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 체질 분류의 이론적 근거

        최대우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4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which was proposed by Lee Je-ma(李濟馬), is based on a different theoretical basis from the existing Korean medicine.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theoretical bases of both Korean medicine categorization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forma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ory categorizes human beings by the transcendental five element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organic view of human beings. Meanwhile,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lassifies them by experience-based statistics on top of that. Lee Je-ma’s theoretical basis was from Confucianism, reconstructed, and expanded by the view of human experience. By using this, he invented a new theory of viscera and human categorization. This means that his theory was adopted from both human experiences and verifiable objective methods. His theory can be regarded as the ‘bottom-up’ method because it is based on subjective experiences and objective verifications as well. This is different from the ‘top-down’ method, by which a transcendental universal principle controls the real world. However, he realized that his theory has a risk of subjective judgment, and therefore proposed the objective constitutional standard of “the size of lung, spleen, liver and kidney.” But, there still exists a problem of the ambiguity of concepts and arbitrariness of judgment in his theory. In my opinion, we can find an answer to the problem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ere Lee Je-ma proposed his theory. Therefore, I suggested that we need to examine the standard of his consitutional categorization and other theories not only from a medical view but also a philosophical foundation. Lee Je-ma’s theory of viscera and categorization of constitutions urges us to find a new theory of human beings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and to turn from the speculative method to the verifiable one in the field of medical theory and consitutional classification. In this regard, Lee Je-ma’s new theory of human beings and method of human constitutions can be said to suggest a new bridge in which different medical theorie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논문의 목적은 이제마가 제시한 사상체질은 한의학과는 다른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이루어진 새로운 체질 분류라는 가정 하에 이를 검증하고 그 근거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한의학의 체질 분류와 사상 체질 분류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 사상 체질 분류의 전개 내용과 방식을 분석했다. 한의학은 유기체적 인간관에 기초한 초월적 오행 이론에 따라 체질을 분류하지만 사상의학은 인간을 유기체적 존재로 이해하면서도 동시에 경험에 기초하여 체질을 분류한다. 이제마는 의학 이론은 유학에 근거하고 있지만 인간을 사상구조 안의 경험적 존재로 재구성하여 이해하고 이를 확충시켜 새로운 장부이론을 구성하고 체질 분류를 시도했다. 이것은 장부이론과 체질 분류가 인간의 경험에 기초하면서도 검증 가능한 객관적 방법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보편원리를 인간에게 적용시키는 한의학의 하향적 방식(top-down)에서 주관적 경험에 기초하면서도 객관적 검증을 시도하는 상향적 방식(bottom-up)으로 선회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에는 주관적 판단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이제마는 ‘폐비간신의 대소’라는 체질 구분의 객관적 기준과 이를 보완하는 참고 사항을 제시했다. 그렇지만 대소 개념의 애매성과 판단의 자의성 때문에 객관적 기준을 찾는 어려움은 여전히 남는다. 필자는 이 기준을 제시하게 된 이론적 배경에 해답이 있다고 보고 이제마가 제시한 체질 구분 기준과 참고사항을 의학적 탐색을 넘어 이론의 근거로까지 확장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이제마의 장부이론과 체질 분류는 한의학에 대해 인간 해명 방식에 대한 물음을, 그리고 의학이론과 체질 분류에 있어서는 사변적 방식에서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의 전환을 촉구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제마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해명, 그리고 체질 이론에 대한 연구방향은 물론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의학 이론과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상의학의 ‘사상’은 변화원리인가?

        최대우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5 No.4

        This essay premised that 'Sasang' of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is not used as a principle of changes in the Yijing, and examined the foundation of the premise and the theory. For this purpose, I studied major issues in the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Sasang. Later I analyzed a transformation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s and a reconstructed theory of internal organ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sasang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the Yijing and Neo-Confucianism. The theory of sasang is based on Confucianism, which sees humans as organic beings, but understands them as beings to recognize and practice knowing and acting and talents from a perspective of the Heavenly qi 氣 and human affairs. This is different from a prior viewpoint in which humans are oriented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m and the Heaven. On the basis of the new theory,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understands emotions as key causes of disease, finds that different constitutions result in different aspects of partial attachment, and therefore invents a new theory of internal organs to be used for diagnoses of and cures for diseases. The Sasang theory is composed of different concepts, but is not based on the principle of changes in the Yijing or the Heavenly principle. This fact means that the Sasang theory breaks itself of any transcendental concepts, and is transformed to an empirical and verifiable one. In this regard, the Sasang constitutional theory without any transcendental principle of changes can be sai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f human beings and cure for disease. 본 논문의 목적은 사상의학의 ‘사상’ 개념이 『주역』의 변화원리 개념으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이를 검증하고, 그 근거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사상 개념 해석상의 문제를 살펴본 다음 인간이해의 구조적 전환과 재구성된 장부이론의 내용과 방식을 분석하여 사상의학의 ‘사상’ 개념과 한의학이나 주역 또는 성리학과의 관련성 여부를 검토했다. 사상의학 이론은 인간을 유기체적 존재로 해명하는 유학사상에 기초하지만 천인합일을 지향하는 과거의 초월적 이론에서 전환하여 천기와 인사의 사상 구조 안에서 지행과 재록의 문제를 지각하고 행하는 주체로 이해했다. 이처럼 전환된 시각에서 인간을 이해한 사상의학은 감정의 편착이 발병의 주된 원인이며 체질에 따라 편착의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발병의 원인 진단과 치료에 적용하는 새로운 장부이론을 재구성했다. 이렇게 재구성된 사상이론에는 사상 등 여러 개념이 사용되었지만 주역의 변화원리나 천리와 같은 원리 개념이 탈각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사상의학 이론이 이론의 연구와 진료 방법에 있어서 초월적 논의를 벗어나 검증 가능한 경험적 방식으로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초월적인 변화원리를 배제한 사상의학 이론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해명, 그리고 새로운 질병 치유 방법의 가능성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四象醫學의 未來

        최대우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0 No.3

        This paper aims to research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as a result, suggest a futu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and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foundations of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and the systems and functions of the Viscera and Bowels theory. As a result, my research proves that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is based on our experience unlike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which is justified by the Yin-yang & Five Elements theory. In order to explain major concepts such as Seongmyung(性命) and human body,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utilizes human visual sensations and further proposes a dynamic viscera and bowels theory on the basis of a new philosophical system. Accordingly, it divides human physical constitutions based on emotions and moral wills occurring in our daily lives. It establishes a new viscera and bowels theory by incorporating human voluntary will (moral cultivation) into the field of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Due to the new theory, it is possible for us to give an objective explanation and verification for causes and treatments of disease. On the basis of my research, I suggested a future for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in two respects. First, there is a need to research a difference between 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a new dynamic viscera and bowels theory, which deals with both the functions of internal organs and human mind’s control of body, and to find a way to clarify causes and treatments of diseases based on this theory. Secondly, we need to find how to communicate with other theories of medicine and expand the scope of theories and treatments. 이 논문의 목적은 사상의학의 이론적 근거를 한의학과 대비적 관점에서 검토하여 사상의학이 가야 할 미래의 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사상의학과 한의학 이론의 관계, 사상의학의 이론적 배경과 철학적 근거, 그리고 장부이론의 구조와 기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상의학은 이론적 근거를 음양오행에 두는 한의학과는 달리 인간의 경험에 두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상의학은 핵심적 개념인 성명과 몸을 해명하는 데 경험적 시각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각에서 재구성한 철학적 체계를 토대로 생동적 장부이론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일상생활에서 생긴 감정과 도덕 의지를 기초로 체질을 구분하였고, 이를 토대로 예방과 치료에 수신이라는 자율적 의지를 도입한 새로운 장부이론을 완성함으로써 발병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객관적 설명과 검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필자는 사상의학이 가야 할 미래의 길을 두 가지로 제안하였다. 하나는 내적으로 장기의 기능만이 아니라 마음의 몸 주재 기능까지 함께 고려한 생동적 장부이론과 한의학 장부이론의 차이가 무엇이며, 또 무엇이 이 이론에 근거한 발병의 원인 규명과 치료 방법인지를 찾는 일이라고 제안하였다. 다른 하나는 외적으로 타 의학이론과 소통하는 길이 무엇이며 소통을 통해 이론과 치료의 외연을 넓히는 길이 무엇인가를 찾는 일이라고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