province. It can be said that a lot of existing theses have made mistakes owing to the absence of exact concept on it * Wedding dress is considered as outer clothing wedded at wedding ceremony. * Wedding dress is unrelated to season. * For women, wedding dress regarded as the one used for the first marriage. 1.Classification of wedding costumes was indicated in mark. 2. Since wedding ceremony is standardized, it has a unilateral form nationwide. Thus, the difference depending on provinces means the change within the form of standardization. `Wedding dress in a district` should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wedding tradition. 3. Wearing the unlined summer jacket made of ramie fabric has been generally thought to be helping women to have a comfortable life in the parents-in-law´s house without much difficulty. However, it seems more likely to be thought of as the means to lower the high temperature caused by stress and anxiety while spending long hours at the wedding, and as the revelation of mother`s deep consideration of her daughter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