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출입 관계에서 호혜의 규모와 호혜의 비대칭성이 수입업체의 거래관계에 대한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동진(Dong Jin Lee),유병희(Grace B. Yu)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수출입 거래 관계에서 호혜의 규모(reciprocity magnitude)와 호혜의 비대칭성(reciprocity asymmetry) 이 거래 관계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실증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혜의 규모(reciprocity magnitude)가 수출입 업자의 관계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호혜의 비대칭성(reciprocity asymmetry)은 수출입업자의 관계 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또한 수출입 관계에서의 가치 유사성(value similarity)과 문화적 친숙성(cultural familiarity)이 호혜가 관계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 효과를 가진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최근 해외 수출입 경험이 있는 수입 업체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해외 무역 파트너와의 거래 관계에서 호혜의 규모는 관계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호혜의 비대칭성은 관계 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혜의 규모는 문화적 친숙성이 높을 때 관계 몰입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더 커지는 반면 호혜의 비대칭성은 가치 유사성 친숙성이 낮을 경우 관계 몰입에 미치는 부(-)의 영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출입 업체들의 호혜의 규모를 확대하려는 노력은 문화적 친숙성 향상 노력과 동반할 때 관계 몰입에 더욱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수출입 업체들의 호혜의 비대칭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상호간의 가치 유사성을 확보하려는 노력과 동시에 이루질 때 관계 몰입에 더욱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reports a study examining the relational norm of reciprocity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In particular, we study the effects of reciprocity magnitude and reciprocity asymmetry on relationship commitment. We posit that reciprocity magnitud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ship commitment, while reciprocity asymmetry has a negative influence on relationship commitment. Value similarities and cultural familiarity are hypothesized to moderate the effects of reciprocity magnitude and reciprocity asymmetry on relationship commitment. We posit that reciprocity magnitude has a greater impact on relationship commitment in relationships with high value similarity and high cultural familiarity. We also argue that reciprocity asymmetry has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relationship commitment in relationships with low value similarity and low cultural familarity. To test these hypotheses, we conducted a survey involving a sample of purchasing managers who have recently purchased products from suppliers oversea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reciprocity magnitud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ship commitment, while reciprocity asymmetry has a negative impact on relationship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reciprocity magnitude and reciprocity asymmetry on relationship commitment are moderated by value similarity and cultural familarity. Reciprocity magnitude increases the importer`s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Thus, exporters should make proactive efforts to provide favors to importers in order to facilitate reciprocal business relationships. The timely provision of actual favors along with close communication will increase the magnitude of reciprocity in the relationship, which in turn increases the importer`s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Reciprocity asymmetry reduces the importer`s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Thus, exporters should make an effort to assure reciprocity symmetry within the relationship with the importer. In order to maintain reciprocity symmetry, exchange partners should make sure to pay favors back whenever they receive favors from their exchange partners. Exchange partners should make efforts to take turns in providing favors. Reciprocity magnitud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xchange partner`s commitment, especially when the exchange partners have high cultural familarity. In order to increase the positive effect of the importer`s perception of reciprocity magnitude on relationship commitment, the exporter should make efforts to increase perception of cultural familarity in a relationship. Examples of the exporter`s efforts to increase cultural familarity include cross cultural interactions, cultural sensitivity training, and cross cultural communic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fforts to increase reciprocity magnitude are fruitful, especially when cultural familarity is high. Reciprocity asymmetry decreases an importer`s overall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especially when value similarity is lower. To increase an importer`s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exporters should be responsive to the importer`s favors. Whenever exporters receive favors from importers, they should pay back those favors proportionately and immediately in order to reduce reciprocity asymmetry in the relationship. Feelings of inequity in a relationship tend to reduce long-term commitment to the relationship. Perceived asymmetry needs to be taken care of especially those with lower value similarity.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reciprocity magnitude on relationship commitment, the exporter should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value similarity by aligning each other`s goals and objectives in the relationship. In summary, this study empirically foun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reciprocity magnitude and reciprocity asymmetry on relationship commitment, which are moderated by value similarity and cultural familiarity.

      • KCI등재후보

        중국 국제도산제도상의 호혜원칙에 대한 고찰

        劉聰慧,祝翠瑛 한국채무자회생법학회 2021 회생법학 Vol.23 No.-

        중국의 현행 파산법은 호혜원칙을 원칙적으로만 규정하였다. 이전의 사법 실무에서는 호혜관계, 즉 사실호혜는 호혜원칙에 대한 엄격한 해석 으로 인하여, 중국 법원은 호혜를 근거로 외국 법원의 도산 판결, 재정 을 직접 승인하고 집행한 경우가 매우 드물었다. 중국의 국제도산제도 중의 호혜원칙이 끊임없이 개선되고 보완되었는 데, “사실호혜” 원칙을 기점으로 점차 “선도적인, 적극적인 호혜관계 형 성 촉진” 원칙, “추정호혜” 원칙, “호혜원칙 적용의 새로운 방식 탐색” 원 칙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비추어 볼 때, 중국 법원은 사법 협 조에 있어 점차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고, 호혜원칙에 대한 해석 방식 역시 기존의 보수적이고 엄격했던 해석에서 더욱 적극적이고 유연 한 해석으로 바뀌었다. 본고는 중국 호혜원칙 적용과 관련된 법률규정, 중국법원에서 인정한 호혜원칙과 관련하여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점에 대한 정리를 주 내용 으로 하였다.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관련 사례에서 호혜원칙의 사법 적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소개함으로써, 중국 국제도산제도 중의 호혜원칙을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았다. China’s current bankruptcy law stipulates onl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principle. In the previous judicial practice, since reciprocal relationship, also known as factual reciprocity, was a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Chinese courts barely had cases regarding direct approval and execution of foreign courts’ bankruptcy judgment and adjudication based on reciprocit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China’s international insolvency system has been constantly improved and supplemented. Beginning with the principle of “factual reciprocit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gradually developed to “promoting the formation of a leading and active reciprocal relationship”, “estimated reciprocity” and “searching for a new way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light of these facts, it can be seen that Chinese courts have gradually adopted an open attitude towards judicial cooper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has also changed from a conservative and strict interpretation to a more active and flexible one. The main content of this thesis is to summarize the legal provis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China, and the points that require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recognized by the Chinese courts. In the last part of the thesis, by introducing how the judicial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was made in related cases, we hop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who are willing to stud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China’s international insolvency system.

      • KCI등재

        ‘호혜경제’의 탐색과 전망

        김왕배(Kim, Wang-Bae)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이 글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대안으로써 호혜성을 바탕으로 한 교환 경제의 영역을 잠정적으로 ‘호혜경제’라 부르고, 이 호혜경제의 다양한 이념형적 유형을 시론적으로 검토해보고 있다. 단절적이고 일시적이며, 양적인 등가교환을 통해 거래당사자의 효용을 만족시키는 시장교환과 달리 호혜 경제의 교환은 연속적이고, 장기적이며 질적인 속성을 지닌다. 즉 호혜경제는 거래 당사자들이 서로 간 도덕적 채무와 부채의식을 지니고, 되갚음의 원리하에 이루어지는 교환으로, 명예, 윤리, 자존감, 인정과 배려 등 사회 문화적인 속성 그리고 권력 등의 정치적 속성을 동반하는 거래이다. 시장교환이 사물(thing)의 ‘사고팔기’라면, 호혜교환은 사회문화적 상징과 관계의‘주고받기’로 특징져진다. 이 글은 부족민들의 교환행위를 연구했던 기존의 경제인류학자들의 탐구를 바탕으로, 호혜원리에 기초한 대안경제의 가능성을 시장교환과의 상호 조합 혹은 별개의 존립가능성을 몇 가지로 유형화 해 보는 작업을 시도 하고 있다. 한 축을 시장교환 영역과 비(非)시장교환 영역으로 나누고, 다른 한 축을 경제적 효용만족을 추구하는 도구적 호혜성과, 타자에 대한 배려, 인정 등을 포함하는 규범적 호혜성으로 구분한 후 이 양자의 조합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경제 영역에 대해 설명해보고 있다. 이중에서 이 글이 주목하고 있는 대안경제로서의 호혜성은 규범적 호혜성에 입각한 두 영역(시장 매개형-호혜경제와 비시장형(생활세계형)-호혜경제)이다. 분석적 차원에서의 논의이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협동조합, 제3섹터, 사회경제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실험공동체와 도시형 품앗이 등 다양한 경제 단위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이들을 아우르는 경제영역에 대한 사회학적 이론적 작업은 미비하다. 이 글은 탐색적 연구로서 디딤돌의 의의를 갖고 있음을 밝히고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Reciprocal economy”, an economy based on reciprocity as the elementary form of exchange, is examined in this paper as an alternative to capitalist market economy. While market exchange includes such features as discretion and temporal, quantitatively calculated equalized value, reciprocal exchange can be characterized by continuity, qualitatively trading objects based on the principle of ‘give and take’ within a mutual relationship. Once a partner in the exchange receives some object along with the social, cultural, political symbols that adhere to it through trade, the exchange must be reciprocated in order to keep the network of relations intact. However, this ‘give and take’ occurs not only with direct partners in an exchange but the transaction (repayment, re-“gifting”) can also take place with third parties in a wider form of circulation. I have attempted to categorize the types of reciprocal economy in light of two intersecting axes; market exchange / non-market exchange and instrumental reciprocity / normative reciprocity. The resulting matrix produces four dimensions of reciprocal economy. In this paper, I have focused primarily on two of the four: the combinations of market/non-market exchange and normative reciprocity. These economic dimensions have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cooperative unions within the social economy, the third sector, social business, mutual labor economy in urban life, etc. This paper c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extending theoretical work into the reciprocal economy in the future.

      • KCI등재

        互惠關係의 契約的 構成 : 비판을 중심으로

        尹亨烈 연세법학회 ( 구 연세법학연구회 ) 2003 연세법학 Vol.9 No.2

        1. Begriff Die Gefa¨lligkeitverha¨ltnisse bestehen normalerweise aufgrund der familia¨ren oder gesellschaftlichen Beziehungen im Alltag, denen die rechtgescha¨ftlichen Fixierung entzogen ist. Bei den Gefa¨lligkeitsverha¨ltnissen werden keine klagbaren Verpflichtungen begru¨ndet, aber kommen nur die Schadensersatzanspru¨che in Betracht, falls der Schaden wa¨hrend der Abwicklung der Gefa¨lligkeitsvera¨ltnisse passiert. Und die Haftungserleichterung muss in Ru¨cksicht genommen werden. 2. Wesen der Gefa¨lligkeitsvera¨ltnisse 1) In den Gefa¨lligkeitsvera¨ltnissen ist eine Vereinbarung der Parteien vorhanden. 2) Die Vereinbarung funktioniert nicht als die Grundlage der Verpflichtung. Der Empfa¨nger der Gefa¨lligkeitszusage hat keinen Anspruch auf die Leistung gegen den Gefa¨lligen. 3) Die Gefa¨lligkeitsvera¨ltnisse ist als den Rechtsgrund der Leistungsempfangen, deshalb muss der Empfa¨nger der Gefa¨igkeitszusage aus der ungerechtfertigten Bereicherung das Empfangen des Leistungsgegenstandes dem Gefa¨lligen nicht zuru¨kgeben. 3. Das Schuldverha¨ltnis ohne Schuld Das Schuldverha¨ltnis besteht aufgrund der Sonderbeziehung der bestimmten Parteien, wa¨hrend die Schuld wird aufgrund eines Vertrages begru¨ndet. In den Schuldverha¨ltnissen kann eine Partei gege den Partner in Anspruch nehmen, die Belnge in Ru¨cksicht zu nehmen. Diese Pflicht steht neben der Hauptleistungspflicht, deshalb wird als Nebenpflicht genannt. Die Nebenpflicht kommt von der Prinzip des Treu und Glauens aus. Dagegen ist die Schuld nur auf die Leistung konzentriert, die ohne Vertrag nicht bestehen kann. 4. Die A¨hnlichkeit zwischen den Gefa¨lligkeitsvera¨ltnissen und dem Schuldverha¨ltnis ohne Schuld 1) Die Parteien der Gefa¨lligkeitsvera¨ltnisse sind durch die Steigerung der sozialen Kontakte bestimmt, dadurch verhalten sie sich in der Sonderverbindung. Sie sind nicht mehr in der Beziehung der Anonymita¨t von der allgemeinen Rechtsverkehrs, die durch das Deliktsrecht geregelt wird. 2) Aus den Gefa¨lligkeitsvera¨ltnissen kommt keine Verpflichtung der zugesagten Leistung. 3) Die Gefa¨lligkeitsvera¨ltnisse funktionieren als Rechtsgrund in Bezug auf die Leistung. 5. Ergebnis Die gefa¨lligkeitsvera¨ltnisse bestehen auf dern Grundlage des Schuldverha¨ltnisses ohne Schuld.

      • KCI등재

        미국 호혜통상협정법 성립에 따른 통상정책전환의 성격과 의미에 관한 연구

        정재환 한국국제상학회 2010 國際商學 Vol.25 No.3

        The significance of the Reciprocal Trade Agreements Act of 1934 (RTAA) for the present GATT/WTO system lies in a very few central ideas. They are all principles espoused by Cordell Hull. It is therefore worth understanding how these ideas came to dominate the thinking of Cordell Hull and how they led directly, under his leadership, to the Reciprocal Trade Agreements Act of 1934. The Act was a response to the Smoot-Hawley tariff bill, which showed that Congress was unable to create a coherent, non-biased trade policy. It was used to negotiate tariff-reduction agreements with Canada, Argentina, Uruguay and Great Britain, among others. Many of its provisions were prototypes of the principal-supplier rules that formed a major part of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after 1945. In summary, the early history of liberalization in the U.S.provides a picture of how domestic politics, institutional choice, and the international economy are interlinked. Domestic politics led to an institutional innovation, the RTAA. The institutional innovation l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o increased world trade. And, in turn, increased world trade led members of Congress and foreign actors to put more weight on increasing access to international markets. These preference changes expanded the coalition supporting free trade and allowed trade liberalization to continue to move forward. 1934년 호혜통상협정법은 제2차세계대전이후 세계경제가 미국이 주도하는 자유무역체제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현재 미국 통상정책의 기조도 여기에 근거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의 이 1934년 호혜통상협정법(The 1934 Reciprocal Trade Agreements Act)은 1930년 스무트-할리관세법의 조문을 가필하고 수정한 것이다. 스무트-할리법이 대공황하에서 광범위한 고율관세를 부과하여 미국의 보호주의적인 고관세정책의 피크를 이루었던 악명높은 법으로 알려진데 비하여, 1934년 호혜통상협정법은 미국의 통상정책이 무역자유화를 위한 저관세화의 기점을 이루었으며, 특히 현재의 GATT/WTO체제의 중심사상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이 호혜통상협정법은 20세기 후반의 GATT체제에서 그 중심적 개념이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 및 그 이후의 도하라운드 등에서도 그 유효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호혜통상협정법에 대해서 국내에서는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몇몇 문헌에서 사전식 정의로 간단히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비해 미국에서는 호혜통상협정법에 관하여 미국통상정책사적인 면에서, 특히 그 성립요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 중에는 경제적 요인과 의회의 요인 및 국제적인 요인으로도 연구되기도 하였고, 수출격감을 초래한 스무트-할리법에 따른 반성에서 당시의 국무장관이었던 코델 헐(Cordell Hull)의 강력한 리더십아래 관세인하를 가능하게 한 법으로도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다른 시각으로 보면 동법은 경기회복책의 하나로서 성립된 것이 아니라 제2차세계대전후 현대의 통상법과 관련하여 이 1934년 호혜통상협정법은 그 전환점으로서 중요하고 제2차세계대전이후 GATT체제의 중심사상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는 점에 초점을 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논문들은 1934년 호혜통상협정법의 성립에 기반을 두고, 그 배후의 산업구조나 자유무역추진론자들의 활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 통상정책의 주체인 국무성에 대해 고찰한 연구 등 동법에 초점을 두어 상세히 검토한 바에 의하면 이 호혜통상법으로 해서 미국의 통상정책은 전통적인 고립주의에서 국제주의적인 정책으로 전환하였다는 점을 중요시하고 있다. 선행연구로서 이들 연구논문 및 저서들은 성립요인에 관한 여러 가지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本稿는 1934년 호혜통상협정법이 미국의 관세정책을 대폭 전환시키려 의도한 점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의회의 권한축소와 행정부의 권한강화라는 점에서 미국의 통상정책이 關稅史의 흐름에서 이루어지는 점진적 변화의 일환이었다는 점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그러한 전환에 제약이 있는 부분은 그 후에도 존속하여 현재에도 미국의 통상정책 및 집행과정에서 여러 가지 보호주의적인 측면이 나타나고 있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러한 점에서 미국이 1934년 호혜통상협정법이 성립한 이후에도 대외적으로는 자유무역을 표방하지만 대내적으로는 보호주의를 지속시키고 있는 사정을 알아야 할 것이다. 현재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지속적인 통상압력을 받아 오고 있고, 미국의 보복조치를 회피하기 위하여 각종 통상협상을 통해 미국과 수출자율규제협정을 체결하였고, 한편으로 한국시장을 개방하는 등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여 왔다. 이...

      • KCI등재

        Between and Beyond Reciprocity and Communion

        Rohun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1 No.-

        호혜에 관한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공동체 내의 호혜의 성격에 관하여는 아직 충분한 학문적 소명(疏明)에 이르지 못하였다. 본래 사회적 규범으로서 호혜는 사람, 가족, 집단 사이의 상호의존 관계를 나타낸다. 본 논문은 고린도교회를 중심으로, 기독교 공동체 내의 상호의존 관계와 그 규범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초기 기독교의 호혜에 관한 연구는 호혜에 관한 공시적 다양성과 통시적 변역성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고린도전서 11:17–34에 담긴 공동식사에 관한 기록을 중심으로, 기원후 1세기 그레코–로만 세계와 그 사회적, 문화적, 윤리적, 정치적 지형 속에 형성된 ‘호혜’를 고찰한다. 우선 바울이 제시하는 호혜의 규범을 이해하기 위해, 호혜에 관한 기존의 비평적 관점들과 연구들을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기초로, 공동식사에 담긴 바울의 호혜의 해석학을 조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울의 교훈 속에 담긴 ‘부자’와 ‘빈자’, ‘자신’과 ‘타인’을 서로 연결하며 잇는 새로운 호혜의 구성을 고찰할 것이다. 그리스도의 ‘몸’을 담아내는 ‘주의 만찬’은 물질의 사적 이용과 착취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그레코–로만 사회의 지배 이념에 대해 중대한 도전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호혜’에 관한 성서학적 연구뿐 아니라, 현대 경제학과 문화연구, 그리고 문화인류학의 성과를 적극 활용한다. As a social principle, reciprocity consists of relations of interdependence between persons, families, clans, and groups. Because of its internalized value and process, it induces people to voluntarily cooperate with each other. However, the norm of reciprocity-its character and even the conditions of its possibility-is by no means resolved in contemporary scholarly debates. In order to wrestle with the mode of reciprocity in early Christianity, one must engage in a synchronic variation and diachronic change within and beyond its constitution. This essay attempts to re-conceptualize reciprocity in early Christianity and the Corinthian Church in particular. The account of the common meal in 1 Cor 11:17–34 relates to the reciprocal relationship in the “material” world and its social, cultural, and ethical configurations. In order to grasp the Pauline re(de)construction of reciprocity, this essay first addresses the diverse studies on reciprocity and its broader conception of economic relationship. Following the scholarly discussions, the essay further explores the account of the common meal in 1 Cor 11:17–34, where Paul rebukes the Corinthian believers for their procedure at the celebrations of the Lord’s Supper. Paul’s instructions present a direct challenge to the upper - class ideology of Greco-Roman society. This essay combines insights from cultural studies as well as modern and cultural economics of the exchange of foods, goods, services and people in order to reconstruct the Pauline reciprocity.

      • A Study on Kinship and Reciprocity in Pauline Congregations

        최현욱(Hyun wook Choi)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5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8

        The fact that reciprocity merges as a significant form of economic relationship practiced by the Pauline communities is quite reasonable. It is understandable if we examine it against the prevailing situation of economic deprivation experienced by the early believer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Pauline congregations called for generalized and balanced reciprocities among the members of the same congregation or other congregations to survive by overcoming their poor economic situations by means of leaning on each other. The reciprocity among Christians as members of an extended kinship group within congregation was an embedded strategy which was crucial to survival. It provided a means whereby individuals in precarious economic circumstances could attain some measure of material stability. It also called for redistributions between congregations that were some distance apart, through their spiritual leader, Paul, for the same kind of reasons. Moreover, if they accepted the teachings of the early Christian church that all believers of Jesus were siblings, and also had faith in the New Covenant of loving one another in Christ, which includes giving materially, it should be a natural thing for them to apply generalized reciprocity and redistribution as a practice of their faith. Thus Paul promoted the reciprocity relations to grow from balanced reciprocity to liking reciprocity. This could bring solidarity among Christian siblings of different backgrounds, proclaiming the gospel of Christ, which can be centered by the self-giving love of other-regard. 바울 공동체들에서 행해진 중요한 경제적 상호 관계의 형태가 호혜(互惠)적인 형태의 것이라는 것은 당시 로마제국 내의 그리스-로마(Greco-Roman)와 바울 공동체의 경제 상황을 이해한다면 상당히 합리적인 분석이다. 만약에 우리가 상당수의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경제적인 박탈을 경험하는 상황하에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그들의 그러한 특수 상황 하에서 이러한 관계들은 충분히 정상적인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바울 공동체들의 이러한 사회경제적 배경은 그들의 어려운 경제적 상황을 이겨내기 위해 지역의 공동체내 또는 지역 외의 공동체들 사이에서 일반화된 호혜관계(generalized reciprocity)와 균형적인 호혜관계(balanced reciprocity)를 필요로 했다. 확장된 친족그룹으로서의 신앙공동체내의 멤버들 사이의 호혜관계는 그들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내장(內裝)된 전략이었다. 호혜관계는 위험한 경제적 상황에 처해 있는 개인들이 어느 정도 경제적인 안정을 얻을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다. 바울 공동체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그들이 처한 어려운 경제 상황들 때문에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공동체들 사이에서도 그들의 지도자인 바울을 통한 재분배(redistribution)를 필요로 했다. 게다가 만약에 바울 공동체의 성도들이 모든 신자들은 형제라는 초대 교회의 가르침을 받아들였고 물질적인 나눔까지 포함하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사랑하라.”는 새언약을 믿었다면 그들이 신앙의 실천으로써 일반화된 호혜성과 재분배를 그들의 삶 가운데 적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바울은 성도들간의 호혜관계들이 균형적인 호혜관계(generalized reciprocity)에서 애호(愛好)적인 호혜관계(liking reciprocity)로 성장하도록 권장했다. 성도들의 관계가 균형적인 호혜관계에서 애호적인 호혜관계로 성장하는 것은 바울 공동체들의 경제적 난관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 주었을 뿐 아니라 타자존중의 자기희생적인 사랑을 핵심으로 하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성도들이 몸소 삶으로 선포함으로써 서로 다른 배경들을 지닌 그리스도인 형제들 사이의 연대를 가져올 수 있었다.

      • KCI등재

        협력과 호혜의 윤리

        이종원(Lee, Jong-won)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본 소고에서는 자본주의 경제체제 하에서 극심한 경쟁으로 인해 만연된 이기주의적 현실을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협력과 호혜에 기반을 둔 이타주의적 경제운동의 이론적 토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기주의를 합리화하는 유전자결정론과 인클로저 운동을 비판하고 공유지의 비극과 죄수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으로서 협력과 호혜가 지닌 도덕적 가치의 탁월성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협력과 호혜의 윤리가 부각되는 이유는 현 시대가 직면한 위기상황과도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공유지의 비극으로 비유되는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 자원 고갈이나 군비경쟁으로 인한 핵 확산, 난민 문제 등과 같은 국제적인 이해관계가 얽힌 문제들은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독립적이고 이기적인 국가들 사이에서 조정하기가 쉽지 않고, 집단적 이기주의가 작동하게 되면 무정부상태가 되거나 죄수의 딜레마로 빠져들어 갈등과 혼란만 가중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등과 같은 공존과 협력, 호혜의 가치를 구현하려는 사회적 경제 운동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운동들은 호혜와 협력을 바탕으로 이타적 성향을 강화시키고 장려하는 경제운동이며 창의력과 상상력, 그리고 열정과 개척정신에 기반을 둔 실천적인 경제 운동이다. 따라서 교회는 이러한 사회적 경제운동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thics of cooperation and reciprocity are the best solution as the altruistic economic movement, even though the egoism is partially rampant in society with extreme competitions under the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For this goal,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excellency of the cooperation and reciprocity as the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tragedy of the commons and the prisoner’s dilemma. The ethics of cooperation and reciprocity are magnified, because that is deeply related with the crisis of this era. Nowadays humankind are facing with many complex and difficult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the fear of nuclear war, exhaustion of resources, poverty and starvation compared to tragedy of the commons. If collective egoism works, these problems would become more complicated in state of anarchy or degrading to the prisoner’s dilemma. Also, this study explores the alternative economic movements on the basis of the creativity, imagination, enthusiasm, and pioneer spirit. Lastly, it suggests that church needs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economic movement positively.

      • KCI등재

        도덕감정과 호혜경제

        김왕배(Kim, Wang-Ba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1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부채의식과 감사, 죄책감을 원본으로 하는 도덕 감정은 사회성을 대변하는 공적 감정으로서 타자에 대한 직관과 성찰, 즉 ‘공감’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타자 지향의 공감역량을 발휘하는 도덕 감정은 신뢰와 연대의 구축과 대안 세계를 위한 변화의 에너지로 기능 하기도 한다. 최근 무한경쟁, 무한효율, 무한시장을 추구하는 신자유주의 글로벌자본주의는 엄청난 부를 축적하고 있지만, 불평등과 양극화, 실업과 빈곤, 배제와 주변화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 시민사회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패권국가와 거대자본의 힘은 시민들의 정치참여와 사회적 권리 등을 제한함으로써 주체를 왜소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 부분과 국가복지 부분에 의존하는 후기 자본주의의 삶의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함께 대안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윤을 목표로 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교환방식, 즉 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사회경제, 중간경제, 사회적 연대경제 등 여러 유형의 살림 살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필자는 부족사회의 선물 및 환대에 대한 기존의 경제인류학자들과 전통적인 품앗이의 논리를 살펴보면서 이러한 교환방식을 잠정적으로 호혜교환이라 부르고 이에 기초한 경제를 호혜경 제라 칭한다. 즉각적이고 일회적이며 이윤을 추구하는 시장교환과 달리 호혜교환 원리는 인격적이고 의무적이며 순환적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호혜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행위 동기는 무엇인가? 필자는 이를 도덕감정 으로 보고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공동체에 대한 부채의식과 타자 지향적 공감으로 구성되는 도덕감정과 호혜교환과의 상호 친화성을 탐색하고 있다. Moral emotion is a set of complicated global emotion with ‘emergent property’ as being constituted of various local emotions such as ‘debt consciousness, gratitude, guilty feeling, etc. As the typical representative feeling of sociality, it has been functioning to produce the base of empathy(or sympathy) by reflecting others as well. Moral emotion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the motivational energy for social change, for construction for trust and solidarity. Currently, a group of scholars and social movement activists have suggested the alternative economic model based on the reciprocal exchange being contrast with the market economy in which the pursing ’maximized profit’ has resulted in the inequality, polarization, social exclusion, etc. I have argued that the moral emotion as the capacity of reflecting others have operated in enhancing and reinforcing the reciprocal principle.

      • KCI등재

        17세기 경주 국당리(菊堂里) 동계(洞契)의 전통과 호혜 원리

        정수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 No.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community value of local society during the Choson dynasty and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modern Korean rural development evolved from this case. The focus will be on historical documents, in particular the village compact (kye) formed in the 17th century in the area of Kookdang village (Gyeongju, Gyeongsang province). Kookdang village organised its village compact, the Dong Kye, around 1627 after the Imjin Japanese invasion. Members were required to be male elites from one of 12 clans who were living in Kookdang village and four to eight nearby villages. In total, there were 118 members of this kye in the 17th century. It wa ssustained by its regulations, including who could compose its staff, as well as the conditions for withdrawal and reciprocity rules. The main role of this kye was helping to provide materials for the funeral ceremonies of its members as part of the reciprocity agreement, which extended to the wives and parents of members. The Kookdang Dong Kye furnished support in the form of cloth and paper, which were necessary for the funeral, to the members just after death. In this kye, which survived into the 20th century, membership was passed on to subsequent generations. The members of this kye invented traditions that were distinctive and predominant compared to those of other local kyes in the 20th century. The Dong Kye case provides some clues for examining modern rural development movements in Korea. Even though the Kookdang village compact is a case of invention of traditions, which included the reorganisation of the village’s trajectory and adjustment of contemporary community targets related to rural development, it furnishes background for rural development movements in 1970s Korea, especially the tradition of reciprocity and its legacy of organising a community regulated by its own institutions. 이 글은 현대 농촌개발의 동력을 토착농촌에서 발견하기 위한 모색의 일환으로 조선 17세기 동계를 호혜(Reciprocity)의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사례는 경상도 경주 국당리에 전하고 있는 동계문서이다. 국당리는 임진왜란 직후 특정 인물 주도로 ‘상동계(上洞契)’가 조직되고 경조사의 부조를 행하여 400년 동안 여섯 마을의 여섯 성씨가 동계를 계승하고 있다는 ‘전통’을 ‘발견’하고 계승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에 대해 17세기 동계 문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전통의 실체를 밝히고, 동계 구성원 사이의 호혜의 원리를 검토했다. 국당리 동계는 1627년경 국당리를 비롯한 4-6개 마을에 거주하던 8개 성씨의 중심인물들에 의해 설계(設契) 되었으며, 17세기 동안 12개 성씨 118명이 계원으로 출입하였다. 동계의 규약은 국당리 주변 마을의 사례를 참고했을 경우 향약의 원리를 원용하고 있었으며, 호혜를 위한 제도(Institutions)로 동약(洞約)을 운영했다. 그리고 동계의 호혜 내용은 현전하는 자료 중 상사(喪事)의 부물(賻物)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계원의 친족 범위를 대상으로 호혜를 위해 부조하는 규약이었다. 17세기 경주 국당리 동계는 다수 마을의 다수의 성씨에 의해 창설되어 호혜의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부조라는 호혜를 실천했다. 이러한 동계의 실체에 대해 18‒19세기 동안 상동계 전통으로 확장되어 오늘에 계승하고 있다. 조선후기 동계의 전형을 보여주는 국당리 사례는 현대 농촌개발에 있어 호혜가치 작동을 위한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가능하게 했던 토착적 배경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